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적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비만관리 기준 설정

        이진규,이상엽,조병만,김윤진 대한비만학회 200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0 No.4

        연구배경: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는 널리 이용되는 비만의 지표이다. 각 나라에서 체질량 지수를 이용하여 과체중과 비만을 정의하고 있는데, 동양인은 서양인과는 체격조건이 달라 서양에서 정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최적 체질량지수를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비만 관리의 목표로 이용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 5월 1일에서 1999년 5월 31일 사이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부산의 한 3차 병원을 방문한 9,990명을 대상으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공복혈당이상, 고요산혈증, 담석증, 간질환 등 비만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질환들과 지방간, 심장질환, 위장관질환, 폐질환, 신장질환 등 13가지 의학적 문제를 이용하여 이환지수 (morbidity index)를 구하고,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를 구하였다. 이차함수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이환지수와 체질량지수와의 관계를 그린 후 이차함수곡선의 최하점에서 최적 체질량지수를 구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최적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환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체질량지수를 구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와 이환지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 곡선의 최하점에서의 체질량지수 는 남성에서는 20.6 ㎏/㎡, 여성에서는 19.5 ㎏/㎡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할 때 남성에서는 체질량지수 23∼24 ㎏/㎡ 이상, 여성에서는 체질량지수 22∼23 ㎏/㎡ 이상에서 이환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최적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1 ㎏/㎡, 여성에서 20 ㎏/㎡이며, 비만 관리에서 목표로 할 체질량지수는 남성에서 23∼24 ㎏/㎡, 여성에서 22∼23 ㎏/㎡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 is internationally accepted as an index of degree of overweight and obesity. Because Asian have different body frame and lower average BMI than whites, the classifica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recommen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Korean. Therefore we estimated ideal BMI and determined the level of BMI for obesity management in Korean. Methods: We investigated 9,990 men and women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in the period May 1996 to May 1999. Thirteen medical problems served as indices of morbid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impaired fasting glucose, hyperuricemia, gallstone, liver disease, urinary tract infection, fatty liver, anemia, heart disease, gastrointestinal disease, lung disease, and renal disease. BMI (kg/㎡) versus morbidity index was plotted and quadratic regression curve was drawn. Value of BMI at the lowest point of the curve was defined as ideal BMI. The prevalence odds ratio was estimated in each categories of BMI based on value of ideal BMI. Results: Value of BMI at the lowest morbidity was 20.6 ㎏/㎡ in men and 19.5 ㎏/㎡ in women, and prevalence odds ratio of BMI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orbidity above 23∼24 ㎏/㎡ in men and 22∼23 ㎏/㎡ in women. Conclusion: We propose that ideal BMI is 21 ㎏/㎡ in men and 20 ㎏/㎡ in women, and the level of BMI for obesity management is 23∼24 ㎏/㎡ in men and 22∼23 ㎏/㎡ in women.

      • KCI우수등재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설명 변수 :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의 비교

        한지혜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비만의 진단에는 체질량지수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체질량지수는 체지방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설명변수로서 생체전기저항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한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 진단을 받은 19세 이상의 수진자를 차상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와 혈압을 측정하였곤,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을 측정하였다. 연령군별 체질량지수와 체성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대해 연령,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을 독립변수로 하여 남성과 여성, 비만군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남성의 경우 체지방률은 30대에 가장 적었고 50대에 가장 많았으나 체질량지수는 연령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는 모두 20대에 가장 적었고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에서는 체지방률이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과 관련이 있었으며 체질량지수는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과 관련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은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과 관련이 있었고, 체질량지수는 중성지방과 고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과 관련이 있었다. 비비만군은 비만군에 비해 남, 녀 모두 체지방률이 더 많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비만하지 않은 남성은 체지방률이 체질량지수에 비해 더 많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이있었다 Backgroud: Body mass index (BMI) is commonly used to identify obesity, but it is only a surrogate measure of body fatness. We directly measured the body fatness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ylsis (BIA) and anaylized the relatio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ith body fat percent and body mass index.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929 men and 699 women aged 19-69 year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from June to November, 2001.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blood pressure (BP) were checked. Fat mass, fat-free mass, and body fat percent (%BF) were obtained by BIA method. Serum lipids fasting and blood glucose were checked. We assessed the fat mass, fat-free mass and %BF for sex and age deca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y age, BMI and %BF. Results: In men, %BF was lowest in their 30s and highest in their 50s, but BMI was not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In women, %BF and BMI were lowest in their 20s and highest in their 60s.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men, %BF was independently related with systolic BP, diastolic BP,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and BMI was related with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In Women, %BF was 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BMI was related with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In non-obese group,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related with %BF than BMI in both men and women. Conclusion: In non-obese men,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related with %BF than BMI.

      • KCI등재

        ROC 곡선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예방적 차원의 체질량지수 변별점 추정

        허안식(Heo, An Sik),박재영(Park, Jae Yo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진단에서 ROC 곡선을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별로 체질량지수의 변별점을 추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제 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대사증후군요인 관련 검사를 실시한 6,5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은 서태평양지역의 NCEP-ATP Ⅲ 의 기준을 활용하였으며 ROC 곡선으로 대사증후군 유무에 대한 체질량지수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 유무에 대한 체질량지수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한 결과 남자 20대 체질량지수 26.33kg/㎡에서 민감도 78.6%, 특이도 79.3% 이었으며, 30대 체질량지수 26.45kg/㎡에서 민감도 80.8%, 특이도 81.5%로 나타났다. 40대에 체질량지수 25.38kg/㎡에서는 민감도 71.4%, 특이도 72.4% 였으며, 50대 체질량지수 24.78kg/㎡에서는 민감도 68.9%, 특이도 69.8%로 나타났다. 그리고 60대 이상 체질량지수 24.43kg/㎡에서 민감도 68.4%, 특이도 69.8%로 나타났다. 여자 20대 체질량지수서 24.77kg/㎡에서는 민감도 82.4%, 특이도 85.9% 였으며, 30대 체질량지수 24.08kg/㎡에서는 민감도 79.7%, 특이도 79.9%로 나타났다. 40대 체질량지수 24.18kg/㎡에서는 민감도 75.9%, 특이도 77.1% 였으며, 50대 체질량지수 24.13kg/㎡에서는 민감도 72.1%, 특이도 72.7%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0대 이상 체질량지수 24.25kg/㎡에서 민감도 66%, 특이도 67.1%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체질량지수는 대사증후군 예측의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정된 변별점을 활용하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ut off points of body mass index by gender and age using the ROC curve in the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Methods: 6,574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the 3rd year of the 7th year (2018) and who performed test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factors were conducted. For the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the criteria of NCEP-ATP Ⅲ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ere used,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body mass index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were analyzed using the ROC curv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nsitivity 78.6% and specificity 79.3% were the highest for 26.33 kg/㎡ of BMI in their 20s men. the sensitivity 80.8% and specificity 81.5% were the highest for 26.45 kg/㎡ of BMI in their 30s men. the sensitivity 71.4% and specificity 72.4% were the highest for 25.38 kg/㎡ of BMI in their 40s men. the sensitivity 68.9% and specificity 69.8% were the highest for 24.78 kg/㎡ of BMI in their 50s men. the sensitivity 68.4% and specificity 69.5% were the highest for 24.43 kg/㎡ of BMI in their over 60s men. the sensitivity 82.4% and specificity 85.9% were the highest for 24.77 kg/㎡ of BMI in their 20s women. the sensitivity 79.7% and specificity 79.9% were the highest for 24.08 kg/㎡ of BMI in their 30s women. the sensitivity 75.9% and specificity 77.1% were the highest for 24.18 kg/㎡ of BMI in their 40s women. the sensitivity 72.1% and specificity 72.7% were the highest for 24.13 kg/㎡ of BMI in their 50s women. the sensitivity 66% and specificity 67.1% were the highest for 24.25 kg/㎡ of BMI in their over 60s wome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body mass index can estimate metabolic syndrome, and it is thought that using the estimated cut-off point may be useful in prevent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KCI등재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의 변화

        최원기(Won-kee Choi),남준호(Jun-Ho Nam),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 Ch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의 변화를 분석하고, 술 후 무릎 기능에 대한 체질량 지수의 영향과 체질량 지수 증가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술자 1인에 의해 시행된 100예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1년 후의 환자의 체질량 지수와 Knee Score와 Function Score로 구성된 Knee Society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1년 후, 체질량 지수는 34예(34%)에서 감소 혹은 유지되었으며, 66예(66%)에서 증가되었다.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이 되는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예(28%)에서 발생하였다. 5% 이상의 체질량 지수가 증가된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였다. 나이와 술 전의 낮의 Function Score가 술 후 1년의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환자 인자였다. 나이가 1년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odds ratio)는 0.905이었으며,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1점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는 0.902이었다. 즉, 술 전 나이가 젊을수록,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낮을수록 술 후 체질량 지수가 5% 이상 증가할 위험성이 높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의 환자에게서 일어나며, 해당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다.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를 보이는 환자 요인은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가진 환자였다. 그러므로, 술자들은 술 후 환자들에게 체질량 지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 환자를 특히 중점적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effects of BMI on the knee function and risk factors for an increase in BMI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Asians.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00 cases of TKA performed by one surgeon. Obesity was defined as BMI ≥25 kg/m². The BMI and Knee Society Score, consisting of the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were measured on the day before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The BMI decreased or was maintained in 34 cases (34%) and increased in 66 cases (66%) one year after surgery. An increase in BMI of 5% or more was considered a clin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MI and occurred in 28 cases (28%). The patients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knee function score. The age and preoperative function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As the age increased by one year, the odds ratio at which the BMI would increase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5. Moreover, as the preoperative function score increased by one point, the odds ratio that the BMI would increase by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2. In other words, a younger preoperative age and a lower preoperative function score mean a higher risk of a more than 5% postoperative increase in BMI. Conclusion: The BMI increased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in 28% of the TKA patients examined. They had a lower functional score. The risk factors for a more than 5% increase in BMI after TKA were young age and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Therefore, surgeons should educate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ho are young or have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so that the patient’s BMI would not increase after surgery.

      • KCI등재

        임신 전 산모의 체질량지수와 임신 중 체중증가가 소아기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

        서재민,김은령,이원욱,김지숙,홍용희 대한비만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2 No.3

        연구배경: 소아 비만은 청소년기, 성인기까지 지속되며 이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 소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식습관, 생활습관, 유전 요인 외에도 산모의 과다한 체중 증가, 출생 체중, 임신 전 비만 등이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애병원에서 분만한 산모와 그 신생아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하여 만 3~5세의 소아기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성애병원 산부인과에서 만삭 분만한 임신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 증가, 출산 시 산모의 연령 신생아의 출생 체중 등을 조사하였고, 출생한 신생아가 만 3~5세가 되어 성애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경우 그의 체질량지수를 조사하였다. 총 234명의 산모와 그 자녀를 대상으로 SPSS version 15.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student t test와 pearson’s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출생아의 만 3~5세경 체질량지수와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는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r = 0.143, P = 0.029), (r = 0.162, P = 0.013)를 보였으나 임신 중 체중 증가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 = 0.054, P = 0.408).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클수록, 출생 체중이 유의하게 컸고(r = 0.154, P = 0.018), 출생 체중이 클수록 만 3~5세경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도 유의하게 컸다(r = 0.247, P < 0.001). 결론: 본 연구 결과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클수록 신생아의 출생 체중도 유의하게 컸고, 소아기 체질량지수 역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나 임신 전의 비만 관리 역시 소아 비만 유병률 감소에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차후 이들의 학동기 체질량지수에 대한 장기적 추적 관찰 역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체성분도표를 이용한 남자 엘리트 운동선수와 성인의 체구성과 체질량지수의 위계적 차이

        김혜진(Hyeoi Jin Kim),김철현(Chul Hyu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2

        비만과 관련된 연구나 현장에서는 체지방 측정을 대신하여 체질량지수(BMI)가 지방을 나타내는 지수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뿐만 아니라 제지방과도 비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성분 도표를 활용하여 신체활동 수준이 다른 성인들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성분 분포를 확인하고 체성분 도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23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일반성인 184명과 선수경력이 6년이상인 운동선수 144명, 전체 328명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얻었으며, DXA(dual X-ray energy absorbtiometry)를 이용하여 체지방, 제지방 등의 신체구성 성분을 측정하였다. 집단간 신체구성의 차이는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체성분도표의 두 집단에 대한 체지방률의 분포에 대한 차이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연령의 두 집단에 대한 인체계측과 신체구성에 대한 결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은 동일한 연령대의 운동선수 보다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실제 지방량을 나타내는 변인인 체지방량(FM), 체지방지수(FMI), 그리고 체지방률(PBF)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또한 체질량지수를 동등하게 한 후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 체지방률, 체지방,제지방, 체지방지수, 제지방지수 모두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체구성 도표에서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지수, 제질량지수의 분포를 탐색적으로 유용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The quantitative fat mass (FM), fat-free mass (FFM) and percent body fat (PBF) have been separately used for body composition status, although the optimal physical performance of athletes needs not only an amount of FM and PBF but also an amount of FFM. Profiles of body composition for elite athletes have not been discussed. To show body components visually as a quantitative measure, a chart based on the fat-free mass index (FFMI, FFM/height square) and fat mass index (FMI; FM/height square) can be appli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body composition profiles with physical training and sport event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address visual profiles athlete`s body composition on a graphical chart called the body composition chart. A sample of 328 subjects (144 elite athletes, 184 control) aged 18 - 39 years was studied to determine body composition by DXA. Among the body components, FFMI and FMI were put on an x- and y-axis in a body composition chart, where FMI, FFMI, PBF, and BMI (= FMI + FFMI) were visually analyzed together.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thletes and male controls in FFM, FM, FFMI, FMI, and BMI (p<0.001) even though the body weigh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ike (p=0.562). All of the body components of athletes were different from them of controls (p<0.01). In the body composition chart, body components were separately distributed by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migration of body components from athletes and age-sex-BMI-matched controls can be expressed distinguishing all body components including FFMI, FMI, and PBF vividly and quantit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stribution of FFM and FM are characteristically delineated on the body composition chart, demonstrating clear exercise-induced body-component differences. The body composition chart can vividly evaluate the profiles of body composition for elite athletes.

      • KCI등재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갖는 질환들의 이환율을 이용한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변별점 측정: ROC 곡선을 이용하여

        박종현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1

        연구배경: 2000년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회의는 인종적 차이를 고려한 아시아인들의 체질량지수 기준을 재정의하여 발표하였고, 대한비만학회도 이 재정의 기준을 바로 수용하여 한국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체질량지수와 관련 질환 이환율 사이 상관성을 성・연령별로 파악하고, 질환 이환의 위험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시점의 체질량지수 변별점을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1998년 11~12월(제1기), 2001년 11~12월(제2기), 2005년 4~6월(제3기), 2007년 7~12월(제4~1기)에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자료 및 설문조사 자료(총 23,671명)를 사용하였다. 교육수준, 흡연을 통제하여 체질량 지수와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골관절염, 천식 등 질환군 사이의 성・연령에 따른 편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이들 중 유의한 질환 이환율을 대상으로 ROC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의 변별점을 구하였다. 결과: 단일 질환 이환율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보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에 이환된 경우를 기준으로 최적 변별점을 추정했을 때 AUC 값이 가장 높았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갖는 질환 이환율을 기준으로 추정된 한국 성인의 체질량지수 최적 변별점은 23.0~24.5 kg/m2 사이에서 추정되었고, 성․연령구간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추정된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최적 변별점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회의에서 재정의했던 과체중 기준과 유사한 값이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 기준 재정의가 한국 성인에게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지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여성에서 체질량지수가 제왕절개 분만에 미치는 영향

        김건우 ( Kun Woo Kim ),전종관 ( Jong Kwan J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목적: 산모의 임신 전과 분만 전의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가 제왕절개 분만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한국 여성에서 제왕절개 분만율이 높아지는 체질량지수의 역치를 구한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단태아를 분만한 모든 초산모에 관한 전산화된 자료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단태아를 분만한 초산모에 관한 자료 중 조산이나 만기후출산 (postterm birth)은 제외하고, 오직 만기출산 (term birth)만을 포함하였다. 분만 방법에 영향을 주는 과체중아 (large for gestational age)와 저체중아 (small for gestational age) 분만도 제외하였다.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으로는 오직 분만 진행부전만을 포함하였고, 둔위, 태아곤란증, 자궁 수술의 과거력 등은 제외하였다. 통계 분석은 한글 윈도우용 SPSS 12.0을 이용하였고, 카이자승법, t-test, 편상관계수, ROC curve,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였다. 유의한 P 값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2000년 1월 1일 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단태아를 분만한 초산모 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모두 1,041예였다. 만 나이, 전자간증, 출생체중, 경막외마취, 분만주수 등의 여러 변수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20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22의 승산비와 95% 신뢰 구간은 1.798 (1.088, 2.971), 22-24는 1.763 (0.928, 3.349), 24 초과는 2.900 (1.429, 5.883)이었다. 분만 전 체질량지수 26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26-28은 1.761 (1.042, 2.971), 28-30은 2.244 (1.207, 4.172), 30 초과는 3.175 (1.697, 5.940)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초산모에 있어서 진행 부전에 의한 제왕절개 분만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는 산모의 나이, 경막외마취, 분만 전 체질량지수, 출생체중이었다. 결론: 한국여성에서 제왕절개 분만율이 증가하는 임신 전과 분만 전 체질량지수의 역치는 각각 20과 26이었다. 임신 전과 분만 전 체질량지수는 모두 제왕절개분만의 위험 인자이지만 분만 전 체질량지수가 더욱 중요하게 보여 진다. 분만 전 적절한 체질량지수를 유지하는 것은 제왕절개 분만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 of maternal BMI on the risk of cesarean delivery and to determine the threshold BMI at which the rate of cesarean delivery increased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Retrospectively we reviewed data on all nulliparous women who delivered live-born singleton infa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 2000 and Dec. 2002. We included only term pregnancy with AGA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neonates and excluded all other pregnancy of indicated cesarean delivery except dystocia to show the pure effect of BMI. Cesarean delivery group were compared with vaginal delivery group with regard to maternal pre-gestational and pre-delivery BMI. Results: We identified 1,041 eligible women. When pre-gestational BMI ≤20 was used as reference, the adjusted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1.798 (1.088, 2.971) for 20<BMI≤22, 1.763 (0.928, 3.349) for 22<BMI≤24, and 2.900 (1.429, 5.883) for BMI>24, respectively. When pre-delivery BMI≤26 was used as reference, adjusted ORs and 95% CI were 1.761 (1.042, 2.978) for 26<BMI≤28, 2.244 (1.207, 4.172) for 28<BMI≤30, and 3.175 (1.697, 5.940) for BMI>30, respectively.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esarean delivery were maternal age, epidural anesthesia, birth weight and pre-delivery BMI. Conclusion: In Korean women, the thresholds of pre-gestational and pre-delivery BMI at which the rate of cesarean delivery increased were 20 and 26, respectively. Although pre-gestational and pre-delivery BMI were risk factors of cesarean delivery, pre-delivery BMI was more important than pre-gestational BMI. We suggest that maintaining appropriate pre-delivery BMI may be a way to reduce the rate of cesarean delivery.

      • KCI등재

        무증상 한국 성인의 대장 용종과 비만의 임상 고찰

        지정훈 ( Jeong Hoon Ji ),박범준 ( Bum Joon Park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정숙향 ( Sook Hyang Chung ),김나영 ( Na Young Kim ),이동호 ( Dong Ho Lee ),정현채 ( Hyun Chae Jung ),송인성 ( In Sung S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1

        목적: 대장암은 생활환경과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암 발생률, 사망률 모두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대장암의 전구 병소로 잘 알려진 선종용종과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대장 용종의 수, 크기, 조직 분류와 생화학검사 수치들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의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검진자에서 에스자결장경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 6,706명과 이 중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860명을 후향으로 분석했다.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군을 비만군, 25 미만인 군을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이외의 변수로는 성별, 연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당화혈색소, 고밀도지질단백, CRP 등이 있으며 이들과 함께 대장 용종의 육안 및 조직병리분류, 용종의 해부학 분포, 크기와 수 등을 체질량지수와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1±10.5세였으며 연령분포는 18세에서부터 83세 사이였다. 남녀 비는 1.1:1이었다. 선종 빈도는 정상군 16.0%과 비만군 20.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860명을 용종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대장 용종의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대조군에서 23.9±2.8, 용종군에서 24.3±2.8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용종 크기에 따른 체질량지수 차이도 없었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대장 선종 빈도는 정상군에서 32.5%였으며 비만군에서는 38.5%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상선종군과 융모선종군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치는 각각 24.3±2.7, 24.4±3.1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선종수가 4개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 외에 연령, 중성지방은 대장 용종의 유무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대장 선종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대장 선종 수가 증가할수록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중성지방 등도 대장 선종 발생의 위험요소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Aims: Obesity is a rising problem in industrialized countries. Numerous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olorectal polyps. There are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olorectal adenomatous polyps and body fat composition in Korea. We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ness and colorectal adenomatous polyps in health check-up subjects in Korea. Methods: Six thousand seven hundred and six routine health check-up subjects, who visited our hospital between March 2002 and April 2005 and underwent distal colon examimation with sigmoidosco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m, colonoscopy was done in 860 patients to evaluate the entire colon. We tri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size, location, number and histopathological type of polyps. BMI was used as an indicator of obesity. Results: The mean value of BMI in total polyp-free group (23.8±2.9)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lyp group (24.5±2.8, p=0.09). The frequency of rectosigmoid polyps in obese patients (20.4%) was higher than that in non-obese patients (16.0%, p<0.05). The frequency of adenomatous polyp was not different between obese and non-obese group. Number of polyps (≥4) correlated well with obesity. Moreover, age and triglyceride level in patients with colonic adenom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atients without colonic adenom.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obesity is not associated with colonic adenomatous polyp in Korean population. However, we observed that obesity may be associated with rectosigmoid colon polyps. Furthermore, age and triglyceride level might be the risk factors of colonic adenomatous polyps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10-16)

      • KCI등재

        산욕기 체질량지수 및 복부지방률의 변화

        상재홍 ( Jae Hong Sang ),이은실 ( Eun Sil Lee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산욕기 동안의 체중 동태를 관찰함에 있어 전통적인 체질량지수와 더불어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복부지방률의 변화를 통하여 각 시기별 비만의 빈도 변화를 관찰하고 체질량지수와 복부지방률의 상관관계를 관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만삭에 단태아를 출산한 60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분만 다음날과 분만 1주째, 그리고 분만 6주째에 체질량지수를 구하고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는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복부지방률을 측정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는 분만 다음날 25.9±3.9 kg/m2, 분만 1주째 24.8±3.8 kg/m2, 분만 6주째 23.5±3.8 kg/m2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복부지방률은 분만 다음날이 0.843±0.058, 분만 1주째 0.850±0.054, 분만 6주째 0.849±0.056이었다. 과체중 (체질량지수 23-24.9)의 빈도는 분만 다음날 35%, 분만 1주째 25%, 분만 6주째 20%였으나 비만 (체질량지수 25 이상)은 분만 다음날 45%, 분만 1주째 38.3%, 분만 6주째 26.7%이었다. 남성형 비만 (복부지방율 0.85 이상)의 빈도는 분만 다음날 43.3%, 분만 1주째 43.3%, 분만 6주째 38.3% 이었으며, 이러한 남성형 비만을 예측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의 경계치는 분만 다음날이 >24.9 kg/m2, 분만 1주째가 >23.2 kg/m2, 분만 6주째가 >22.6 kg/m2로 나타났다. 결론: 산욕기 체중을 관리하는 데 있어 체질량지수와 더불어 복부지방률을 파악하여야 하며 한국여성에서의 분만 후 시기별 체질량지수 및 복부지방률 감소에 관한 기준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mass index (BMI) and abdominal fatness of women in postpartum period,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Methods: Sixty uncomplicated postpartum women were included. BMI and abdominal fatness using bioelectric impedance method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postpartum one day, one week, and six weeks. Results: Mean BMI was 25.9±3.9 kg/m2, 24.8±3.8 kg/m2, 23.5±3.8 kg/m2, and abdominal fatness was 0.843±0.058, 0.850±0.054, 0.849±0.056 at postpartum one day, one week, and six week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overweight women (BMI 23-24.9 kg/m2) was 35%, 25%, 20%, and the incidence of obesity women (BMI≥25 kg/m2) was 45%, 38.3%, 26.7%, and the incidence of android obesity (abdominal fatness>0.85) was 43.3%, 43.3%, 38.3% at each three postpartum period. The cut-off values of BMI to predict android obesity was >24.9 kg/m2, >23.2 kg/m2, and >22.6 kg/m2 at postpartum one day, one week, and six week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hanges of postpartum body weight must be explored with abdominal fatness as well as BMI, and standard references for each postpartum period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