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설명 변수 :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의 비교

        한지혜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비만의 진단에는 체질량지수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체질량지수는 체지방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설명변수로서 생체전기저항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한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 진단을 받은 19세 이상의 수진자를 차상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와 혈압을 측정하였곤,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을 측정하였다. 연령군별 체질량지수와 체성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대해 연령,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을 독립변수로 하여 남성과 여성, 비만군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남성의 경우 체지방률은 30대에 가장 적었고 50대에 가장 많았으나 체질량지수는 연령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는 모두 20대에 가장 적었고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에서는 체지방률이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과 관련이 있었으며 체질량지수는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과 관련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은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과 관련이 있었고, 체질량지수는 중성지방과 고밀도콜레스테롤, 공복혈당과 관련이 있었다. 비비만군은 비만군에 비해 남, 녀 모두 체지방률이 더 많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비만하지 않은 남성은 체지방률이 체질량지수에 비해 더 많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이있었다 Backgroud: Body mass index (BMI) is commonly used to identify obesity, but it is only a surrogate measure of body fatness. We directly measured the body fatness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ylsis (BIA) and anaylized the relatio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ith body fat percent and body mass index.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929 men and 699 women aged 19-69 year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from June to November, 2001.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blood pressure (BP) were checked. Fat mass, fat-free mass, and body fat percent (%BF) were obtained by BIA method. Serum lipids fasting and blood glucose were checked. We assessed the fat mass, fat-free mass and %BF for sex and age deca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y age, BMI and %BF. Results: In men, %BF was lowest in their 30s and highest in their 50s, but BMI was not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In women, %BF and BMI were lowest in their 20s and highest in their 60s.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men, %BF was independently related with systolic BP, diastolic BP,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and BMI was related with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In Women, %BF was 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BMI was related with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In non-obese group,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related with %BF than BMI in both men and women. Conclusion: In non-obese men,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related with %BF than BMI.

      • KCI등재

        초등학생의 체지방률에 따른 체성분 비율과 기초대사량의 차이

        송광섭,권성진,권선옥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체지방율에 따른 신체조성과 기초대사량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390명의 초등학생들을 체지방율을 기초로 하여 정상 집단과 과체중 집단, 비만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신체조성은 (주)아이아커뮤니케이션의 N20로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체지방율, 세포내액, 세포외액, 총체수분량, 단백질, 무기질, 근육량, 내장지방면적, 기초대사량이다. 체격의 측정은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주)아이아커뮤니케이션의 N20를 이용하였다. 신체조성의 모든 항목(체지방율, 세포내액, 세포외액, 총체수분량, 근육량, 무기질, 근육량, 내장지방면적)은 정상 집단, 과체중 집단, 비만 집단 간에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냈다. 모든 체성분 비율은 체지방율이 높을수록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내장지방면적은 체지방이 높은 집단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기초대사량은 남자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정상그룹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여자의 경우 역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만 집단이 가장 높은 기초대사량을 나타냈다.

      • KCI등재후보

        운동 및 체지방량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김규남,주남석 대한비만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4

        연구배경: 체지방량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 및 당 대사, 지질 농도와 혈압에 관련 있으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도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와 체지방량을 모두 고려한 대사증후군의 관련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여부와 체지방량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0세에서 79세까지의 수진자 중 남성 5,358명과 여성 3,876명, 총 9,2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진자들은 8시간 이상 금식후 정맥혈로 TG (Triglyceride),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및 신체 검진 및 계측을 통해 키, 체중, 혈압, 허리 둘레를 측정하였다. 결과: 30대에서 60대까지의 연령군에서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독립적으로 대사증후군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왔으며, 특히 50대의 연령군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와 체지방률이(남성 ≥ 20%, 여성 ≥ 30%) 높은 경우 대사증후군 증가를 보였다(남성; 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 OR = 1.397, P = 0.039,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OR = 7.215, P < 0.001; 여성; 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 OR = 1.831, P = 0.002,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OR = 3.529, P < 0.001). 또한 같은 연령군에서 운동을 하면서 체지방률이 정상인 사람에 비해 운동을 안 하면서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운동을 하면서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운동을 안 하면서 체지방률이 정상인 경우 순으로 대사증후군 발생이 높았다(남성; OR = 8.304, P < 0.001; OR = 5.624, P < 0.001; OR = 0.875, P = 0.791; 여성; OR = 8.127, P < 0.001; OR = 4.894, P < 0.001; OR = 2.739, P = 0.030). 그리고 같은 연령군의 남성에 있어서 운동을 하는 경우 체지방률이 27% 정도(P = 0.019) 감소되었으며 여성에 있어서는 운동을 하는 경우 체지방률이 28% 정도(P = 0.019) 감소하였다. 결론: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운동보다는 체지방률의 증가가 대사증후군 증가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체성분도표를 이용한 남자 엘리트 운동선수와 성인의 체구성과 체질량지수의 위계적 차이

        김혜진(Hyeoi Jin Kim),김철현(Chul Hyu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2

        비만과 관련된 연구나 현장에서는 체지방 측정을 대신하여 체질량지수(BMI)가 지방을 나타내는 지수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뿐만 아니라 제지방과도 비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성분 도표를 활용하여 신체활동 수준이 다른 성인들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성분 분포를 확인하고 체성분 도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23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일반성인 184명과 선수경력이 6년이상인 운동선수 144명, 전체 328명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지수를 얻었으며, DXA(dual X-ray energy absorbtiometry)를 이용하여 체지방, 제지방 등의 신체구성 성분을 측정하였다. 집단간 신체구성의 차이는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체성분도표의 두 집단에 대한 체지방률의 분포에 대한 차이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한 연령의 두 집단에 대한 인체계측과 신체구성에 대한 결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은 동일한 연령대의 운동선수 보다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실제 지방량을 나타내는 변인인 체지방량(FM), 체지방지수(FMI), 그리고 체지방률(PBF)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또한 체질량지수를 동등하게 한 후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 체지방률, 체지방,제지방, 체지방지수, 제지방지수 모두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체구성 도표에서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지수, 제질량지수의 분포를 탐색적으로 유용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The quantitative fat mass (FM), fat-free mass (FFM) and percent body fat (PBF) have been separately used for body composition status, although the optimal physical performance of athletes needs not only an amount of FM and PBF but also an amount of FFM. Profiles of body composition for elite athletes have not been discussed. To show body components visually as a quantitative measure, a chart based on the fat-free mass index (FFMI, FFM/height square) and fat mass index (FMI; FM/height square) can be appli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body composition profiles with physical training and sport event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address visual profiles athlete`s body composition on a graphical chart called the body composition chart. A sample of 328 subjects (144 elite athletes, 184 control) aged 18 - 39 years was studied to determine body composition by DXA. Among the body components, FFMI and FMI were put on an x- and y-axis in a body composition chart, where FMI, FFMI, PBF, and BMI (= FMI + FFMI) were visually analyzed together.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thletes and male controls in FFM, FM, FFMI, FMI, and BMI (p<0.001) even though the body weight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ike (p=0.562). All of the body components of athletes were different from them of controls (p<0.01). In the body composition chart, body components were separately distributed by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migration of body components from athletes and age-sex-BMI-matched controls can be expressed distinguishing all body components including FFMI, FMI, and PBF vividly and quantit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stribution of FFM and FM are characteristically delineated on the body composition chart, demonstrating clear exercise-induced body-component differences. The body composition chart can vividly evaluate the profiles of body composition for elite athletes.

      • 일반 대학생의 체지방과 유연성 및 근력과의 관계

        김우원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1

        1. 결 과 1) 체지방과 배근력은 약간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체지방의 정도에 따라 배근력이 좌우된다고 단언 할 수는 없지만 약간의 상관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체지방과 배근력은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된다. 2) 체지방과 유연성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체지방의 정도에 따라 유연성이 좌우된다고 할 수 없다. 이상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배근력과 유연성은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된다. 2. 제언 인체의 체지방이 유연성과 배근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1) 본 연구는 남자에만 국한된 것이라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연령, 성별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체지방이 두 측정에 상관관계를 높일 수 있고 가능하면 비만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성순창,김현수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4

        제지방량 및 체지방량은 나이, 신장, 그리고 체중과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제지방량이나 체지방량의 과다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가 신체구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로 평가한 마름, 표준, 과체중, 그리고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의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을 결정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0)가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제지방량과 체지방량은 20-93세의 건강한 성인(남: 2,509명, 여: 3,268명)을 대상으로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 BMI 범주에 해당하는 제지방량지수(남:15.2-17.5, 여:13.1-14.8 kg/㎡)와 체지방량지수(남: 2.9-5.0, 여:5.2-8.0 kg/㎡)로, BMI가 25 이상인 비만범주에 있는 체지방량지수는 남녀 각각 6.0, 9.2 kg/㎡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표준범위의 체지방률은 남녀 각각 16.7-22.6 %, 28.0-34.3 %로 추정하였다. 이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의 값들은 신장과 상관없이 신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 영양, 그리고 의학과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이 한국인들의 노화, 질환, 그리고 운동 트레이닝으로 인한 신체구성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ecause of fat-free mass (FFM) and body fat mass (BFM) change with age, height, and weigh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subjects have low or high FFM or BFM. The fat-free mass index (FFMI, kg/㎡) and body fat mass index (BFMI, kg/㎡) are useful in evaluating body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FMI, BF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ranges in subjects with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 in Korea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 The study contain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2,509 men, 3,268 women) aged 20 years or older. FFMI, BFMI, and %BF were calculated. FFMI values were 15.2 to 17.5 kg/㎡for men and 13.1 to 14.8 kg/㎡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2.9 to 5.0 kg/㎡for men and 5.2 to 8.0 kg/㎡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6.0 and 9.2 kg/㎡in men and women, r espectively, f or o bese BMI ( 25 kg/㎡). Normal r anges for %BF were 16.7 t o 22.6 a nd 2 8.0 to 3 4.3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is study presents FFMI and BFMI values that correspond to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s. FFMI and BFMI provide information about body compartments regardless of height. The present data may be useful to health specialist as reference values for Korean population in comparing healthy and ill subjects of all ages and identifying body composition changes related to aging, malnutrition, and exercise training.

      • KCI우수등재

        생체전기저항 신체구성 분석기의 재현성 및 타당도

        김현수,박혜순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4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새로운 손-발 전극을 이용하여 한국 남녀 성인의 신체구성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체지방측정기구의 타당성과 재현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체지방 측정을 원하는 남자 (35명, 31.0±6.8세) 와 여자 (22명 , 26.6±5.5세)를 대상으로 수중체중과 잔기량을 측정하여 산출한 체지방률과 제지방량을 임피던스 체지방측정기 (Healthkeeper, 이하 HK)를 사용하여 구한 값들과 비교하였으며, 이 기구에 내장된 성별 추정식의 정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값, 두 그룹 사이의 상관(r), 추정표준오차 (SEE), 총오차 (TE)를 검토하였고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체지방측정기의 재현성은 r=0.98로서 매우 높았다. 수중체중 측정법과 임피던스법 사이에서 체지방률의 상관은 남녀 각각 r=0.89, r=0.80의 높은값을 보였다. 체지방률의 추정오차는 남자가 SEE=2.5%, TE=2.9%를 보였으며, 여자는 SEE=2.8%, TE=2.3%로서 비교적 추정도가 높았다. 두 그룹 사이에서 체지방률의 평균 차는 남녀 각각 0.8%, 0.9%로서 비교적 적은 값을 보였고, 남녀 모두 체지방률을 추정하는 회귀선이 동일선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결론 : 최근 시판되는 체지방측정기는 일반 성인 남녀의 체지방율 및 제지방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지방량 혹은 제지방량이 아주 많은 사람의 신체구성을 평가하기에는 문제가 약간 있는 것으로 보여 비만자를 위한 새로운 추정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cently developed new hand-foot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 body composition analyzer in determination of the % body fat (%BF) and fat-free mass (FFM) among Korean adul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all volunteers composed by 35 males and 22 females. The % BFuw measured by underwater weighing technique (UW) was the reference values. The %BFHK estimates obtained from bioelectrical impedance body composition analyzer (Healthkeeper, HK). Gender-specific equations were cross-validated. Means (M), standard deviations (SD), correlation coefficients (r), standard errors of estimate (SEE) and total errors (TE) were compared to the criterion test of underwater weighing (%BFUW) at residual lung volume. Results : There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s r_y.y=.89 and .80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prediction errors were moderate as SEE=2.5% and TE=2.9% for men, SEE=2.8%, and TE=2.3% for women,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BFUW and %BFHK were small for men (0.7%) and women (0.9%). For both gender, the lines of ident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5) from the lines of best fit. Conclusion : Use of the Healthkeeper body composition analyzer is suitable for the assessing the % body fat (%BF) and fat-free mass (FFM) among Korean adults with normal range of percentage body fat.

      • KCI우수등재

        간편법에 의한 중년여성의 신체구성평가 : 5종류의 BI법의 비교

        김현수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4

        연구배경: 현장에서는 개인의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해 간편법이 필요하다. 생체전기임피던스법 (BI법) 이 일반 건강한 성인의 신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편리하고 타당성이 있는 방법으로 개발되고 있고, BI법을 이용한 체지방 측정기구들이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에서 개발된 이러한 측정기기로부터 추정한 체지방률이 수중체중측정법으로 구한 체지방률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법: 체지방측정을 원하는 여성 (61명, 41.3±12.0세)을 대상으로 수중체중과 잔기량을 측정하여 체지방률을 구하였고, 이 연구에 사용한 임피던스 체지방측정기는 한국에서 개발된 InBody 3.0과 NEOSCAN, 그리고 일본에서 개발된 HBF-306, GIF-89IDX, TBF-611이었다. 결과: 각 BI법으로 추정한 체지방률과 수중체중법으로 구한 체지방률과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상관 (r=0.67 ~ 0.77) 을 보였고, 추정오차는 3.5 ~ 4.9% 의 범위였다. 결론: 5 종의 임피던스방법으로부터 추정한 체지방률은 수중체중법으로 구한 체지방률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추정오차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보다 정도가 높은 추정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Simple methods are needed to assess the total body fat of individual human subjects. The bioelectrical impedance (BI)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s a convenient, valid approach to estimate body composition in normal, healthy adults. However, the validity of these methods has not been compared in the Korea subje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valuate the validity of % body fat using 5 kinds of indirect method-5 brands of BI analyzers against body fat data derived by underwater weighing, and (2) to discuss the accuracy of each mothod. Methods: The subjects were 61 women, aged 20 to 59 years (41.3±12.0 yr). The BI analyzer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InBody 3.0, HBF-306, GIF-891DX, TBF-611 and NEOSCAN. Results: Percentage of body fat estimated by each metho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r=0.67-0.77) with the data from underwater weighing, and standard error of estimate (SEE) for subject. Conclusion: The accuracy of %fat estimated by the GIF-891DX was slightly worse than those for the other BI analyzer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 body fat can be estimated by each method without a large discrepancy. However, the validity of each method for estimating % body fat may not be as high as other reference method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prediction accuracy.

      • KCI등재

        복부비만을 동반한 여성에서 DEXA로 측정된 국소적 체지방과 대사적 위험요인

        김진승,이가영,김준수,박태진,이상엽,김영주,김윤진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7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regional body fat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body fat and metabolic risk factors. Methods: A total of 98 women aged 18∼65 years with centr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80 cm) took the evaluation for metabolic risk factors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insulin,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lipid profil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regional body fat measurement using DEXA. The relationship of regional body fat with the metabolic risk factors, the metabolic syndrome (M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R, defined by HOMA-IR≥2.48) were assesse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total body fat (%), legs fat (%)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LDL-C, triglyceride, HOMA-IR, and hs-CRP, while positively with HDL-C. The 1% increase of legs fat was associated with the MS by odds ratio of 0.82 (95% C.I 0.71∼0.96) and with the IR by odds ratio of 0.80 (95% C.I. 0.67∼0.95). Trunk fat (%)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C, triglycerides, and HOMA-IR. The 1% increase of trunk fat was associated with the MS by odds ratio of 1.32 (95% C.I. 1.03∼1.71) and with the IR by odds ratio of 1.33 (95% C.I. 1.01∼1.77). The ratio of android fat to gynoid fat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C, triglycerides, glucose, and HOMA- IR, while negatively with HDL-C. The 0.1 increase of the ratio was associated with the MS by odds ratio of 1.66 (95% C.I. 1.07∼2.60). Conclusion: The trunk fat, and legs fat, the ratio of android fat to gynoid fat assessed by DEXA seemed to be useful indicators to predict the metabolic risk factors in women with central obesity. 연구배경: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EXA)으로 측정된 국소 체지방과 대사적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DEXA가 비만의 치료방침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인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18세에서 65세 사이의 복부비만 (허리둘레≥80 cm)을 동반한 95명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적 위험요인인 혈압, 공복혈당, 인슐린, 중성지방, 고밀도 (HDL-C-C)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과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DEXA로 측정한 체지방률 간의 관련성 및 대사증후군(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기준)과 인슐린저항성 (HOMA-IR≥2.48)의 유무와 국소적 체지방률 간의 관련성을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나이와 전체 체지방률을 보정한 후 하지 체지방률의 증가는 LDL-C, 중성지방, HOMA-IR, hs-CRP의 감소 및 HDL-C-C의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고, 하지 체지방률이 1% 증가하면 대사증후군의 이환 교차비는 0.82 (95% 신뢰구간 0.71∼0.96), 인슐린저항성의 이환 교차비는 0.80 (95% 신뢰구간 0.67∼0.95)이었다. 반면에 몸통 체지방률의 증가는 LDL-C, 중성지방, HOMA-IR, hs-CRP의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고, 몸통 체지방률이 1% 증가하면 대사증후군 이환 교차비는 1.32 (95% 신뢰구간 1.03∼1.71), 인슐린 저항성의 이환 교차비는 1.33 (95% 신뢰구간 1.01∼1.77)이었다. 여성형지방에 비하여 남성형지방이 상대적으로 증가할수록 LDL-C, 중성지방, 혈당, HOMA-IR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HDL-C-C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비율이 0.1 증가하면 인슐린 저항성 이환 교차비가 1.66 (95% 신뢰구간 1.07∼2.60)이었다. 결론: 복부비만을 동반한 여성에서 DEXA로 측정된 몸통 체지방률, 하지 체지방률, 남성형지방과 여성형지방의 비율은 대사적 위험요인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한국 비만 여성의 신체 계측에 의한 체지방 추정

        심경원,김지연,서희선,이홍수,이상화,강지현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국내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단순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는 체지방률 추정식을 작성함으로써 쉽게 체지방률과 조절해야하는 지방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방법 : 이대목동병원 비만클리닉을 처음으로 내원한 19세 이상의 성인 여자 607명 중 체질량지수가 25 kg/㎡ 이상인 5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목, 가슴, 허리, 엉덩이, 대퇴, 하퇴, 발목, 상완, 전완, 손목의 10부위의 둘레와 생체전기저항분석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체지방률 추정식을 구하기 위해 BIA에 의한 체지방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 신체 둘레 계측기 및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연령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 신장과 체중, 연령, 체질량지수 및 신체 둘레 측정치 중 체지방률을 반영하는 지표는 체질량 지수, 전완둘레, 신장, 엉덩이 둘레, 하퇴둘레였고, 이 다섯가지 지표를 이용한 체지방률 추정식은 66.1%의 예측력과 2.86%의 측정 오차를 나타냈다 (R^2=0.661, SEE=2.86). 결론 : 비만한 성인 여성에서 신장과 체중, 연령 및 신체 둘레 계측치를 이용한 본 연구의 추정식은 체지방률(%)을 적은 오차범위로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that accurately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using relatively easy and inexpensive method in adult obese Korean women. Method : Data were collected among 500 obese Korean women visiting obesity clinic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eoul, Korea. Height, weight, and circumferences at ten body sites (neck, chest, waist, hip, thigh, calf, ankle, arm, forearm, wrist) were measured s well as total body bioelectrical impedance. Results : The full regression equation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included six variables : BMI, forearm circumference, height, hip circumference, thigh circumference. This equation accounted for 66.1% of the variance in body weight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their standard error of estimate was 2.86%. Conclusion : For the obese Korean women in this study, circumference measurements provided a s relatively good estimation of body fat percen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