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인이 음성장애로 인식하는 청지각적 변수

        이아름,허명진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voice perception of three groups within the gener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voice disorders and to analyze the significant voice perceptual factors for each group. Methods: The study's subjects were 50 laypeople who ranged in age from 19 to 34 years of age who had never received any professional training or experience and who had no problem with hearing, cognition, or communication. In order to collect the sound sample to be used for analysis, a researcher selected 1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voice disorders by an otolaryngologist in a general hospital and recorded sustained vowels and connected speech. The voice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ssigned scores of G scale in the GRBAS rating scales which are the professional's perceptual assessment; their F0, jitter, shimmer, NHR and MPT were obtained through acoustic analysis. Further, in order to constitute a perceptual assessment tool, the researcher composed nine questions, referencing GRBAS and CAPE-V; each question was assessed through the visual analog scale. The general population heard voice samples of the voice disorder patient groups and tested voice perceptual test through a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voice perceptual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voice disorders. This finding indicated that laypeople could perceive the severity of voice defects. Second, the most accurate predictor of overall severity of voice was 'roughness'. Conclusions: Laypeople determined the severity of the voice by its roughness rather than perceiv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Therefore, when treating voice disorders, awareness training of the different auditory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explanation on voice disorder must always be provided. 목적: 음성은 의사소통에서 메시지를 상대에게 전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사회에서 음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가에 의한 진단과 치료접근 이외에도 일반인의 음성에 대한 지각연구가 필요한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인이 음성장애로 인식하는데 영향을 주는 청지각적 변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정상인 50명으로, 19세에서 34세에 해당되는 대학생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는 일반인으로 하였다. 이들이 듣는 음성자료는 부산지역 소재 2차 이상의 이비인후과 병원에서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환자 12 명의 음성으로 하여, 일반인들의 청지각 평가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음성 자료는 전문가의 청지각적 평가인GRBAS로 중증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음향학적 분석을 통하여 F0, jitter, shimmer, NHR 그리고MPT를 구하여 전문가의 청지각적 평가의 근거를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청지각 평가도구는 GRBAS와 CAPE-V를 참고하여 총 9문항으로 제작하였고 시각적 아날로그 기법을 통하여 평정하였다. 결과처리는 중증도로 분류한 집단 간 청지각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으로 알아보고, 각 집단 별 전반적인 목쉰정도를 예측하는 변수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음성장애 중증도에 따른 집단 간 청지각적 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반인들 역시 전문가들처럼 음성의 문제를 청지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목쉰 정도의 중증도로 인식하게 하는 청지각적 변수는 ‘거칠고 탁한 소리’였다. 결론: 일반인은음성의 다양한 특성을 지각하기보다 거친 정도를 중심으로 음성의 중증도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치료를 중재한다면 음성장애의 다양한 특성을 자각시키는 훈련과 진단 및 치료중재설명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SCOPUS

        EPG 왜곡 과제에 대한 예비 및 현직 언어재활사들의 청지각 능력 : 치경마찰음 /ㅅ/의 치간음화, 경구개음화, 설측음화를 중심으로

        김지영(Ji-Yeong Kim),우승탁(Seong-Tak Woo),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임상 현장에서 말문제는 대부분 청지각적 평가로 이루어지므로 말소리에 대한 치료사의 ‘민감한 귀’는 언어재활사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조건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재활사를 준비하고 있거나 현재 활동중인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왜곡된 말소리에 대한 청지각적 판단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치료 전공 실습생, 경력 5년 미만 또는 이상의 언어재활사 각각 20명씩 총 60명의 평가자들은 청지각 평가의 인식에 관한 설문 및 청지각 판단 실험 과제에 참여하였다. 청지각과제는 /ㅅ/의 정조음과 왜곡된 조음(치간음화, 경구개음화, 설측음화)을 들려주고 해당 말소리를 보기에서 선택하는 방식이었다. 과제에 사용된 말소리 샘플은 전자구개도(EPG)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30개 문항을 문맥(ㅏ/ㅜ)과 언어단위(1음절/2음절/문장)를 달리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평가자들은 설문 결과와 동일하게 청지각과제에서도 치간음화를 가장 잘 지각하였으며, 설측음화 지각에 가장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문맥과 언어단위에 따른 오류율 비교 결과, 모든 왜곡 형태를 /ㅜ/문맥에서 더 잘 지각하였으며, 왜곡 형태별 반응양상에서는 치간음화와 경구개음화를 정반응으로 지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던 반면 설측음화는 ‘정조음’으로 판단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들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청지각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청지각 훈련의 수단으로서 전자구개도의 활용가능성을 기대한다. Objectives: In a clinical setting, a ‘trained ear’ is the essential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because most SLPs rely on the auditory - perceptual method during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speech difficulties. However, transcribing distortion errors using only auditory-perceptual judgement is a difficult tas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uditory-perceptual ability in terms of distortion errors for pre and present SLPs. Methods: Sixty pre and present SLPs completed a survey, then performed a perceptual judgement task which was manufactured by electropalatography (EPG). The task consisted of 30 questions, in-cluding distorted (dentalized, palatalized, lateralized) and normal speech samples of Ko-rean fricative /s/ with different types of vowels (/ɑ/, /u/) and lengths (1-syllabled, 2- sylla-bled, sentenc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ortion task among three groups. All participants had the highest score in “dentalization”, the lowest in “lateral-ization”, and all distortion types were perceived better in the /u/ context than /ɑ/. Also, SLPs tended to judge “lateralization” errors as “normal articulation” and many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palatalization” as “lateraliz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ctive auditory training for SLPs is necessary to improve auditory perceptual ability, and suggests that EPG could be a useful instrument for the auditory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시 지각 발달, 주 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개별실험연구

        박미영,임영명,김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combined with auditory treatment on the sensory processing, visual perception and atten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Methods : A combined treatment of auditory training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as implemented to 3 children aged 4 to 7 and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during 9 weeks period from December 2016 to January 2017. ABA' design which is one of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s was used in this study. Baseline A had 4 sessions, intervention B had 15 sessions, and baseline A’ had 4 sessions, so 23 sessions were applied in total. During the baseline A and A 'periods, visual perception ability was measured by K-DTVP-2 (Korea Developmental Test Visual Perception-2)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was evaluated by sensory profile. The maintenance time of attention was measured with the absence of intervention for the baseline period, and for the intervention period, it was measured at 10 minutes break time which was provid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hildren’s attention time during a fine motor task provided were measured using video recorder with the interval recording method, and the interval for the evaluation was 30 seconds. Results :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sensory processing scor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ttention of participant A enhanced significantly while that of participant B and C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Conclusion : It is hard to conclude that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ombined with auditory perception training has positive effects on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atten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attention and improvements in behavior related to sensory processing for some cases in this study. In further study, longer intervention periods and valid measurement need to be applied in order to get better results. And it is proposed that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to enhance evidence of auditory perception training as a mean to facilitate attention and to prepare learning.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에게 청지각 훈련과 병행한 감각통합 치료를 시행하여 감각처리, 시지각 발달, 주의집중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발달지연 및 의심소견을 보이는 아동 만 4~7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월 까지 총9주간 청지각 훈련과 감각통합치료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평가 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1기간(A) 4회, 치료 1기간(B)15회, 기초선2 기간(A')4회로 총 23회기를적용하였다. 시지각 능력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Korean Developmental Test Visual Perception-2(K-DTVP-2) 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감각처리능력은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로 평가하였다. 주의집중 행동의 유지시간은 기초선 기간에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 마무리 활동시 소근육 과제를 제공하여 비디오로 촬영하였고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의 전간기록법을 사용하여 30초 간격으로 주의집중 발생을평가하였다. 결과 : 청지각 훈련과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기 전보다 후에 시지각 기능과 감각처리의 점수의 수치상 향상은 있었고, 주의집중에서는 A아동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B, C 아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청지각 훈련을 병행한 감각통합 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시지각 기능과 주의집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일부 발달지연 아동에게서 주의집중의 유의미한 증진이 있었고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향후 발달지연 아동에게 연구기간, 표준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적용한다면 명확한 결과가 나타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의집중 유도와 학습을 준비하기 위한 치료방법으로 청지각 훈련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고구려후 ‘騶’ 재고

        박찬규,문성휘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re-discussion on the Goguryeo marquis ‘Chu’. The Goguryeo Marquis ‘Chu’, which appears in Chinese literature such as “Han History”, is a general of Goguryeo who succeeded the status of King of Bi’ryu state Da’mul marquis in Kim Bu-sik's “Samguk Sagi”. I first compiled the achievements of Chinese scholarship on the “Border Commanderi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which was set up during the Martial emperator of Han Dyrasty period, such as ‘Four Commandments of Han’. Based on this, the ruling method implemented by the Early Han Dynasty in the southwestern Border Commandery was interpreted as an indirect ruling method, the so-called “ruling according to old customs”, delegating local tribal chiefs to ‘kings’ and ‘marquis’. As an example, we analyzed Zhang-ke Commandery Gou-ding county marquis among the Border Commanderi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set up during the Martial estimator of Han Dyrasty. Such an attemp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considering the governance style implemented in Xuantu Commandery in the same period. Next, a literatur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Xuantu Commandery Goguryo County and Goguryeo revealed that Xuantu Commandery was also taking a kind of indirect control by delegating county marquis to Goguryeo County and recognizing him as the head of Goguryeo society. And I assumed Goguryeo county marquis iss the King of Bi'ryu state centered on Yeon'no Tribe in “Samguk Sagi”. In conclusion, Goguryeo marquis ‘Chu’ was Xuantu Commandery Goguryo County marquis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ang-mang, and was a general Yeon’bi of the Goguryeo Kingdom with the dual status of receiving the Yeon'no Tribe(Bi'ryu state). 본고에서는 고구려후 ‘騶’에 대한 재고를 통해, 『漢書』 등 중국문헌에 등장하는 고구려후 ‘추’는고구려의 縣候로서, 곧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수록된 비류국왕 多勿候 송양의 지위를 계승한 고구려 장수 延丕로 파악하였다. 필자는 우선 漢四郡과 동시대 前漢 武帝시기에 설치된 서남지역 ‘邊郡’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성과를 종합해, 전한이 서남변군지역 변군에서 시행한 지배방식을 현지 부족장들을 ‘왕’이나 ‘후’ 에 위임함으로써, 이른바 ‘옛 풍속에 따라 다스리’는 일종의 간접지배방식으로 이해하고, 그 일예로 한무제 시기 설치된 서남 변군 중의 牂牁郡 句町縣의 縣候(王)에 대해 살폈다. 이러한 시도가같은 시기 동북지역 변군인 현도군에서 시행한 지배방식을 고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사료된다. 다음으로, 현도군 고구려현과 고구려와의 관계에 관한 문헌 기록 분석을 통해, 현도군 역시 고구려현에 현후를 위임하고, 그를 고구려 사회의 수장으로 인정함으로써, 일종의 간접지배방식을 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구려현의 현후를 『삼국사기』에 보이는 연노부를 중심으로 한 비류국왕으로 비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후 ‘추’는 왕망 시기 현도군 고구려현의 현후임과 동시에 고구려 연노부(비류국) 수장이라는 이중적 신분을 가진 사람이고 고구려국 장수 延丕 일 것이라는 추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을 이용한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정 시의 변인 연구

        김선희(Seon Hee Kim),심현섭(Hyun Sub Sim),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평가에서 청자의 청지각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공통된 기준이나 적절한 평가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평가자의 개별 경험에 의존하여 과다비성을 청지각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다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청지각적 판단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과다비성이 주된 말 문제인 5-13세 구개열 아동들을 대상으로 과다비성의 심각도에 따라 정상, 경한, 중간, 심한 과다비성의 말 샘플을 각각 4개씩 선정하여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 구개열 화자의 청지각적 평가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와 경험이 없는 대학원생에게 말 샘플을 들려주고,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HNPP)의 각 변인을 평정하게 하였다. HNPP는 '전반적인 인상' 외에 '음소의 종류', '일관성', '지속성', '사회적 수용도', '말 명료도'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회귀분석 결과 청지각적 판단에 주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수용도'와 '음소의 종류'이며, '사회적 수용도'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HNPP를 사용함으로써 평가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수용도'를 공통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HNPP의 임상적 적용을 통해 과다비성의 평가 신뢰도 향상과 임상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이며, 구개열 팀 간 과다비성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것으로 본다. Objectives: The ultimate goal of speech therap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this goal to be achieved, an accurate assessment is crucial in designing appropriate therapy. However, the assessment of hypernasalit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has relied on evaluators' intrinsic and subjective judgment as opposed to external and objective criter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Methods: Twelve speech-language therapists (SLPs) and twenty-nine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teen children with cleft palate from 5 to 13 years old were selected for voice samples. All of them had major hypernasality problems. They were asked to read words and sentences as well as to retell a story. Their sixteen audio files were used as perceptual assessment data.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sixteen audio samples and to answer the questions of the 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HNPP). The HNPP consists of the following six factors: general impression, type of phoneme, consistency, frequency, social acceptance, and understandability. A second assessment was performed a week after the first. Results: Regression analysis shows social acceptance and type of phoneme as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the general impression of hypernasality. The social acceptance factor was reveale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LPs tend to rely on social acceptance in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rather than their own experience.

      • KCI등재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특성에 대한 청지각적 및 음향학적 평가 간의 관계

        최지은,신희백,이윤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전형적인 운율 특성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특성에 대해 음향학적 평가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실제로도 지각되는지를 확인하고자 청지각적 평가를 함께 실시하고, 두 평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에 대한 전반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7-9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1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11명, 총 22명이었다. 분석에 사용한 모든 아동의 2-3개의 발화는 대화 자료에서 추출하였다. 운율 특성은 척도를 활용하여 언어병리학전공 학부생 40명에게 운율의 전반적 인상, 음도, 음도변화, 말속도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CSL을 사용하여 평균음도, 음도범위, 말속도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지각적 평가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음도, 과도한 음도변화, 부자연스러운 전반적 인상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음향학적 평가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유의하게 더 넓은 음도범위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청지각적 평가와 음향학적 평가의 말속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에서만 청지각적 평가의 음도와 음향학적 평가의 음도범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전반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청지각적 평가의 음도변화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비전형적인 음향학적 운율 특성이 청지각적으로도 지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영유아청각통합능력척도(IT-MAIS)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윤미선(Mi-S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청각장애의 조기진단과 조기중재는 전 세계적인 추세이며, 이에 따라 영유아 대상 청지각능력 평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청각장애 아동의 인공와우 이식연령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이식 여부 결정 및 이식 후의 수행력 평가를 위한 영유아 청지각능력 평가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청지각능력 평가 도구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유아청각통합능력척도(IT-MAI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각장애 영유아의 청지각능력 평가는 건청 영유아의 청지각능력 발달을 토대로 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영유아에 앞서 건청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어 IT-MAIS의 내용 타당도를 구하였고, 생후 0∼24개월까지 총 80명 건청 아동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통해 한국어 IT-MAIS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월령 변화가 한국어 IT-MAIS 점수 변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가를 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어 IT-MAIS에 대해 전문가 집단은 내용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주었다. 신뢰도 평가에서 한국어 IT-MAIS의 Chronbach’s α 값은 0.92, Gutman 반분계수는 0.89, 총점과 각 문항간의 상관계수도 0.69∼0.89 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월령에 따라 IT-MAIS 점수는 유의하게 변화하였다(R = 0.96). 논의 및 결론: 한국어 IT-MAIS는 영유아의 청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 내용이 타당하며, 높은 문항내적일관성을 갖추고 월령에 따른 청지각능력의 변화가 반영되어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척도로 평가된다. Background & Objectives: With the expansion of early diagnosis for intervention against hearing loss, evaluating the hearing percep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However, to evaluate hearing perception of infants and toddlers, specialized tests are needed because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T-MAIS is a test that evaluates meaningful auditory integration ability in infants and toddl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T-MAIS (IT-MAIS-K). Method: The participants for validity were five SLPs. The participants for reliability were 80 children from 0 to 24 months of age. The subjects passed a newborn hearing screening test and did not have any disabilities. The IT-MAIS-K was perfo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parents of these children. Content validity, tests of the reliability of the IT-MAIS-K,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IT-MAIS-K results regarding development were performed. Results: The participant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MAIS-K.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IT-MAIS-K was high (Chronbach’s α=0.92), along with high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s (r=0.69 to 0.89). Age in months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change of hearing perception ability (R=0.96). Discussion & Conclusion: The IT-MAIS-K can be considered as a reliable hearing perception test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e test can be used to effectively assess the development of hearing percep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hearing loss.

      • KCI등재

        모음 환경과 화자의 성별에 따른 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의 상관관계

        조성현(Seong Hyeon Cho),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성 정도의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를 민감도와 특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검사어의 모음환경과 화자의 성별이 두 평가방법의 상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구개열 아동 25명, 정상 아동 5명으로부터 수집된 /아/모음환경 문장과 /이/모음환경 문장 음성샘플을 듣고 10명의 청자가 등간척도평정법(EAI)과 직접크기측정법(DME)을 사용하여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화자로부터 Nasometer II 6450을 이용하여 청지각적 평가와 동일한 문장 산출 시 비음치를 수집하였다. 결과: EAI와 DME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 상관계수는 /아/모음환경 검사어에서 EAI가 .61, DME가 .60으로, /이/모음환경 검사어에서 EAI가 .56, DME가 .57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두 검사어에서 비성에 대한 평가 측정치로서 비음치의 민감도는 .67-.87, 특이도는 .73-.83으로 나타났다. 모음환경에 따라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화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아동의 경우만 두 평가방법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비음측정기가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해줄 수 있는 타당한 도구이지만 두 평가방법 간 상관계수가 모두 .70 미만인 점을 고려하여 비음치 측정에 따른 결과 해석에 주의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검사어의 모음환경과 화자의 성별이 평가방법 간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assessment of 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and to investig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Nasomet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vowel environment of speech stimuli and speakers' sex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valuation methods. Methods: Speech samples in vowel /a/ and /i/ contexts were collected from 25 children with cleft palate and 5 noncleft children. Ten trained listeners were asked to judge the speakers' recorded speech samples for the degree of hypernasality using equal-appearing interval (EAI)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DME) scales. Nasalance scores in the sentences were measured from the same speakers using the Nasometer II Model 6450. Results: The relationships between 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using EAI and D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vowel /a/ context were .61 in EAI and .60 in DME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vowel /i/ context were .56 in EAI and .57 in DM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two vowel contexts were .67-.87 and .73-.83,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vowel contexts and speakers' sex influe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validity for the use of the Nasometer to supplement the perceptual assessment of hypernasality. However, given that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below .70, Nasometer should be carefully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hypernasality.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vowel contexts and speakers' sex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assessment methods of hypernasality.

      • KCI등재

        음성장애 진단 및 평가의 최근 연구 동향

        표화영(Hwa-Young Pyo),송윤경(Yunkyung S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4

        배경 및 목적: 음성장애의 진단 및 평가 기법은 과학 및 기기의 발달과 더불어 나날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최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임상과 교육 및 연구에 활용 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부터 2010년까지 『4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Journal of Voice 등 국내외에서 발표된 음성장애 진단 및 평가 논문 중 7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청지각적 평가, 기계적 평가, 자기보고식 평가, 둘 이상의 평가 방법에 대한 비교,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청지각적 평가에 대한 논문 9편, 기계적 평가에 대한 논문 37편, 자기보고식 평가에 대한 논문 13편, 청지각적 평가와 기계적 평가를 비교한 논문6편, 청지각적 평가와 자기보고식 평가를 비교한 논문 2편, 기계적 평가와 자기보고식 평가를 비교한 논문 5편, 기타 논문 2편이 분석되었다.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으며 기계적 평가에서는 비선형 동적 분석이나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PTP)나 Phonation Threshold Flow (PTF)에 대한 유용성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자기보고식 평가에 있어 국외에서는 기존 도구를 다양한 집단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형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졌고 국내에서는 국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도구의 번안작업 및 그 타당도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단일한 검사가 갖는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해 어떤 조합의 검사가 유용한지에 대한 실험도 지속되고 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비선형 동적 분석이나 PTP, PTF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검사 방법의 조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청지각적 평가의 신뢰로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외적 기준을 이용한 청지각 훈련이 이루어져 야 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echniques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voice disorders are changing dai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struments. To keep pace with this trend, we suggest the identification of recent research trends and useful data from the literature for clinical, educational and research fields. Methods: From the research articles with the topic of voice disorder diagnosis and evaluation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0, 73 articles were selected. These articles were published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includ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and the Journal of Voice.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 perceptual evaluation (9 articles), instrumental evaluation (37 articles), self-reporting evaluation (13 articles), comparison among the 3 types of evaluation (12 articles), and others (2 articles). Results: Various method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evaluation have been continuously attempted, and numerous studies of instrumental evaluation have focused on the usefulness of nonlinear dynamic analysis,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PTP), and Phonation Threshold Flow (PTF). In other countries, the trend of using a self-report evaluation was a modification of existing tools for application in more various groups including singers and alaryngeal voice users. The aim in Korea was to translate those tools into Korean and test their validity.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cy of a single tool measurement, various attemp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at combinations have the best results. Discussion & Conclusion: According to current research trends, nonlinear dynamic analysis, PTP, and PTF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find the best combination of evaluation tools and to improve the students’ perceptual evaluation skills by using external standards.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Acoustic and Perceptual Measurement of Prosodic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Jieun Choi(최지은),Hee Baek Shin(신희백),YoonKyoung Lee(이윤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전형적인 운율 특성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특성에 대해 음향학적 평가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실제로도 지각되는지를 확인하고자 청지각적 평가를 함께 실시하고, 두 평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에 대한 전반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7-9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1명,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11명, 총 22명이었다. 분석에 사용한 모든 아동의 2-3개의 발화는 대화 자료에서 추출하였다. 운율 특성은 척도를 활용하여 언어병리학전공 학부생 40명에게 운율의 전반적 인상, 음도, 음도변화, 말속도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CSL을 사용하여 평균음도, 음도범위, 말속도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지각적 평가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음도, 과도한 음도변화, 부자연스러운 전반적 인상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음향학적 평가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유의하게 더 넓은 음도범위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청지각적 평가와 음향학적 평가의 말속도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에서만 청지각적 평가의 음도와 음향학적 평가의 음도범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전반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청지각적 평가의 음도변화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비전형적인 음향학적 운율 특성이 청지각적으로도 지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sodic pattern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according to acoustic and perceptual measurem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verall impression of prosody for HFAS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 children with HFASD age 7 to 9 years and 1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Each participant’s longest 2-3 utterances within conversational samples were analyzed. The acoustics were analyzed by mean pitch, pitch range, and speech rate using Computerized Speech Lab (CSL). A perceptual measurement was performed by 40 speech language pathology students using a scale to measure the overall impression, pitch, pitch range, and speech rate. Result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in the perceptual measurement, the HFA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itch, broader pitch range, and an atypical overall impression when compared with the TD group. In the acoustic measurement, the HFASD group revealed a significantly broader pitch range than the TD group. Speech rate showed correlation between the acoustic and perceptual measurement in both groups. For the HFASD group,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itch range in the acoustic measurement and pitch in the perceptual measurement. Pitch range in the perceptual measure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overall impression. Conclusion: We discussed the prosodic patterns of children with HFASD based on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