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발간된 청소년 시집을 대상으로 청소년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청소년 시는 과거의 청소년 시와 달리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된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청소년 시의 특징을 시적 화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의 시적 화자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청소년 집단의 다양한 경험을 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 시는 한 편의 시에 표면적인 청소년 화자 이외에 시인과 겹쳐지는 숨은 화자가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시인이 의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는데, 그 원인은 시인이 가진 계몽적 의도 때문으로 볼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 설정된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를 갈라지게 만드는 숨은 화자의 목소리는 시인의 계몽적 의도나 의지의 산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소년 시는 표면적으로 청소년 화자에 의해 발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시인의 시선 아래 통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청소년 시의 특성 때문에 청소년 시에 실제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식은 매우 제한적이었는데, 그것은 시인의 통제를 뚫고 틈입하는 방식으로 청소년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금지와 금기에 둘러싸인 청소년의 실제 목소리는 청소년 시에서 소음이나 욕설 혹은 그와 유사한 차원에서 수용되거나 발현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언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소리들은 청소년의 존재가 발현되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최근 청소년 시는 청소년을 집단적 훈육의 대상에서 개별성을 지닌 독자적 존재로 바라보고자 하는 청소년 담론의 전환에서 촉발된 것이다. 그러나 기성시인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최근의 청소년 시는 창작의 의도와는 별개로 실제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배제하거나 억압할 가능성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가 그 가능성을 확장해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적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re traits of Korean adolescent poetry since 2010. Adolescent poetry, as the name suggests, speaks for a group of adolescents. This paper closely studies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 poetic speaker in adolescent poetry is placed in various types of settings. For it is necessary to express what adolescents experience in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adolescent poetry frequently depict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a surface speaker and a hidden speaker in a poem. This phenomenon is the unwitting result of poet`s intention to enlighten. Thus, even though an adolescent speaker articulates a adolescent poetry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controlled by the poet`s intentions. Given these traits, it is very difficult for adolescent poetry to reflect their voices. Therefore, the only method to include their vivid voices in poetry through noise, abuse, and other experiences. However, such non-language sounds began to emerge the moment adolescents appeared on the stage.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새로움과 가능성

        이성수(Lee Sung s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2000년대 들어 문학계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 중 하나로 청소년 문학의 활성화를 거론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 소설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나 매우 비약적인 성장을 했다. 그러나 청소년 시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상태는 2010년 박성우 시인의 청소년 시집 『난 빨강』의 출간으로 변화기를 맞는다. 그리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창비출판사의 청소년 시선(詩選) 시리즈가 10권으로 출간되었다. 이러한 청소년 시집의 출간을 맞이하여, 청소년 시가 과연 앞으로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 것인지 청소년 시의 새로움과 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박성우 시인의 청소년 시집 2권과 창비 청소년문학 시선(詩選) 10권을 대상으로 삼아 그 성과와 가능성을 짚어보았다. 청소년 시는 그동안 존재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청소년들이 자신의 주체적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근대적 규율, 학교 교육 제도 아래 묶여 있던 청소년들은 자신의 몸을 인식함으로써 자신만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그 주체적인 목소리를 내는 지점에서 청소년 시는 시작되며, 이는 이전의 교육시와 다른 차별점을 갖는 부분이다. 청소년 시는 몸을 바탕으로 한 말하기를 시도한다. 어른들이 이성에 바탕을 둔 말하기에 기대는 반면, 청소년들은 몸에 바탕을 둔 말하기를 한다. 그래서 어른들과 청소년들은 서로 소통을 하는 데에 실패하고 만다. 청소년들은 어른들과의 소통보다는 자기 자신이 주체로 서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래서 청소년 시는 청소년들의 삶을 하나의 성장 서사로 엮고자 한다. 이는 ‘이야기 시’의 형태를 취하거나 소설처럼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연작시의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청소년 시는 세상에 대한 관심을 드러낸다. 그것은 청소년들의 노동, 탈학교 청소년의 이야기, ‘세월호’에 대한 언급 등으로 구체화된다. 다만 청소년 시는 그 시적 표현 기법이 아직 단순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서, 표현 기법이 정형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성인 작가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창작했다는 점에서 계몽에 대한 강박적 태도가 드러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은 청소년 시가 극복해야 할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One of the remarkable phenomena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2000s is the promotion of youth literature. Youth novels, in particular, have grown dramatically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owever, juvenile poetry remained relatively poor. This situation is transformed by the publication of Park Sung-woo’s youth poetry 『I’m Red』 in 2010. Ten books were published for two years from 2015 to 2017 by Changbi Publishers’ youthful poetry ser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ovelty and possibility of youth poetry as to how the youth poetry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with the publication of these juvenile poetry books.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possibilities of Park Sung -woo poet’s two poetry poems and 10 poetry poems of youthful poetry series. Youth poetry contains the subjective voice of youths who have not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Under the modern discipline and school education system, young people who are tied up try to express their own subjective voice by recognizing their bodies. At the point of giving that subjective voice, the youth poetry starts, which is a differentiating point from the previous education poetry. Youth poetry tries to speak based on body. Adults expect to speak based on reason, while adolescents speak based on their bodies. So adults and young people fail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Young people realize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be self as a subject than to communicate with adults. So the youth poetry wants to make the life of the youth into a growth narrative. It takes the form of ‘story poetry’ or it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serial version where various characters such as novels appear. Youth poetry also shows interest in the world. It is embodied by the youths’ labor, the story of the off-school youth, and the mention of ‘Sewol’. However, there is a fear that the poetic expression technique is still simple,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becomes stereotyped. It also reveals the obsessive attitude toward enlightenment in that an adult artist has created for young people. This is a challenge for the youth poetry.

      • KCI등재

        뉴노멀 시대 사회 환경과 청소년 시

        박소용 문학과환경학회 2024 문학과 환경 Vol.23 No.1

        이 연구는 청소년 시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오늘날 청소년의 고유한 언어 발화 양상을 정리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급변하는 뉴노멀 시대의 사회 환경에 노출되면서 느끼는 여러 감정을 어떻게 언어로써 해소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뉴노멀’이란 “이전에 익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이었던 상황이 표준이 되거나 일상화된 것”을 말한다. 뉴노멀 시대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간과의 소통이 비대면으로 정착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청소년 시'는 뉴노멀 시대의 불확실성과 비대면 소통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의 언어를 담고 있다. 청소년 언어는 청소년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언어문화적 실천체계로 청소년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며 그 삶과 사고를 표출하는 문학적 언어로 자리한다. 청소년 시는 청소년 언어를 적극적으로 시어로 활용하고 있으며, 동시에서 청소년의 삶이 반영된 다양한 언어를 담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첫째, 반복된 의문형 어미의 사용과 대화체 방식을 통해서 청소년 언어의 ‘집단적 소란 현상’과 영상 시대의 쌍방향 소통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의문형과 대화 구조는 어른들과의 소통 단절 현상을 재현하는 동시에 소통에 대한 갈망을 내포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직접적으로 소통하기 어려운 뉴노멀 시대에 청소년 시에서 ‘각주’는 시인과 화자, 화자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돕는다. 청소년 시의 각주는 어른과 청소년이 모르는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청소년 시는 청소년 은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대면 소통에서 또래들만의 소통을 이루어내는 청소년 독자의 일상 속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엿다. 시 자체가 또 다른 청소년 은어로 작용하도록 언어를 선택하여 청소년 문화를 언어적으로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넷째, 비속어와 문장기호의 활용을 통해 음성적 언어를 선호하면서도 SNS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청소년 언어의 이중성과 감정의 직설적 표현을 재현하였고, 그 결과 감정을 이미지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청소년 시는 청소년의 현재를 포착하고 청소년의 삶을 기록하는 대중시의 면모를 보이는 현재 위상과 문학적 가치를 찾은 것에 의의가 있다. 오늘날 독자와 멀어진 시를 시 그 자체로 읽고 감상하도록 하는 청소년 시의 언어 전략은 점차 청소년 시 감상 교육에서도 연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독자가 사라지는 오늘날의 시에 뉴노멀 시대 새로운 독자를 이끌어오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youth use language to resolve the various emotions they feel as they are exposed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of the new normal era by organizing the unique linguistic speech patterns of today's youth, which are actively utilized in youth poetry. We wanted to confirm that it was an element. ‘New normal’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a previously unfamiliar or abnormal situation has become standard or routine.” In the New Normal era, everything is uncertain,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humans has become established as non-face-to-face. 'Adolescent Poetry' contains the language of youth exposed to the uncertainty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new normal era. Youth language is a linguistic and cultural practice system that solidifies the identity of youth and serves as a literary language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youth and expresses their lives and thoughts. Adolescent Poetry is actively using youth language as a poetic language, and attempts to contain a variety of languages that reflect the lives of youth are continuing. First, through the repeated use of interrogative endings and conversational style, it shows the ‘collective disturbance phenomenon’ of youth language and the two-way communication in the video era. In addition, the interrogative and conversational structures reproduce the phenomenon of communication breakdown with adults while using language that connotes a desire for communication. Second, in the new normal era where direct communication is difficult, ‘footnotes’ in Adolescent Poetry help the interac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and speaker and reader. Footnotes in Adolescent Poetry serve as a link between adults and youth to understand each other's unfamiliar languages. Third, by actively using youth slang, Adolescent Poetry seeks to elicit empathy in the daily lives of youth readers, who communicate only with peers i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e language was chosen so that the poem itself acts as another youth slang, attempting to internalize youth culture linguistically. Fourth, through the use of slang and punctuation marks, the duality of youth language and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which are familiar with SNS text messages while preferring vocal language, was reproduced, resulting in the effect of imaging emotions. Adolescent Poetr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literary value of capturing the present of youth and showing aspects of popular poetry that records the lives of youth. The language strategy of Adolescent Poetry that allows today's readers to read and appreciate poems that are distant from them as poems themselves will gradually have a linking effect in Adolescent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This will be a way to bring in new readers in the new normal era in today's poetry where readers are disappearing.

      • KCI등재

        창작 주체에 따른 청소년 시의 내용 양상 연구 -상호인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정용호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3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contents according to creative subjects of youth.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issue of mutual recognition of older generation and adolescents. The criticism about the situation that the older generation does not acknowledge the diversity of the youth and the standardization is an important theme of the adolescent poems.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was common in the adolescent poems by the established poet and the poems created by the adolescent. However, there was a contrast in the way of sugges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is reality. In the adolescent poems of the established poet, it mainly appears as the tendency to positively suggest the advent of future for the youth. On the contrary, in the created poems by the adolescents, a realistic voice about resto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lder generation tends to become more prominent. The reason why there is a difference as to overcoming the reality between the adolescent poems by established poets and the poems created by the adolescents seems to be because the adolescent poems still exist in enlightening discourse. An established poet is likely to create poems with a sense of obligation to convey the didactic content to the youth.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seem to restore the mutual recognition by concentrating on expressing their situation. Without containing the teenager’s image in the adolescent poems, revealing the teenager’s image, judged and selected by the established poets does not give a goo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poems. When the creators of adolescent poems cannot express the real teenager’s image, the adolescent poems cannot be successfully understated the possibility of staying in the self-satisfaction of the established poets. This study suggests the 'Non-form' as a value to be possessed by an absolute majority of the established poets who are creating adolescent poems. This is because the subject who creates adolescent poems can express a more realistic youth, without presupposing the specific form of youth.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open up a way for the established poets to represent the stance of teenager who is bent on maintaining a strong position as a creative subject. 본고는 청소년 시의 창작 주체에 따른 내용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특히 기성세대와 청소년의 상호인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기성세대가 청소년이 지닌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획일화하는 상황에 대한 비판의식이 청소년 시의 중요한 주제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기성시인의 청소년 시와 청소년이 창작한 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기성시인의 청소년 시에서는 청소년에게 도래할 미래를 긍정적으로 제시하는 경향이 주로 나타났다. 그와 달리 청소년이 창작한 시에서는 기성세대와의 관계 회복에 대한 현실적인 목소리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성시인의 청소년 시와 청소년이 창작한 시에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여전히 청소년 시가 계몽적인 담론 속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성시인은 청소년에게 교훈적인 내용을 전달할 의무감을 느끼면서 창작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청소년들은 자신의 상황을 표출하는 것에 집중함으로써 상호인정의 회복을 원하는 것처럼 보인다. 청소년 시가 이와 같은 청소년의 모습을 담아내지 못한 채, 기성시인이 판단하고 선택한 청소년의 모습만 드러내는 것은 청소년 시의 발전에도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 청소년 시의 창작자가 현실적인 청소년의 모습을 담아내지 못할 때, 청소년 시는 단지 기성시인들의 자기만족에 머무를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필자는 청소년 시를 창작하는 절대다수인 기성시인이 지녀야 할 가치관으로서 '무용[無容]'의 시학을 제안한다. 청소년의 특정한 모습을 전제하지 않음으로써, 실제에 가까운 청소년을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창작주체로서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청소년의 입장을 기성시인이 보다 잘 대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시 교육의 방향

        김금내(Kim, Geum-na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동시문학 담론에서 청소년시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독자의 청소년시 감상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시는 동시문학의 근간이 되는 동심을 현재를 살아가는 아동 내면의 주체적인 목소리로 해석하고자 하는 문학적 시도에서 성립하였다. 청소년시는 불온한 정서를 형상화하여 동시문학의 외연을 넓힌다. 청소년시에 대한 학습독자의 반응 양상은 불온한 정서를 긍정하거나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에 공감과 반감을 보였으며 ‘나’와 ‘우리’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 소통하고자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시에 대한 학습독자의 반응을 토대로 교육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시 제재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학습독자에게 청소년시 텍스트를 자율적으로 찾아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습독자가 청소년 화자에게 공감과 반감을 느끼는 지점을 의미 구성 과정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학습독자 간에 청소년 이미지를 소통하며 공동(共動)-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dolescent poetry embodies disturbing emotions and plays a role in expanding the scope of poetry for children. Learning readers" responses to adolescent poetry showed both sympathy and antipathy to adolescent speakers" voices, and they wanted to communicate by making questions about “I” and “We.” Approach of adolescent poetry education method may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various adolescent poetry should be introduced and learning readers should be given autonomy in selecting poetry. Second, Learning readers should be able to continuously utilize points where they feel empathy and antipathy toward adolescent speakers. Third, learning readers should be guided to foster co-subjectivity by communicating adolescent images embodied in adolescent poetry.

      • KCI등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김남희 ( Kim Nam 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지원할 수 있는 문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에 주목하였다. 문학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삶의 조건과 고민이 문학 경험의 중심에 놓여야 하기 때문이다. 청소년 시에 나타나는 문제 상황 중, 이 논문에서는 특히 학교 폭력의 상황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분석하였다. 청소년 시에 나타나는 학교 폭력의 경험은 크게 실제적 피해 경험, 잠재적 피해 경험, 방관자 경험으로 유형화된다. 실제적 피해자는 자신의 창작 시를 통해 내적으로 불안한 심리 상태를 드러내거나, 누군가의 구제를 기대하는 심리를 보여준다. 잠재적 피해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심리를 위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방관자의 경우에는 문제 상황을 회피하거나 합리화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학교 폭력이라는 유사한 문제 상황에서도 개개인에 따라 그것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양할 뿐 아니라, 동일한 경험을 하면서도 개별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문학교육의 차원에서 이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문학 치료의 관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 창작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를 세밀하게 진단하고, 지지 단계-통각 단계-행동 단계-통합 단계라는 시 치료의 절차를 참조함으로써, 심리적 문제 상황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내적 감정을 자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되는 치유의 경험이야말로 문학교육이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용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that can support the psychological problems faced by young people. For this, we analyzed psychological problems shown in poetry by young people. In particular, we categorized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ey experienced in the situation of school violenc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hown in the adolescents` poetry is largely divided into the experiences of actual victims, potential victims and onlookers. Actual victims showed an inner psychological state of anxiety or a psychological expectation of someone`s relief. Potential victims tended to disguise their own psychology, and onlookers tended to avoid problems or rationalize themselves. In this way, not only is there a variety of ways to experience a similar situation of school violence, but also the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by individual teenagers vary with their experiences. To effectively support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at the level of litera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If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adolescents are closely diagnos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poetry writing therapy program and if we use the referral procedure of poetry therapy, it will be possible to help young people experiencing psychological problems to be aware of and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And in the process, young people will experience healing.

      • KCI등재

        청소년 시에 나타나는 정치적 지향과 여성주의 윤리의 관련성 연구 - 김선우의 청소년 시집을 중심으로 -

        정용호(Jeong, Yong-ho)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본고는 김선우의 청소년 시를 중심으로 청소년 시의 서정성이 정치성을 내포한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했다. 그의 시에서 청소년은 통제되고 억눌린 자아 정체성을 해방하고, 다양한 개성과 가치가 어우러질 수 있는 세상을 꿈꾼다. 김선우의 청소년 시에 나타나는 정치적 서정성은 ‘여성주의 윤리’와 맞닿아 있다. ‘여성주의 윤리’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남성성’과 ‘여성성’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을 비판한다. 이는 한 개인이 지닐 수 있는 다성적인 측면을 무시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자아 정체성을 병들게 만들기 때문이다. 김선우는 외부에서 설정한 가치기준에 따라 자아정체성을 억압하지 않고, 자신의 ‘근원적 자아감’에 따르는 진정한 ‘자기성실성’을 추구하고 있다. 김선우의 시에서 청소년의 진정한 자아정체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것은 ‘민주주의’의 가치와 연결되어 있다. 그의 시는 청소년 시의 서정성에 정치적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lyricism of youth poems implies politics, focusing on Kim Sun-woo’s adolescents poems. In her poems, the youth dream of a world in which various personalities and values can be harmonized, liberating controlled and repressed self-identities. The political lyricism that appears in Kim Sun-woo’s adolescents poems can be seen as being in contact with ‘feminism’. ‘Feminism’ criticizes the gender dichotomy, which emphasizes that ‘male’ and ‘female’ should have ‘masculine’ and ‘feminine’ respectively in a patriarchal society. This is because it makes an individual’s self-identity sick in that it ignores the bisexual aspect that an individual can have. Sunwoo Kim aims for a true ‘self-faithfulness’ that follows her ‘rooted sense of self’. The dream of a natural world in which expressing the true identity of adolescents in Kim Sun-woo’s adolescents poem is linked to the value of ‘democratic’. Her poems are meaningful in that presen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to the political domain to the lyricism of adolescents poems.

      •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성사업 연구 Ⅲ

        김영한,정윤미,이영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성 사업 연구」의 3년차 연구이다. 연구의 일환으로 17개 시⋅도에 ‘지역사회 청소년정책 모니터단’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원활한 사업 운영울 위해 청소년활동진흥원에 사업을 위탁하였고, 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는 16개 청소년활동진흥센터와 1개의 청소년 문화의 집에서 모니터단을 운영하였다. 17개 시·도에서 총 161명의 청소년정책 모니터단원들이 활동하였으며, 이들의 활동은 과제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2014년도의 청소년정책 모니터단 활동과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우선 청소년정책 모니터링과 관련하여서는 모니터링 정책의 범위를 참여 활성화 및 권리증진 기반 조성으로 한정하였다. 청소년의 참여 활성화 88건, 청소년의 권리증진 기반조성 6건의 정책을 모니터링 하였다. 모니터단원들이 모니터링을 하면서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주관적 웰빙, 관계, 안전, 참여, 활동, 지역사회 환경영역과 관련하여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관적 웰빙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지역사회 환경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생활공감정책제안에서는 자신들이 생활에서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책들을 제안하였으며, 총 107개의 정책을 제안하였다. 그 중 참여 및 권리와 관련한 정책이 25개, 활동 20개, 안전영역이 16개의 순으로 정책을 제안하였다. 모니터링 활동 및 정책제안을 기반으로 하여 청소년들이 제안한 정책을 연구원과 청소년활동진흥원, 정책개발단이 회의하여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정책의 영역은 안전, 교육, 활동, 참여 및 권리, 지역사회 환경,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한 청소년 사역의 대안

        이동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3 신학정론 Vol.41 No.2

        오늘날 청소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하나같이 부정적이다. 청소년기를 가리켜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부르며 청소년은 선천적으로 거칠고 반항적이고 불안하고 미숙하다 여긴다.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이 사역자, 부모, 교사로서 청소년들을 대하고 교육하고 양육하는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역사 속에서 청소년기를 따로 구분한 것은 결코 오래지 않다. 오히려 대부분 청소년들은 성인 세대 안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성인들과 동일하게 여러 역할과 책임들을 감당해왔다. 그렇다면 어떠한 변화들이 원인이 되어 청소년기를 또 하나의 인생의 시기로 분리하였으며 그 시기를 부정적으로 보게 되었는가? 본 연구는 청소년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과 인식에 담긴 역사적, 철학적 전제들을 살펴보며 이를 성경적인 관점에서 검토해볼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방법 교육 연구

        문신(Moon Shin)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본고는 청소년들이 시 쓰기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있는 양상을 검토하고, 그러한 자기표현 능력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청소년들의 시 작품을 분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 쓰기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들의 시적 체험은 일상 체험의 근거리성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시적 표현은 자기 갱신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시 쓰기에서 자기표현의 관점에서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시적 체험 범주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 방법으로 ‘공감하기’와 ‘전이하기’ 전략을 통해 세계를 비유적으로 바라보기이다. 둘째, 인식된 세계를 자기만의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의미 맥락 재구성하기’ 전략을 통해 대상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기이다. 이러한 교육 전략은 청소년들 시의 미적 완성도가 아니라 미숙에서 성숙으로 이행해가는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능력을 높여줄 수 있는 방법론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presents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adolescents. Thus, it examined the aspects of adolescents’ self-expression through writing poetry. It was analyzed the work of the adolesc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e following two aspects of poetry writing. Firs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adolescents are reflected in the day-to-day experience of the local area. Second, the poetic expression of adolescents includes a process of self-renewal. Based on this, it suggested in a letter when adolescents how to strengthen education in terms of self-expression in two ways. First, it is to see the world figuratively through ‘sympathetic to’ and ‘to transfer’. Second, it is to interpret the subject critically through the ‘meaning context reconstruct’ strategy. This teaching strategy will be the methodology that will enhance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from inexperienced adolescents to transition into maturity, not the aesthetic perfection of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