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보호정책의 평가와 전망 : 법률 제도와 행정 제도 변천을 중심으로

        박진규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and to define the urgent issues facing youth protection policy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1)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youth protection policy have been installed to a degree, in light of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which are regarded as essential elements in policy procession; 2)The youth protection policy has evolved to facilitate the youth development for some decades; 3)There are some examples in successful actualization of youth protection policy; 4)However, as one of the urgent issues to solve immediately is to inspire the concerned policy-makers of the confidence for the youth policy; 5)Too-much-frequently modified-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s have become the most defective issue in youth protection policy; 6)The fact that the overlapping and confusion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system for youth policy has decreased the effectiveness of youth policy is clarified as one of issues through the study.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청소년 보호정책의 실상을 규명해 보고, 관련 과제가 무엇인가를 밝혀내려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과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는 청소년 보호정책과 관련한「청소년보호법」,「아동·청소년성보호에관한법률」, 기타 관련 법률 등을 이미 입법화하여 실행하고 있고, 행정의 주체와 대상이 분명하여, 법률적인 측면과 행정 제도 측면 모두에서 정책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고 있다. 둘째, 청소년 정책 도입 초기에는 정책의 요건인 “의제설정(목적과 목표의 다듬기), 집행, 대상정하기, 평가”등이 명확하지 않았으나, 일련의 정책적 과정과 조건을 명확히 하면서 정책의 진화를 이뤄내어 청소년 개발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그 동안 추진하여 온 청소년 보호정책의 결과, 청소년을 위한 안전망이 잘 구축되었고, 유해환경감시단이나 유해환경신고포상금제도도 대부분의 지자체(231개 중에서 206개)에서 채택하고 있다. 넷째, 하지만 정책 관계자들이 청소년 보호정책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더욱 분명한 확신과 신념을 세워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다. 다섯째, 「청소년보호법」은 1997년 제정된 이후 2012년까지 총 24회 수정되어서, 평균 7.5개월 만에 1회씩 개정되었고,「아동․청소년성보호에관한법률」역시 2000년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총 23회의 개정·공포으로, 6.2개월 만에 1번씩 개정의 과정을 거쳤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청소년 보호정책의 안정성과 독립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표이다. 여섯째, 보호정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개념 확립, 중앙행정 부처별 청소년 정책의 중복성과 난맥성 극복, 사회집단의 이익 대변이 아닌 청소년 보호를 겨냥한 정책의 개발과 시행, 그리고 청소년 정책과 행정을 더 안정감과 지속성을 갖고 추진해야 하는 과제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밝히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실증적 문헌분석 방식을 채택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학 분야의 글로벌청소년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천정웅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지구화 또는 세계화 추세에 따라 오늘날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글로벌화와 관련한 청소년연구에 주목하고, 그 주요 동향을 분석함으로서 청소년학의 새로운 영역으로서의 글로벌청소년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떤 분야의 독자적 학문영역화를 위해서는 지식체계와 전문단체의 발전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이를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로서 제시하였으며 청소년학 분야는 그것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아보았다. 글로벌청소년연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청소년학의 형성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2005년 부터 2013년 7월까지 발간된 국내 전문학술지(5종)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전자논문 DB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글로벌청소년연구와 관련한 주요 주제를 분석하였다. 다문화관련 연구, 외국 청소년, 국제비교연구, 한인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2012년 이후 최근에 올수록 글로벌청소년연구가 더욱 많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에는 글로벌청소년연구의 이념, 목표, 방법, 그리고 이론과 실천의 관계성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global youth studies by analyzing major trends of global youth studies as a newly emerging field of youth studies by the expansion of globalization. Elements of body of knowledge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for academic profession are reviewed and provid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Field of youth studies, youth work education and practices had already established the elements of being academic profession. The global youth studies are defined and the identity of youth studies are discussed including trends of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and England. All articles of the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5 to 2013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research topics in relation to global issues in terms of research trends of global youth studies. Research on multicultural issues, foreign countrie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and Korean youth in other countries are increasing and topics related to sociology, social welfare, and psychology as well as policy and program research are implemented throughout the journals. The ideology, objective, meth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s are expected to be studied and inquired.

      •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모형개발 연구

        황여정,전현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참여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 개발된 모형의 운영을 지원하는 정책영역과 정채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지역사회 참여 모형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법령 및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참여의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지역사회 참여의 범위와 유형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회 참여 모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법령 및 정책 분석을 통해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와 체계를 검토하고, 그간 추진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에서 추진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사례 중 대표적인 사례를 선별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 사례로 선정된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청소년이 주도하는 활동들이었고, 청소년 참여가 실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을 마련해두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스스로 참여 활동을 이끌고 의사결정을 해나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참여 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참여 활동의 종류와 형태, 참여 경로, 참여 동기 등 기본 정보, 참여 활동의 운영 방식 및 의사결정 공유 수준, 참여 경험에 대한 평가, 지역사회 참여 관련 욕구 등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상술한 선행연구 검토, 법령 및 정책 분석,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실태조사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일반적·다수 참여, 실질적 참여, 일상적 참여를 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모형 개발의 원칙으로 청소년 주도 의사결정, 프로젝트 기반(Project-based) 참여 활동, 범용 모형의 개발, 포괄적 의미의 사회참여, 단계별 적용 가능한 모형 도출 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 방향과 원칙에 의거하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도출한 모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가 활성화 되도록 정책 추진 근거를 강화하고, 기존 정책을 수정·보완하여 청소년참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 연계를 강화하고,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의 실질적 영향력을 확보하며,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for vitalizing youths’ participation, and, based on it, is for developing and supplying practical operation model which can be applied on the field. Moreover, by deducting political domain and task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model, it is for constructing the environment where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can be operated effectively. To achieve the object effectively, this research used various research method including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alysis of examples and survey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of all, it examined theoretical model of youths’ particip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checked the realm and types of the participation; and deducted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Also, it examined legal basis and system of policy enforcement through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d it analyzed the result and limitation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policies that have been enforced. Next, it selected representative examples among examples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enforc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conducted case analysis. As a result, the examples selected as excellent ones were activities led by youths, provided various devices for youths’ participation to be continued to the real change and constructed system where youths can lead the participation and make decision.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conducted survey of youths who have participated and onsite specialists to grasp the reality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Main contents included basic information such as typ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activity, route of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of participation; opera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activity; level of decision making sharing; assessment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and desire for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Also, by putting all results of advanced research examination,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alysis of excellent examples internal and external and the reality investigation that were written above together,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developing the model, genera l・major participation, actual participation and daily participation were set as the basic direction of model development, and youth initiative decision making, project-based participation activity, development of general model, social participation in comprehensive meaning and deduction of model that can be applied by stage were set as rules of model development. Also, based on these direction and rules, youths’ participation model was developed. Finally,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where the deducted model is effectively operated and to vitalize youths’ participation, it suggested to reinforce the basis of policy enforcement, converse paradigm of youths’ participa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policy, reinforce connection with school education for expanding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chances, secure the actual influence of youths’ participation and reinforce the infra for vitalizing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 청소년 사이버도박의 실태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정현정 한국자치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자치경찰논총 Vol.1 No.2

        최근 불법사이트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이 증가하여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을 단순히 청소년의 놀이문화의 하나로 오히려 가볍게 생각하고 치부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이 적발된다 하더라고 처벌이나 교육 대신 가벼운 훈방조치로 끝나는 실정이다. 또한 단속이 이루어 지더라도 먼저 불법사이트의 특성상 범죄행위를 적발하고 처벌하기가 쉽지 않다. 사이버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익명성 등 인터넷의 특성상 도박 청소년을 인지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은 단순히 도박행위에서 그치지 않고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2차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 스스로도 본인들의 행위가 불법행위임을 인지하면서도 단순히 처벌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그릇된 신념을 강화하기 좋은 기회로 작용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실태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청소년의 사이버도박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대책을 정부, 사회, 학교,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 영역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여러 정책제안의 토대를 제공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제고를 통한 운영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

        김형주,김정주,김혁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대다수 공공시설로 되어 있는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에 대한 최근 사회적·정책적 수요를 반영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제고를 통한 운영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 조사연구, 정책협의회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및 운영에 대한 동향 고찰로서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관련 선행연구, 공공성 측면에서의 청소년수련시설 평가를 고찰하였다. 둘째, 유관 사례로서 문화공공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청소년수련시설의 현안 및 공공성에 대한 개념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넷째,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제고 및 운영 활성화 관련 실태 및 인식조사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청소년수련시설 공공성 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5대 영역, 10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10개 정책과제는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설치 시 지자체 예산 및 인력 준비도 평가,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설치 시 지자체 사전타당성 분석 실시,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입지 선정 가이드라인 마련,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이용편의성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 지역별 청소년 인구 실태 및 전망 분석,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이용 청소년 배경 및 특성 분석,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운영 프로그램 다양성 점검,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참여 청소년 포용성 분석,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규모 대비 적정예산 세부지침 마련,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 규모 대비 적정예산 세부지침 마련 등이다.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이 우리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시설 자체의 질 관리 노력과 더불어 지자체의 운영 지원 역량 강화와 중앙정부의 체계적인 수련시설 기본정책 수립과 세부과제 집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youth facility, which is a public fac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olicy plan to support the revitalization of the youth facilities by improving the publicness of the youth facilities, reflecting the recent social and policy needs for youth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analyzes were conducted using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expert consultation and workshop, survey, and policy councils. First, as a review of trends in the role and operation of youth facilities, we examined the evaluation of youth facilities in terms of publicness of youth facilities. Second, we analyze the case related to cultural publicness. Third, the concept of pending issues and publicness of youth facilities were analyzed. Fourth, AH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ublicness of the youth facilities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revitaliz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publicness indicators propo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5 major areas and 10 policy tasks. The ten policy tasks include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budgets and manpower preparation at the establishment of youth facilities, conducting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at the establishment of youth facilities, setting guideline for selection of youth facilities, analysis of the youth actual condition and prospect according to the region, analysis of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using the youth facility, examination of diversity of the youth facility operation program, analysis of the youth inclusion in the youth facility, and provision of detailed budget guidelines for the size of youth facilities. In order for youth facilities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public facilities in our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governments to support the operation of youth facility in addition to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themselves.

      •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Ⅱ 기초분석보고서

        이경상,백혜정,이종원,김지영,서우석,한영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1차년도 중1 패널 자료 중 문화활동, 체험활동, 동아리활동, 팬덤활동, 컴퓨터 활용 등 중학교 1학년 청소년들의 활동참여관련 실태를 살펴보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문화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문화활동 참여횟수의 평균값은 3.43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봉사활동을 제외한 다른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36% 미만으로, 전체적으로 청소년들의 체험활동 참여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교내 동아리활동 참여비율은 28.9%, 교외 동아리활동 참여비율은 7.2%로 전체적으로 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 참여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의 팬덤 활동은 홈페이지 방문(2.50)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이어서 팬클럽/팬카페 가입(2.16), 책/CD 등 구입(1.99), 댓글 달기(1.83), 방송국/공연장 등 가기(1.56), 동영상 올리기(1.49), e-mail/팬레터 쓰기(1.37), 팬미팅 참석(1.24), 선물보내기(1.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컴퓨터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학습 이외 정보/자료(음악ㆍ영화 등) 이용(3.26)과 게임/오락(3.10)이 높은 이용빈도를 나타냈으며, 이어서 공부/학습 정보검색(2.80), 개인홈페이지 활동(2.48), 채팅/메신저(2.47), 댓글 달기(2.44), 동호회/카페/커뮤니티 활동(2.25), 전자우편(2.01), 온라인 사고팔기(1.88), 19세 이상 사이트 이용(1.24)의 순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이 컴퓨터를 공부/학습의 용도보다는 주로 음악ㆍ영화 감상, 게임ㆍ오락 등 여가 및 취미생활의 용도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증대,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증대, 청소년 단체ㆍ시설과 연계한 청소년 미디어교육 활성화, 청소년 기본계획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urvey aim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middle school first-grade juveniles’ participation in activites such as culture activities,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fandom activities, and computer utilization using the samples of first-year middle school first-grade panel questioned for ’the Korean ChildrenㆍYouth Panel Survey, 2010’ and propose political advices. As for the youth participation in culture activities, the average frequency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culture activities was 3.43 demonstrating low frequency rate. As for the adolescent participation in experience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rate in activities other than social services was less than 36%, showing that overall youth participation in experience activities was low. The survey on the real state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found out that general adolescent participation rate in club activities was low with 38.9% and 7.2% of school club participation rate and outside school club participation rate, respectively. As for the youth fandom activities, visiting websites(2.50) was the highest, followed by joining fan clubs and fan cafes(2.16), purchasing books/CDs(1.99), posting comments(1.83), going to broadcasting stations and concert halls(1.56), posting video clips(1.49), writing e-mail/fan letters(1.37), joining fan meetings(1.24), and sending presents(1.22) in order. As for the adolescent computer use, they showed high frequency for information/materials other than for academic purposes such as musics and movies(3.26) and games/entertainments(3.10), followed by information search for study/learning(2.80), personal homepage activities(2.48), chatting/ messenger(2.47), posting comments(2.44), club/cafe, community activities(2.25), e-mails(2.01), online buy and sell(1.88), visiting sites rated-R(1.24) in order. This demonstrates that adolescents usually use computers to enjoy leisures and hobbies such as music/movie listening, game/entertainment rather than to study and learn. Increasing adolescent participation in experience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vitalizing youth media education associated with youth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using data as a basic sources in establishing basic adolescent plans were proposed as political advices.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팬덤활동, 공동체 의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미원,조현희,김영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9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st adolescents’ internet usage, fandom activities,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mental health in the digital era and to probe into the effect of internet usage, fandom activities, sense of community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ose four factors. Secondly, it shows that the effect of internet usage, fandom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on the adolescents' mental health have a difference by gender. In the case of female adolescents, there is no effect of internet usage on their mental health. But, the study reveals that adolescents’ internet usage and fandom activities which now are accepted as a part of their culture, could be combined with the sense of community and could have an effect on the adolescents' mental health. Furthermore, the study casts a light on the possibility to build a strong point on adolescents’ activities, education, counseling and policy making for the purpose to enhance adolescents’ mental healt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팬덤활동, 공동체 의식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팬덤활동, 공동체 의식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2차년도 중학교 2학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SPSS 24.0 통계분석방법으로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팬덤활동, 공동체 의식,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인터넷 이용, 팬덤활동, 공동체 의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청소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자는 세요인 모두, 여자는 인터넷 이용을 제외한 두요인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청소년 문화로 자리잡은 청소년 인터넷 이용과 팬덤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결합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청소년 활동, 교육, 상담 및 정책 수립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습관의 비교 및 폭력성향의 영향

        박종구 ( Joung Koo Park ),이나래 ( Na Rae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식습관의 비교 및 식습관에 관련된 변인들이 청소년의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식습관의 비교 및 폭력성향에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는 총 260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 방식을 통해 수집되었다. 조사응답자는 첫째, 비행청소년의 경우 경북에 소재한 청소년보호관찰소 및 비행청소년 상담소에서 관찰, 보호를 받고 있는 청소년(n=150)과 둘째, 경북/대구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서 일반청소년(n=110)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행청소년들이 전체적으로 높은 폭력성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청소년의 불규칙적인 식사습관과 결식과 패스트푸드를 즐겨먹는 식습관이 도출되었으며 일반청소년에 비해 주로 단맛과 짠맛 등의 자극적인 맛을 선호하였다. 또한 간식을 자주 섭취함으로 인해 식사를 거르는 양상을 보였으며, 주로 탄산음료 및 분식이나 과자, 빵류 등 자극적이고 밀가루가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였다. The study examines diet habit`` comparison and the effec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iet habit on perceived aggressiveness for delinquent youth and adolescent In order to explore the diet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delinquent youth,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onsite survey of 260 samples, consisting of imprisoned deviant youths (n=150)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adolescent (n=110) in middle and high schools. As a result of the study, delinquent youth shows higher aggressiveness scores than that of adolescent. The diet habit of delinquent youth is featured in a way of irregular diet habit as well as skipping meals and enjoying fast food by the delinquent youth, and it also shows their preference of stimulating taste in sour taste and salty taste. In addition, due to frequent intake of snacks, they tend to skip meals, and they mainly consume soft drink, snack, cookies, bread and other stimulating and flour containing food. It don`t reveal substantial difference on diet habit and food preference following high or low deviation tendency, and diet habit.

      •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Ⅳ : IEA ICCS 2016 - 사회참여역량 분석

        김태준,홍영란,김홍민,김광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최근 민주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인 역량으로 논의되고 있는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역량은 생애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진로개발역량, 대인관계역량과 더불어 미래의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그로 인해 시민성을 형성하므로 이를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참여역량에 관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EA ICCS 2016’ 정책연구의 4차 년도 연구로 아시아 시민의식의 개념틀을 통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사회참여역량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아시아 시민의식의 국제비교 및 연도별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지구촌 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ICCS(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국제연구조정관회의 에서 확정된 ARM(Asian Region Module)을 반복 활용하여 ICCS 2016 ARM 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 사회참여역량 측정을 위한 ICCS 2016 ARM 조사는 8개의 ARM 요인(정부역할에 대한 인식, 권위에의 복종적 태도, 전통문화 보존에 대한 인식, 법체계에 대한 신뢰, 공공관련 부정행위에 대한 태도, 정치인의 도덕성에 대한 인식, 아시안 정체성, 바람직한 시민상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표본 집단으로는 한국의 중학교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2016년 10월까지 전문조사업체에 의해 진행되었다. 한편 청소년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요인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 범주(개인 수준 요인, 가정환경 요인, 학교밖/내 사회적 요인)를 설정하였다. 각 요인별 측정 문항들은 ICCS ARM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의 배경 설문 가운데 잠재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민의식 전체의 경우, 상당수 배경 요인의 주효과가 확인되고, 일부 배경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하위 요인에서도 유사하였다. 둘째, 2009년도와 2016년도 아시아 청소년 시민의식 수준간의 차이를 배경요인에 따라 분석 결과 2009년도와 2016년도간의 아시아 청소년 시민의식 수준을 단순 비교하면, 전체 시민의식은 2016년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시민의식의 하위 요인 중 정부의 민주적, 합법적 역할 수행의 필요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고, 권위에 대한 복종 및 정부·정치인에 대한 신뢰가 감소했으며, 전통문화 보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아시아 지역 국가의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시민적 도덕성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해 볼 수 있다. 먼저, 지난 수 년간 정부 체제의 변화 경험을 통해 청소년들의 사회적 참여 역량이 향상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점에 대해 미래 지향적인 시각에서 자주적이고 적극적으로 사회적 참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제공, 제도 변화, 교내 활동 설계 및 역할 정립, 콘텐츠 지원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학교 내 활동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환경 및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시민의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영향요인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과 비행 간의 경로모형 검증 -자기효능감, 적응유연성,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김도영,임영식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5

        The study aims to define the paths through which youth activitie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career maturity affect delinquency, and determine their effects. The study also aims to verify the path model of each factor and examine the mediator effects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1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schools, youth facilites and youth service centers in Jeju province. The first finding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ath coefficient and suitability index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path model was also significant. Second, youth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hile having indirect effects on delinquency through career maturity. Third,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confirmed to have meaningful mediator effects on youth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re necessary on top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in prevention of delinquency. In addition, the study verified that career maturity is a crucial variable in prevention of delinquency.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tudy's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 자기효능감, 적응유연성, 진로성숙도가 비행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과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J지역 학교와 청소년수련시설 및 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청소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 고등학교 청소년 31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는 첫째, 경로계수와 적합도 지수가 유의미하여 경로모형이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둘째, 청소년활동은 자기효능감과 적응유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성숙도를 통해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적응유연성은 청소년활동과 진로성숙도간에 있어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비행 예방에 청소년활동 참여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적응유연성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더불어 진로성숙도가 청소년비행 예방에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