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어와 합성어를 통해 살펴 본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 정보의 영향

        이선경,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Korean spoken word recognition. To do so, Experiment 1 examined whether compound words are sub-divided into morphemes. In this experiment, word types (simple words, compound words) and word frequencies (high, low) were manipulated. Participants performed an auditory lexical decision task. As results, regardless of word frequency, simple words were recognized better than compound word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ound words were separated into morphemes irrespective of word frequency. Experiment 2 further examined the effect of morphological decomposition by adapting syllable frequency effects. In Korean 2 syllable compound words, the first syllable contains a certain morpheme while it is only a part of a morpheme in simple words. Therefore, unlike in simple wo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yllable of the compound words may have some influences o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Experiment 2 showed larger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for simple words compared with compound words, which suggested that facilitation effect of morpheme offsets the inhibitory effect of syllable frequency. Overall, the current experiments clearly suggested that morphological decomposition does occur during spoken word recognition of the Korean compound word.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 정보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어 그 자체가 하나의 형태소인 단일어와,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합성어의 처리양상을 비교하였다. 실험 1에서는 청각 단어재인 시 단어빈도에 따라 형태소의 분리 처리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단어의 유형(단일어, 합성어) 및 단어빈도(고빈도, 저빈도)를 조작한 후, 청각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빈도와 저빈도 조건 모두 합성어가 단일어에 비해 어휘판단 시간이 느리고 더 부정확했다. 이는 합성어를 처리할 때 단어빈도와는 관련 없이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 2에서는 음절빈도 효과를 바탕으로 형태소 분리 처리 여부를 재검증하였다. 일반적으로 형태소 정보는 단어재인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음절빈도는 억제적인 영향을 미친다. 합성어의 경우 음절의 단위와 형태소의 단위가 일치하므로, 만일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된다면 음절빈도 효과에 형태소의 효과가 혼입될 수 있다. 단어유형과 음절빈도(고빈도, 저빈도)를 조작한 후 청각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실험 2의 결과, 합성어에 비해 단일어에서 더 큰 음절빈도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합성어의 경우 첫 음절 형태소의 촉진적 효과가 음절빈도의 억제적 효과를 감소시켰기 때문이라 짐작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되며 단어의 형태소 특성에 따라 음절빈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어 시·청각 동음동철이의 어절 재인에 나타나는 어휘-의미 상호작용

        김준우(Joonwoo Kim),강귀영(Kathleen Gwi-Young Kang),유도영(Doyoung Yoo),전인서(Inseo Jeon),김현경(Hyun Kyung Kim),남현민(Hyeomin Nam),신지영(Jiyoung Shin),남기춘(Kichun Nam)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1

        본 연구는 중의성을 가진 어휘가 심성 어휘집에 표상된 방식과 감각 양상에 따른 처리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 동음동철이의 어절의 시·청각 재인 과정을 조사하였다. 청각 어절 판단 과제(실험 1)와 시각 어절 판단 과제(실험 2)를 이용한 두 실험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진 동음동철이의 어절(예: ‘물었다’)과 단일한 의미만을 가진 통제 어절(예: ‘고통을’)이 사용되었다. 어절 자극들의 누적 빈도는 조작하는 한편, 각 동음동철이의 어절의 다양한 의미가 가지는 상대적 빈도는 통제하였다. 어절 판단 과제를 사용한 두 실험 모두에서 유의한 빈도의 주효과와 함께 의미 수에 따른 어절 유형과 빈도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실험 1에서 청각적으로 제시된 동음동철이의 어절은 저빈도 조건에서 단의 어절에 비해 반응시간이 빠른 중의성 이득 효과가 나타난 반면, 고빈도 조건에서는 이와 반대로 비이득 효과가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 제시된 실험 2의 자극에서도 유사한 상호작용 패턴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 및 청각 양상 모두에서 어휘-의미 처리가 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주며, 이는 의미 처리가 감각 의존적 단계보다는 일반적 어휘 지식 처리 단계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의미 선택 과정에서 동음동철이의 어절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의 후보군은 어절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에만 촉진적 피드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an ambiguous word in the bimodal processing system by manipulating the lexical ambiguity of a visually or auditorily presented word. Homonyms (e.g., ‘물었다’) with more than two meanings and control words (e.g., ‘고통을’) with a single meaning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The lemma frequency of words was manipulated while the relative frequency of multiple meanings of each homonym was balanced. In both experiments using the lexical decision task, a robust frequency effect and a critical interaction of word type by frequency were found. In Experiment 1, spoken homonyms yielded faster latencies relative to control words (i.e., ambiguity advantage) in the low frequency condition, while ambiguity disadvantage was found in the high frequency condition. A similar interactive pattern was found in visually presented homonyms in the subsequent Experiment 2. Taken together, the first key finding is that interdependent lexico-semantic processing can be found both in the visual and auditory processing system, which in turn suggests that semantic processing is not modality dependent, but rather takes place on the basis of general lexical knowledge. The second is that multiple semantic candidates provide facilitative feedback only when the lemma frequency of the word is relatively low.

      • KCI등재

        정상 성인의 노화과정에서 시-청각 및 문맥 정보가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조유정,하지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compared performance on an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with different visual, auditory, and contextual information across age groups to determine how these variables affect auditory comprehension in normal aging. Methods: We conducted an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with 20 normal adults from each of the following age groups: young, middle-aged, old, and elderly, and compared their correct response scores and analyzed their error responses. We also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core of auditory comprehension in Reading Diagnostic Assessment, RDA and the performance of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between-group main effect, as well as within-group main effects of auditory and contextual information,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uditory information and group, contextual information and group, and auditory informa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The old and elderly groups made more errors in the following order of error types: unrelated errors, formal errors, mixed errors, and semantic error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ror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DA and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auditory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declines with aging in normal adults, and that difficulties may be more pronounced under certain conditions, such as noise and low contextual sentences.

      • KCI등재후보

        Psychometrically Equivalent Korean Bisyllabic Words Spoken by Male and Female Talker

        Richard W. Harris,Eunoak Kim,Dennis L. Eggett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력검사시 어음청취역치 측정에 사용될 한국어 이음절 검사어표를 제작하는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90개의 이음절을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 빈도의 분석(김흥규 & 강범모, 2000)이란 자료를 통해 선택하였다. 이 검사용 단어들은 한국어 표준말을 구사하는 각각의 남녀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녹음되었다. 각 단어들을 정상 청력자 20명에게 10 에서 18dBHL 까지 2dB 간격으로 청취하게 한후, 15 개의 자극강도에서 인지도를 측정하였다. 90 개의 단어중 인지도 성적이 가장 좋은 36개의 단어를 선택한후, 각 단어의 역치가 연구에 참가한 20명의 정상 청력자의 평균 순음역치(4.33dBHL)와 같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였다. 36개의 이음절에 대한 평균 인지도 곡선(%/dB)은 남자 목소리로 녹음된 것이 11.9%/dB 이고, 여자 목소리로 녹음된 것이 10.4%/dB로 나타났다. 단어간에 인지도가 서로 대등하도록 제작된 이 36 개의 이음절은 남녀 각각에 의해 브리감 영 대학교 한국 어음 청력 검사어표(Disc 1.0) 컴팩트 디스크에 녹음 되었다.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velop, digitally record, evaluate, and psychometrically equate Korean bisyllabic words for use in measurement of the speech reception threshold(SRT). Ninety familiar bisyllabic word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These words were recorded by both male and female talkers native to Seoul, Korea who spoke the standard Korean dialect. Psychometric functions were calcul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for each of the 90 bisyllabic words for 20 normally hearing subjects who listened to these words at 15 intensity levels from 10 to 18dBHL in 2dB increments. The 36 best bisyllabic words were selected and then digitally adjusted, with respect to intensity, so that the threshold of each word was equal to the mean PTA(4.33dBHL) of the normally hearing subjects. The mean slope(%/dB) for the bisyllabic words was 11.9%/dB for the male talker and 10.4%/dB for the female talker. The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a list of 36 Korean bisyllabic words(male and female talker) which were homogeneous with respect to threshold audibility and also with respect to psychometric function slope.These psychometrically equivalent Korean bisyllabic words spoken by both male and female talkers are included on the Brigham Young University Korean Speech Audiometry Materials(Disc 1.0) compact disc.

      • 청각단어 재인에서 나타난 한국어 단어 길이 효과

        최원일,남기춘,Choi Wonil,Nam Kichun 대한음성학회 2002 말소리 Vol.44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word length on auditory word recognition. Word length can be defined by several sublexical units, such as letters, phonemes, syllables, etc. To find out which sublexical units are influential in auditory word recognition, the auditory lexical decision task was used.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partial correlation between the speed of reaction time and the number of sublexical units, and in Experiment 2, we executed ANOVA to find out which sublexical length variable was an influential unit. Through these two experiment, we concluded syllable length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n auditory word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단어간의 대등한 명료도를 갖는 한국 어음청취역치 검사어표의 제작

        RichardW.Harris,EunoakKimandDennisL.Eggett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력검사시 어음청취역치 측정에 사용될 한국어 이음절 검사어표를 제작하는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90개의 이음절을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 빈도의 분석(김흥규 & 강범모, 2000)이란 자료를 통해 선택하였다. 이 검사용 단어들은 한국어 표준말을 구사하는 각각의 남녀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녹음되었다. 각 단어들을 정상 청력자 20명에게 10 에서 18dBHL 까지 2dB 간격으로 청취하게 한후, 15 개의 자극강도에서 인지도를 측정하였다. 90 개의 단어중 인지도 성적이 가장 좋은 36개의 단어를 선택한후, 각 단어의 역치가 연구에 참가한 20명의 정상 청력자의 평균 순음역치(4.33dBHL)와 같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였다. 36개의 이음절에 대한 평균 인지도 곡선(%/dB)은 남자 목소리로 녹음된 것이 11.9%/dB 이고, 여자 목소리로 녹음된 것이 10.4%/dB로 나타났다. 단어간에 인지도가 서로 대등하도록 제작된 이 36 개의 이음절은 남녀 각각에 의해 브리감 영 대학교 한국 어음 청력 검사어표(Disc 1.0) 컴팩트 디스크에 녹음 되었다.

      • KCI등재

        시-청각 및 문맥 조건이 정상압수두증 환자의 청각적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

        조유정,박기수,강경훈,하지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9 No.1

        Objectives: In this study, we compared performance on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s between patients with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NPH) and healthy elderly adults (HE) under different visual, auditory, and contextual conditions to determine how these variables affect auditory comprehension with cognitive decline. Methods: We conducted a standardized comprehension assessment, Paradise Korean Western Aphasia Battery Revised (PK-WAB-R) and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s on 30 patients with NPH and 30 HE.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 was divided into noisy and quiet conditions (auditory variable), blurry and clean conditions (visual variable), and low- and high-context conditions (contextual variable). Results: Patients with NPH showed relatively good comprehension on the standardized comprehension test of PK-WAB-R. For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task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roup, a significant within-group effect of auditory and contextual conditions,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uditory condition and group, auditory condition and contextual information, and auditory condition, contextual information, and group.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patients with NPH have difficulty processing auditory comprehension at the sentence level. In addition, the auditory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NP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HE, and that their difficulties may be more pronounced under certain conditions, such as noisy conditions and low contextual information.

      • KCI등재

        언어커뮤니케이션의 미시적 인지기제 - 단어재인에서 언어학적 기술 단위의 역할을 중심으로 -

        홍우평 한국독어학회 2010 독어학 Vol.22 No.-

        Worterkennung ist eine der wesentlichen Prozesse, die sprachliche Kommunikatioin auf der mikro-kogntiven Ebene charakterisier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ist zur Debatte gestellt worden was für Rolle die linguistischen Beschreibungseinheiten wie Phoneme, Silbe, Grapheme, und Morpheme bei der auditiven sowie visuellen Worterkennung spielen. Im Mittelpunkt der Diskussion steht die Frage, ob bzw. inwieweit die grammatischen Kategorien, die für die Beschreibung der Kompetenz unentbehrlich sind, auch als Perzeptionseinheiten der Worterkennung fungieren. Repräsentative Gesichtspunke und hierzu relevante empirische Belege wurden vorgestellt und kritisch übeprüft. Ferner sind die unterschiedlichen Positionen zur Rolle der genannten grammatischen Kategorien bei Worterkennung verglichen worden; aufgrund einem neurolinguistischen Sprachverarbeitungsmodell haben wir auch versucht zu zeigen,dass diese Positionen sinnvollerweise integriert werden könn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