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혼의 병고치기’ 또는 ‘영혼의 밭갈기’로서의 철학 : 후기고대 동방과 서방에서의 철학의 목적론적 개념과 문화사적 의의

        전광식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유스티니안황제에 의한 아카데미 폐쇄 이후, 쇠퇴기에 접어든 헬라철학의 명맥을 유지해가던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자들 (Ammonios, Olympiodoros, Elias, David, Stephanos)은 철학사상 처음으로 철학의 정의들과 분류법들을 정리한 철학입문서 Prolegomena Philosophiae를 집필한다. 그 가운데 가장 체계적인 Prolegomena Philosophiae를 남긴 David는 모든 전래적인 개념들을 모아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정의로 제시한다. 첫 번째 정의인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존재자들에 대한 인식’과 두 번째 정의인 ‘신적인 것들과 인간적인 것들에 대한 인식’은 주제에 따른 정의요, 세 번째 정의인 ‘죽음에의 연습’과 네 번째 정의인 ‘신에게의 동화’는 목적에 따른 정의이며, 다섯 번째 정의인 ‘기술 중의 기술, 학문중의 학문’은 수월성에 따른 정의요, 여섯 번째 정의인 ‘지혜에의 사랑’은 어원에 따른 정의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섯 가지 정의 이후에 일곱 번째 정의요, 어쩌면 결론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정의가 등장하는데, 그것은 곧 철학을 ‘영혼의 치유법’과 ‘영혼의 치장술 또는 계발법’로서 정의한 것이었다. 영혼학으로서의 철학의 두 가지 개념은 David를 비롯한 후기고대에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이 ‘신적인 철학자들’로 추앙한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철학의 여섯 가지 정의의 근원이기도 한 이들 고대헬라철학들은 철학이 인간의 영혼을 정화시키기도 하고 계발하기도 한다는 이념을 개진하였다. 그런데 학자와 학파, 그리고 종교에 따라 ‘영혼의 병고치기’와 ‘영혼의 밭갈기’라는 강조점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그 후속사가 상이하게 전개됨을 볼 수 있다. 철학을 ‘영혼의 치유법’으로 보는 관점은 동방적 전승이 강하지만 동서를 막론하고 종교적 사상이 강한 경우에는 이러한 입장을 고수하는 것이 보인다. 이를테면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서방기독교사상가, 신플라톤주의자들, 비잔틴사상가들과 Al-Kindi나 Al-Razi와 같은 이슬람 철학자, 그리고 중세기의 Maimonides와 같은 유대사상가 등 주로 종교적 전통으로 내려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철학을 ‘영혼의 치장술’로 보는 시각은 주로 서방에서 로마의 Cicero, 페르시아의 논리철학자인 Paulus Persa, 시리아의 학자들인 Severus나 Michael Bādōqā, 그리고 아랍논리학자인 Ibn Bihrīz 같은 일반학문적 전승으로 이어져 옴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후기고대에서의 철학의 목적론적 개념에 대한 이해의 미묘한 차이로 인해 동서방의 학문, 종교, 문화, 문명이 각기 다른 강조점을 가지고 다른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결과로 동방기독교사상계나 이슬람에서는 철학이 종교와 결합되고 심지어 종교화된데 비해, 서방에서는 종교적 실천과 철학이 분리되어 결과적으로 철학이 이성적 체계인 합리론이나 아니면 감각중심의 경험론으로 환원되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나아가 그로 인해 영혼치유를 강조한 철학의 종교적 전승에서는 자기부정과 정화를 추구하는 신비주의 및 수도적인 종교문화를, 반면 영혼계발을 부각시킨 일반적 전승에서는 논리학과 정신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인본주의적인 서구문화를 산출하게 되었다. After closing of Platonic Academy in Athen by the Emperor Justinian in 527 A.D., Neoplatonists of Alexandrian school as Ammonios, Olympiodoros, Elias, David, Stephanos published philosophical textbook respectively, Prolegomena Philosophiae, containing various definitions and divisions inherited from ancient Greek philosophers, especially from three 'divine' philosophers as Pythagoras, Plato, and Aristotle. Among such textbooks, David's one is the best in logical and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textbook. He arranged all traditional various definitions of philosophy into six definitions according to subjects, aims, superiority and etymology of philosophy, as the followings: according to its subjects, knowledge of existence as such and knowledge of divine and human things; according to its aims, contemplation of death and becoming similar to God as far as it is humanly possible; according to superiority, the art of arts and the science of sciences; lastly, according to its etymology, love of wisdom. However, there is still remained another definition, which is probably the last, most important one among all definitions, that is, perfection of soul. This seventh definition is a kind of teleological definitions of the philosophy beside contemplation of death and becoming similar to God. The perfection of human soul can be divided concretely into two aspects or directions: the purification of soul and the development of soul. According to its final definition, philosophy can heal the disease of the human soul on the one hand, and beautify it on the other hand. In these cases, philosophy is therapeutics(cura animae) or medicine of soul(animi medicina), and cosmetic and adornment(adornatio et cultura animae) of it. The idea of philosophy as perfection of human soul can be found primarily in Platon's dialogue, in which Socrates enters the stage as a true doctor to treat and to cure the souls of Athenian people. Platon's view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and development of soul had been inherited to later ages through medieval times in two courses, eastward and westward. Which definition of the both had been accepted more, depend on mostly whether any thinker is religious or not, then whether he belongs to west or east, and lastly whether he follows Platon's philosophy or Aristotle's thought. Generally speaking, if anyone is a religious thinker, or belongs to east, or follows Platon's philosophy, he probably hold fast to the definition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In contrast, if anyone is a non-religious philosopher, or belongs to west, or follows Aristotle's thought, he perhaps accepts the definition of philosophy as development of soul. To former belong Neoplatonists, Byzantine orthodox thinkers, islamic philosophers as Al-Kindi and Al-Razi, and western christian thinkers as Augustine, to latter correspond Cicero and western humanists, Persian philosopher Paulus Persa, Syrian scholars Severus and Michael Bādōqā, and Arab logician Ibn Bihrīz. The slight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n teleological concepts of philosophy played so important role in west and east that they go in different ways in areas of scholarship, religion, culture and civilization. As result, philosophy is combined with religion and even changed into religion in eastern christian world as well as in Islamic world, whereas, in west, philosophy is separated from religious practice and reduced merely to rational system or sensitive empiricism Moreover, in the religious tradition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are monastic asceticism and mysticism developed, in contrast to it, logics and humanities in the general tradition of it as development of soul. Therefore, the concept of philosophia as cura animae made mystic-religious culture with pessimistic worldview, contemplation and exercise of death, and ideal of the becoming similar to God mostly in the religion and in the eastern world, while the definition of it as cultura animae published humanistic culture to achieve perfection of human soul in various ways with optimistic worldview in the academic area and in the western world.

      • KCI등재

        철학과 존재이해

        손영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a philosophy? and What does mean it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 to research on a philosopher’s philosophy? We research on Heidegger’s philosophy. Every philosophy begins with a man’s doing-philosophy. While doing philosophy, someone becomes a philosophy student, a philosophy researcher, and a philosopher. Philosophy researchers generally investigate into a philosopher’s philosophy, and try to have a unique system for their own philosophy. In this research, a philosopher's philosophy is a ladder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s. Not all philosophy researchers need the ladder, but we take Heidegger's philosophy as the ladder. In investigating into Heidegger's philosophy, we have arrived at some achievements in our own way. Now we are going to review these achievements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According to what we get as Heidegger's philosophy, we always inevitably do philosophy as long as we exist in human beings. How do we, doing-philosophy,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Pointing out that the philosophy, investigating into the nature of beings, does not ask the question on Being, Heidegger t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es Dasein understand Being?" while analyzing Dasein ontologically in Sein und Zeit. Not asking questions on Being is called Being-forgetting by Heidegger. This Being-forgetting i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and then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As long as philosophy originates from the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s, so doe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from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There are attempts to find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what Heidegger called Being-forgetting. However, Heidegger found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not to ask questions on Being. The Being, forgotten at the dimension of human beings, is understood at the dimension of Dasein, and this Being-understanding continues to the philosophy, and then to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cannot be Being-forgetting of human beings’. Analyzing of Dasein in Sein und Zeit, Heidegger discusses o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The ordinariness of Dasein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naturalness, and non-originality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originality. There are attempts to find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However, Heidegger's strategy, distinguishing between the ordinariness and the naturalness of Dasein, and between the originality and non-originality of Dasein, is not intended to show that any problems arise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is respect, we cannot find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According to Heidegger,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stem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How can we explain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especially the philosopher Heidegger's participation in the Nazis? In the following study, we will try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n the proces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to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일은 철학 연구자에게 무슨 의의를 갖는가?”라는 물음을 우리는 지난하게 묻고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어느 철학이든지 모두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로부터 시작된다. 철학하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누군가는 철학도가 되고, 철학 연구자가 되고, 철학자가 된다. 철학 연구자는 대체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철학하기에 고유한 체계를 갖추려고 기획한다. 이 일에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은 철학 연구자에게 일종의 사다리이다. 비록 모든 철학 연구자에게 사다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철학자인 하이데거의 철학을 사다리로 삼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이데거의 철학을 나름대로 연구하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고는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는 무엇인가? 우리가 하이데거의 철학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우리는 인간으로 실존하는 한, 언제나 필연적으로 철학한다. 그런데 철학하는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른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철학인가? 존재자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이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에서 현존재(Dasein)를 존재론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현존재는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했다.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태도를 하이데거는 존재망각(Seinsvergessenheit)이라고 일컫는다. 이 존재망각은 우선 철학의 존재망각이지만,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고 우리는 파악하고 있다: 철학이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에서 비롯되는 한, 철학의 존재망각도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하이데거가 존재망각이라 일컫는 것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망각에 빠진 철학의 밑바탕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Seinsverständnis)를 찾아내었다. 인간의 차원에서는 망각되고 있는 존재가 현존재의 차원에서는 이해되고 있으며, 이 존재이해가 존재망각에 빠진 인간에게 나아가서는 철학에 이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가 인간의 존재망각일 수는 없다. 존재와 시간 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일상성(Alltäglichkeit)과 비본래성(Uneigentlichkeit)에 대해 논의한다. 현존재의 일상성은 근원성(Ursprünglichkeit)에 비해 그리고 비본래성은 본래성(Eigentlichkeit)에 비해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현존재의 일상성과 비본래성에서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현존재의 일상성과 근원성을 구별하고, 비본래성과 본래성을 구별하는 하이데거의 전략은 현존재의 존재이해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우리는 현존재의 존재이해, 특히 일상성이나 비본래성에서 찾을 수는 없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 ...

      • KCI등재

        한국철학사 연구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국철학사 연구들을 성찰하면서 향후의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의 방향과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이 한국 사회의 의사소통과 의식형성이란 관점에서 볼 때 지니는 의미와 이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국철학사 기술 작업에 요청되는 새로운 변화된 관점과 방향을 찾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국철학사 기술이 출판을 전제로 할 때 그것은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의 과정에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였고, 이를 학문적 논의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회체계를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다루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관점을 원용하였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을 한국철학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논의하는 주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일제 식민지 사상사관은 어떻게 다루는가? 둘째, 한국철학이란 성립가능한가? 셋째, 한국철학의 실체화는 가능한가? 넷째, 한국철학의 고유성은 가능한가? 논의의 결론은 한국철학의 형이상학적 실체화로부터 벗어나서 한국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의 체계를 통해서 한국 철학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이 식민사관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서구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제를 통해서 과거의 전통사상의 철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한국철학사의 본령인지 그것과는 별도의 다른 방법이 가능한지는 학계의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result on direction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due to a reflection on many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until now. It includes a reflection on meaning of the historiography from commun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looks for a required new viewpoint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For these it is considered that the historiography shoul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en the historiography is published. Thus Niklas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is to provide a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four themes: How to approach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Could concept of Korean philosophy be possible? Is it available to take substance of Korean philosophy for granted? How is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possible? The conclusion is as follow. Firstly substantialization of Korean philosophy should be avoided and rather system and context of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communications in Korea should be very ident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However, it needs more continuous discussion to choose a main method to describe the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ccording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mes or to other themes.

      • 교육철학에 대한 몇 가지 편견들

        이병승(Lee Byung Se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교육연구 Vol.20 No.-

        이 글은 일반철학자들, 교육과학자들, 그리고 일선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철학에 대한 그릇된 편견들을 드러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비판함으로써 교육 철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존재의의를 확인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론상의 엄밀성을 내세워 교육철학을 순전히 일반철학의 하위분야로 바라보는 일반철학자들의 태도는 수정되어야 한다. 그들은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장 및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모색해야 한다. 또 교육실제와의 적합성에 비추어 교육철학을 바라보려는 교육과학자들의 편향적인 태도 역시 바뀌어야 한다. 교육학의 균형 잡힌 발전을 위해서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협동과 협력은 절대적이다. 교육철학의 도움을 받지 않는 교육과학의 탐구는 공허하며 교육과학의 도움을 받지 않는 교육철학적 탐구는 맹목적이다. 또 교육철학을 단지 교사가 되기 위해 이수해야만 하는 교과목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는 교사들의 생각도 바뀌어야 한다. 교사에게 교육철학은 자신들의 교육활동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 교사의 존재근거를 밝히고 교사의 교육활동을 정당화하는 ‘교사의 교육철학’으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me prejudices about philosophy of education be produced by scholars such as philosophers, educational scientists and school teachers, and is to remove that prejudices for establish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is as following. Firstly, philosophers of education must try to construct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rough academical dialogue and corporation with many philosophers. They must not try borrow the methodology from philosophers, but try to investigate educational problems and phenomena with unique or autonomous ways. Now, they have to contribute much to researching of philosophers. Secondly, philosophers of education must also dialogue and corporate with many educational scientists to product and reconstruct good educational theories. So, they have to try two tasks: one to examine critically some results by educational scientists, the other to advice educational scientists to revise their methodology or research attitudes. And they too must judge ethically or morally after full examination about scientific results. Thirdly, philosophers of education must concern much with broad or deep educational experiences of school teachers to construct good theories for rearing good teachers, that is ‘philosophy of education for teachers’. To making good theories for teachers, they must first contact with school teachers, then dialogue. And so that, their theories for teachers were practised effectively in school.

      • KCI등재

        샌델과 공화주의 공공철학

        맹주만(Maeng, Joo-Ma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3 철학탐구 Vol.34 No.-

        샌델은 현재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로서 자유주의의 공공철학이 근대 이래로 다양한 변형과 변신을 꾀하며 돌파구를 마련해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그러나 이 글은 이러한 샌델의 비판은 적중한 것이 아니며, 그가 자유주의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대안적 공공철학으로 내세우고 있는 공화주의는 특히 칸트적 자유주의를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절차적 공화정으로 해석되는 롤스 및 칸트적 자유주의 공공철학과 샌델의 시민적 공화정의 공공철학을 대비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샌델은 오늘의 지배적인 정치철학으로서 자유주의 공공철학의 지배 아래서 당면하고 있는 시대적 과제를 공동체의 쇠퇴와 자치의 위기로 진단한다. 그리고 그 대안을 우리 시대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지만 우리의 전통 속에 남아 있는 시민적 공화정의 가능성들을 되살리는 데서 찾을 수 있다고 선언한다. 시민적 공화정으로서 샌델의 공공철학은 시장과 자본의 힘을 제재하기 위해 도덕적 가치와 시대적 가치, 합리적 토론과 논의에 참여하는 민주시민의 힘, 부자와 빈자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공동선의 추구를 비롯해 사회적 연대와 시민적 덕목을 강조하는 등 공동체와 자치를 강조한다. 하지만 이런 요소들이 자유주의 공공철학에서도 결코 배제되거나 거부되는 것은 아니다.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결합 내지는 긴장관계에서 엿볼 수 있듯이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으로서 자유주의의 등장은 애초에 그 자체가 공동체가 지닌 지배적인 자의적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서 권력구조와 권리 주체의 합리적 조정을 목표로 한 것이었으며, 이와 함께 저와 같은 공화주의적 덕목들 역시 자유주의적 이념 아래서 제한적으로 수용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그러므로 샌델이 문제 삼고 있는 것처럼 단순히 자치의 위기나 공동체의 쇠퇴와 같은 표현은 상황을 일방적으로 호도하기가 쉽다. 이 글은 이런 점들을 불식시키면서 샌델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서 그가 자유주의의 한계를 비판할 목적으로 문제 삼고 있는 낙태 논쟁과 링컨-더글러스 논쟁 사례를 검토할 것이다. Sandel maintains that democracy"s discontent, as he says, is caused by the loss of self-government and the erosion of community which have suffered from the limits of the liberalistic public philosophy by which we live. The central idea of the liberal political theory here is that government should be neutral toward the moral and religious views its citizen espouse. This Kantian liberalism consist of three main thesis, the priority of individual rights, the ideal of neutrality, and the conception of persons as freely choosing, unencumbered selves.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roblems of Sandel"s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which criticizes the limits of Kantian liberalism, including Rawls’ political liberalism and the minimalist liberalism. Sandel"s republican political theory contrasts with the liberalism of the procedural republic in at least two respects. The first concerns the relation of the right to the good; the second, the relation of liberty to self-government. Republicanism affirms a politics of the common good, and the republican sees liberty as internally connected to self-government and the civic virtues that sustain it. Sandel deals with the abortion debate and the Lincoln-Douglas debates in order to make a diagnosis of pending political issues which expose the limits of liberalism, and show that his republican alternatives are right. In this paper I argue two things. One thing, in spite of the limits of Rawls" liberalist publc philosophy, I will argue that Sandel"s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cannot offer an alternative resolution because it has serious problems like leaving individual rights vulnerable to the tyranny of the majority, dominant civic virtue or the powerful person having it, etc. The other thing, in spite of its more than a few inner problems, I will argue that Kantian liberalism still holds through something like the comprehensive liberalism confronting directly about moral problems.

      • KCI등재

        정의 내리기식 철학카페의 제안

        강두리,이진남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81

        현대 사회에서 철학은 일상생활과 유리된 이론적 학문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래 철학에는 이론적 측면뿐 아니라 철학적 사고를 직접 하는 실천적 측면도 존재한다. 1981년 아헨바흐에 의해 시작된 철학실천(philosophical practice)은 오늘날 그 외연이 확장되어 ‘직접 철학하는’활동을 모두 아우르는 말이 되었다. 직접 철학하기 또는 철학실천은 자기 성찰을 포함하는 관조적 활동으로서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본 논문에서는 철학실천의 장(場)으로서 여가철학의 일종인 철학카페에 주목하고,그 구체적인 진행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여가철학은 철학적 즐거움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철학실천의 본래 목적에 가장 적합한 활동이다.그중 철학카페는 뛰어난 접근성으로 다른 여가철학 활동보다 일반 대중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논자는 철학적 즐거움과 주도적인 사고를 체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식으로서 ‘정의 내리기 철학카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소테의철학카페 진행 방식과 이진남의 ‘철학카페 춘천’진행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새로운 철학카페 진행 방식으로서 정의 내리기 방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정의 내리기 방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적 정의(genus-differentia definition)를 중심으로 활용한다. ‘정의 내리기 철학카페’에서는 단어로 된 주제에 관해 참여자가 함께 정의 내려봄으로써 그 주제에 관해 분석하고 결합하는 창의-비판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tendency to view philosophy as a theoretical study irrelevant to everyday life. However, originally, philosophy includes not only theoretical aspects but also practical aspects of practicing philosophical thinking directly. Philosophical practice, initiated by Gerd B. Achenbach in 1981, has expanded its extension today to encompass activities involving ‘doing philosophy directly.’ Doing philosophy directly or philosophical practice involves self-examination aimed at achieving happines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philosophical cafés, a kind of leisure philosophy, as a venue for philosophical practice, and propose its specific approach. Leisure philosophy, with its primary focus on philosophical pleasure, aligns well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philosophical practice. Among leisure philosophy activities, philosophical cafés have the advantage of high accessibility, allowing the public to participate without any hesitation. Therefore, we propose the method of a ‘Philosophical Café with Defining Activities’ as a specific approach to experience philosophical pleasure and active thinking. To achieve this, we compare and analyze the methods of Marc Sautet’s philosophical café and Jin-Nam Yi’s ‘Philosophical Café Chuncheon.’ Furthermore, we suggest the adaptation of the approach of defining for the new philosophical café method. The method of defining focuses on Aristotle's essential definition(genus-differentia definition). In the ‘Philosophical Café with Defining Activities’, participants collaboratively define topics consisting of individual words, being able to experience creative-critical thinking as they synthesize and analyze topics.

      • 철학적으로 가르침(philosophically teaching)에 관한 몇가지 제안

        이은주(Lee Eun-Jo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철학교육(teaching Philosophy)는 말 그대로 철학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철학이란 텍스트 안에 놓여 있는 철학에서의 여러 학파나 철학자들의 이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teaching Philosophy에서 Philosophy를 굳이 풀어내자면, 영어로는 doing Philosophy이며 독일어로는 philosophieren이다. 즉 이는 학문적 혹은 지식적 철학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함을 교육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철학함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그럼에도 가르치는 이는 무턱대고 철학교육이란 철학함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따라서 철학교육을 말하기에 앞서 제기되어야 할 것은 가르치는 이가 얼마나 철학함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는 가를 살피는 일이다. 모든 교육에는 가르치는 이와 배우는 이가 있다. 그렇다면 철학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가르치는 이가 철학 학습에 임하는 태도이다. 나는 기존의 철학교육 방법론에서 진정한 철학교육의 대안을 찾을수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철학교육에 있어 철학적으로 가르침(philosophically teaching)을 제안한다. 철학교육은 그야말로 열린 교육이어야 한다. 자유롭게 열린 교육 안에서 학습자는 비로소 스스로 자기 자신과 세계를 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기 스스로의 지평을 마련할 수 있고 그 지평을 넓혀갈 수 있는 것이다. 열린 교육의 장을 펼쳐내는 것은 가르치는 이가 우선 해내야 할 일이다. 열린 교육으로서 철학교육은 ‘놀이’를 요청한다. 철학적 놀이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눈으로 본 세계를 자신의 마음으로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철학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강요하지 않는 놀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힘을 길러내 줄 수 있다. The education of Philosophy means ‘teaching Philosophy’. But the term‘Philosophy’ here does not refer to various schools or philosophers studied within the philosophical text. The term can be defined as ‘doing Philosophy’ in English and ‘philosophieren’ in German. That is; it’s not an education of scholastic or intellectual philosophy, but an teaching of ‘doing philosophy’. However, the learners do not know what ‘doing philosophy’ is, let alone how it’s done. Nevertheless, the teacher emphasizes that ‘teaching Philosophy’ should teach ‘doing philosophy’. Therefore, before further discussing ‘teaching Philosophy’, a clarification of how well the teacher must understand ‘doing philosophy’ is required. All teaching consists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essence of teaching Philosophy lies in the teacheror’s approach toward Philosophical studies. I’m ascertained that the present Methodology of teaching Philosophy does not provide an alternative for genuine teaching Philosophy. Hence I propose the ‘philosophically teaching’ method. teaching Philosophy should be an open education. Under the liberal and open approach, learners will finally be able to face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this way, they might break open and expand their own horizons. It is up to the teachers to provide the field for an open education. To become an open education, teaching Philosophy needs to adopt‘plays’. Philosophical plays can lead learners to view the world with their own minds. ‘Philosophically teaching’ can train learners to think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rough unforced plays.

      • KCI등재

        스포츠지도사와 스포츠철학

        김홍식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4

        Recently, some professors of kinesiology continue to deny the job relevance between sport coach and sport philosophy/ethics in Korea, although their position root on misunderstanding of role of sport philosophy/ethics in coach education.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recognize the job relevance between sport coach and sport philosophy/ethics and to reveal the misunderstanding of negative opinion, from experiential and logical background.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as the evidences: 1)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physical activity is undergraduate core of kinesiology from the time of physical education disciplinary movement. 2) sport/coaching philosophy and ethics is a required course in the representative coach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s. 3) the quality coaches must have strong and sound belief in meaning and values of sport coaching, based on philosophical concepts and theories, and ability to think the aim, objectives, contents, methods of sport coaching rationally. Finally, the denial opinions of the job relevance between sport coach and sport philosophy/ethics cannot justified for the rational evidences. 최근 스포츠지도사 자격 제도의 개선 논의 과정에서 스포츠철학 및 윤리 과목의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와 연관성을 부정하는 주장이 빈번하다. 이 주장은 스포츠지도사의 교육에 있어서 스포츠철학 및 윤리에 관한 무지 또는 오해에서 기인하며, 또한 이러한 문제 현실은 스포츠철학 연구자의 책무 소홀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지도사의 직무와 스포츠철학 간의 연관성을 확인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지도자의 교육에 있어 스포츠철학(및 윤리)의 위치 및 역할을 경험적 맥락과 논리적 맥락으로 고찰하였다. 1) 경험적 맥락에서, 첫째, 스포츠철학은 스포츠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학문적 소양의 핵심요소로서 현대 고등체육교육의 성립 이래 자리하여 왔다. 둘째, 스포츠철학(및 윤리) 혹은 코칭철학은 국내외 유수 스포츠지도자 교육 프로그램의 필수과목이다. 2) 논리적 맥락에서, 코칭철학은 단순히 경험 속에서 축적, 정립되는 개인적 철학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코치는 목표와 가치, 과정과 윤리를 합당하게 생각하고 결정하며 실천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철학적 개념과 사유의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스포츠철학(및 윤리)에 과목이 스포츠지도자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것은 당위적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고찰 및 논의를 통해 스포츠지도사와 스포츠철학 간 직무연관성을 부정하는 주장은 경험적으로, 논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음을 밝혔다.

      • KCI등재

        노자철학을 통해 본 철학실천의 일상성에 관한 의미 고찰

        이태형,김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81

        본 논문은 철학실천의 내용으로,철학상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의 의미를노자철학의 평등적 세계관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것은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화의 행위성이 갖는 치유적 의미를 철학이 지향하는 자기이해의 과정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내용이 된다.또한 이것은 철학적 대화의 실천적 의미를 일상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규명하는 과정이 된다. 철학상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의 방식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평등적 관계맺기를 전제한다.그리고 이것은 철학상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단순히 정보를교류하는 지식 생성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말한다.이 점에서 상담자와내담자 사이의 상호적인 관계성을 기반으로 철학상담은 방법론의 측면에서 대화의 형식을 취하지만,철학적 대화의 과정은 내담자 스스로에 의해 이루어지는자기표현의 자기이해 과정을 대화를 통해 동기화 하는 내용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세계에 대한 평등적인 관계맺기의 사유방식을 강조하는노자철학을 통해 철학실천의 대화를 재해석한다.그리고 이것은 평등적인 대화의 과정을 통해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적인 관계성을 확장해 나아가는 철학상담의 대화를 노자철학의 평등적 세계관과 연계하여 그 의미를 제고하는내용이 된다. 더욱이,철학상담은 내담자가 경험하는 일상의 문제를 철학적 대화를 통해해결하고,내담자의 일상 복귀를 돕는 것에 의미를 둔다.이와 같이 철학상담이지향하는 일상의 회복은 치료적 의미를 강조하는 심리치료와 구별된다.즉,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적인 관계맺음을 평등적인 대화의 행위를 통해 수행하는 철학상담은 대화에 참여하는 내담자의 행위 자체에 의미를 가지는 한편 대화의 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내담자 스스로에 의한 자기이해의 과정에 주목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unctional meaning of dialogue in philosophical counseling in connection with the equal worldview of Lao-tzu philosophy as the content of philosophical practice. This is to clarify the behavior of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in connection with the healing functionality of the philosophical conversation. The method of conversation in philosophical counseling presupposes the establishment of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And this means that conversations in philosophical counseling are more than just the act of generating knowledge to exchange information. In this regard, philosophical counseling takes the form of a philosophical dialogue in terms of methodology,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but in terms of content, it has a practical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onduct a conversation for voluntary self-understanding made by the client himself. This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of conversation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should aim for is the result of being diluted by the distorted values of reality that it is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reinterprets the conversation of philosophical practice through Lao-tzu's philosophy that emphasizes the way of thinking about establishing an equ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this is a process of re-signify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ialogu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rough the equal worldview of Lao-tzu's philosophy, which expand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through the method of equal dialogue. Moreover, philosophical counseling focuses on solving daily problems experienced by the client through philosophical conversation and helping the client return to his daily life. In this way, the restoration of daily life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aims for is distinguished from psychotherapy that emphasizes therapeutic meaning. In other words,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conducts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through the act of equal dialogue, has a meaning to the actions of the client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by the client himself arising from the actions of the conversation

      • KCI등재후보

        데카르트와 실천의 문제 : 철학 실천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김선영 서양근대철학회 2013 근대철학 Vol.8 No.1

        ChezDescartesle problème de la pratique est non seulement la moraleoul’éthique quisontnomméengénéralela philosophiepratique maisla pratiquedela philosophie.Danscette article nousexaminons dans quelle mesurecette pratique de la philosophie est possible. Descartessuitla définitiondela philosophieentant quela chercherde la sagesse. Orpourlui cette philosophiedoits’appliquer àla système d’unétat et la vied’unepersonne.Cequesignifie la vraiphilosophie n’estpasla possessiondela sagessemaiselle doitêtreutile.Etcela n’estpasséparableavecla questiondela connasissance. Maisceque se posela connaissance n’estpasaccmulerles théories d’unetelle ou telle celèbre philosophie. Parcontre la connaissance concerne en des premières causes et principes. Et un homme sage et philosopher signifie quelqu’un qui possède ces premières causes et principes et peut s’appliquer à soi-mêmê. Entant que l’homme a bon sens, la raison, il peutêtre philosopher. Surtoutpour Descqrtesl’homme sage peut conduire le jugement en bon jugement, et ensuite en bonne action.parcequepourbienfaire il suffitdebienjuger. Etl’homme qui puisbienfaire est unhommelilbre dansla musureoùla volontéest libre. 데카르트에서 실천의 문제는 단지 실천철학을 의미하는 도덕, 윤리의 문제가아니라 보다 넓은 철학의 실천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철학의 실천 가능성, 즉 철학의 실천이 어떤 방식에서 성립 가능한지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데카르트는 지혜에 대한 탐구로 정의되는 철학이 국가 체제 혹은 개인의 삶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철학은 단지 소유되는 지식, 지혜가아니라 유용한 것이어야 하는데 데카르트는 이것을 지식의 문제와 분리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이때 지식은 이전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이론을 획득하는 지식이 아니라 첫 번째 원인들과 원리들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이를 획득하여 스스로 적용하는 사람이 바로 지혜로운 사람이며 철학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이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상식, 이성 덕분에 철학의 보편화가 가능하다고 데카르트는 파악한다. 또한 데카르트는 지혜로운 사람은 특히 지성과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판단을 잘못된 판단이 아니라 올바른 판단으로 이끌 수 있으며 이 올바른 판단을이어서 올바른 행위로 이행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올바른판단은 올바른 행위의 필요충분조건이다. 그리고 올바른 판단에 의해 올바른 행위를 하는 사람은 곧 의지가 자유라는 한에서 자유로운 사람이기도 하다. 결국데카르트가 생각하는 개인에게 있어서 철학 적용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혜로우며자유로운 사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