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철학적 최상급

        남경희(Kyung-Hee Nam)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7

        본 논문은 서구철학의 사유범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이곳에서는 가장 중요한 범주의 하나로 철학적 최상급을 검토한다. 본 논문은 우선 서구의 주요 철학자들, 대표적으로 플라톤, 데칼트, 칸트 철학의 주축을 이루는 주요 개념들이 철학적 최상급임을 지적한다. 플라톤의 형상은 존재론적 최상급이며, 데칼트의 방법적 회의의 원리가 되었던 절대 확실성의 이념은 인식론적 최상급, 그리고 칸트 윤리학의 기초를 이루는 선의지나 정언명령은 윤리적 최상급의 전형이다. 두 번째로 이들 철학자들이 최상급적 존재를 상정한 주요 논거를 검토한다: 그들은 주로 비교급적 진술의 준거로, 지향적 활동의 최종 목표지점으로서, 술어의 의미 근거가 되는 속성의 전형으로, 그리고 의미 규칙론적 입장에서 최상급적 존재를 상정하였다. 최상급의 논리를 검토한 후, 본 논문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이들 논리와 개념들의 문제점을 규명한다. 의미 규칙론과 관련하여 규칙을 상정함이 논리적 역설을 유발함을, 그리고 속성 전형론과 관련하여 전형적 속성이란 오히려 경험적 속성에 의존함을 지적한다. 나아가 절대 확실성의 개념이란 논리적으로 부조리함을, 그리고 의미 있고 실질적인 윤리적 가치나 덕목은 대부분의 사람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함을, 따라서 윤리적 술어문장의 의미는, 이들 대부분이 진리임을 논리적으로 요청함을 논한다. 본 논문은 결론에서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과 이에 기초한 사고법에 대한 대안으로, 비교급적 패러다임의 사고법을 제안한다. This paper is a critical study on one of the central philosophical categories of the West: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I point out that the central concepts of major western philosophers are the typical cases of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 Plato’s Eidos is an ontological superlative, Descartes’ cogito is an epistemological superlative, and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is an ethical superlative.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examines the logics and arguments for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s. Main reasons suggested for positing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s are the following: we need the criteria for comparative judgements; there must be end-point of our intensional activities;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s are the ontological basis for empirical properties: they serve as universal rules for all kinds of rule-following actions such as performing ethical actions and using predicates. In the last part, I critically examine the above arguments. 1) Positing universal rules entails a logical paradox, as Wittgenstein points out. 2) Contrary to traditional views, the notion of philosophical superlatives depends upon comparative judgements. 3) The ideal of logically infallible knowledge is problematic, since the notion of knowledge is form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rror. 4) For ethical and epistemic values and ideals to be meaningful and material, they ought to be something that can be achieved by majority of people. As a coclusion, I propose a paradigm of comparative thinking, which I believe may be found in Eastern conceptions of mind and reason(Li 理 or Gyul).

      • KCI등재

        플라톤과 서양철학사 : 자체성(auto kath’ auto)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경희(Nam, Kyung-Hee)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1

        플라톤이 서양 철학사에 끼친 영향은 기초적이고 다기적이나, 본고에서는 자체성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들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적 사유법을 위한 단서를 제안한다. 서구 철학의 주축적인 사유틀이나 개념들의 원류가 되는 것이 플라톤의 ‘바로 그것, 그 자신에 즉해 있는 것(auto kath’ auto: itself by itself)’ 또는 간단히,‘자체적인 것’이라는 개념이다. 이는 그가 형상을 규정하는 가장 대표적이며 고유한 표현으로, 자기동일성, 불가환원성, 독립성, 실체성 등을 함의한다. 자체적인 것의 개념은 두어 단계의 추론을 거치면,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바, ‘철학적 사실’, 또는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자체성이나 최상급의 개념은 이후 서양철학자들, 가령, 데칼트의 절대 확실성 (인식적 최상급), 칸트의 정언명령이나 선의지(윤리적 최상급), 정치철학의 이상국, 논리실증주의의 이상 언어(언어적 최상급) 등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근현대의 인식론, 윤리학, 논리학 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사유범주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검토한다. 이런 검토에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데이빗슨 등의 논의를 원용한다. 전면적 회의나 절대 확실성의 개념은 부조리하고, 철학적 사실 또는 최상급을 상정할 때, 규칙 준수의 역설에 봉착한다. 보편자, 추상체 둥의 자체적인 것 또는 최상급적 존재는 사념의 대상으로서 그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는 사밀적 존재이기에, 언어의 의미 기초가 될 수 없다. 이런 문제점들은 자체성이나 철학적 최상급 개념,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는 서구 철학의 제 개념들이나 사유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새로운 사고법을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단서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등이 제안하는 언어의 중심성, 마음의 사회성, 관계성, 그리고 동아시아적 사유법 등을 제안한다. 우리는 동아시아에서는 자체성, 실체성, 최상급, 심지어 진리 개념이 없이도 오랜 철학의 전통을 지속해 왔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Plato’s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ies are basic and manifold. This paper focuses on his concepts of ‘auto kath’ auto’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s. It further examines problems of these concepts and their history of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y, and suggests clues for alternative thinking. It is Plato’s ‘auto kath’ auto(itself by itself)’ that is the source of the main reasoning and concepts of Western philosophers.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unique expression when Plato defines main features of his Form. This phrase implies self-identity, irreducibility, independence, and essence. This concept leads Plato to form what Wittgenstein mentions as ‘philosophical facts’ or ‘philosophical superlatives.’ The concept of superlative is the logical basis for central concepts of major Western philosophers, such as the absolute certainty of Descartes (epistemological superlative),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or good-will (ethical superlative), the ideal language of logical positivism (linguistic superlative). These concepts have exercised long-lasting influences on modern epistemology, ethics and logic. This paper points out problems of these concepts, utilizing discussions of Wittgenstein, Saussure, and D. Davidson. The notion of absolute certainty or global skepticism is logically absurd, and assumming existence of philosophical facts leads us to lace the rule following paradox. It is argued that the self-identical or superlative being such as universals or abstracts turns out to be private entities which cannot provide the objective foundation for meanings of language. Thus the concepts of self-identity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 and thought-categories of Western philosophy based on these must be critically reconsidered. These criticisms do not entail the end of philosophy. We need to look for new ways of thinking, and we may find some clues in centrality of language suggested by Wittgenstein, sociability of the mind, inter-dependance of existence, and East Asian concept of Li(禮) or correct name(正名). We should note that East Asian philosophers have developped a long tradition of philosophy without concepts of self-identity, philosophical superlatives, or even without the notion of truth.

      • KCI등재

        『갈매기의 꿈』: 철학적 갈매기의 비상과 제4부의 재발견, 그리고 텍스트의 재탄생

        정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5 No.-

        『갈매기의 꿈』의 주인공인 조나단에 대한 의인화된 스토리텔링은 그림/사진 이미지들과 함께 각각 지면 속에 나뉘어서 펼쳐지는데, 고통을 수반하는 배움과 성장의 과정에서 자신의 모습이 변모하는 신비한 변신의 모티프를 지니고 있다. 마치 칸트 철학을 자연히 읊조리는 조나단의 대화는 그의 어머니에게 말을 건네는 것으로, 칸트의 첫번째 질문으로 알려진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라는 지적인 것에 대해서이다. 조나단의 철학적 비상은 그가 곧 처하게 되는 실존적 상황으로 인해 기존의 관념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자아를 찾기 위해 자신을 더욱 전환하게 한다. 조나단의 우화는 현실 안주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자유 의지의 표출이며, 홀로 우주에 던져진 존재로서 21세기 초인 오늘날 환경 위기의 극한 상황을 맞이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생태학적 상상력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는 모험 서사이다. 『갈매기의 꿈』은 자아 탐험의 교훈을 전하는 서사로서, 또는 갈매기들의 모험담을 담은 우화로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새롭게 읽을 수 있다. 이 중편소설은 “가장 높이 날으는 갈매기가 가장 멀리 본다”라는 격언이 주제문으로서, 우선 그것이 지닌 절대 최상급의 심층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래 영문판에서는 장식문으로 사용하지 않았던 이 격언이 갈매기 한 마리가 나는 그림/사진 이미지와 함께 제1부보다 앞쪽에 사용된 것은 국내 번역판에서만이다. 이는 1973년과 1986년에 각각 새로 출간한 문예출판사의 번역본만의 공통점이다. 2015년 ‘완성본’에 이르러서야 한역 판에서도 이 장식 문장은 제외되었다. 이와 같이 이 논문은 한영판 간의 글과 사진/그림 이미지 간의 구성상 불일치, 제4부의 재발견과 그 효과에 대한 고찰을 포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