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과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

        유경훈 韓國英才學會 2009 영재교육연구 Vol.19 No.3

        본고는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을 탐구함으로 상상력과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를 세우는 목적을 가진다.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이 서구지성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과 상상력 이론이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 정립에 기여하는 바를 다룬다.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상상력이 이미지를 형성하는 능력인가 아니면 이미지를 변형하는 능력인가를 변별하는 과정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미지의 형성 능력은 서구사상사에 등장하는 모방론 혹은 재현론과 연결되며, 더 나아가 시각중심주의와 이성중심 주의의 틀과 연결된다. 바슐라르는 상상력이 이미지의 형성능력이 아니라고 단호하게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상상력이 비상하기위해 필요한 날개가 앞에서 언급한 틀 안에서는 자라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온 해답이 바로 이미지의 변형 능력으로서의 상상력이다. 이미지의 변형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은 운동의 역능을 그 핵심으로 두고 있는데, 실체의 연속적 변화를 측정하는 개념을 현시할 수 있는 이론을 구성한다. 공간분할을 통해 운동을 통제 가능한 순간의 합산으로 처리하는 것을 비판하여, 상상력의 운동이 갖는 참된 에너지와 의미를 밟혀낸다. 더 나아가 본고는 바슐라르의 상상력이론이 기존의 연구보다 훨씬 더 칸트의 상상력과 미학의 반성적 판단과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 탐구를 통해 상상력을 체험할 수 있는 철학적 가능정의 조건을 형성한다. 이런 조건의 형성이 곧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줌과 아울러 상상력과 창의력의 존재론과 윤리의 문제를 다룸으로 본고를 마감한다. This paper explores in depth Gasto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so as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bases of creativity. While he had begun his studies on imagination to eliminate unreliable subjectivity hampering objectivity of philosophy of science, he was fascinated to become a philosopher of imagination by its unlimited power. Since his theory of imagination marked a prominent spot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 this paper will seek its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ill also shed light on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creativity. The best way to approach his theory is to differentiate whether imagination is the power of forming images or that of transforming them. If not misguided by surface simplicity of the aforementioned differentiation, it will be revealed that it has accrued strata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 The power of forming images is related to theory of mimesis or of representation, and to ocularcentric and logo-centric structures. Bachelard strongly opposes to the theory of imagination as power of forming images, since, if it is so, its expansion and development are not possible. He thereby constructs the theory of imagination as power of transforming images. The force of movement lies at the core of his theory. Imagination as an ability to intuit move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change in the history of Western idea. If an entity is incessantly changes itself, it becomes a crucial role of imagination to capture the force perse in the perpetual movement without distortedly and abruptly fixing it at a still point of time and space. Bachelard criticizes such a method that makes movement a controllable entity consisting of partitioned moments of space; instead, he constructs theory of imagination that reveals the true power of indispensable movement. Furthermore, it will be revealed that Bachelard's theory has more affinities with Kantian imagination and reflective judgement of aesthetics than the past researches on Bachelard showed. This paper, by means of the above investigation, will transcend the superficiality of defining what are Bachelard's formal, material, and dynamic imaginations; simultaneously, it will bear philosophical conditions of possibility that makes us experience imagination fully. These conditions also becom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creativity. It will draw to a provisional close its imaginative journey of everlasting movement by making ontological and ethical dimensions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 KCI등재

        철학적 사유로서 상상력과 디자인사고 연구

        김민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의 전개와 과정에 대하여 철학적 관점에서 디자인사고를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사회문화적 가치에 적합한 디자인사고의 전개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디자인사고는 디자인 행위과정에서 창조적인 상상력의 전개와 실현 가능한 가치를 획득하고, 인간을 위한 디자인을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의 가치를 재현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법론일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사고과정을 철학적인 배경으로 연구함으로써 디자인사고의 필요성과 가치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가스통 바슐라르가 주장한 상상력과 사고의 근원적 맥락을 이해하고, 인간의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디자인사고의 접근 방법론에 대하여 인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디자인의 가치와 정량화되지 않는 디자인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도구의 인간인 인류는 도구를 통해 신체적인 결핍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 디자인사고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사고의 전개과정은 이러한 인간의 사유방식과 맥락을 같이하며,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영특한 기능이기도 한 것이다. 인간의 욕구는 시대의 트렌드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그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과 디자인적 가치도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디자인은 디자인의 소비자인 대중의 요구와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이해가 디자인사고의 출발점이 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ology of developing Design Thinking suitable for new social and cultural values by studying Design Thinking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Design Thinking will be a method of problem solving in order to acquire creative imagination and realizable value in the design process and reproduce design values for human design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design thinking process is to study the need and value of Design Thinking by study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context of imagination and thought claimed by Platon, Aristotle, Immanuel Kant and Gaston Bachelard and to understand the human thought proces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the company aims to promote the value of design and understanding of design that is not quantified. Human beings wanted to solve physical complexities through tools,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design think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thinking is in line with the human way of thinking and is also the most prominent function given to human beings. Human desires have changed with the trends of the times, and so have the functional and design values required. Design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s the starting point for design thinki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public and the value pursued.

      • KCI등재후보

        철학적 주제로서의 상상력이론에 대한 접근

        홍병선(Hong, ByungSun)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지식융합연구 Vol.3 No.1

        In this study, I want to focus on the imagination that is the basis of creativity. Considering that the argument about imagination is a philosophical them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on of artistic creation and scientific hypothesis. In that respect, imaginatio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philosophy,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human intellectual creation work. So, among philosophers, almost no one has paid any attention to this topic, and has presented various theories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lso to examine in detail the different opinions of the imagination and, based on its analysis and evaluation,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how this can contribute to creativity development. Especially.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에 해당하는 상상력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자 한다. 상상력을 둘러싼 논의가 철학적 주제임을 감안했을 때, 그것이 예술적 창조나 과학적 가설의 성립 등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철학에서 핵심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인 상상력은 인간의 지적 창조 작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서 철학자들 사이에서 이 주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사람이 거의 드물 정도로 이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이론을 제시해 왔다. 이 글의 목적 또한 상상력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이것이 창의성 함양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그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있다.

      • KCI등재

        철학적 사유로서 상상력과 디자인사고 연구

        김효일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ology of developing Design Thinking suitable for new social and cultural values by studying Design Thinking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Design Thinking will be a method of problem solving in order to acquire creative imagination and realizable value in the design process and reproduce design values for human design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design thinking process is to study the need and value of Design Thinking by study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context of imagination and thought claimed by Platon, Aristotle, Immanuel Kant and Gaston Bachelard and to understand the human thought proces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the company aims to promote the value of design and understanding of design that is not quantified. Human beings wanted to solve physical complexities through tools,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design think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thinking is in line with the human way of thinking and is also the most prominent function given to human beings. Human desires have changed with the trends of the times, and so have the functional and design values required. Design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s the starting point for design thinki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public and the value pursued.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의 전개와 과정에 대하여 철학적 관점에서 디자인사고를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사회문화적 가치에 적합한 디자인사고의 전개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디자인사고는 디자인 행위과정에서 창조적인 상상력의 전개와 실현 가능한 가치를 획득하고, 인간을 위한 디자인을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의 가치를 재현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방법론일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사고과정을 철학적인 배경으로 연구함으로써 디자인사고의 필요성과 가치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가스통 바슐라르가 주장한 상상력과 사고의 근원적 맥락을 이해하고, 인간의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디자인사고의 접근 방법론에 대하여 인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디자인의 가치와 정량화되지 않는 디자인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도구의 인간인 인류는 도구를 통해 신체적인 결핍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 디자인사고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사고의 전개과정은 이러한 인간의 사유방식과 맥락을 같이하며,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영특한 기능이기도 한 것이다. 인간의 욕구는 시대의 트렌드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그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과 디자인적 가치도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디자인은 디자인의 소비자인 대중의 요구와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이해가 디자인사고의 출발점이 된다.

      • KCI등재

        철학의 시적, 시의 철학적 태도에 나타난 호혜적 양상

        강동완(Kang, Dongwan)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본 논문은 인문학의 중요한 과제인 문학과 철학 간의 접경(接境)내지 월경(越境)의 설정문제를 놓고, 두 영역 사이의 유동적인 관계들, 그리고 그 확산과 이에서 비롯된 알력 및 혼전의 양상 속에서 도리어 호혜적 측면에 관심을 두어 살폈다. 이는 그간의 고착화된 문법이 지켜왔던 경계선을 뛰어넘어 양자의 공조 관계를 확인하고 기존의 분할된 사유방식들의 결합과 학접(學接)에 근거한 호혜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비평의 측면에서 옮겨놓기의 일환으로서의 ‘페러프레이즈’ 작업과 이를 제거하는 ‘해체’와 ‘오독’의 순기능이 적용된 호혜적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을 다각적인 근거를 통해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먼저 철학하는 것의 태도인 ‘놀라움’, 그리고 그 구체적 본질이 되는 찬미는 다름 아닌 시작(詩作)의 본질로 전이되는 것, 둘째 철학적 상상력이 시적 상상력으로 전이되는 영역 간 호혜를 통해, 철학적 사유에 따른 논리와 규범에서 기인한 철학적 포괄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오히려 대상 세계를 초월하여 새로운 관념적 질서를 창조하는 시인의 정신활동과 로고스적 능력을 논증했으며,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출구를 문학에서 찾으려 했던 과정에, 필연적으로 그 한계가 노출되었고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매울 수 있는 계기를 주·객관의 문제를 들어 철학적 고찰 속에서 살폈다. 요컨대 문학과 철학, 그리고 철학과 문학의 관계는 보편적 해석에서 발로된 철학의 이성적 전통에 대한 존중과 역으로 종래의 철학이 고수한 근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유연한 일탈이 가져 올 호혜적 양상의 지속이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reciprocal perspective of fluid relationship between two regions and the conflict and confusion from expansion on the criteria of setting border or transcendental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 significant project of the humanities. This is to overcome the boundary by fixed laws of literature to confirm the cooperation between two and to promote literature product through reciprocity based on combination and academic conglomeration of conventionally divided system. For this, at first, as a solution to move it away from literature critics, the reciprocal transition with application of "paraphrase", "decommissioning" to remove, and proper function of "misreading" were evaluated. Thereafter, such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through multilateral bases. Here at, first, "surprise", the aspect of philosophy, and applaud of concrete fundamental to be transferred to the fundamental of beginning, second, recognition of philosophical logic and philosophical inclusiveness from standard and proof of logos ability and psychological activity of poet creating a new ideological order by transcending the subject world through reciprocity between regions transferred from philosophical imagination to poetic imagination, and at last, philosophical reconsideration on subjective and objective issues to refill and overcome the limits from finding of the exit at literature to defeat the epistemic boundary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shall be maintained as a reciprocal transition from flexible deviation from the fundamentalistic perspective promoted by conventional philosophy and as a respect of logical tradition of philosophy from conservative analysis.

      • KCI등재

        법학에 철학적 상상력의 자리는 있는가?

        박준석 ( Joon Seok Par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3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philosophy and its meaning in the contemporary jurisprudence and legal theory. This paper suggests that interaction between law and philosophy can promote jurisprudence and legal science, although relationship between them at present time is no more intimate as it was in the traditional world. Reasons on which the claim suggested by this paper rel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 divorce between law and philosophy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shows the fact that the principled justification of law became more vulnerable and thereby that law became a mere doctrinal system. Secondly, according to the legal argumentation theory of contemporary jurisprudence, which presupposes the concept of law as persuasion and argument, legal judgment ought to be grounded on rational reason as well as legal reason. Therefore, philosophy as an art of rational analysis and argument can contribute to legal interpretation and judgment. Lastly, the fact that more creative and critical approaches to legal interpretation are required following the evolution of law attests that law can be more fully understood, or more intelligible, when both lawyer`s and philosopher`s perspectives employed.

      • KCI등재후보

        철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음악기초교육의 대안 모색

        이수정,홍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1

        기존 음악교육에서는 실기 중심의 음악교육과 기초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을 혼동해서 적용해 왔다. 실기 중심의 음악교육은 기교 및 기능 중심의 교육이라는 점에서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과는 차별화된다. 그래서 기능 중심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음악교육과 교양기초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을 혼용하여 적용할 경우 창의성 함양이라는 예술교육의 본래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예술교육이 ‘예술가의 사고 과정’이라는 사실을 이해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그래서 음악교육은 비-인지적인 과목으로 비쳐질 것이다. 따라서 기능 중심의 음악교육은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에 기반해야만 한다. 이 글의 목적은 창의성 함양이라는 음악교육의 본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음악교육과정에 ‘음악적 상상력 함양’이라는 철학적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음악이 인지적인 과목으로서 창의적 인재육성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이고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Until now, music education has been applied as confusing practical-oriented music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as of the basic education. Music education of practical-oriented is finesse and functionality centered education. In that respect, function-oriented music education different from music education as the liberal arts basic education. So, if applied incorrectly with mixed feature-oriented music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there will be a limit to achieve essential goal of arts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ity. As a result, this will lead to results that do not understand fact that arts education is 'an artist's thinking process'. Thus, feature-oriented music education must be based on the music education of the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apply by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approach to cultivate the musical imagination in music curriculum as a measure for achieving essential purpose of music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ity.

      • KCI등재

        흄의 외부 세계 현존 문제

        백승환 서양근대철학회 2022 근대철학 Vol.20 No.-

        본고는 흄의 외부 세계 현존 문제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을 꾀한다. 흄은 그의 주저 『인성론』 1권, 4부, 2절 논의(“감관들에 관련된 회의주의에 대해서Of Scepticism with Regard to the Senses”)에서 지금까지도 계속 철학자들의 골치를 썩이는 이 문제를 다룬다. 하지만 흄의 논의는 필요 이상으로 장황하고 복잡다단하며 불분명한 탓에, 일단 먼저 그가 제시한 논증을 차례대로 좇아서 살피기 전에 논증의 전 구조를 망라하는 그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 필자는, 첫째, 외부 세계 현존 문제를 위한 흄의 논증 기저에 놓인 근본적 사유틀을 압축해서 드러낸다. 둘째, 이러한 사유틀을 기초로 해서 발현된 흄의 논증에 깃든 다양한 문제점들을 살핀다. 필자는 흄의 논증에 대한 비판을 면밀하게 수행하는 과정에서 김효명 교수가 『영국경험론』 제5장 말미(pp.152-162.)에서 흄의 견해를 줄곧 따라서 보인 해석이 직면하는 어려움도 보인다. 셋째, 지금까지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국 흄은 그의 자연주의를 지탱하는 능력에 일관되게 호소하면서 외부 세계 현존 문제에 대한 의미 있는 (즉, 존재론적 차원의 논의를 심리학적 차원의 논의로 전환하는) 답변을 제시하고자 하지만, 그의 노력은 그가 매우 의도성 짙게 ‘지각’과 ‘대상’을 상호 무분별히 뒤섞어서 쓰는 사정에 기인하기 때문에 논의에 일관성이 없으며, 이러한 비일관적 상황이 초래하는 결과는 그의 인간학에 대한 근원적 회의로 나타남이 지적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태적 사유와 서정시의 지향

        유성호(Yoo Sung-Ho) 문학과 환경학회 2009 문학과 환경 Vol.8 No.1

        Ecological thoughts arising as the last ethics and a radical alternative in our society, accepts the nature as a life dwelling the scared. Then it has introspective sight on self-replicating theory thinking the ecological thoughts as the source for realizing human desire. However the ecological thought in these days indicates following limitations. First, poems of ecology begin to exposure negative tendency such as average vulgarization and overflowing of materialism. They don't express new aesthetic coordinate showing changing sense and recognition and only include simple dictions describing enjoying the nature and the pose of anti-civilization maximization. Second, poems of ecology show a plain state of union between principal and auxiliary consistently. This is resulted from desire to combine East spirit and ecological intention. Also these poems clearly show the process of erasing subject omitting the process of subject's valuation then absolutely immersing to the nature. Third, poems of ecology are lacking in-depth consideration on class inequality which is mediated with environment problems. This is the most weakness that our poems of ecology showed. This is a example which class recognition arising in 1980s' wasn't meditated with ecological thoughts. Finally, behind hatred of human indicated in recently poems of ecology, we suspect the ultimate negation on human. Absoluteness tendency that the nature is good and human is bad is anti-ecological itself. Because all art rouses through imagination of human. Poems of ecology in the contemporaneous have two tasks. One is they guard against above four problems, the other is they have to extend philosophical foundation.

      • KCI등재

        『아들과 연인』에 나타난 갈등의 문제 -형이상학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정익순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2 외국학연구 Vol.- No.19

        This thesis scrutinizes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Lawrence's Sons and Lovers. There are relationships with characters providing critical thinking that helps us understand text has something absent and silent. It is important to be acquainted with the fact that we are thinking with sense and reason. Because human beings have knowledge on the basis of the events and things we can make an experiment to know the way we are living in a possible world and explore the insight of the actual world to represent the real things. In this thesis the main character Paul Morel has the law of causality with three women showing us the deficiency of affection, the conflicts with his parents, and self-schizophrenic disorder with his lovers. In order to understand Paul we should know that modernism is based on the life of human that is independent from the judgement and justice of literary imagination and philosophical thinking. Modernism seems to seek how to live moderately in an ambivalent and ambiguous place apart from the actual world only to find it is an unreal place left for human beings as an evidence of rudimental, analogous and vestigial memory and appearance we could describe in a past but still existing thing. And it is the metaphysics we understand the interpretation of event with speculatively critical thinking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with the hypothesis or postulate that makes a solution to the requirements to be satisfactory in literary and philosophical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