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지방 철정 유통의 특징과 가야권역과의 교역 양상

        이춘선 ( Lee Choonsun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7 No.-

        이 연구는 호남지방 내 철소재인 철정의 내부 유통 특징에 따른 호남지방의 마한세력의 철소재유통의 특징과 가야와의 교역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호남지방에서 출토된 철정에 대한 형식분류와 편년을 실시하였다. 이후 철정이 출토되는 유구인 분묘부장, 주거지, 의례에서 유통되는 특징과 철기를 가공하는 단야구와 철소재를 단순 가공한 의례용 부형철기의 부장을 통해 호남지방의 철정 유통 특징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호남지방 내 철정 출토 유구에 따른 철정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호남 철정 유통 양상을 보면 분묘부장 철정은 이른 시기 호남지방 재지 수장층의 목관묘와 전용옹관 이전의 재지 옹관묘를 중심으로 철정이 부장되었고 전용옹관묘 단계에는 부장되지 않는다. 주거지를 통한 초소형의 철정은 마한에서 촌락별 철기제작이 가능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시기 호남지방의 의례용 철기나 단야구의 출토로 보아 철소재를 통한 자체 생산단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백제의 마한 진출 이후 이들에 의한 유통은 발달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호남 동부지역의 소가야양식 토기와 석곽묘, 주거지가 확대되는 지역을 따라 철정의 유통이 다시 확대되고 있으며 석실묘에서는 위신재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철정이 해안과 교통의 중심인 의례유적에서 출토되어 기항지를 중심으로 한 마한 공동체 사회의 제의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정의 내부유통 특징과 분포양상을 통해 가야권역과의 관계를 살펴보면Ⅰ단계에는 금관가야와 관련된 해안 재지 수장층을 중심으로 부장된다. 이후 호남지방 세력은 마한의 해안 재지세력이 금관가야와 철정 교역을 통해 성장하였다. Ⅱ, Ⅲ단계인 4세기 중·후엽 금관가야의 철기공인이 중소 읍락으로 확대되며 아라가야에서도 자체적인 철정이 생산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연합에 의한 두 계통의 철정이 유통되고 있으며 마한 재지세력에서도 철정 교역이 중소형 촌락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그러나, 철정을 통한 내부 유통은 성행하지 못하였고 Ⅳ단계 이후 호남 동부 섬진강 상류와 남해안 교역을 담당한 소가야연맹체와 마한 재지 해양세력과의 교역을 통해 철정이 유통되었다. 따라서 호남지방과 가야권역의 교역은 남해안 교역 주체의 변화에 따라 금관가야-금관·아라가야연맹-소가야 연맹체로 변화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materials in Mahan powers and the meaning of trade with Gay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ron ingots, which is iron material, within Honam area.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type classification and chronicle recording for the iron ingots excavated from Honam area. Afterwards,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was reviewed through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relics where the iron ingots are excavated such as the tombs as well as the residential and ritual sites, the Smith’s tools that were used for processing ironware, and the tomb furnishings such as molding ironware that were simply processed from iron materials for using in a ritual ceremony. Based on such review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changes in distribution of iron ingots for the relics where those iron ingots were excavated in Honam area. In reviewing the distribution trend of iron ingots in Honam area, the iron ingots of tomb furnishings were mainly buried in the wooden coffin tombs and the jar coffin tombs, which were used prior to the dedicated jar tombs, of the higher classes in local regions of Honam area at early times, but were not buried in a phase of the dedicated jar coffin tombs. In addition, it is able to know that fabrication of ironware was possible in each village of Mahan in case of sub-miniature iron ingots through residential sites. Along wit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was a self-production phase with iron materials in light of the excavation of ritual ironware or the Smith’s tools in Honam area during this period. However, a distribution by Baekje was not developed after their entry into Mahan. On the other hand,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further in the eastern part of Honam again along the earthenware and stone lined tomb as well as the area where the residence site is expanded, and have started to play a role of the item that represents one’s dignity and prestige in the stone chamber tombs. In addition, the iron ingots were excavated from the ritual relics, which are the main places of coastal area and transportation, demonstrating the ritualistic nature of Mahan community based on the port of call.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rea and Gaya territory based on the internal transactio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trend of those iron ingots, it is observed in the phase I that those were mostly buried together with the higher classes who had lived in local regions of coastal area associated with Geumgwan Gaya. Since then, with regard to the powers in Honam area, the local powers of coastal regions in Mahan have grown through the trade of iron ingots with Geumgwan Gaya. In the phase II and III that belong to the mid to late 4th century, Ara Gaya also began to produce the iron ingots on their own as the blacksmiths of Geumgwan Gaya were dispersed to small and medium villages. At that time, two different series of iron ingots were used due to an alliance of Geumgwan Gaya and Ara Gaya, and the trades of iron ingots became also prevalent among the local powers in Mahan mainly based on small and medium villages. However, the internal distribution through iron ingots was not frequent, and after the phase IV, the iron ingots were distributed through trades with SoGaya, which was in charge of transactions in the upper area of Seomjin River and the southern coast, as well as the local marine powers in Mahan area. Therefore, trades between Honam area and Gaya territory was transformed to Geumgwan Gaya -> an alliance of Geumgwan-Ara Gaya -> SoGaya federation.

      • KCI등재

        호서지역 철정의 분포정형으로 본 유통양상의 변화와 제철기술의 확대

        이춘선 호서고고학회 2020 호서고고학 Vol.0 No.46

        The iron ingots is an important trade item in the Samhan region that the situation of the Samhan in the third century is recorded in Wiji Dongi-jeon of 『三國志(Samgukji)』. 弁辰韓(Byeonjinhan) was at the center and the record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volume was produced that Mahan, Oi (Japan), Nakrang, and Daebang made purchases. It could be attributed in the fact that the excavated volume in the Gimhae region of the Geumgwan Gaya was substantial and the trend of the burial ritual was overwhelming. Mahan, considered as a main location of consumption, particularly in the Hoseo region, showed increased excavated volum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ingots distribution with these regions could be lear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relics excavated from iron ingots of the Hoseo region within the Mahan territory and take a look at the shift of distribution for iron ingot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roning technology through the distribution formation in each region. For this purpose, the formation of the iron ingots excavated around the tomb sites in the Hoseo region is classified, set forth 5 phases in a way of comparing than with the excavated items from the Byeonjinhan region that is considered as the core part of the iron ingot distribution through the analysis on distribution formation for each phase and clarify that the iron ingots were flowing in through the exchanges with those regions. First of all, the distribution trend of the iron ingots had its phase one was in the Hoseo region with the phase one rod-like iron ingots to be confirmed in the tomb site of the highest hierarchy in the inner part of Hoseo in the Mihocheon basin, and the rod-like iron ingots that is confirmed in the inner part of Hoseo in the first part of the second century was on the trade with Byeonjinhyan that the trade route with them was centered around the inland trade connected to the upper stream of Nakdong-gang through Chupungryeon, Hwaryeong and Gyerim-ryeongas the transportation routes that connecting the inland of Youngnam and Inland of Hoseo and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relics status and burial ceremony commonly accompanies in each region of Mahan and Byeongjinhan. Thereafter, the flat-type iron ingots that is confirmed around the Hoseo coastline after the mid-third century for the phase two was exchanged with the Geumgwan Gaya region around the ruling class. The trade route for the iron ingots distribution was secured through the nearby coastal sea of southern coast - western coast after securing the sea route of the western-southern coasts by subsiding the war that was to attach Gara (Gyyaguk (구야국) by the Pyosang Palguk (eight small states in the region) that were existed in the western-southern coasts. The inland transportation route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trade items confirmed from each region as the result made through Yuksipryeong and Palryeongchi with close cooperation with Anra-guk. Thereafter, for the Namgang Inland route was continued as the trade route for Baekje and Gaya. In the phase to have the iron ingots to be standardized after the mid-fourth century for phase three, the burial goods as the mid to upper class in the region increases to have the burial of the smith's tools also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ron ingots. After the mid-fifth century for phase four, the transport route of the southwestern coastline is mainly used and the inland of Hoseo is transferred to the segmentation process of Baekje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ironing technology for expanding into the living relics. 철정은 삼한지역의 중요한 교역품으로 3세기 삼한의 상황을 묘사한 『三國志』 魏志 東夷傳에서도 기록되어 있다. 변진한이 중심이고 이것을 마한, 왜, 낙랑, 대방에서 사간다고 할 정도 많은 양이 생산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변하듯 구야국인 김해지역에서 출토량이 월등하고 부장의 양상에서도 압도적이다. 주요 소비지로 생각되는 마한, 그 중 호서지역 내에서 출토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 지역과의 철정유통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한지역 중 호서지역의 철정을 중심으로 철기생산의 유통망의 변화를 살펴보고 각 지역 내 분포정형을 통해 철정의 유통의 변화와 이를 통한 제철기술 발달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서지역 분묘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철정의 형식을 분류하고 5단계를 설정하여 단계별 그 분포정형에 따른 분석을 통해 철정유통의 중심이라고 생각되는 변·진한지역 출토품과 비교하고 이들과의 교류를 통해 철정이 유입됨을 분명히 하였다. 먼저, 철정의 유통양상은 1단계는 2세기 전반 호서내륙으로 확인되는 봉상형철정은 변·진한과의 교역에 의한 것으로 이들과의 교역로로는 영남의 내륙과 호서내륙을 이어주는 교통로인 추풍령, 육십령, 계림령, 팔령치를 통한 육로 교역이 중심이였음을 마한과 변·진한 지역 각각에서 공반되는 유물상과 부장의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2단계 3세기 중반이후로 호서해안을 중심으로 확인되는 판상형철정은 변한 지역이 철정유통의 중심세력으로 부상하며 철정이 유통되는 교역로는 동남부해안의 존재하였던 포상팔국들의 가라(구야국)을 공격하는 전쟁을 진압하면서 서남해안의 해로를 확보한 후 남해안-서해안 연근해 해상의 교역로를 통한 결과임을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 교역물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두 교통로가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철정의 유통은 호서지역 내 1단계 봉상형 철정은 미호천유역 호서내륙의 최고위계 묘역에서 확인되며, 2단계 서남해안에서 확인되는 판상형 철정은 서산 해안지역 수장층을 중심으로 교류한다. 이 단계까지 각 지역 철정의 유통에서 엄격한 통제가 있었으나 3단계 4세기 중엽 이후 철정이 규격화되는 단계에서는 지역 내 중상위 계층으로 부장되는 유구가 증가하며 철정과 함께 단야도구의 부장도 증가한다. 4단계는 서남해안의 교통로가 주로 이용되며 호서내륙은 백제의 영역화과정에 편입되어 지역 내 제철기술의 발전을 가져와 주거지나 환호 등 생활유적으로도 확대된다. 철정의 단순한 변형제작을 통한 의기성 철기의 부장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변한의 철정 유통은 쇠퇴하며 백제의 의한 철기가 제작되는 시점과 일치한다. 5단계에 소형철정이 부장되는 유구는 가야와 관련있는 토기유물이 출토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