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후기 白蓮寺 結社佛敎의 교학과 실천

        박용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0

        This study examined the T’ien-Tai Scripture on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Baekryeon-gyeolsa(白蓮結社)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reviewed the teachings and practices of Baekryeon-gyeolsa based on this.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The T’ien-Tai Scripture of Baekryeon-gyeolsa include the basic scriptures of Cheontaejong, “ Beoghwagyeong (法華經)”, and the Cheontaejiui “ Beobhwasammae- chamui (法華三昧懺儀),” and other scriptures were used. Pure Land Buddhism of Tiantai Sect of Baekryeon-gyeolsa used “ GwanmuryangSukyung (觀無量 壽經)” and “ GwanmuryangSukyung-myojong (觀無量壽經妙宗)” as well as “ Amitagyeong (阿彌陀經)” and so on. In the 1240’s, when Baekryeon-gyeolsa declared the association(結社), the Daejang-dogam(大藏都監) published books such as “ Cheontae-samdaebu-boju (天台三大部補注)” and so on. The teachings and practices of Baekryeon-gyeolsa divided into T’ien-Tai Doctrine, Beobhwa-sammae, and Pure Land Buddhism of Tiantai Sect. The Baekryeon-gyeolsa centered on the practice of Yeombul(念佛) and Repentance(懺悔), Songgyeong(誦經) and Jwaseon(坐禪), and Beophwa- Sammae(法華三昧) at Beobhwa-doryang(法華道場). The Baekryeon-gyeolsa’s Cheontae Jeongtogyo presented faith of Pure Land(淨土) through Amitabha Buddha yeombul while conducting repentance, exposition of Sutras(講經), and songju(誦呪) with a focus on T’ien-Tai Doctrine. On the other hand, Baekryeon-gyeolsa’s Jeongtogyo(淨土敎) pursued enlightenment through the practice of the ‘Silsang-yeombul(實相念佛)’ found in the “ Myojongcho (妙宗鈔)”. This two-sided upaya method(方便) can be a characteristic of the Baekryeon-gyeolsa’s Cheontae Jeongtogyo. 고려후기 백련결사의 관련 자료에서 천태교학과 실천에 대한 교전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백련사의 교학과 실천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코자 한다. 백련결사의 천태교전을 살펴보면, 천태종의 소의경전인 『법화경』을 핵심으로, 천태 지의의 『법화삼매참의』, 천태정토의 교전으로 『관무량수경』과 『관무량수경묘종초』 이 외에 『아미타경』 등 다양한 경론과 주석서가 천태교전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백련결사 가 본격적인 결사를 표방한 1240년대에 대장도감 및 분사도감에서는 『천태삼대부보주』, 『법화문구병기절요』, 『묘법연화경계환해』 등 천태교전을 간행하였다. 이 천태교전이 백 련결사가 주관한 간행인지는 분명치 않고, 그 관련성은 보다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백련결사의 천태교학과 실천에 대해서는 천태교관과 법화삼매, 그리고 정토신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백련결사는 법화도량의 염불과 참회, 송경과 좌선, 법화삼매의 지관 수행이 중심이 되었다. 특히, 백련사의 천태교관과 법화삼매참은 기본적으로 대자 적 수행의례에 해당되지만, 국가 진호와 개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대타적 기원의례인 축 수의 성격도 찾을 수 있다. 백련사의 천태정토신앙을 살펴보면, 천태교관을 중심으로 참회와 『법화경』 강경, 준제주 송주를 행하면서, 아미타불 칭명염불을 통하여 서방정토 왕생이 제시되었다. 한편으로 『묘종』에서 확인되는 관상염불과 실상염불의 지관수행을 통한 제법실상의 증득을 추구하는 수행과 교화의 방편성이 백련결사 천태정토신앙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백련결사는 사상적 측면에서는 천태교관을 중심으로 정토사상을 갖추었고, 의례적으로는 보현도량을 세워 참회행과 염불행의 실천수행을 핵심으로 하였 다. 백련결사의 성립과 전개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교 수행 지향적 결사에서 보현도 량을 세우고 결사를 표방한 이후에는 대타적 기원의례를 설행하면서 국가와 지역사회의 종교적 요구에 대응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