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기념물인식수준에따른자연에대한태도차이

        손지원 ( Ji Won Son ),신진호 ( Jin Ho Shin ),전용삼 ( Yong Sam Je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6

        천연기념물은 역사와 자연적 가치가 있는 자연유산으로 희귀성, 특수성, 역사성 등 학술 가치가 커 자연문화재로 지정 및 보호됐으나 최근에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국민의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도 천연기념물 관리의 주요한 임무가 되었다. 이를 위해 내장산국립공원에 소재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91호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과 제153호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천연기념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 및 이용 측면에서 방문객의 천연기념물에 대한 기본적 인식을 살펴보고 천연기념물 인식수준에 따른 자연에 대한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내장산국립공원 방문객 240명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상지의 천연기념물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굴거리나무군락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비자나무 숲보다 더 낮았다. 또한, 천연기념물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고, 문화재적 가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한 집단의 자연에 대한 태도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 지역의 천연기념물 활용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 natural monument is designated and protected as a natural or natural/cultural feature of outstanding or unique value because of its aesthetic qualities or cultural significance. However, in recent years, a natural monument plays a role in satisfying the cultural desire of people. For this reas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ublic awareness of natural monuments and to evaluate the attitudes towards nature the visitors to Naejang national park displaye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visitors’ level of attitudes towards nature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natural monuments. Population of Macropodous Daphniphyllum (Natural Monument No. 91) and Forest of Japanese Torreyas at Baegyangsa Temple, Jangseong (Natural Monument No. 153) are present in large numbers in Naejang national park. For the research, 240 Naejang national park visitors were surveyed to collect data.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ewer than 50% of visitors displayed an appropriate awareness of natural monument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nature according to visitors’ awareness of natural monuments. In particular, visitors’ awareness of the population of Macropodous Daphniphyllum was relatively lower when compared to that on Forest of Japanese Torreyas at Baegyangsa Temple. In addition, visitors who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about natural monuments and thought that natural monuments had high cultural value display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ose who didn``t have good levels of awar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changes to establish development plans of the natural monuments in this area.

      • KCI등재후보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최재웅,김동엽,Choi, Jai Ung,Kim, Dong Yeob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천연기념물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을 포함한 현재의 천연기념물 관련 체계는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 (1934)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골격이 지금까지 그대로 통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당산숲 비보숲은 우리나라 농어촌의 숲문화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자원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천연기념물을 포함한 당산숲 비보숲을 논할 때 천연기념물 등에서 사용하는 "명칭", "분류 체계" 등에 대해서 문화재청에서조차, '조선의임수(朝鮮の林藪)' (1938)라는 일제의 조사보고서에 실린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일제가 1938년에 '완도 예송리 당산숲'을 '례송리상녹수림(禮松里常綠樹林)'이라고 이름을 붙인 후, 현재까지도 우리 농어촌의 당산숲 비보숲을 천연기념물 등으로 지정할 때, 해안가의 경우 대부분 일제가 한 방식대로 '~상록수림'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천연기념물 제도의 출발점인 일제강점기의 '조선의임수(朝鮮の林藪)' 등 일본 자료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고, '조선의임수(朝鮮の林藪)' 등의 논리를 우리의 당산숲 비보숲 등에 여과 없이 적용시키고 있는 현 상황을 개선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수림지, 노거수 중에서 당산제를 지내는 당산숲이 있는 18개소를 선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많은 수림지, 노거수 중에서 그것이 당산숲, 당산나무라면 "~당산숲", "~당산숲과 비보숲", "~당산나무"라는 명칭을 일관성 있게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조치가 이루어지면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천연기념물 제도의 한계를 극복하는 출발점이 시작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조경 양식 및 문화경관으로서의 당산숲에 대한 위상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natural monument system of Korea for naming and designation of natural monuments is based on "Chosun Natural Monument Conservation Acts for Treasure, Ancient Landmark, and Natural Beauty" enacted in 1934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The framework of natural monument system is still in effect, which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e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ar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representing countryside of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llows and relies on the 'Limsu of Chosun' (1938), a report written by a Japanese, for naming and classification of natural monuments. A Dangsan forest at Yesong-ri was named "Yesong-ri evergreen forest" in 1938. They followed the naming system of "evergeen forest" until toda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ssues and problems of 'Limsu of Chosun' and natural monument naming system begun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suggest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aming natural monument accordingly without discretion. Eighteen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were selected for examination and analysis. The names of the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were evaluated to find out whether various aspects of the forests are reflected in the name. The study suggests that many forests and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should be named as "~Dangsan forest", "~Dangsan forest Bibo forest", or "~Dangsan tree" with consistency accordingly. The new names will bring a momentu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atural monument naming system continued sinc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also enhance the value of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as Korean traditional and cultural landscapes.

      • KCI등재후보

        북한의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와 관련한 법 제도에 관한 고찰

        김성욱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가천법학 Vol.5 No.1

        이 논문은 그 제목을 ‘북한의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와 관련한 법 제도에 관한 고찰’이라고 정하였다. 현재의 남북한이 장래에 통일을 할 경우에 제도적 통합과정에서 통일한국의 명승지 및 천연기념물보호법을 어떻게 재편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재편과정에서 무엇을 고려하여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물론 장래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것인지를 현재의 시점에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것이 사회질서를 규율하는 제도라고 한다면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에 명승지, 천연기념물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북한의 명승지 및 천연기념물의 보호와 관련한 법 제도가 어떠한 모습으로 운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북한의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은 1995년 12월 13일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결정 제64호로 채택되어 제정된 이후에 1999년 1월 14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350호로 수정되었다. 본고에서는 수정된 북한의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의 주요내용을 검토하면서 대한민국의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과 어떠한 점에서 규범적 차이가 있는지에 관하여 비교 및 분석함으로서 북한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남북한이 명승지 및 천연기념물과 관련한 법제도를 통합함에 있어서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야 하는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The title of this thesis is “A Study on Legal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nservation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in North Korea”. It would be meaningful to logically verify how to reorganize the Legal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nservation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and what aspects to consider for the reorganization in the process of systematic unification when two Koreas come to unify in the future. Of course,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Since land ownership system is not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but is a system which has evolv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legal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This article, in the growing importance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studies the current legal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nservation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nservation Act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in North Korea is enacted on December 13, 1995 and This Law is amended on January 14, 1999. by political power in North Korea. Especially,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of Conservation Act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in North Korea enacted on January 14, 1999.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ACT and suggest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onservation Act of Places of Scenic Beauty and Natural Monuments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y comparing, analyzing and examining.

      • KCI등재후보

        남·북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의 현황과 비교

        김동희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1

        남ㆍ북한 천연기념물에 대해 조사 및 보고된 문헌을 토대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현황을 비교하였다. 비교ㆍ분석된 항 목들은 남한은 암석, 천연동굴, 화석, 일반지질의 4가지 그리고 북한은 암석, 화석, 지층, 약수, 온천, 지형, 폭포, 호수, 천 연동굴, 담소의 10가지이다. 남한에서는 북한과는 달리 지질분야 천연기념물이 상대적으로 적게 지정ㆍ보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는 남한과는 다르게 지층의 구조(습곡, 단층) 및 산업자원을 채굴하는 광산의 대표적인 노두를 천연기념물로 지정ㆍ보호하고 있는데, 이 유형들은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지구조운동의 방향과 크기, 시기 및 형성요인 등을 밝혀주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한에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지정건수의 연도별 변화를 보면 크게 3시기로 구분되며, 각 시기의 평균지정건수는 1.1건, 0.1건, 2.6건으로 변하였다. 지질분야 천연기념물 지정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남한은 제주도로 그리고 북한은 강원도로 나타났으며, 산업화와 도 시화가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지역의 천연기념물이 더 잘 보존된 것으로 여겨진다. This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s. The classification system on natural monument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similar, but North Korea's designations are relatively well-balanced. The geology field of South Korea was composed of rocks, caves, fossils and general geology, whereas that of North Korea was subdivided into rocks, fossils, strata, mineral springs, hot springs, geography, waterfalls, lakes, caves and pools. Unlike South Korea, North Korea designates and preserves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fold and fault, and representative outcrops of mine.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 has to establish natural monument management policies for preserving geological structures and outstanding outcrops of mine. The 47-year period of preserving natural monuments in South Korea was divided into the stages I (1962~1980), II (1981~1995) and III (1996~2008). The designated numbers of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in the stage I, II and III average 1.1, 0.1 and 2.6, respectively. The number of geological natural monuments in South Korea is highest in Jeju province, whereas that in North Korea is highest in Gangwon province. This implies that natural monuments have been well protected especially in the locality of slow urbanization.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천연기념물 전시물 활용 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지혜(Ji Hye Lee),정수임(Sue Im Chung),정찬미(Chan Mi Jung),김선희(Seon Hee Kim),이지희(Ji Hee Lee),최영진(Young Jin Choi),윤리나(Ri Na Yoon),신동희(Dong Hee Shi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3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특별하고 빼어난 자연물일 뿐 아니라, 우리의 문화, 정서, 역사가 반영된 자연 문화재다. 천연기념물의 기념적, 원생적, 향토적, 역사적, 대표적, 특수한 가치는 과학 및 환경 교육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 천연기념물은 본질적으로 융합성과 내러티브 특성을 가지며, 천연기념물센터는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교육 장소다. 천연기념물센터의 개별 전시물에 초점화된 스토리텔링 학습은 학습 대상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학습자가 소통과 의미 만들기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학습 내용과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기념물과 명승의 과학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천연기념물 센터 전시물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개발 과정에서 학습 대상에 대한 인지적․정의적 성찰, 학교 교육과의 연관성, 스토리텔링 설계원리, 전시물과의 공감과 소통, 학습자의 연령과 수준 등을 고려했다. 페르소나, 감정 이입, 비유, 플롯, 심미적 경험, 시간성 등의 여섯 가지 스토리텔링 요소에 기반 한 매머드, 진도개, 철새, 명승지, 제주도, 석회 동굴 등의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pots are not only exceptional natural structure but also natural cultural properties that reflect our culture, emotions, and history. Commemorative, primitive, local, historical, representative, and specific scientific values of natural objects are likely to be used as educational subjects. Natural monuments have inherent convergence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al Monument Center is an educational place where empathy and communication are available. Storytelling learning focused on the individual exhibits in the Natural Heritage Center enables learners to mak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o internalize learning contents and values by engaging in communication and meaning making proces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Natural Heritage Center exhibit using storytelling to realize the scientific, environmental educational value of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pot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cognitive and definitive reflection on learning objects, relation with school education, principles of storytelling design,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exhibits, learners’ cognitive level were all considered. Based on the six storytelling factors such as persona, empathy, analogy, plot, aesthetic experience, and time, we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s about mammoths, Jindogae, migratory birds, scenic spots, Jeju island, and limestone caves.

      • KCI등재

        천연기념물 지형의 지리학적 분석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1

        2010년 1월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형은 59개이다. 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들 천연기념물 지형은 풍화지형, 해안지형, 카르스트지형, 화산지형, 구조지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59개의 천연기념물 지형 중 가장비중이 큰 것은 구조지형(28개)이며 다음으로는 카르스트지형과 화산지형(각각 12개), 해안지형(5개), 풍화지형(2개) 순이다. 천연기념물 지형이 지정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지질과 관련된 화석산지로서 구조지형, 특수지형으로서 희소성이 강한 카르스트지형과 화산지형 등의 천연기념물 지정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일반적인 지형이지만 그 규모나 특성상 학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해안지형과 풍화지형 등 순수 일반적 지형 경관들이 새로운 천연기념물로 주목받기 시작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지역별로는 제주(11개)와 강원(10개), 경남(9개) 등에 집중 분포한다. 제주는 화산지형, 강원은 카르스트지형, 경남은 구조지형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다. As of January 2010, 59 topography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monuments. From the geographical point of view, these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can be categorized into weathering, coastal, karst, volcanic, tectonic, etc. The 59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are mostly tectonic (28), followed by karst and volcanic (12 each), coastal (5), and weathering (2).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ating national monument topography, tectonic, karst, and volcanic topography were the major designations for national monuments. Tectonic topography were associated with fossil, whereas karst and volcanic topography were very scarce as special topography. Recently, however, even common topography such as coastal and weathering topography are starting to draw attention for their academic value with regard to size 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Jeju (11), Gangwon (10), and Gyeongnam (9) have a concentrated distribution; they have relatively large portions of volcanic, karst, and tectonic topography, respectively.

      • 천연기념물 화석산지 모니터링 Data sheet 개발

        공달용(Dal-Yong Kong),김태형(Tae-Hyeong Kim),남상찬(Sang-Chan Nam),임종덕(Jong-Deock Lim) 한국고생물학회 2008 고생물학회지 Vol.24 No.1

        지질분야 천연기념물의 지정 건수는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있다. 1962년 처음으로 지질분야 천연기념물이 지정된 이후2000년 이전까지의 지정 건수는 30건에 불과하였으나, 2000년 이후 2007년까지 24건이 추가 지정되어 총54건이 지정되어 있다. 천연기념물화석산지의 현 상태 유지 및 보존을 위해서는 핵심지역(core zone)과 완충지역(buffer zone)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적 기준에 적합한 표준화된 모니터 링 Data sheet가 필요하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표준화된 모니터링 Data sheet의 부재로 표준화되지 않은 모니터링 Data sheet가 주를 이루고있어, 유네스코와 같은 국제기관에서는 이런 자료들의 신뢰도를 높일 것을 권고한다. 따라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기념물 화석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모니터링 Data sheet를 개발하였다. 천연기념물 화석산지 모니터링 Data sheet는 화석산지 모니터링 체크 리스트와 중점관리대상표본 체크 리스트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천연기념물 화석지 모니터링 Data sheet는2007년도 천연기념물 화석산지 모니터링에 처음으로 적용하였으며 앞으로 2010년까지 수정 및 보완되어 완성될 계획이다. The number of natural monuments, including the geology field,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 In 1962, the first natural monument was designated for the field of geology but only 30 natural monuments for the geology section were increased in the past forty-five years. 24 sites among the 30 sites has been designated between 2000 and 2007 and Korea now has a total of 54 natural monuments for the geology section. A systematic monitoring plan for the core zone and buffer zone of the natural monuments in the field of fossils is essential to be well preserved and documented. However, the current data sheet of the monitoring for the fossil sites is old-fashioned and also is not covered for important categories of preservation. Therefore, a globally-standardized data sheet of the monitoring for the fossil sites is needed. International agencies including UNESCO recommend that the standardized data sheet for the monitoring plan should be used on a regular basis.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RICH) has developed and applied a systematic monitoring data sheet for fossil sites since 2007. The new monitoring data sheet for fossil sites will be updated and improved by 2010.

      • KCI등재

        자연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과제 - 천연기념물(식물) 후계목 사례를 중심으로 -

        함예림(Ye-Rim HAM)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3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는 기후변화가 2050년까지 종과 서식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연유산은 기후변화에 있어서 취약성이 크다. 본 연구는 자연유산을 후대에 전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천연기념물(식물)을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보존 및 관리 검토와 후계목 양성 현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천연기념물(식물)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과정에서 뉴버거넌스를 구축해야 하며, 정이품송 사례처럼 천연기념물(식물)의 후계목의 민간분양이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해야한다. 또한, 후계목의 전시의 기능을 하는 종합보전시설을 조성하여 가치 해석과 표출을 위한 전략적 방향이 필요하다.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redicts that climate chang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pecies and habitats by 2050. Natural Heritage is the most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is article aims to search for a sustainable plan to deliver natural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s. Accordingly, the scope of Natural Monument(plants) was limited, and the purpose was to derive tasks for Sustainability through conservation and management reviews and the status of successive trees. In conclusion,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plants), to establish a new governance of the communit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private distribution Natural Monument(plants) as in the case of Songni Jeongipumsong Pine Tree, Boeun. In addition, a strategy is needed to interpret and present the value of natural heritage by creating various facilities that function as exhibitions.

      • KCI등재후보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현황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1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Summary Among Natural monument birds, a total of 11 species and 2,209 individuals were found in Nakdong river estuary from March 2007 to February 2008 including Eurasian Oystereacher (Haematopus ostralegus; No. 326),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No.327), Tundra Swan (Cygnus columbianus; No.201-1), Whooper Swan (Cygnus cygnus; No.201-2), Black-faced Spoonbilll (Platalea minor; No.205-1), Eurasian Spoonbill (Platalea leucorodia; No.205-2),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No.243-3),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No.243-4), Hen Harrier (Circus cyaneus; No.323-6),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No.323-8) and Swan Goose (Anser cygnoides; No.325-1). Among the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in Korea,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he only place where more than 2,000 individuals of Whooper Swan(Cygnus cygnus) spend winter. Uelsukdo, Myeongji Flat and neighboring tidal flats (Myeongguemmeori, Baikhapdeong, Doyodeung, Jangjado, etc.) are major habitats for natural monument birds such as Eurasian Spoonbill(Platalea leucorodia), Whooper Swan(Cygnus cygnus) and Swan Goose(Anser cygnoides). A colony of aquatic plants such as Common Bulrush(Scirpus triqueter) and Common Reed(Phragmites communis) serves as a feeding and resting place for birds in the Anatidae family including ducks, swans and geese. Plans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habitats and the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are as follows: minimization of water contaminat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plants habitats, protection of sandbanks, security of stable habitats, and consistent monitoring.

      • KCI등재

        국내 천연기념물 멸실신고로 본 자연유산 현황

        이성경 ( Lee Sung-kyung ),신용운 ( Shin Yong-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국내 천연기념물 중 야생조류의 폐사체 현황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신고된 천연기념물의 폐사체는 총 38종 5,036개체이었다. 2020년에 34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폐사하였고 2019년에 1,095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기록되었다. 가을철에 가장 많은 종수가 확인되었고 가장 적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여름철에 적은 종수와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연중 11월이 가장 많은 종이 폐사하였고 6월에 가장 많은 개체가 폐사하였다. 전체 폐사체 중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가 약 20%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수리부엉이(Bubo bubo), 솔부엉이(Ninox scutulata), 소쩍새(Otus sunia), 참매(Accipiter gentilis), 독수리(Cinreous Vulture), 새매(Accipiter nisus) 등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봄철과 여름철은 국내 번식하는 종이 폐사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겨울철에는 큰고니, 독수리 등 월동개체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천연기념물의 멸실신고는 사람에 의한 신고로 폐사체 현황만으로는 천연기념물의 국내 군집특성을 파악할 순 없으나, 야행성으로 자세한 조사가 수행되지 않은 올빼미목의 국내 개체수 파악과 국내 천연기념물 폐사체 현황 자료의 제공으로 천연기념물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arcasses of wild birds among natural monuments in Korea. In Korea, from 2016 to 2020, a total of 38 species and 5,036 individual carcasses of natural monuments were found. The year 2020 saw the highest numbers of species death with 34 and in 2019 the highest number was recorded with 1,095 individuals. In autumn,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nd the smallest number of individuals were confirmed dead. On the contrary, the smallest number of species and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ere confirmed dead in summer.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died in November, and the largest number of individuals died in June. Kestrels accounted for about 20% of the total carcasses, making up the largest number, followed by eagle owls, brown hawk-owls, scops owls, goshawk, eagles and sparrow hawks. In spring and summer, domestic breeding species accounted for most of the carcasses and in winter, the proportion of overwintering individuals such as wooper swans and eagles increased. Reports of lost natural monuments are done by human and the status of the carcasses alone cannot inform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monuments when they stay in Korea.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identified domestic population of strigiformes which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tail because they are nocturnal, and data on the status of carcasses of natural monuments in Korea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of natural mon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