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의 도학정치관과 처세관

        손흥철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1 No.-

        In this paper, I wrote the origin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Neo-Confucianism politics” and “the view of Advance and Retreat” in Sim Eon-kwang’s Philosophy. Futhermore I reconsidered its modern meaning. In the meantime, research on Sim Eon-kwang’s philosophy has been conducted mainly from a literary and historical perspective, and research on Neo-Confucian perspectives is relatively small. This is because the main theory of Neo-Confucianism has not been passed down much by Sim Eon-gwang on the subject of the theory of LI Qi, theory of mind, Knowledge and Cultivation. In this article, I wrote Sim Eon-gwang's political ideology designed on the demonstrate a sense of unity of Jeong Do-jeon(鄭道傳. 1342~1398) who designed the foundation of Joseon, and Jo Gwang-jo(趙光祖. 1482~1519) who opened the era of "the politics of Neo-Confucian scholar." And it was proved that the Sim Eon-gwang's Neo-Confucianism politics was formed around the Neo-Confucian administration and as a bureaucrat, Sim Eon-gwang proved that he faithfully practiced it. Then we looked at the failing to achieve his success(不遇) and his the view of advance and retreat(處世觀). Sim Eon-gwang has always maintained its Neo-Confucian attitude in the course of various bureaucratic lives ranging from 27 to 52. A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spirit of liberal democracy today can also be connected with the patriotism of Sim Eon-gwang, the practice of Neo-Confucian justice and fairness. 이 논문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 1487~1540)의 도학정치 사상의 연원과 그 특징을 고찰하고 그 현대적 의미를 재고(再考)한 글이다. 그동안 어촌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학과 역사학의 관점에서 많이 이루어졌고, 성리학 관점의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왜냐하면, 『어촌집』에 성리학의 주요 이론인 리기론(理氣論)·심성론(心性論)·지식론(知識論)·수양론(修養論) 등에 관한 저술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 필자는 어촌의 정치적 이념이 조선의 근간을 설계한 선비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1342~1398)과 사림정치(士林政治)의 시대를 연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의 도학정치와 일맥상통함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어촌의 도학정치 사상이 성리학적 경세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어촌은 관료로써 충실하게 이를 실천하였음을 논증하였다. 더불어 어촌의 불우(不遇)와 처세관을 살펴보고, 27세부터 52세까지 관료로서 도학자적 태도를 잃지 않았음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자유민주주의의 정신도 어촌의 애국심(愛國心), 성리학적 정의감과 공정함의 실천과 서로 통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 退溪學 硏究動向과 退溪의 處世觀

        김광순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본론에서 논의한 바를 결론적으로 요약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학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을 여러 가지 분야에서 다양하게 걸쳐져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철학분야와 문학분야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두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둘째, 퇴계학에 대한 국외 연구동향은 일본, 대만, 홍콩, 중국, 구미제국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중에 일본의 경우가 가장 활발하여 논문만도 200여 편에 이르고, 대만의 경우는 퇴계학을 연구하는 학자가 40여 명, 관련논문은 70여 편에 달한다. 홍콩의 경우는 1987년에 국제퇴계학회를 개최한 후에 지금까지 홍콩사람으로서 퇴계학 관련학자가 4명 정도 있다. 중국의 경우는 지금까지 120여 편의 논문이 나왔는데 국제퇴계학발표대회에 발표된 논문만 110여 편이다. 구미제국의 경우 미국, 소련, 독일, 프랑스, 에스토니아, 네덜란드, 호주, 체코, 이태리, 유고, 스위스 등의 학자등이 참가하여 100여 편의 논문이 나왔음을 밝혔다. 셋째, 지금까지 퇴계학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것은 18 차례나 되고 이에 참가한 나라도 동양 5개국, 구미제국이 10개국이나 된다. 지금까지 발표한 논문만도 576편이나 되어 퇴계학 연구는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퇴계학과 관련된 연구 기구와 학회설립 현황도 도표로 제시하였다. 넷째, 퇴계의 처세관을 存養省察과 繼往開來, 經濟倫理와 勤儉節約, 政治要諦와 與民同樂, 修己治人과 知行竝進, 上通天文하고 下達地理하여 能察人事로 나누어 고구하였다. 따라서 퇴계는 存養省察하고 參古酌今하여 繼往하면서도 開來하였고, 근검절약하되 정직한 경제윤리를 강조한 점, 정치의 기본 要諦는 與民同樂이란 점, 修身齊家로부터 시작하는 修己治人을 知行竝進해야 한다는 점, 위로는 天文에 통하고 아래로는 地理에 밝아 능히 사람의 내일을 알아볼 줄 아는 知人之感의 식견을 가치고 세상에 처신하였기에 한 점의 오점도 남기지 않았던 문신이며 세계적인 학자로서 추앙을 받게 되었음을 밝혔다. Consequently. what had been mention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 s follows. First the domestic research trend regarding Toegyehak(退溪學) was various from multi fields. and especially active in philosophy and literature So I inquired out the research trend of the two fields. Second. I classified the foreign research trend regarding Toegyehak into "Japan. Taiwan Hong Kong, China, and the Occident", and investigated them. Among them. the studs; in Japan was a t a best pace. the number of dissertations of it was about 200 volumes. In Taiwan more than forty scholars have been making a study of Toegyehak And they have made known the dissertations about 70 volumes In case of Hong Kong. after hold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egyehak a t 1987. four scholars have been studying it. And in China. about 110 volumes of dissertations which were announced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egyehak IT-here about 120 volumes of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 case of the Occident,. scholar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ussia. German).. France Estonia. Holland. Australia. Czechoslovakia Italy Yugoslovia. Switzerland and so on pulished about 100 volumes of dissertations. Third. until now.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of Toegvehak were held 18 times. participating nations were oriental 5 countries and western 10 countries. and 576 dissertations were announced Therefore. vie can be assured that Toegyehak is now becoming the global issue And the research institu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foundation of academy about Toegyehak was presented with the chart. Fourth. I classified Toegye's art of living into "Gentleness and Humbleness(溫和謙讓) Continuing Development(繼往開來)" 'Economic Ethics(經濟倫理) . Thrist and Saving(勤儉節約)". "Key of Politics(政治要諦) Enjoying with People(與民同樂)". 'Rule over People after Mental Training(修己治人) . Doing the Right Thing(知行竝進)″ and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Phenomena(上通天文) and Geography(下達地理) . Foresight of Human Affairs(能察人事)" and investigated them.

      • KCI등재

        『周易』이해를 통해 본 花潭 徐敬德의 處世觀

        황인옥(Hwang, In-Ok)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8 No.2

        花潭徐敬德은 16세기의 處士型학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에서 사색하며 관찰을 즐겼다. 그는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진리에 대해 주체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정주학뿐만 아니라 북송의 소옹과 장재의 철학도 깊이 연구하여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氣哲學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조선 성리학사에서 理氣論의 논의를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산림에 은거하며 현실에 좌우되지 않고 好學하는 정신은 진리를 탐구하는 전통을 이루는데 한몫을 담당하였다. 花潭은 『周易』을 중시하였다. 그가 復卦에서 復齋라는 호를 취한 것만 보아도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저술에서도 『周易』과 관련된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는 『周易』을 상수역학적 입장으로도 해석하였지만, 도덕적 수양과 실천, 그리고 정치적 이상을 중시하는 의리학적인 시각으로도 이해하였다. 花潭은 『周易』에서도 특히 復卦와 艮卦를 중요시하였다. 그는 天道의 원리를 復卦와 연결시켜 「冬至吟」과 「復其見天地之心說」을 통해 설명하였다. 모든 만물은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움직임을 끊임없이 해나가고 있다. 이것은 ‘生生不息’하는 마음이며, 천지의 마음이다. 화담은 사람이 復의 이치를 알면 道는 멀지 않다고 여겨 復의 이치를 인간의 행위나 처세에 중요한 지침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人道로서 艮卦의 ‘止’를 강조한다. 화담은 艮卦를 도덕적 수양과 실천의 원리로 삼았다. 그의 저술 중「送沈敎授序」에는 이러한 마음이 잘 나타나있다. 그침의 의미는 인간이나 자연현상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특성이다. 그칠만한 때에 그치고 떠나야 할 때 떠나야 하는데, 이때 ‘止’는 ‘時中’을 의미한다. 사람은 학문을 통해 ‘止’의 이치를 깨달아야 하고 그것이 학문을 하는 목적이라고 花潭은 말한다. 花潭은 人道와 天道를 ‘時中之道’로 연결하고, 우주가 늘 일정한 법칙을 계속하는 復의 이치, 즉 天道를 깨닫고‘ 止’의 이치대로 人道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러한 이치를 그의 처세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실천하였다. 그는 자신이 살던 상황에서 출사보다는 은거가 ‘時中’이라고 판단하고, ‘止’의 이치대로 그침의 삶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여러 번의 천거에도 출사하여 벼슬에 오르기를 거부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출사하여 세상의 영욕에 휩쓸리기 보다는 은거하여 우주의 법칙에 순응하는 그침의 철학을 선택한 것이다. 그가 이러한 삶을 선택한 데에는 『周易』이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周易』에서 얻은 조화와 절제로서 자족하며 안빈낙도하는 인생관과 처세관으로 고고하고 청백한 삶을 살았다. Hwadam Seo Gyeong-Deok i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falls into the type of not serving the power. Since his childhood, he had enjoyed contemplating and observing in nature. Based on profound confidence in human nature, he tried to independently explore truth and be self-satisfied. Not only was he interested in study of Cheng Zhu, the then mainstream but he also studied deep into philosophies of Shao Yong and Zhang Zai in Northern Song to construct his own world of study. As a result, he established the theory on Qi philosophy and offered an opportunity to deepen discussion on Liqi theory in history of Joseon’s Neo-Confucianism. His spirit of enjoying study in forest played a role to form a tradition of exploring truth without being swayed by reality. Hwadam put emphasis on Zhouyi, which is well demonstrated from the fact that he took his pen name Bokjae (復齋) from Bokgwae (復卦) and it is also easy to see Zhouyi-related contents on his writings. Hwadam interpreted Zhouyi in an emblemo-numerology perspective but he understood it in a viewpoint of righteousness philosophy that emphasized moral cultivation, practice and political ideals as well. Hwadam regarded Bokgwae and Gangwae (艮卦) as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Zhouyi. He connected the principle in the way of Heaven with Bokgwae and explained that reason in his writings of Dongjieum (冬至吟) and Bokgigyeoncheonjisimseol (復其見天地之心說). All things are constantly making movements without either start or end. This is mind of ‘constant growth and development (生生不息)’ and that of heaven and earth. Reason in the world we live in is of constant repetition of Yin and Yang and the logic of Bok (復, repetition) continues. If one knows the reason of Bok, he will soon become enlightened but Hwadam thought that this reason of Bok also was an important guide in human action or art of living. In addition, he stressed ‘Ji (止, stop)’ of Gangwae as humanity. Hwadam regarded Gangwae as the principle of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His idea is well presented in his writing of Songsimgyosuseo. The meaning of stop is the most universal feature observed from human or natural phenomena. One should stop and leave when he should. ‘Ji’ here means ‘timeliness’, which means that one should realize the reason of ‘Ji’ through study and it is the very purpose of one’s studying. Hwadam emphasizes that humanity and the way of Heaven should be connected with ‘truth of timeliness (時中之道)’; that one should realize the logic of Bok that the universe always follows certain laws, the way of Heaven and; humanity should be practiced as the reason of ‘Ji.’ He regarded this logic as highly important in his art of living and practiced it. In his own situations, he thought that a retired life was the ‘timeliness’ rather than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selected the life of stop as in the logic of ‘Ji.’ Despite of many times of recommendations, therefore, he rejected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or entering the government but he devoted himself to study in a life in seclusion. He lived a retired life to practice the stop to adapt to laws of the universe rather than being swept away by world’s glory and shame caused by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Zhouyi is regarded having much impact on why he chose this life. He was self-sufficient with balance and moderation he learned from Zhouyi and led a detached and upright life with view of life and outlook on art of living by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 KCI등재

        『老子』와 養生術

        이성구(Lee, Sung G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本稿는 우선 고답적 사변철학의 완성자라는 시각에서 老子 개인에 접근하기보다는, 전통적 관념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집단의 대표자로서의 老子에 초점을 맞추어 그에 대한 설화와 그의 姓名에 담겨진 의미를 밝혀 봄으로써 老聃이란 고명명사가 아니라 養生集團의 長老에 대한 호칭이었음을 밝혔고, 아울러 楊朱一派의 思想 및 존재양태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老子集團의 존재를 우회적이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老莊思想에서의 道는 우주의 궁극적?근원적 實在로 정의되지만 『老子』의 道는 呪術的 양생수련의 과정에서 배태된 개념으로서 무한한 생명력과 에너지를 지닌 宇宙創造 以前의 混沌을 표상하는 어휘였다. 그리고 『老子』의 養生術이란 수련의 주체가 그 混沌의 단계로 回歸하여 混沌과 合一함으로써 그 생명력을 자신의 몸에 가득 채우는 呪術的 수련기법이었으며, 그것은 구체적으로는 丹田呼吸 또는 胎息을 통한 精氣=德의 획득이었다. 이렇게 呪術的 生命力을 획득하는 것은 바로 道의 體得이었고, 道의 體得者인 聖人은 그 生命力으로 惡鬼와 위험을 퇴치함으로써 “沒身不殆”할 수 있었다. 또한 『老子』의 養生術은 現世離脫을 지향하는 神仙術과는 달리 現象界를 중시하는 현실적 養生術이었고, 兩者의 이러한 차이는 老子의 西游說話에서도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呪術的 養生術은 보다 현실적이고 세속적인 處世術로 추이하는데, 이러한 個人的 處世觀은 그대로 老子의 政治論으로 전환된다. 『老子』에는 독자적이고 본격적인 정치사상은 극히 빈약한데 이는 그것이 哲學書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老子』가 養生術을 지향하였기 때문이다. 종래 일부 학자들에 의해 전제지배나 우민정책의 증거로 거론되었던 내용들도 사실은 이상적인 眞樸한 인간성의 제시였고, 『老子』의 反文明主義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老子』의 思想이 申不害의 術로 자연스럽게 계승된 것도 『老子』사상의 근간이 養生術이었던 것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로사(老舍)의 《합조집(蛤藻集)》에 반영된 문화비판(文化批判)의 함의(含意)

        최성일 한국중문학회 2017 中國文學硏究 Vol.0 No.69

        During the Cultural Controversy, Laoshe wrote a short stories of 《Ha Zao Ji》. With respect to the conflicting culture of ‘traditional culture and westernization’, Chinese intellectuals held a debate on acceptance and compromise. In this paper, I divided some works of 《Ha Zao Ji》 into Chinese - centered culture and personal - centered culture,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riticism of culture which is included in the work. In terms of cultural tradition, < A Traditional Store >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eserving the commercial ethics of the old Chinese style and emphasizes the desire to accept Western culture appropriately. Sha Zilong in < A Spear to get rid of souls > declared that he would “not teach” his legendary martial arts skills. [Unnecessary and disconnected] This mean is a desire to wish for the revival of true traditional martial arts, and a discourse to appreciate traditional martial arts without a future. In terms of cultural ambiguity, < A Story I heard > is the story of Meng Zhichen, a personalist who even deceives himself. He ultimately does not live a happy life [like Song Bogong]. That is to say, it is only a nuisance that blocks the new culture [future-oriented], although it can be controlled politically by the name of ‘classical reading’ [past regression]. < The Old Tragedy of the New Age > inspired the false moral virtues of the Chinese and showed a literary discourse that the hypocritical use of Chen's old man eventually led to his family tragedy.

      • KCI등재

        성어로 보는 중국의 문화 코드

        이종철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6

        성어(成語)는 한자 특유의 독특한 언어예술로, 중국인들의 심리와 문화적 특징을 폭넓게 반영한다. 동시에 성어는 인생의 철리(哲理)를 함축하고 있는 지혜의 차원으로도 읽힐 수 있다. 주지하듯 성어는 상당수가 실제 역사 고사에서 비롯되고 있고, 네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랜 세월을 거쳐 완성된 한자 특유의 정형화된 언어 양식이다. 요컨대 성어는 중국을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는 소재로, 앞으로 더욱 활발한 연구를 기다리고 있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성어에 깊숙이 투영되어 있는 중국인의 처세관, 세계관, 나아가 그들의 문화적 유전자를 읽어낼 수 있다면 갈수록 복잡하고 어려운 한중관계를 보다 발전적이고 효과적으로 개선해나가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고 주요한 목적은 성어를 통해 보다 깊이 있고 정확하게 중국을 읽어내고, 나아가 그 안에 담긴 중국인 특유의 문화적 생태, 혹은 그 원형을 밝혀내는 것에 있다.

      • KCI등재

        고려 후기 역사를 노래한 한시의 여러 양상과 그 의미

        강동석(Kang Dong-seok)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우리나라 영사시는 최치원이 <변하회고(汴河懷古)>를 읊은 이래, 고려조와 조선조에 많은 이들에 의해 지어졌다. 그 가운데 고려 후기의 영사시는 양적, 질적인 면에서 다소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예컨대 이규보의 <동명왕편>과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43수 외 여러 수, 이승휴의 <제왕운기> 외 여러 수, 이제현의 <비간묘(比干墓)>를 비롯한 여러 수, 최해의 <사호귀한(四皓歸漢)> 외 여러 수, 이곡의 영사시 27수 외 여러수, 이색의 <치이자가(鴟夷子歌)> 외 여러 수, 이첨의 영사시 46수 외 여러 수, 정도전의 <원유가(遠遊歌)> 외여러수등은그들의문집가운데일부라고할수있으나역사, 문학사, 정신사 측면에서 상당히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있는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이상의작품을대상으로, 즉고려후기영사시의제양상과그의미에대해살핀글이다. 그들의 영사시를 살펴본 결과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첫째, 유가의 정통적 사관 발현을 들 수 있다. 공자가 ‘불어괴력난신(不語怪力亂神)’이라 말한이래, 유자들에게 중요한 사상이된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유자임을 강조했던이 규보의<동명왕편>을보면이와는상충되는면모를볼수있다. 이는공자의사관외에천주적(天主的), 감계적(鑑戒的), 교훈적(敎訓的) 성격이 가미된 것으로 우리 민족의 자주 적정신함양이라는측면에서어느정도변개된역사관이라볼수있다. 이외에도이승휴의 <동명왕편>이라든가 이제현의 <비간묘> 등의 작품 또한 이러한 성격이 강하게 드러났는데, 이들이 지니는 의미는 바로 춘추필법의 대의를 강조하였다는 데 있다. 둘째, 현실비판과 세태 풍자가 고려 후기 영사시에 많이 노출되고 있었다. 당대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는 의인화 소설이라든지 연아시(演雅詩) 등을 통해서도 표출할 수 있었지만, 우회적 수법의 한계와 장르의 편협함 등으로 인해 영사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이들은대개중국의역사적사실이나인물을통해그것을경계로삼고있으나, 실제우리의역사또한전적을밟지말자는데목적이있었다. 그리고그의미는도덕적패러다임을제시함으로써 사대부로서의 책무를 다했다는 데 있다. 셋째, 역사적 인물로의 내면 투사가 하나의 특징이다. 이는 영사시 만이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역사의 한 인물을통해 우의적으로 자신의처세관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그인물의 특성에 자신의 심사를 투영하여 울분을 노래하거나 앞으로 살아갈 방향을 우회적으로 읊은 것이다. 이는 다른 장르의 작품들과 더불어 고려 후기 사대부들의 신분적 한계라든지, 국내 외로 혼란한 시대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나름 의미가 있다. Since the composition of byunhawhoigo by Chi-won Choi, historical poetries in our country have been composed by a myriad of people under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historical poetries of the late Goryeo Dynasty have retained supremacy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based on the writers' spiritual and literary fields. To illustrate, some pieces of collection of works–Gyu-bo Lee's more than 43 pieces of poems such as Dongmyeongwangpyeon , Gyewonchunboyoungsasi, Seung-Hyu Lee’s such as Jyewangwoongi , Jye-Hyun Lee’s such as Biganmyo , Hye Choi’s such as Sahoguihan , Gok Lee’s more than 27 pieces of historical poems, Saek Lee’s such as chiyijaga , Cheom Lee’s more than 46 pieces, Do-Jeon Jung’s such as Wonyouga - have been considerably significant throughout the history, history of literature, and intellectual history. Therefore, based on these works mentioned above,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different aspects and meanings of historical poetries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result, historical poetries of the late Goryeo Dynasty shar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First, orthodox view of Confucianism is often revealed in those works as Confucius stated “Buluhgoiryeoknanshin”, which has been an essential idea to Confucians. However, some contradictory ideas are observed in Dongmyeongwangpyeon composed by Gyu-bo Lee who is one of the strong believers in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historical views of people have been somewhat changed. As people in our nation have a tendency to cultivate consciousness autonomously, their historical views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Catholic, didactic, moral traits other than Confucian traits. Other works such as Dongmyeongwangpyeon by Seung-hyu Lee and Biganmyo by Jye-hyun Lee also include the contradictory ideas to Confucianism, which indicate that they put much emphasis on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Second, historical poetries of the late Goryeo Dynasty include the criticism of reality and satire of society. Even though the reality of that time had been criticized through other methods such as personification novels and Yeon-a poem, their limits on indirectness and narrowness of those genres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historical poetry. This historical poetry has reflected the historical facts and figures in China, but also has had the purpose of not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our own history. And this indicates that they have fulfilled their duties as scholar-gentry class by suggesting moral paradigm. Third, another characteristic is the inner conflict of historical figure, in which only historical poetry can include. In other words, the writer expressed his or her own view of living allegorically through the historical figure by letting out his pent-up anger or suggesting new direction of living. This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reflects the chaos of that period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nation, such as class limits on scholar-gentry class of the late Goryeo Dynas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