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容齋 李荇의 詠物詩 研究

        유암천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4

        Young Jae Lee-Haeng was the representative scholar during the reign of Yeonsan and King Jungjeong in middle and late 15th century and early 16th century. He was prestiguous as Dae Jehak,who was later promoted as Jwa Uijeong.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political change, he suffered moral calamities and had a life of vagrancy. In addition, he also had an experience of visiting China. Based on his rich experience,Young Jae had left a large number of poems, but there was no articles discussing his chanting poems among the studies of his Chinese poetr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tent and writing features of Young Jae's chanting poems. With a number of 141 titles and 189 poems, Young Jae's chanting poems accounted for about 10% of the 1868 Chinese poems.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chanting poems in Rong Zhai Ji showed that he created more and more chanting poems with the increase of his age because of his miscellaneous life. During the three years from age 27 to 29,yea wrote a lot of chanting poems, which was related to his vagrancy life wheb he was confronted with political setbacks. Yoing Jae had the most chanting poems on plants. In addition, it is interesting that he had created many chanting poems on objects which contain more than two things.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chanting poems. This paper divides Young Jae's poems on objects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poems describing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other is the poems expressing the poet's emotion and inner consciousnes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on objects are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only poem that simply described the form of things showed that Young Jae is not confined to the visual form, but employed a dynamic way to express the invisible features, and carefully considered words and sentences to create poems. In describing physical properties, Young Jae wad skilled at rhetoric techniques such as rhetoric questions, contrasts, metaphors, personification etc. and his expression of the opposite nature of the same thing reflected that his concept of "thing" is not fixed, but has multipl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he was not affected by the change of things, but stayed with the nature of the change itself.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et's emotions and inner consciousness contained in Young Jae's poems on objects from four aspects: nostalgia, loneliness and indignation in the places where he visited, love consciousness expressed by objects, and temperament reflected by thing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wo poems written by Young Jae and Po Eun Jeong Mongju against the same background of willow trees, we can see Young Jae's will to overcome nostalgia positively. It also analyses the long poems which contained two things and have narrative content. It can be seen that this poem of chanting objects expresses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rough Young Jae's poems of chanting objects, we can understand his concern for the hardship of the people's lives, his loving for the people, as well as his true character, humble character, noble and unyielding will and other temperaments. 容齋 李荇(1478∼1535)은 15세기 중·후기부터 16세기 초반까지 성종·연산·중종조에 활동한 대표적인 문인이다. 용재는 일생 동안 관각을 대표하는 대제학으로 벼슬살이를 했고 한 때는 좌의정까지도 올라 영달을 한껏 누렸으나 당대의 정치적인 변동기에 여러 차례의 사화도 부딪쳐서 유배생활도 경험했다. 또한, 질정관으로 중국에 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 이렇듯, 용재는 풍부한 인생 체험을 바탕으로 그의 일생 동안 시문도 많이 남겼는데, 용재의 한시에 대한 선행연구 중 그의 영물시를 논의한 논문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용재 이행의 문집인 『용재집(容齋集)』에 실린 영물시에 주목하여, 영물시의 내용과 창작특색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용재의 영물시는 그의 한시작품 전체 1868수 중 대략 10% 정도에 해당하는 141제 189수이다. 그의 영물시는 『용재집』에 분포된 양상을 분석한 결과, 유배생활을 하면서 나이가 많을 때 지은 것일수록 더 많이 창작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가 27세부터 29세까지의 3년 동안 영물시를 비교적으로 많이 창작한 까닭은 정치적 좌절을 겪어서 유배된 신세와 관련이 있다. 또한, 용재가 식물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지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밖에 흥미로운 것은 시 1수에서 사물 2개 이상을 포함한 영물시가 적지 않게 창작된 것이 용재 영물시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용재 영물시를 크게 물의 형태나 물성을 묘사한 시와 시인의 정서와 내면적 인식을 표출한 시로 양분화해서 그의 영물시의 내용과 창작특색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유일하게 사물의 형태만 묘사한 시를 분석한 결과, 용재는 사물을 묘사하는 데 시각적인 형태에만 국한되지 않고 눈으로 보이지 않은 특징을 동태적으로 표현하는 수법과, 글자를 염마해서 새로운 시어를 창출하는 자세 등 다양한 창작특색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물성을 묘사할 때 용재가 반무구(反問句), 대조, 비유, 의인 등 다양한 수사법을 능숙하게 활용하였으며 동일한 사물에 대해 정반대가 되는 성질을 표현하는 것이 용재가 물에 대한 인식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원적인 특색을 지녔음을 밝혔다. 그밖에 사물의 변화에 제한 받지 않고, 변화된 사물 자체의 성질을 존중하는 태도가 드러냈다. 용재의 영물시에 담겨 있는 시인의 정서와 내면적 의식은 주로 객지에서 우러나온 향수, 유배지에서의 적막하고 울분한 심경, 영물로 표출한 애민의식, 사물에 반영된 성정性情 등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용재와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를 동일한 제재인 버드나무를 대상으로 같은 배경에 창작한 시 두 수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용재가 향수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파악했다. 또한, 시 속에서 사물 2개가 나타나고 서사적 내용이 들어 있는 장편시(長篇詩)를 분석하였다. 이 시가 용재 영물시의 남과 다른 특색을 갖춘다고 보았다. 그밖에 용재가 영물시를 통해 백성들의 생활고에 대해 관심을 두고 애민의식을 표출했으며, 참된 성품, 겸손한 성격, 고결하고 불굴한 의지 등 다양한 성정도 두루 드러냈음을 밝혔다.

      • KCI등재

        容斋李荇流放詩之文學治療功能探究

        安末淑(An, Mal-suk)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본 논문은 容齋 李荇(1479∼1534)의 유배시를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 중기 연산·중종조의 문신인 용재 이행은 당대의 대표 적인 관각문인으로 문명이 높다. 일생에 두 번의 유배생활을 했던 이행은 특히 甲子士禍 이후 忠州로 流配되고 뒤이어 咸安으로 移配되었다가 다시 巨濟島로 옮겨져 圍籬安置되면서 겪은 좌절과 고통의 세월을 의연히 극복 하면서 그 소회를 시문에 형상화하였다. 이 유배시기에 남겨둔 기록이 『容 齋集』 중의 『謫居錄』 『南遷錄』 『海島錄』에 수록되어 있다. 이행은 사화와 정쟁이 계속되었던 정치적 격동기에 유배지에서 고충을 겪어야 했으며, 이러한 현실에 대한 갈등과 고뇌를 시에 담아내면서 작시를 통한 문학치료를 도모했던 것이다. 유배객으로서 접하게 되는 충격적인 소회, 정신적 고충, 내면의 상처 등을 시를 통해 드러내면서 내면의 갈등과 고뇌를 해소하고 정신적 안정을 회복하는 과정을 시 속에 형상화하였다. 작가의 이러한 면면들이 시 속에 노정되고 승화되면서 치유의 결과물로 응집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행의 유배시를 ‘질곡 속의 현실과 내면의 상처’ ‘초월적 사유와 내면의 치유’로 나누어서 고찰한 결과, 문학치료적 표현양상이 현저하였다. 그 특징을 보면 첫째, 전고의 활용을 통해 유배에서 겪는 내면의 상처를 강조하 면서 치유와 안정으로 나아가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유배객인 작가 일신 만의 고통을 토로한 것이 아니라 유배지 주변 백성들의 고충을 대변하는 애민정신의 표출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남다른 특징을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적객으로서의 시름과 유배생활의 신산고초를 묘사하되, 과도한 감정노출 없이 담담하면서도 안정된 어조로 표현하거나 자연물에 의지한 감정이입의 방법을 통해서 고충을 토로하고 있었다. 넷째, 배소에서의 고통을 술로써 달래며 시에 옮기면서 정신적 안정을 회복하고 문학적 치유를 도모하였다. 유배형은 사형 다음의 중형임에도 불구하고 이행은 처량하고 비참한 유배지에서의 삶 속에서 보다 능동적인 창작치료의 과정을 통해 고통을 드러 내며 카타르시스 작용을 거친 이후 갈등요소를 완화시키면서 정서적 평온을 구가하고 있었다. 한국의 고전문학 연구에 있어서 문학치료학적 방법을 원용하여 시도한 연구물은 타 분야에 비해 비교적 저조한 현황이다. 본 논문 역시 고전문학을 문학치료적 시각으로 연구하는 하나의 시금석에 불과할 뿐이다. 문학치 료적 방법론을 통한 보다 본격적 연구가 온축되며 연구의 지평이 확대되어 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the exile poetry of Yongjae Ihaeng((1479∼1534)) as viewpoints of literary therapy that how to reach emotional stability and recovery stages going through how to compose poems. Yongjae Ihaeng, a representative government official and writer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sangun and Chungchong of Mid-Choson Dynasty, his poetry and articles are well known. Ihaeng Suffered exile twice in my life. Especially, after Gapja massacres of scholars, Ihaeng’s exile was assigned to Chongju first and then he was moved to Haman and moved to Geojedo Island later as Fence resettlement, he overcame bravely all the frustration and years of pain and all the emotions are embodied at his literary works. the recorded documents during the periods of exile are included in the 『Jeokgeorok』, 『Namcheonrok』 and 『Haedorok』 in the manuscripts of 『Yongjaejip』. Ihaeng had to experience solicitude for the massacres of scholars and political strife at the places of exile in the Political upheaval era, He tried to contain conflict and anguish of the reality in his poetry and articles as literary therapy. Inner conflicts and suffering and inner scars and mental hardships is exposed in his poetry as Exiled status and suffering and embodied the process restoring his mental stability and getting rid of these inner conflicts through the poetry. It is shown and sublimated in the poem and be packed together with the result of healing while reflected the writer’s every face. Understanding Exile Literature as a big frame of healing , sometimes highlight Mental anguish and trauma and expressed the reality of the pain and conflict, sometimes reveal critically Internal wounds rather than stopped, Promote mental well-being proceeding to the healing stage with transcendental thinking. If the former are exiled people through writing effusion them relatively passive, to have healing process it is gleaned through sublimation and beyond, the latter a more active called the healing process at the level of the literary therapy, it can be seen that he took the process that leads to the proactive attitude to repair trauma and overcome the anguished exile life rather than the passive attitude.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considering the Ihaeng’ exile literature as ‘internal wounds in the ordeal with reality’ ‘transcendental thinking and inner healing’, Therapeutic literature expression aspects Remarkably revealed. The features are; first, showed and emphasized the face of healing of Inner scars encountered in exile is taken advantages using authentic precedent. The second, he revealed not only to show his own pain but to show the pain of people around the place of exile as the expression of love for the people. Third, as exiled status, even it is described that difficulties, anxiety and hardships of the exiled life, but without exposure to excessive emotion, in a steady tone by disinterested or expression rely on nature. Fourthly, recovered mental stability and literary healing as drown his pain in alcohol and write literary works. It seems that it is one of the ways for process of healing using various ways to write poems, as literature of therapeutic aspects, writing, the chosen means of trauma healing, has utility valuable. Although exile is bleak and miserable following the death penalty, even Ihaeng was in a miserable pitiful in the exile places, showed his pain using proactive creative effort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after passing through catharsis, eager to get calm emotional status while to ease the conflicts. Few papers have published which put literary therapeutic methodology to the research of classical

      • KCI등재

        소파방정환(小波方定煥)번역동화의 창작동화로의 이행 연구

        장정희 ( Jeung Hee J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1 No.-

        방정환의 번역동화를 살펴보면, ``전통적 지향``과 ``근대적 지향``이 접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는 다양한 외국동화를 통해 고래동화에 결여되어 있던 근대적 아동상을 부각시키고, ``아동``의 성립이 전제되는 아동문학에서 ``아동 주체의 확보``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래동화와 격을 긋는 뚜렷한 변별 지점이 되었다. 또, 그가 번역동화에서 구사하는 문장은 구술적엮음 방식에 의한 반복과 열거가 주된 특징을 보여 준다. 이 같은 구술적 특성은 그의 ``이약이`` 의식과 깊은 관련이 되어 있는데, 첫 번역동화에서부터 선취한 ``-습니다``체는 이후 동화 장르의 보편적 서술체가 된다. 번역동화의 이야기 변형을 통해 창작동화로 이행해 간 대표적 작품은 시골쥐의 서울 구경 이라는 작품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는 그의 번역동화는 ``순창작``이 아니라는, 창작 우위의 관점에서 빚어지는 오류를 수정하고 근대 ``동화`` 장르의 형성과 장르 인식의 측면에서 새롭게 그 지위를 부여했다. You can find above all things that his translated children`s stori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join of ``the traditional aim`` and ``the modern aim``, when you look them closely. By various foreign children`s stories, he underlined the modern child model that the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lacked. Most of all, the sentences which he made use of in his translation are characterized by repetition and enumeration which are weaved by oral methods. This oral characteristic is deeply related to his ``I-Yak-I`` conscience. The ``-sup-ni-da`` type was first gained by his fist translated children`s stories. After that, it became the general declarative type of the genre of the children`s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