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ivekacūḍāmaṇi에 나타난 빤짜꼬샤(prāṇa kośa)의 이해

        문을식(Moon Eul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5 불교연구 Vol.43 No.-

        Vivekacūḍāmaṇi(『식별지계보』로 번역)는 다섯 덮개가 참 자기(Ātman)와 다르다는 것을 식별하는 지혜(viveka)를 얻음으로써 해탈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다섯 덮개란 ‘음식으로 이루어진 덮개(annamaya kośa)’, ‘호흡으로 이루어진 덮개(prāṇamaya kośa)’, ‘감각적 마음으로 이루어진 덮개(manomaya kośa)’, ‘지성으로 이루어진 덮개(vijñānamaya kośa)’, 그리고 ‘환희로 이루어진 덮개(ānandamaya kośa)’를 말한다. 이 글은 『식별지계보』에 나타난 다섯 덮개를 불이일원론 베단따 철학과 요가 상캬 철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다섯 덮개란 참 자기를 덮고 있는 다섯 층이므로 이것은 참 자기가 아니다. 자아의 다섯 덮개를 베단따 철학과 요가상캬 철학적으로 보면, ‘음식으로 이루어진 덮개’는 가장 거친 물적인 몸(sthūla śārīra, 粗大體)이라면, ‘호흡으로 이루어진 덮개’, ‘감각적 마음으로 이루어진 덮개’, ‘지성으로 이루어진 덮개’의 셋은 미세한 몸(sūkṣma śārīra, 微細體)이고, 마지막 ‘환희로 이루어진 덮개’는 원인적인 몸(karaṇa śārīra, 原因體)로 이해된다. ‘음식으로 이루어진 덮개’에서는 몸은 생성되고 변화하며, 존재로 부터 떠나기 때문에 참 자기가 아니다. ‘호흡으로 이루어진 덮개’(prāṇa maya kośa)는 ‘물질적인 몸’인 ‘음식으로 이루어진 덮개’보다 더 미세한 몸(sūkṣma śārīra)이지만 이것도 참 자기가 아니다. ‘감각적 마음으로 이루어진 덮개’는 시작과 끝이 있기 때문에 참 자기가 아니다. 그것은 전변하는 존재이고 본성적으로 고통이며 인식대상이고, 보는 자가 아니라 보여주는 대상이다. ‘지성으로 이루어진 덮개’는 지각기관과 함께 지성의 전이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것은 윤회의 원인인 행위자의 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지성으로 이루어진 덮개’은 변화의 대상이고, 지각이 없고, 한정되고, 지각의 대상이고, 변하기 때문이다. 영원하지 않는 것은 영원한 것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최고 자기가 아니다. ‘환희로 이루어진 덮개’는 ‘지성으로 이루어진 덮개’보다 더 미세하지만 그것도 참 자기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어느 특정한 시기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덮개들처럼, 최고 자기의 변이이고, 단지 최고 자기로서 절대 환희의 반영일 뿐이다. 따라서 자아의 다섯 덮개 이론(Pañca kośa vāda, 五藏說)은 참 자기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설(Upāya vāda)로 이해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in order to the Advaita Vedānta and Sāṃkhya-yoga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Pañca kośas. This literature is an important teaching to search for the freedom(mokṣa). Five sheaths is different to Self. these is the goal that we get to discriminate Self from ego. The five sheaths consist of an anna maya kośa, prāṇa maya kośa, a manomaya kośa, a vijñānamaya kośa, and an ānanda maya kośa. Therefore, the five sheaths of the Self are not true Self. An anna maya kośa is the grossest body(sthūla śārīra, 粗大 體) among five sheaths. The prāṇamaya kośa’, ‘manomaya kośa’, and ‘vijñānamaya kośa’ are the subtle body more than the annamaya kośa. The ‘ānandamaya kośa’ is not only causal body(karaṇa śārīra, 原因體) but also the subtle body more than the anterior four sheaths. The body is not the true self, because of it come into being and change and depart from true being in the anna maya kośa. The vital air sheath(prāṇa maya kośa) cannot be the Self because it is a modification of air and, like air, it goes in and come out. The mental sheath(mano maya kośa) cannot be the supreme Self as it has a beginning and end, as it is subject to modifications, as it is of the nature of suffering, as it is an abject. the seeing subject cannot be the seen object. Born in various bodies, it comes and goes, above and below. the waking, dreaming and other states, and experiences of joy and sorrow, belong to the intellectual sheath(vijñāna maya kośa). Hence intellectual sheath, which has been spoken of, cannot be the supreme Self because it is subject to change, it is insentient, it is limited, it is an object of perception, ti changes. the noneternal cannot be proclaimed to be eternal. Also the sheath of bliss(ānanda maya kośa) is not Self. for it exists only at certain times. thus like other sheaths, the bliss sheath is a modification and merely the reflection of bliss which is Self.

      • KCI등재

        위니캇의 거짓자기 분석과 목회적 돌봄(목회상담)에의 적용

        박노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0 No.4

        This article examines Winnicott’s theory of the false self—origin, development, function and character of the false self and explores how the false self manifest and be maintained in church context. There are many forms of false self manifested in church context such as excessive compliance, reactivity, internal sense of deadness, over–intellectualized faith, and impinging God image. Two factors that contribute to maintain the false self is church environment(demanding two much program participation without considering church member’s gifts and abilities) and person’s intrapsychic resources(church member’s maladaptive images of pastor and God). On the basis of this explor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church needs to offer good–enough holding environment and teach an integrated spirituality to nurture the emergence of the true self. Pastors and Christian counselors’ role to undermine the false self and nurture the true self in church context is suggested in conclusion. 위니캇의 거짓자기 이론을 분석하고 그 이론을 근거로 교회의 상황에서 거짓자기가 어떻게 나타나고 유지되는지를 탐구함으로 목회적 돌봄과 상담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거짓자기의 기원과 발달 그리고 거짓자기의 기능과 특성을 분석했다. 이러한 거짓자기가 교회 상황에서는 순응, 반발, 무감각함, 과도하게 지적인 신앙, 침범하는 하나님 이미지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렇게 출현한 거짓자기는 외부 환경으로서 교회 공동체가 너무 많은 활동 참여를 요구하거나 완벽주의적 신앙을 강조할 때 교인들의 거짓자기는 유지된다. 또한 심리내적으로는 교인들이 목회자나 하나님에 대한 부적절한 이미지를 갖게 될 때 거짓자기는 유지된다. 결론에서는 목회적 돌봄과 상담을 위해 제언을 하는데, 첫째는, 거짓자기 출현과 유지하게 하는 요인을 인지하기, 그리고 거짓자기에 대한 욕구를 줄이고 참자기를 양육해야 하는데, 이때 교회 공동체의 안아주기 환경조성, 과도한 열심과 믿음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보는 것과 통합된 영성을 촉진시키는 것과 교회가 환경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 KCI등재

        인간의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그 양태에 관한 연구 — 플로티누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섭 한국헤겔학회 2009 헤겔연구 Vol.0 No.26

        If the human being could not know themselves, the socratic motto 'know yourself' would be pointless in a sense. Faced with this problem, this study has as its objective to consider the mode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self-cognition of human being explained especially in the Ennead V 3 of Plotinu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analyze the condition and mode of self-cognition in a strict sense by considering the self-cognition of nous. According to Plotinus, the self-cognition in a proper sense could only occur, when the 'self' as a whole would be known by the 'self' as whole. It does not come about in the way the one part of the whole knows another part of it. Accordingly, self-cognition is considered as the operation proper to the pure, simple spiritual being for which knowing subject, known object and operation are not different, but same in every respect. It is, therefore, clear that it cannot be attributed to the human. It is proper for 'us' (hemin) who are identified with 'discursive reason'(dianoia) to know extramental things. 'We' are too busy knowing them to reflect ourselves. But through nous, which is transcendental principle of dianoia, 'we' come to know that we are discursive reason and stem from nous. And by becoming nous, we know nous and 'true self' in it. It means that the human should become a totally different being sc. nous in order to know himself. And that is the mode of self-cognition available to human being. But now the 'self' whom the human comes to know through self-knowledge is no more her 'self'. The mode of self-cognition of human being is put in a paradoxical situation. 만일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없다면, “너 자신을 알라?”는 소크라테스의 모토는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은 플로티누스의 텍스트에 나타난 인간의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양태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정신의 자기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엄밀한 의미에서의 자기인식의 가능성의 조건들과 양태를 분석한 후에, 그 조건들에 비추어 인간의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그것의 가능한 양태에 대해서 숙고하고 있다. 플로티누스에 따르면 엄밀한 의미에서 자기인식은 ‘전체로서의 자기’가 ‘전체로서의 자기’를 인식하는 한에서만 주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인식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배제된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자기인식은 오직 인식주체와 대상, 그리고 작용이 구분되면서도 동일한 존재자인 정신에게만 속할 수 있는 작용이다. 반면 인간에게는 엄격한 의미에서 자기인식이 속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정신과는 달리 ‘우리’ 자신인 추론적 이성은 외적인 것을 인식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추론적 이성은 자기의 근거인 정신을 통해서 자기 자신이 정신으로부터 파생된 존재자임을 인식하며, 더 나아가 스스로 자기 자신의 근거인 정신이 됨으로써 그 안에서 ‘참된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인식하기 위해서 완전히 다른 존재자, 즉 자신의 근거인 정신이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제 영혼이 자기 인식을 통해서 알게 되는 참된 자기는 더 이상 “자기”가 아니라, “자기의 밖”에 있고, 자기를 “초월한 것”이 된다. “참된 자기”는 “자기”가 지양될 때에야, 즉 더 이상 “자기”가 아닐 때 도달할 수 있다는 자기인식의 역설적인 상황에서 플로티누스가 이해하는 인간의 자기인식의 양태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 KCI등재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

        李東建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0

        현재 세계의 경제 강국들은 각기 자기 국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사 상이 있다. 미국의 뉴프론티어정신, 일본의 무사도정신 등이 그것이다. 그러한 국가의 정체성(또는 국격(國格), 이하 국격)은 세계 경제 강국들 이 국가의 경쟁력을 키우고,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국가의 제반 정책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선 제반 분야 정책 수립의 바탕이 될 공인된 국격이나 사상이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국격의 부 재는 국가 경쟁력의 바탕이 될 정신적인 동력의 부재와 무관하지 않은 까닭에 국가적 경쟁력을 위해서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유산 속에서 국 격을 구체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 논문은 우선 영남학파에 한정하여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가 어떤 현대적 의미가 있으며, 국격의 맥락에서 어떤 연관이 있을 수 있 는지를 재고(再考)한 것이다.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의 내용은 영 남학파의 학자들과 주고 받은 편지글에서도 잘 나타난다. 퇴계의 ‘자기 수양과 참 공부’의 요체는 경(敬)이다. 경(敬)은 바로 마음의 주재력에 의해 욕망과 잡다한 사념이 제어되어 몸과 마음이 하나로 통일된 상태 를 말한다. 퇴계는 마음이 하나로 통일된 상태가 지속되어야만 참 공부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퇴계는 “심학(心學)의 요점은 인욕 (人慾)을 버리고 천리(天理)를 보존하는 데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천리 를 보존하는 참 공부는 퇴계의 관점에서는 경(敬)의 실천에 의해 가능 한 것이며, 인욕과 천리를 변별하여 사욕을 버리고 타인과 공생과 화해 를 가능케 하는 본성이 나의 마음속에 있음을 깨닫고 그것을 더욱 크게 발휘하게 하는 것이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의 의의라 할 것이다. 퇴계의 심학은 타인과 자연에 대해 상생과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공부와 수양을 통해 소유론적 욕망을 절제하고 천리인 존재론 적 욕망을 충족하는 길을 제시하고 이발(理發)을 통해 지식인의 실천역 행을 주장하고 있다. 물질만능주의와 시장경제논리가 대세인 현 시점에 서 상충되는 욕망의 피해자를 구원하는 ‘행동하는 양심[理發]’이 정책적 으로 필요하다면, 퇴계의 심학은 현대 학문에도 설 자리가 생기는 것이 며, 퇴계가 평생을 통해 한결같이 실천해 온 ‘선비정신’이 우리 나라의 국격으로 선정되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Winnicott의 참자기와 거짓자기의 의미와 상담관계에의 실천적 함의

        전명남(Jun, Myong-Nam)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1 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2

        이 연구에서는 Winnicott의 거짓자기와 참자기 개념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상담관계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Winnicott은 참자기로 살 때에 오롯이 삶을 생생하게 느끼고 개별화에 성공하며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선택하고 창의성으로부터 솟아나는 삶, 살 만한 가치가 있는 삶으로 살 수 있지만, 거짓자기에 지배될 때에는 순응적이거나 회피적 또는 공격적인 형태의 왜곡을 보인다고 했다. 거짓자기로 살게 되면 개별화에 실패하고 순응적인 삶을 살게 되거나 내적으로 자기 자신이 소외된 존재이거나 참자기는 보호되지만 얼어붙어 있고 단절되어 자기에게 닿을 수 없어서 살만한 가치가 있는 그런 삶은 어렵다고 했다. 순응하는 자기’, 부정론적 거짓자기, 잊혀진 자기는 참자기와 구분이 되었다. 상담관계에서 참자기와 거짓자기의 실천적인 시사점들로 ‘촉진적 환경’에 대해 다루었으며 구체적으로, ‘충분히 좋은 엄마’,‘반영하기’, ‘안아주기’,‘통합’.‘다루어주기와 대상 사용’,‘거주하기’,‘중간 현상과 중간 대상의 형성’,‘대상제시’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plore Winnicott s concept of false self and true self, and examine practical implications in counseling relationships. Winnicott said that human being feels life vividly when living as a true self, succeeds in individualization, makes choices in his/her life, springs out of creativity, and lives worth living, but when dominated by false self, he/she is compliant or avoiding. It is said to show an enemy or aggressive form of distortion. If he/she live as a false self, he/she fail to individualize and live a compliant life, or he/she is alienated internally, or the true self is protected, but it is frozen and disconnected that he/she cannot reach him/her, so that life worth living is difficult. The complying false self, the negative self, and the forgotten self became distinct from the true self. In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he ‘promoting environment’ was dealt with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true self and the false self. Specifically, a good enough mother ,‘reflecting ,‘holding , and‘integration . And also ‘handling’ and ‘use of objects’,‘indwelling’, ‘intermediate phenomena and formation of intermediate objects’, and ‘object presentation’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of Winnicott.

      • KCI등재후보

        중국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자기개념과 참가동기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도영영 ( Tao Ying-ying ),곽한병 ( Kwak Han-pyong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1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4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자기개념과 참가동기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은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시(哈尔滨市), 다칭시(大庆市)의의 생활 체육 테니스 참가자 5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21.02.0~2021.02.24까지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의 표집 방법은 비확률 표집방법 중에서 연구 목적에 따라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론 첫째,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자기개념의 하 위요인 중 가정자기, 심리자기, 사회자기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도덕자기와 자기비판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참가동기의 하 위요인 중 건강동기, 사회동기, 재미동기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자기개념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가정 자기, 심리 자기가 높을수록 정서체험은 강화되며, 도덕 자기와 심리 자기가 높을수록 행위습관은 강화된다. 셋째, 중국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가동기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친다. 즉, 건강동기와 재미동기가 강할수록 정서체험과 행위습관은 강화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continuity of tennis participants in life spor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6 sports tennis participants in Harbin City, Heilongjiang Province, China, and the survey period was 2021.02.01. ~ It was carried out until 2021.02.24.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Of the 556 questionnaires, 51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46 unreliable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data process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ULT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of tennis participants in sports and sport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ome self, psychological self, and social self in exercise continuit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self and self-criticism.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e, health motive, social motive, and fun motiv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rcise continu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concept of life sports tennis participants had an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The family self, psychological self, and moral self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tennis participants in life sports had an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In other words,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 motivation and fun motivation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 KCI등재

        『룻기』에 나타난 룻의 삶의 심리적 주제 및 자기

        정성원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룻은 성경 「룻기」전체를 통해 크게 세 번의 의사결정을 한다. 룻은 자기의 생 각과 마음 및 의지에 근거하여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자신의 삶을 결정한 것이다. 모국인 모압사회를 떠나 이방의 유다사회로 이주할 것인지? 그 사회에서 이주민으로 어떻게 살 것인지? 종교와 종족 및 문화 등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보아스와 다시 결혼할 것인지? 룻의 삶의 심리적 주제(psychological theme of life)와 자기(self)가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룻에 주목하려고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룻의 삶의 심리적 주제는 크게 세 가지다. 즉, 빈곤, 상실, 단절이다. 빈곤 주제는 경제지리학적ㆍ사회구조적ㆍ사회자본적 요인에서 확인되고, 상실 주제는 남편과의 사 별, 부가적인 용어가 추가되는 정체성의 혼란에서 기인한다. 단절 주제는 가부장적 사 회에서의 남아선호사상이라는 사회적 압력에서 연유한 것이다. 룻은 삶의 이 세 가지 심리적 주제를 해소했는데, 이는 그녀의 자기가 작동한 결과 로 보인다. 먼저 그녀는 빈곤이라는 삶의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다사회로의 이주, 이삭줍기라는 경제활동 참여를 결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참자기가 작동한 것이다. 또한 자발성과 진정성을 잃지 않는 것이 참자기의 핵심적인 모습 이다. 이삭줍기라는 권리의 행사에서는 자발성을, 그것을 표출하는 방식에서는 연기자 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는 비굴하고 굴종적인 모습인 아닌, 건강한 순응적인 거 짓자기로 빈곤과 상실이라는 삶의 주제에 접근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오미의 보아 스에 대한 청혼 제안에 대한 룻의 반응은 거짓자기와 참자기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 다. 왜냐하면 그녀의 이러한 반응은 참자기를 드러내지 않은 채 공손한 태도를 드러 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룻은 그녀의 삶의 심리적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차원에서 자기를 표출, 작동시키고 있다. 즉, 자기 주도적ㆍ창의적 참자기를 기능시키 거나, 거짓자기 가운데서도 순응적 거짓자기를 표출시키거나, 참자기와 순응적 거짓자기를 통합시키고 있다. Ruth makes three major decisions throughout the Book of Ruth in the Bible. Ruth decided on her past, present, and future life based on her thoughts, heart, and will. Will I leave my home country of Moab and immigrate to the Gentile society of Judah? How will I live as an immigrant in that society? Would I marry Boaz again, who has a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 such as religion, race, and culture? It appears that the psychological themes of Ruth's life and self may have influenced this decision. With this awareness in mind, we would like to focus on Rut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three main themes in Ruth’s life. That is, poverty, loss, and disconnection. The theme of poverty is confirmed in economic geographyㆍ social structureㆍsocial capital factors, and the theme of loss stems from the death of a husband and the confusion of identity to which additional terms are added. The theme of disconnection stems from the social pressure of preferring boys in a patriarchal society. Ruth deals with these three themes of life by putting the self to work. Ruth resolves these three psychological themes of life, which seem to be the result of her self working. First, she decided to migrate to Jewish society and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gleaning in order to solve the psychological theme of life called poverty. In this process, the spontaneous and creative true self came into play. Also, not losing spontaneity and sincerity is the core aspect of the true self. In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glean, they showed spontaneity and played the role of an actor in the way they expressed it. This approaches the subject of life, poverty and loss, with a healthy, compliant false self, rather than a servile and subservient self. Lastly, Ruth's response to Naomi's marriage proposal to Boaz can be said to be an integration of the false self and the true self. This is because her reaction shows a polite attitude without revealing her true self. Therefore, Ruth expresses and operates her self in three dimensions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themes of her life. In other words, the self-directed and creative true self is functioning, the adaptive false self is expressed among the false selves, or the true self and the adaptive false self are integrated.

      • KCI등재

        다움의 영성: 근원적 자기추구

        김기철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최근 우리나라에서 일고 있는 교회 안팎의 영성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많은 영성 관련 저작들, 영성훈련과 프로그램의 활성화는 대안적 영성운동으로 부를 수 있다. 교회의 신학적, 교리적 가르침과 신앙생활 교육이 많은 사람들의 영성에 제대로 응답하지 못하고 이끌어주지 못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교회에서 나타나는 세속화 현상, 종교적 경직성, 교리 중심성, 생동감 없는 모방성, 무의미한 반복성을 경험하며 생겨나는 영적 배회현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영성에 대한 깊은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기독교 영성에 대한 깊은 관심과 추구는 하나님형상에 기초한 영성신학에 이끌릴 때 더욱 풍성한 생명력과 역동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영성신학도 더욱 굳건해지고 개인의 영성생활에 있어서도 교회 안팎의 영적배회자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영성을 하나님형상을 구현하여 하나님 닮음을 이루어가게 하는 거룩한 충동과 능력으로 정의한다. 하나님형상을 지닌 인간의 영적 실존을 “근원적 자기”로 표현하며 영성형성을 “근원적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간주한다. 이 논문은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하나님형상의 근원성과 역동성을 살펴보며, 위니캇(Donald Winnicott)의 “참자기”표출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하나님형상의 구현으로써의 영성생활을 비추어보고 있다. 참자기 표출은 하나님이 저마다에게 주신 개성으로 볼 수 있고, 각자의 고유한 개성을 통해서, 그리고 각자의 특별한 환경과 관계 속에서, 영성이 온전하게 추구될 수 있다. 영성형성을 “근원적 자기” 즉,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 ‘나’ 자신의 정체성 발견에서 시작하여 “근원적 자기다움”을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때, 이러한 “근원적 자기됨”의 사명을 이루는 삶은 각자의 개성과 환경에 따라 독특하고 창조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최근 우리나라의 영성운동은 개인의 영성형성에 좀 더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며, 교회가 그러한 영성형성을 끌어안고 지지해주는 문제를 놓고 고민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Many contemporary Christians outside as well as inside the church experience "spiritual homelessness" in their own ways, which has been induced mainly by the gradual split between religion and spirituality. As a substitute for our "spiritual homelessness" a new spirituality movement accompanied with many writings on spirituality and spiritual formation programs offered has emerged. In order for our spiritual quest to deepen our spirituality, to lead us into a healthy spiritual formation, and to maintain its power to transform our spiritual lives, churches, and societies, there should be a healthy theology of spirituality, most of all. Christian spirituality can be understood better and when we approach it, based on the Image of God. The Image of God has its two characteristics: "image as stamp" and "image as reflection." The ultimate goal of spirituality is to confirm the image of God in us and fully realize it in our own situation, through our own character. Christian spirituality is not just about "apatheia" in individual dimension but about the living out of the Image of God in our "relational space" in the midst of our society. The image of God can be described as the foundational self with calling from God which is supposed to be concretized voluntarily, creatively and pleasantly. The foundational self can be confirmed and sought by spirituality when it is motivated and empowered by the Holy Spirit. Also, we need to start understanding the Image of God from the very context of our lives, attuning to how we actually feel, want, and think. For this, we can focus on spirituality of dynamics and psychological concept of the true self in order to have people seek spirituality in a healthier way, and more lively experiencing "the sense of feeling real." We can also focus on dynamics of spirituality as a life of seeking likeness to God, without sticking to the traditional way of substantially approaching to the Image of God. We should be able to encourage and support how each individual seeks spirituality in his or her own way, instead of making it generalized.

      • KCI등재

        중년 남성의 참자기 발견: 현상학적 사례연구

        최양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process of self–discovery of human true self. The methodology involve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Logotherapy, and Literature Therapy. Despite his professional success, the middle–aged participant has been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hardships. He believes that the primary problem of his family of origin is its failure of embedding the significance of life in his value system. His family’s constant demand of ‘having to stand out’ has driven him to feel lost until his 50s. Two main categories are found from his life history, ‘Power’ and ‘Lie’. His neurosis involves not only psychological but spiritual aspects. He has gradually opened himself to religion; the change of his heart heavily owes to people and thoughts from books. There was no dramatic turnabout in his story, yet it emphasizes how consistent efforts and soul–searching can change one person. 본 연구의 목적은 참자기 발견의 의미와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며, 대상관계이론, 의미치료, 독서치료이론을 배경으로 하였다. 참여자는 사회적, 직업적으로 성공한 중년남성으로서 부 콤플렉스, 모 콤플렉스, 불안 신경증으로 고통을 받았다. 참여자는 원가족이 강요한 ‘세상에서 잘나야 한다’는 요구에 매몰되어 살아왔다. 참여자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전수해주지 못한 것을 원가족의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였다. 참여자의 이야기로부터 ‘권력’과 ‘거짓’이라는 두 핵심주제가 발견되었다. 참여자의 신경증은 심인성(心因性)인 동시에 영인성(靈因性)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삶에 의미와 가치가 있음을 믿는 것이 신앙이며 참자기 발견이다. 이러한 신앙적 회심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배우자의 수용과 책을 통한 인물과 사상이 영향을 미쳤다. 참여자의 이야기는 꾸준한 노력과 자기성찰이 참자기를 발견하는 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자기란 존재의 근원인 신 안에서 가치와 의미를 찾고, 자기 안에 갇혀 있음으로부터 벗어남을 가리킨다. 이 바탕 위에 세계에 대한 관심을 갖는 일이며, 바로 이러한 방향전환을 가리키는 것임을 이 사례는 말해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

        이동건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0

        Current world economic powers have a thought of their own that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ir state. They are the New-frontier Spirit in the U.S. and the Samurai Spirit in Japan. Such identity of a nation(or national status, to be called from now on) is becoming the ground of various national policy making for world economic powers to rais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o secure sustainable management. On the contrary,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is not any authorized national status or thought in Korea that would be the ground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fields. The absence of national status is not irrelevant to the absence of mental power, the ground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oncretize the national status in the mental heritage of the nation for the sake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thesis limited its research to the school of Yeongnam considering what kind of modern meaning the 'Toegye's self-discipline and genuine study' is able to bear and what kind of relation it can have with the national status. The content of 'Toegye's self-discipline and genuine study' is also well represented in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he and scholars of the school of Yeongnam. The key of 'Toegye's self-discipline and genuine study' is Gyeong(敬). Gyeong is a state of unity of body and mind in which desires and various wicked thoughts are removed by the supervision of mind. Toegye believed that true study could be reached only when the state of unity of mind lasted. He also maintained that the key of Simhak(心學) is to abandon the human desires(人慾) and to retain the heavenly principles(天理). The true study to retain the heavenly principles, from the standpoint of Toegye, is possible by practicing Gyeong. The significance of Toegye’s self-discipline and true study would be to discern between human desires and heavenly principles, to give up wicked thoughts, to realize that the nature enabling living together and reconciliation is in mind and to let it exerted much more. Toegye's Simhak(心學) presented a way of restraining possession-oriented desires through study and discipline and filling up the ontological desire, the heavenly principl. It also maintained the intellectuals' practical endeavors through Yibal(理發). At current point where materialism and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prevails, if the 'acting conscience[理發]', which will save the victims of conflicting desires, is needed politically, Toegye's Simhak might have a stand in between modern studies. 'That must be the greatest reason why the 'Sunbi spirit' that Toegye had practiced constantly throughout his life should be selected as the national status. 현재 세계의 경제 강국들은 각기 자기 국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사상이 있다. 미국의 뉴프론티어정신, 일본의 무사도정신 등이 그것이다. 그러한 국가의 정체성(또는 국격(國格), 이하 국격)은 세계 경제 강국들이 국가의 경쟁력을 키우고,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국가의 제반 정책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선 제반 분야 정책 수립의 바탕이 될 공인된 국격이나 사상이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국격의 부재는 국가 경쟁력의 바탕이 될 정신적인 동력의 부재와 무관하지 않은 까닭에 국가적 경쟁력을 위해서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유산 속에서 국격을 구체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 논문은 우선 영남학파에 한정하여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가 어떤 현대적 의미가 있으며, 국격의 맥락에서 어떤 연관이 있을 수 있는지를 재고(再考)한 것이다.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의 내용은 영남학파의 학자들과 주고 받은 편지글에서도 잘 나타난다.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의 요체는 경(敬)이다. 경(敬)은 바로 마음의 주재력에 의해 욕망과 잡다한 사념이 제어되어 몸과 마음이 하나로 통일된 상태를 말한다. 퇴계는 마음이 하나로 통일된 상태가 지속되어야만 참 공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퇴계는 “심학(心學)의 요점은 인욕(人慾)을 버리고 천리(天理)를 보존하는 데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천리를 보존하는 참 공부는 퇴계의 관점에서는 경(敬)의 실천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인욕과 천리를 변별하여 사욕을 버리고 타인과 공생과 화해를 가능케 하는 본성이 나의 마음속에 있음을 깨닫고 그것을 더욱 크게 발휘하게 하는 것이 퇴계의 자기수양과 참 공부의 의의라 할 것이다. 퇴계의 심학은 타인과 자연에 대해 상생과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공부와 수양을 통해 소유론적 욕망을 절제하고 천리인 존재론적 욕망을 충족하는 길을 제시하고 이발(理發)을 통해 지식인의 실천역행을 주장하고 있다. 물질만능주의와 시장경제논리가 대세인 현 시점에서 상충되는 욕망의 피해자를 구원하는 ‘행동하는 양심[理發]’이 정책적으로 필요하다면, 퇴계의 심학은 현대 학문에도 설 자리가 생기는 것이며, 퇴계가 평생을 통해 한결같이 실천해 온 ‘선비정신’이 우리 나라의 국격으로 선정되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