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이 참여도와 공동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집단주의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박찬권 ( Park Chan Kwo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과 참여도, 집단주의, 공동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독립변수는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 요인으로 기능적 혜택, 사회적 혜택, 쾌락적 혜택의 3가지로 선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참여도를 종속변수로는 공동구매의도를 조절변수로서는 집단주의을 선정 하였다. 그리고 이들 변수 사이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가설 1의 검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은 모두 참여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온 라인 커뮤니티의 혜택을 제고할수록 참여도 역시 제고할 수 있다. 가설 2의 검정으로서 참여도는 공동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참여도를 높이는 것이 공동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이다. 가설 3의 검정으로 집단주의는 부(-)의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가설 4의 검정으로 참여도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이 공 동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참여도의 매개변수 역할에 의하여 더욱 높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과 참여도, 공동구매의도, 집단주의 간의 관계에 대한 검정으로 기업들에게 온라인상에서 커뮤니티 혜택의 수준을 제고하는 것이 참여도와 공동구매의도 역시 제고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collectivism, and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Independent variables were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for which functional benefit, social benefit, and hedonic benefit were selected. For mediating variable, the level of participation; for dependent variable,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for moderating variable, collectivism was selected. The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es among these variables is as follows.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1 revealed that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So as the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rise, so will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2 showe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So rais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is raising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3 showed that collectivism serves as a negative moderating variable.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4 reveale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serves as a mediating variable, implying that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and can have a higher effect by the mediating variable, the level of participa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collectivism, and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companies, raising the level of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will raise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 KCI등재

        논문 : 생활무용 참여자의 참여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특성: 확신혜택을 매개변수로

        이건희 ( Gun Hee Lee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2 No.-

        이 연구는 생활무용 참여자의 확신혜택 중요성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자의 내재적 특성을 파악하고, 확신혜택요인과 참여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생활무용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평생교육원, 사설학원, 구민회관, 백화점 문화센터에 개설된 생활무용 강좌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00부를 배포하여 384부(96.0%)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하거나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는 15부를 제외한 369부(92.3%)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Windows용 SPSS 13.0과 AMOS 5.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무용 참여자의 내재적 특성인 위험감수 성향은 생활무용 참여자의 확신 혜택 중요성지각에 통계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참여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생활무용 참여자의 내재적 특성인 다양성추구 성향은 직원으로부터의 확신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 참여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생활무용 참여자의 내재적 특성인 타인신뢰 성향은 직원으로부터의 확신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 참여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생활무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의 확신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은 생활무용 참여자의 참여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cepts: the dance for all participants` inherent characteristics, perceived importance of confidence benefit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the dance for all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search object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Objects of this study were groups participating in classes held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public community centers, and cultural centers of department stores. Those questionnaires, judged to be insincere and un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or having questions unanswered,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 total of 369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13.0 for window statistics package and AMOS 5.0 for window statistics package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racti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isk taking tendency hasn`t had influence on the confidence benefit. But risk taking tendency has influenc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the variety-seeking tendency has influence on the confidence benefit,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ird, the trust orientation has influence on the confidence benefit,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Forth, the confidence benefit has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 KCI등재

        패션브랜드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유형에 따른 커뮤니티 참여혜택과 커뮤니티 애호도 차이

        최미영 ( Mi Young Choi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패션브랜드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소비자들이 얻게 되는 혜택의 하위구성차원을 밝히고, 커뮤니티 참여수준에 따라 집단별로 커뮤니티 참여혜택 차원이 커뮤니티에 대한 애호도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패션브랜드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참여활동을 통해 소비자들이 얻게 되는 혜택에 관한 요인분석결과 ‘실용적 정보추구’, ‘정서적 관계만족’, ‘경험적 충족’, ‘경제적 혜택’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패션브랜드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소비자들은 커뮤니티 참여 기간과 참여 강도를 기준으로 한 커뮤니티 참여수준에 따라 ‘제한적 활동집단’, ‘활동 미특화집단’, ‘활동 특화집단’, ‘열성적 활동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참여수준별 커뮤니티 애호도 형성에 대한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여강도가 강한 ‘활동 특화집단’과 ‘열성적 활동집단’은 경험적 혜택 요인이, 참여강도가 약한 ‘제한적 활동집단’과 ‘활동 미특화집단’은 실용적 정보 혜택에 의한 영향이 커뮤니티 애호도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커뮤니티 활동 회원들의 효과적인 커뮤니티 애호 형성을 위해서 커뮤니티 참여 수준에 맞춘차별화전략이 적용되어야함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는 패션기업의 브랜드 전략의 한가지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한 e-CRM인 온라인 고객관리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dimensions of the benefits which consumers are able to receive from online fashion brand communities; that is, to categorize the consum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then determine the appealing points for forming community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benefits from community participation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mmitment according to individual group category. For this empirical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50 members of fashion brand commun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factor analysis on consumers` benefits from online fashion brand community activities, 4 factors were extracted: seeking practical information, emoti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experiential meetings, economic benefits. Second,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limited activity group’, ‘non-specialized activity group’, ‘specialized activity group’, and ‘enthusiastic activity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participation period × participation intensity). Third,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mmitment by group categor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suggested that the activity specialized group with high participation intensity and the enthusiastic activity group are more influenced by experiential meetings regarding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mmitment, whereas the limited activity group with low participation intensity and the non-specialized activity group are influenced by practical information benefits regarding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mmitment. Thus this study is essential to application of differenti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Ultimately, the utilization of e-CRM through an online brand community can be presented as a fashion company brand strategy.

      • KCI등재

        개인의 교육훈련 혜택 기대와 조직의 사회적 지원, 학습동기 및 전이동기,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 자발적 및 비자발적 참여 집단별 분석

        박윤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3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5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training benefits,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and transfer of training with a sample of employees in SMEs(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were different in groups betwee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andatory particip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the individual training benefits and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 influ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on transfer of training) was relevant to the data. In addition, the voluntary group and mandatory group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study found that the perceived training benefits influence transfer of training through the motivation to learn and motivation to transfer in both groups.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to transfer positively affects transfer of training. However, the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 in two groups were found to differently affect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and transfer of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sue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개인의 교육훈련 혜택 기대와 조직의 사회적 지원, 학습동기 및 전이동기,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훈련 참여 유형(자발적 참여 집단 vs. 비자발적 참여 집단)에 따라 이 관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국의 중소기업 근로자이며, 이들 가운데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81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설정한 연구모형 1과 연구모형 2 중 어느 모형이 더 적합한 모형인지를 비교하기 위해 LISREL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교육훈련 혜택 기대와 조직의 사회적 지원이 학습동기 및 전이동기를 거쳐 교육훈련 전이로 가는 경로(연구모형 1)보다 개인의 교육훈련 혜택 기대와 조직의 사회적 지원이 학습동기 및 전이동기를 거쳐 간접적으로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육훈련 전이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연구모형 2)가 자료를 보다 잘 설명하는 모형인 것으로 나타나 이를 채택하였다. 연구모형 2에 근거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육훈련 혜택 기대는 학습동기 및 전이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의 사회적 지원 가운데 상사의 지원만은 동기 관련 변인 및 교육훈련 전이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전체 샘플 중 교육훈련의 자발적 참여 집단과 비자발적 참여 집단별로 나누어 다집단 모델(Multiple-Group Models) 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 관계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은 조직의 사회적 지원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자발적 참여집단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전이동기와 교육훈련 전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비자발적 참여집단에서는 동료의 지원만이 전이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교육훈련 참여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 관리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접점에서 다차원적 혜택이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접점 종업원 인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

        최우리,박종희,김도일 대한경영정보학회 2020 경영과 정보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소비자들이 보다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적극적인 소비자 참여를 수행하는요인을 다차원적으로 검토하여 소비자 참여의 주요 유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 참여를 수행하는 동안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데 서비스접점 종업원의 서비스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서비스 산업은 미용 서비스이다. 미용 서비스는 상호작용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소비자 참여의 정도가 서비스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접점 종업원의 서비스가 중요한 산업 중의 하나이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일반 소비자 4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와 AMOS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관계적 혜택은 소비자 참여에 유의하지 않으며 기능적 혜택과 쾌락적 혜택은 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참여는 긍정적 감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부정적 감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점 종업원의 서비스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모두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서비스는 사회적 가시성이 높은 산업이기에 관계적 혜택은 소비자 참여를 유발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부정적 감정이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일부의 부정적 감정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부정적 감정 차원을 보다 면밀히 분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접점 종업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접점 종업원의 다양한 서비스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main triggers of consumer participation behavior by multi-dimensionally reviewing factors affecting active participation behavior in order for consumers to receive better service at service encounter. We also want to review the impact of service contact employees' human services on consumers’ experi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hile performing participation behavior. This study targeted beauty salon services. Beauty salon servic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for human services because of the relatively long time interaction and the high degree of consumer participation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service outcomes. For an empirical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on 446 general consumers. SPSS and AMOS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lational benefits were not significant for consu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functional benefits and hedonic benefits were significant. Consumer participation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emotions, but not on negative emotions. It has been shown that the service provider's human servi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inally,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quality. Since beauty services are an industry with high social visi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relational benefit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 participation. Negative emotions perceived by consum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rvice quality. It may mean that some negative emotions are insignificant. Further studies will need to classify the negative emotion dimension more close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feelings arising from service employe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rious types of services of contact employees.

      • KCI등재

        연구논문 : 생태관광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영향요인, 지각된 혜택, 개발 지지도, 참여의도간의 관계 연구

        양승필 ( Seung Pil Y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개발 및 확대에 따라 지역주민이 인식하고 있는 영향요인에 의해 지역주민의 지각된 혜택, 개발 지지도, 참여의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른 현실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관광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영향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인 영향요인은 지속가능성, 경제 의존도, 지역 애착심으로 구성되었고, 매개요인 및 종속요인으로는 지각된 혜택, 개발 지지도, 참여의도로 추출되었다. 둘째, 지역주민의 인식 영향요인 중에서 경제 의존도와 지역 애착심은 지각된 혜택, 개발 지지도, 그리고 참여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가능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 1, 가설 2, 가설 3이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지역주민의 지각된 혜택과 개발 지지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혜택이 개발 지지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넷째, 지역주민의 지각된 혜택과 참여의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혜택이 참여의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5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개발 지지도와 참여의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발 지지도가 참여의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6 역시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residents` perceptions, perceived benefits, development supports and intentions to participate toward eco- tourism development in Jeju. From the survey, a total of 251 useful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SPSS 17.0 for Window.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dependency and community attach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benefits, supports for eco-tourism development, and intentions to participate. Second, the perceived benefi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ports for eco-tourism development, and intentions to participate. Finally, the supports for eco-tourism development were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 KCI등재

        Effects of Customized Skin Diagnosis Service on Participationbased Consumer Segmentation

        Gyuwon Kim,Sungnae Lee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4

        목적: 본 연구는 맞춤형화장품 피부진단 서비스의 소비자 그룹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맞춤형화장품 피부진 단 서비스의 유형별로 잠재 소비자의 소비가치, 참여도 및 추구혜택과 관련된 니즈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20대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9월 15일부터 9월 27일까지 13일간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83부 중 답변이 불성실하거나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타 지역 거주자를 제외한 총 393부 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SPSS통계프로그램 2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사후검 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맞춤형 피부진단 서비스와 맞춤형 원료 서비스에서 소비자 그룹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화장품 구매비용이 서비스유형별 참여도, 소비가치 및 추구혜택의 평균이 차이를 분석하여 통계학 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참여도와 소비가치 추구혜택 간의 관계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비참여도가 소비가치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번 연구결과를 통하여 맞춤형 피부진단 서비스가 피부미용산업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되기를 바라며, 피부진단서비스로 인해 좀 더 체계적인 피부관리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consumer segmentation of customized cosmetic skin diagnosis services by identifying the needs of potential customers related to their consumption value, participation level, and pursuit benefits for each type of customized cosmetic servic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13 days in September 2020 on individuals aged at least 20 years,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Among 483 received responses, only 393 were used for an analysis; insufficient responses and those written by residents living outside of the included region were excluded. Data were analyzed as pe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ndings confirmed that consumer segmentation is possible in the customized cosmetic skin diagnosis services and customized ingredients services. After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consumption value, participation level, and pursuit benefits, the monthly average purchasing cost in cosme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cipation level, consumption value, and benef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articipation level affects the consumption value. Conclusion: The customized cosmetic skin diagnosis service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skin cosmetic industry development and as part of systematic and secure skincare.

      • KCI등재

        소셜 미디어에서 참여혜택과 온라인 정체성을 통한 여행정보 공유에 관한 연구

        정남호,한희정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인터넷의 기술은 여행객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하여 자신이 필요한 여행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블로그, 까페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여행객이 더 신뢰할 만한 정보원을 바탕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왜 사람들이 이러한 소셜 미디어에 여행정보를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여행정보의 사회적 혜택, 사회·심리적 혜택, 기능적 혜택이 개인의 정체성과 커뮤니티 참여를 공유하여 여행정보를 공유하는 의도를 유발시킨다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총 323명의 온라인 여행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AMOS 18.0 으로 인과모형을 구축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기능적 혜택과 쾌락적 혜택은 개인의 온라인 정체성과 커뮤니티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심리적 혜택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개인의 온라인 정체성과 커뮤니티 참여는 모두 커뮤니티 상에서 여행정보 공유 의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ternet technology enables travelers to access the Internet anywhere any time to obtain necessary travel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social media such as blogs and cafes supports travelers to make decisions based on more reliable information sources. However, the reason why travelers provide information to these social media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yet.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a study model indicating that the functional, social·psychological and hedonic benefits provided by social media prompt travelers' intention to share their identities and participate in communities thereby sharing travel information. A causality model was established using AMOS 18.0 with a total of 323 travelers who use social media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unctional and hedonic benefits provided by social media affected travelers' online identity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but social·psychological benefits did not. Both travelers' online identity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were shown to prompt intentions to share travel information in communiti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기부대상영역에의 기부참여행동과 기부정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강철희(Chul-Hee Kang),주명관(Myung-Kwan Ju) 한국비영리학회 2007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기부의 정기성에 초점을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부 정기성에 있어 기부대상 영역에의 참여행동의 영향력을 파악해 보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재단 2006년 전국민 기부 및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서베이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2005년도에 기부한 경험이 있는 68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부 정기성의 경우,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231명(33.6%), 비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457명(66.4%)으로 비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의 약 2배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기부대상영역 참여경험에 대한 다중응답분석의 결과, 총 1,398개의 응답 중, 불우이웃돕기 및 사회복지시설 영역과 관련된 빈도가 935(66.9%)로 가장 많고, 친구, 이웃, 친척 영역의 빈도는 127(9.1%)이고, 부랑인 및 노숙자 영역의 빈도는 180(12.7%), 지역사회 영역의 빈도가 20(1.4%), 그리고 정당과 정치인, 교육 및 의료기관 등의 기타 영역의 빈도가 136(9.7%)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부 정기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5개의 기부대상영역 중 부랑인 및 노숙자 영역은 부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고 나머지 4개 영역은 정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영역에 기부하는 사람들은 정기적 기부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사회적 변수에서는 기혼인 경우(+),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세제혜택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두어서 기부를 하는 경우(+), 나눔가치(나눔교육)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경우(+), 정기적 기부의 가능성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부 문화 확산 및 사회복지 자원활성화 측면에서 연구의 의미 및 시사점을 논의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attern of regularity in Korean’s giving behavior by using ‘2006 National Survey Data on Korean’s Giving and Volunteering‘conducted by the Beautiful Foundation. Particularly, by using only 688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giving in 2005 among all the respondents,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degree of Korean’s regular givi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s regular giving.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this paper predicts factors that explain odds for regular giving in comparison with irregular giving.<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tern of Korean’s giving, irregular giving represents 66.4% and regular giving represents 33.6%. Second, in selected giving areas, giving on the area related to welfare recipients and institutions has the highest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selected giving areas. Third, in logistic regression, the most interesting factors th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giving on the selected giving areas. While the area related to welfare recipients and institution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ular giving, the area related to homeless people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gular giving. Other areas als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ular giving. In addition, marital status(married), volunteering experience (+), philanthropic value (acceptance on importance of philanthropic education) (+) and motivation by tax incentive (+) are factors that increase odds for regular giving in comparison with irregular giving.<BR>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findings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giving behavior. This paper finally discusses implications for promoting and strengthening Korean’s giving behavi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