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와 각색 애니메이션의 서사학적 비교 연구―<마당을 나온 암탉>을 중심으로

        이종호 ( Lee Jong-h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6 No.-

        본 연구는 황선미의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과 오성윤 감독의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을 서사적 소통의 관점에서 이야기 층위와 서술층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자 간의 서사적 특질을 밝혀, 그것이 어떤 차이화를 이루어내는지를 짚어보고 그 의의를 찾아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서사구조는 일종의 `소수자`로서 기존의 지배적 질서와 경계를 깨뜨리려는 탈주적 욕망의 서사화와 관련이 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서사구조는 서술자가 주인물에 근접하여 끊임없이 틈입함으로써 주인물과 교유하는 서술태도를 통해 우정과 부성애, 모성애, 이타적 사랑을 포괄하는 소망과 자유의지의 실현이라는 중층적 의미망을 생성하고 있다. 한편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은 핵심서사와 주제의식에서는 동화 텍스트와 큰 차이를 드러내지 않으나, 동화보다는 주요인물들 간의 갈등을 더욱 예각화하고 다양한 이차 서사소들을 배치하여 주제의식을 더 한층 부각시키는 한편, 다양한 카메라워크와 카메라앵글, 인물의 내면을 극대화하는 교차편집, 전라도와 경상도의 익살스런 입말의 대사, 한국적 자연의 조형성과 그에 부합하는 배경음악 등으로써 애니메이션의 예술성과 서술성, 유희성을 강화하는 영상문법을 구축하고 있다. 이렇듯 동화와 각색 애니메이션은 차이화로써 각기 소통하고 소통되며, 소통하고자 욕망한다. 그 차이화를 통해 각색 애니메이션이 원작의 아류라는 생각을 전도한다. 매체의 전이는 곧 차이화를 전제하며, 그것은 사건-의미의 또 다른 생성이자 차이의 생성이다. 차이의 생산에 주목한다는 것은 결국 모든 종류의 실체론적 사유에 대한 거부를 극한에까지 밀고 나가는 것이다. 원전과 수많은 시뮬라크르의 관계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차이의 생성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from narratological perspective between the fairy tale < A Hen Comes Out of the Yard > and the animation < Leafie, A Hen into the Wild(2011) >. The fairy tale < A Hen Comes Out of the Yard > portrays the desire of escape, attacking the established ruling order throughout the main character, Leaf Bud. Additionally, it, told by an invisible storyteller, has connotations of wish and free will. The animation < Leafie, A Hen into the Wild(2011) > adopts the main plot and subject consciousness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 however, the animation < Leafie, A Hen into the Wild(2011) > attempts to put more emphasis on the theme with the growing conflict among the characters than original picture book. Furthermore, the jocular dialogue by adding another characters and incidents, diverse camera-works, cross cutting make the animation strengthened the artistry, amusement and cinematic quality. A story is based on communication. It communicates through the differences and serves significant messages. The fairy tale < A Hen Comes Out of the Yard > and the animation < Leafie, A Hen into the Wild(2011) > are similar, but also imparity. Those differences creates meanings; therefore, I emphasis on the differences. In deed,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ogy(plausibility) instead of similarity(similitude) because, always, the differences are ontological and raises an axiological question and skepticism.

      • KCI등재

        타자의 초상과 신생 대한민국의 자화상 ―해방 ~ 한국 전쟁기 인도 인식을 중심으로

        정재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7

        This paper starts by critical thinking regarding the necessity of carefully considering linkage between countries in political world history,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order to understand international political geography and how Korean society views itself, post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Based on that critical mindset, we have examined the mechanism of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as practiced by the Korean intellectuals after the colonization period, through the discourse on India produced with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The reason why I selected India is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both India and Sou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political prestige which India gained after its lib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Koreans were able to reconstruct their position from a post-colonial nation to a new portrait of themselves as anti-Communists who deliver justice through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with India. South Korea admired India for its independent movement, yet India was still considered different due to its disparate culture. Through India's example, Korea was able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the subject of a colonized nation who fought for independence and became a post-colonial liberated nation with a more civilized society. On the other hand, divided India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s to enhance their desire for independence. Being an example of how a conflict within a nation can hamper establishment of a solid country, India triggered Korea to picture them as a complete nation which overcomes through a disorder. Also, Koreans were able to sense divided nation could possibly intensificate Cold War in the Korean peninsula by witnessing the disorder in India followed by a war. After China became communist and the Cold War was dimmed, India helped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them as “anti-communism democratic fortress.” Although nonaligned India was first loved by others, they were slowly segregated by the discourse of “democratic camp” and the United Nation as they went through series of wars. Under the impression of transmuted Orientalism:considering people who do not follow nonaligned India inhumane, Republic of Korea was able to consider themselves as a part of Cold War empire in the Cold War movement. Republic of Korea, the “anti-communism democratic fortress,” consolidated their position by segregating communism and trying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noncommunist. 이 글은 해방 이후 국제 정치적 지형과 그 속에서 한반도가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ㆍ소에 대한 관심과 연동되어 있는 기타 지역에 대한 인식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 전쟁기를 거치는 사이 남한에서 생산된 인도 관련 담론을 통해 탈식민 조선 지식인들이 수행한 세계적 차원의 동일화와 차이화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려 하였다. 인도를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인도와 조선이 겪었던 역사적 경험의 유사성과 해방 이후 인도가 차지했던 국제 정치적 위상 때문이다. 해방 후 한국인들은 인도와의 동일화와 차이화를 통해 문명화된 탈식민 해방 민족의 위치에서 정의를 수호하는 반공 민주 국가로 스스로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새로운 자화상을 그려 나갈 수 있었다. 인도는 탈식민 독립 투쟁의 선봉으로서는 선망의 대상이었지만 아직 문명화되지 못했다는 인식 속에서는 차이화의 대상이었다. 인도를 통해 한국인들은 독립을 위해 함께 투쟁한 피식민 민족 주체이자 문명의 위치에 보다 가까운 탈식민 해방 민족이 될 수 있었다. 한편 분할 독립한 인도는 통일 국가에 대한 한국인들의 열망을 일층 고양시키는 대상이었다. 민족 내의 갈등이 강건한 민족 국가의 성립에 저해가 됨을 보여 줌으로써 인도는 분란을 극복한 완전한 네이션으로서의 조선에 대한 상상을 자극했다. 동시에 인도의 분란이 전쟁으로 이어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한국인들은 분단된 한반도에서 냉전이 격화될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었다. 중국이 공산화되고 냉전이 열전으로 화하면서 인도는 대한민국이 스스로를 ‘반공 민주 보루’로서 정위할 수 있게 하는 데에도 일조했다. 애초 ‘구애의 대상’이었던 비동맹 인도는 전쟁을 거치며 ‘민주 진영’과 유엔을 보편으로 상정하는 담론 전략 속에서 배제의 대상이 되어 갔고, 비동맹 인도를 보편을 따르지 않는 비인도(非人道)적 무리로 표상하는 변주된 오리엔탈리즘의 시선 속에서 대한민국은 냉전 질서 속에서 스스로를 냉전 제국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었다. ‘반공 민주 보루’ 대한민국은 공산주의를 타자화하고 비공산주의적 세력과의 차이화를 시도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해 갔던 것이다.

      • KCI등재

        차이화된 수업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

        민천식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struction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by using UDL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all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Method] it is a literature study analyzing 38 related literatur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s of UDL is to the educational expansion the seven principles proposed in universal design: impartial use, flexibility in use, simple and intuitive use, perceivable information, tolerance for errors, minimization of physical effort. of the appropriate size and space for access and use. Second, when designing a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all learners, When designing a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all learners, in the process of content, process, and outcome of the curriculum approach perspective, the three key elements of UDL must be meets the various means of representation, the various means of participation, and various means of expression. various means of expression. Third, the teacher's belief is that the learner's ultimate goal to reach through the instruction of UDL is nomadic and motivated learners, rich and knowledgeable learners, strategic and goal-oriented learners. The four co-teaching approaches method that hav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teaching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supportive teaching, parallel teaching, complementary teaching, and team teaching enable the mastery of curriculum expertise and teacher-to-teacher collaboration. [Conclusion] Principle of UDL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a new way of thinking to rethink current education in the framework of education for all. The principle of UDL is to move our thinking one step further, not in 'where t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due to disabilities, but in 'thow to each' all students with each different educational needs. [목적] 본 연구는 모두를 위한 차이화된 수업을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를 활용하여 통합학급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에 대해 관련 문헌을 통해 모색해 보려는 연구로써, [방법] 관련 문헌 38편을 살펴본이론연구이다. [결과]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는 보편적 설계에서 제안 되고 있는일곱 가지 원리, 즉, 공평한 사용, 사용상의 융통성,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 지각 가능한 정보, 오류에 대한 관용, 신체적 노력의 최소화, 접근과 사용에 적절한 크기와 공간을 교육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둘째, 모든 학습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교육과정 접근 관점의 내용, 과정, 결과의과정에서, 보편적인 학습설계의 세 가지 핵심 요소는 표상의 다양한 수단, 참여의 다양한 수단, 표현의 다양한 수단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들이 가져야 할 신념은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도달하여야 하는 학습자 상은 유목적적이고 동기부여된 학습자, 자료가 풍부하고 다식한 학습자, 전략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학습자라는 것이며, 차이화 수업을 위한 협력교수의 효과가입증된 지원적 교수, 평행 교수, 상보적 교수, 팀티칭 네 가지 협력교수 접근 방법은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교사 간 협력의 숙달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결론]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는 모든 이들을 위한교육이라는 틀로 지금의 교육을 다시 생각하는 데 있어 새로운 교육방식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는 장애로 인한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학생을 `어디에서` 가르치느냐가 아니라, 각기 다른 교육적 요구를 가진 모든 학생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로 우리의 생각을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해준다.

      • KCI등재

        문학 :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비교 연구

        이종호 ( Jong Ho Lee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본 논문은 박봉춘 본의 <원텬강본푸리>와 이 본풀이를 차이화한 이성강의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서사적 소통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연구는 결국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자 간의 서사적 특성뿐만 아니라 우리 구비문학의 문화콘텐츠화의 의미도 함께 규명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박봉춘 본의 <원텬강본푸리>는 ``오날``이 부모국인 선계(仙界) ``원천강``을 찾아가 이미 옥황의 신직(神職)을 받들고 원천강을 다스리고 있는 부모를 만나 그 부모에게서 신칙을 받아 자신도 옥황의 신녀(身女)가 되어 옥황의 명을 수행한다는 거시적 스토리 층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볼 때 <원텬강본푸리>는 무(巫)를 세습하는 입무의례(入巫儀禮)인 강신제(降神祭)의 내림굿에서 구연되었을 개연성이 높은 서사무가이다. 또한 이 서사무가의 초점대상인 옥황의 신녀 ``오날``이 인간계에 강림한다는 것은 강신제의 일반적 원리를 전제한다면, ``오날``이라는 신을 접한 제주(祭主)를 통해 인간계의 제재초복(除災招福)을 기원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기도 한다. 이는 인간과 신이 조화롭게 공존하고자 하는 역설적 세계의 소통방식이다. 한편, 애니메이션 <오늘이>는 바다 한가운데 있는 섬 ``원천강``에서 학 ``야아``, 그리고 보라색 여의주와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던 ``오늘``이 여의주를 탐내는 사람들의 탐욕으로 여의주와 함께 이계의 뭍으로 떠밀려 왔다 ``매일``, 연꽃나무, ``구름`` 소년, 그리고 이무기 등의 도움으로 다시 자신의 고향인 원천강을 찾아가 학 ``야아``와 재회한다는 서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오늘``은 탈욕적이면서, 낯설고 이질적인 것들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늘``에게 도움을 주었던 ``매일``, 연꽃나무, ``구름`` 소년, 그리고 이무기 등은 ``오늘``과 접속함으로써 허상과 탐욕, 그리고 집착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소망을 성취한다. 그래서 <오늘이>는 인간적 가치의 기원과 현대의 과학적 신화를 곰곰 회의하게 한다. 이러한 차이화는 사건을 무엇(누구)와 계열화했느냐에서 비롯한다. 굿과 계열화하여 궁극적으로는 신과 접속하고, 이를 통해 인간계의 제재초복(除災招福)을 발원하고자 하는 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이를 다시 다양하게 차이화하여 관객 혹은 독자 지향적인 애니메이션과 계열화함으로써 오락과 ``인간적`` 가치의 생성을 꾀하는 영상예술 <오늘이>는 각기 다른 의미와 가치를 생성한다. 신과 사람을 살리기 위해, 신과 사람을 만나게 하기 위해 심방(무당)이 구연했던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에서 약 16분 20여 초의 애니메이션 <오늘이> 새롭게 살아 우리를 더욱 낯설게 하고 불가시적인 세계로 길을 열어주어 나의 표상이나 관념에서 벗어나게 한다. 이렇듯, 동일자의 반복을 넘어 우리의 옛이야기를 이 땅의 모든 존재, 자연, 동물, 달 자매, 해 형제, 들판의 새, 가난하고 착취당하는 사람들과 배치시켜 탈지층화, 탈형식화할 수 있도록 추상하는 일, 이것이 옛이야기를 콘텐츠화하는 일의 일차적 의의일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Wontyeongangbonfuri" by Bak Bong-chun and "O-Neul-e", the animation by Yi Seong-gang differentiating "Wontyeongangbonfuri" by comparative study on both works in the aspects of narrative communication. It was also aim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oral literature of Korea as well as the meaning of narrative features of both works above by comparative study on the shaman narrative song "Wontyeongangbonfuri" and the animation "O-Neul-e". First, "Wontyeongangbonfuri" by Bak Bong-chun has macroscopic structure in which a "Onal" went to "Woncheon river" in a fairy land, met his parents who governed Woncheon river as accepting the missionary duty from the Great Jade Emperor and implemented the order from the Great Jade Emperor as the follower of the Great Jade Emperor. In this aspect, "Wontyeongangbonfuri" is the shaman narrative song with high probability which "Wontyeongangbonfuri" was orally passed down from the invocatory rite of a spiritualistic medium of Gangsinje, the rite to be a shaman. Furthermore, the fact that "Onal", the follower of the Great Jade Emperor, the heroine of this shaman narrative song, descended to the terrestrial world implicitly meant the wish for repelling disasters and hoping good fortune in the terrestrial world through "Onal", the master of religious rite who met the god, on the assumption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Gangsinje. It is the communication approach in the paradoxial world where human beings and gods tried to co-exist in the ha. Meanwhile, the animation "O-Neul-e" comprised the narrative structure which "O-Neul-e" who lived happily with "Ya-a", the crane, and the purple cintamani in the island in the middle of the sea, "Woncheon river", descended to the water in the terrestrial world with the cintamani because of the greed of people who coveted the cintamani, returned to the hometown, "Woncheon river" with the help from Maeil, Lotus Tree, Cloud Boy and Monster Serpent and met the crane "Ya-a" again. "l"O-Neul-e was never afraid of something strange and unfamiliar withted any greed. Maeil, Lotus Tree, Cloud Boy and Monster Serpent which helped "lO-Neul-e" made their wish come trua-a" being free from illusion, greed aovetbsession by meeting "O-Neul-e". Then, "O-Neul-e" makes us meditate the origin of human value and scientific myth of the modern times. The differentiation discussed above is based on the structure with which(with whom) an event is systemized. "Wontyeongangbonfuri", the song praying the good fortune and repellence of disasters in the terrestrial world by systemizing with an exorcism and ultimately communicating with the gods, and the media art "O-Neul-e" trying to create the ``humanistic`` value and entertainment by differentiating the original work and systemizing with audience-oriented or reader-oriented animation created different meaning and value. "O-Neul-e", the animation of about 16 minutes and 20 seconds, is regenerated from the shaman narrative song "Wontyeongangbonfuri" led by a shaman who tried to make human beings meet a god and to make human beings and a god alive and finally made free from own emblem or concept by opening the way to something more strange and invisible. It will be the primary meaning in creating new contents with old stories to make our old stories abstract for destratification and deformalization by arranging our old stories with all existence on this land, nature, animal, the sister moon, the brother sun, birds on the field and those who are poor and exploited beyond the repetition of the same.

      • KCI등재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특수교육 대안으로서의 이론적 배경과 실행 전략

        허승준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Research suggests that we need to use ‘support’ instead of ‘disability’ and ‘individualized support’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dividualized support was related with human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uman differences and suggested what the general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individualized support were. Identifying things with notions is called the thought of identification. For example, the notion of ‘disability’ confines an individual human in the disability notion. It’s same as in the case of ‘without disability’ or ‘non-disability’. However ‘without disability’ is a notion for the human without disabilities to emphasize their superiorities that they are free from the disability stigma. This dichotomy of notion disregards the difference which is the basis of existence of human being by transferring human individuality to an identity. Deleuze emphasizes the difference itself is the being and the being itself is the difference. The being is revealed by the difference. Therefore a pedagogy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ce means one without considering the being. The main example of this kind of pedagogy is human grouping by dichotomy. The difference is a natural and value-neutral phenomenon, and the value is not relative but absolute. The pedagogy considering the difference, that is, the pedagogy of difference aims at the realization of difference. The realization of difference means differenti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differentiation is the individualized support suggested for the alternative to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support, constructing the various support system should take precedence in the basis of building a mono-system of pedagogy. We also should analyze the individuality of students not by diagnosing the disabilities but by analyzing their needs and construct the system of universal design of learning. Finally, we should construct a cooperation system among various professional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successfully. ‘장애’대신‘지원’,‘특수교육’ 대신‘개별화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다. 이러한 제안은 차이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근거한다. 이 논문에서는 차이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통해 개별화지원이 인간의 차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사물과 개념을 동일시하는 것을 동일성 사유라고 한다. 예컨대‘장애’라는 개념은 이 개념이 포함하는 개별 인간들을 동일시하여‘장애’라는 개념 속에 가둬버린다. 이는‘비장애’도 마찬가지다. 그러나‘비장애’는 이 개념에 포함되는 인간들이 자신들은‘장애’라는 낙인으로부터 자유로운 우월한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러한 이분법적 개념 구분은 인간의 개별성을 동일성으로 전환함으로써 인간의 존재 근거인 차이를 무시한다. 들뢰즈는 차이가 존재고 존재가 차이라고 말한다. 차이로 인해 모든 존재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은 존재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이 된다. 이러한 교육의 대표 사례가 장애/비장애와 같은 이분법적 집단 구분이다. 차이는 자연스럽고 가치중립적 현상이며, 이때 가치는 상대적 가치가 아니라 절대적 가치다. 차이를 고려하는 교육, 즉 차이의 교육은 인간의 차이를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차이를 실현하는 것을 차이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차이화를 위한 교육적 지원이 특수교육 대안 용어로 제시한 개별화지원이다.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체제가 일원화된 상태에서 다양한 지원체제를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 진단이 아닌 요구 분석 체제를 갖추어 학생의 개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는 원리인 보편적 설계를 교육에 적용한 보편적 학습설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체제를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 KCI등재

        들뢰즈의 존재론에 관한 연구 -『차이와 반복』의 ‘개체화’이론을 중심으로 -

        진기행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2 No.-

        This paper analyzes Deleuze's ontology centering on the theory of ‘individuation’ in his Difference and Repetition. The theory of individuation is a key concept that intersects with the important ontological themes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It is therefore an indispensable point of discussion trying to uncover the premise structure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e conceptual placement of Deleuze's philosophical system.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tion, dramatization, differenciation, and their respective contents as clearly as possibl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e the larger truth easily because they are distributed and described in various places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When we want to examine closely the theory of individuation, we should always keep in mind that Deleuze's theory of individuation came from the contrast or confrontation with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Deleuze presented the core of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as a theory of individuation in his Difference and Repetition. 들뢰즈는 현대 서양철학자 중에서 새로운 형이상학(존재론)을 구축하려 시도한 보기 드문 철학자 중 한 사람이다. 들뢰즈 존재론 즉 ‘초월론적 경험론’에 대한 연구는, 들뢰즈 자신이 ‘철학을 만드는’ 시도를 한 첫 저서이자 이후의 자신의 모든 작업이 이 책과 연결되어 있다고 강조한, 『차이와 반복』을 그 중심에 놓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들뢰즈의 존재론을 『차이와 반복』에 있어서 ‘개체화’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개체화 이론은 『차이와 반복』의 중요한 존재론적 주제들과 교차하고 있는 핵심적인 개념이며, 그렇기 때문에 『차이와 반복』의 전체적인 구조 및 들뢰즈 철학체계의 개념배치를 밝히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논의 지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체화의 ‘전체적인 기초개념’으로서 제시된 ‘개체-미/분화(indi-différent/ciation)와 개체-극(劇)-미/분화’(indi-drama-différent/ciation)에 초점을 맞추고, 『차이와 반복』의 여러 곳에 분산되어 기술(記述)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그 전체상을 간파하기 어렵게 개체화와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는 극화(드라마화), 차이화=미분화, 분화=현실화의 관계들을 가능한 한 명확하게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들뢰즈의 논의를 단지 해석하고 그 내용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우리의 분석을 이끌 하나의 보조적인 논점을 내세움으로써 문제의 소재를 분명히 하면서 검토를 진전시켜갈 필요가 있다. 그것은 『차이와 반복』의 들뢰즈 존재론이 도대체 어떤 철학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시된 것인가 하는 것인데, 본 논문에서는 그것이 ‘칸트의 초월론철학’과의 대비 혹은 대결에서 나온 것이라는 기본전제하에, 들뢰즈 존재론을 형성하고 있는 주요 개념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 KCI등재

        현실의 전유, 텍스트의 공유- 텍스트 읽기의 새로운 태도를 위한 시론

        이경훈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19 No.-

        There appears some phenomena which could be named ‘the prisonhouse of reading and writing of text’ in modern Korean literature. It means the intention of totalization that attempts to appropriate the whole realty by means of the given context of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The narrative of nation and the narrative of class are the typical forms of these narrative practices. On these narratives which have produced suppression and blindness often, “the solipsistic repetition” operates. The solipsistic repetition is the process of writing and reading that bears subjects who are confined and colonialized by some specific ideological and narrative contexts. But to re-read and re-write texts radically, it needs to break down the self reflecting and self-sufficient solipsistic repeti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hybrid outside of the structu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invite the others of texts by relating them with many contexts endlessly. It means that we must organize ‘the sociology of texts’. Instead of being appropriated sublimely by the identical subject, texts have to be co-possessed humbly or exchanged broadly by alienated others. For there could be no ultimate text at all, but only transient contexts can operate a little while. Therefore, ‘the sociology of texts’ does not aim to establish another center of text. 한국 근대 문학에는 텍스트 읽기와 쓰기의 감옥이라 할 만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부여된 인식과 재현의 맥락 속에 현실을 전유하려는 전체화의 의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서사적 실천을 대표했던 것은 민족의 이야기와 계급의 이야기다. 종종 억압과 맹목을 낳았던 이러한 서사에는 “유아론적 반복”이 작용한다. “유아론적 반복”이란 특수한 이념적, 서사적 콘텍스트에 감금되고 식민화된 주체로 동일화시키는 글쓰기와 글 읽기의 과정을 일컫는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텍스트를 새로 읽거나 쓰기 위해서는 자기 반영적이고 자기충족적인 “유아론적 반복”을 깨뜨려, 혼종적인 “구조의 밖”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즉 여러 콘텍스트들을 계속 교통시켜 텍스트의 타자들을 초대해 들여야 한다. 이는 ‘텍스트들의 사회학’을 성립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텍스트는 동일화된 주체의 입장에서 숭고하게 전유되는 대신 소외된 타자의 입장에서 비천하게 공유되거나 널리 교환되어야 한다. 궁극적인 텍스트는 있을 수 없으며 덧없는 콘텍스트만이 잠시 작용할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텍스트들의 사회학’은 또 하나의 중심을 수립하는 일을 목표로 삼지는 않는다. 그것은 주장하는 대신 곁눈질하고자 하며, 텍스트의 내부로 동일화되기보다는 텍스트의 외부를 향해 차이화되고자 한다. 이렇게 할 때에 문학 자체 및 그 외부에 대한 새로운 질문의 가능성이 발생할 것이다.

      • KCI등재

        현실의 전유, 텍스트의 공유 - 텍스트 읽기의 새로운 태도를 위한 시론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19 No.-

        <P>한국 근대 문학에는 텍스트 읽기와 쓰기의 감옥이라 할 만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부여된 인식과 재현의 맥락 속에 현실을 전유하려는 전체화의 의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서사적 실천을 대표했던 것은 민족의 이야기와 계급의 이야기다. 종종 억압과 맹목을 낳았던 이러한 서사에는 “유아론적 반복”이 작용한다. “유아론적 반복”이란 특수한 이념적, 서사적 콘텍스트에 감금되고 식민화된 주체로 동일화시키는 글쓰기와 글 읽기의 과정을 일컫는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텍스트를 새로 읽거나 쓰기 위해서는 자기 반영적이고 자기충족적인 “유아론적 반복”을 깨뜨려, 혼종적인 “구조의 밖’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즉 여러 콘텍스트들을 계속 교통시켜 텍스트의 타자들을 초대해 들여야 한다. 이는 ‘텍스트들의 사회학’을 성립 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텍스트는 동일화된 주체의 입장에서 숭고하게 전유되는 대신 소외된 타자의 입장에서 비천하게 공유되거나 널리 교환되어야 한다. 궁극적인 텍스트는 있을 수 없으며 덧없는 콘텍스트만이 잠시 작용할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텍스트들의 사회학’은 또 하나의 중심을 수립하는 일을 목표로 삼지는 않는 다. 그것은 주장하는 대신 곁눈질하고자 하며, 텍스트의 내부로 동일화되기보다는 텍스트의 외부를 향해 차이화되고자 한다. 이렇게 할 때에 문학 자체 및 그 외부에 대한 새로운 질문의 가능성이 발생할 것이다.</P>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과 글쓰기 장(場)의 재인식 ; 독본의 독자와 근대의 글쓰기

        조윤정 ( Yun Jeong Jo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9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 글쓰기 전범으로서의 독본 및 강화가 학생인 `독자`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글쓰기`에 적용되었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적 글쓰기는 신교육제도에 의해 편찬된 독본, 민간에 의해 간행된 독본과 관계를 갖는다. 그간의 독본 연구는 독본의 내용을 고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독본이 학교 안/밖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 고찰하지 않는다면, 당대 독본의 교육적 효과나 문화적 위상을 제대로 구명할 수 없다. 독본은 식민지 조선의 학생들 혹은 학교 밖의 조선인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었을까. 당대 소설 및 잡지, 신문 기사에 등장하는 독본에 대한 발화는 당대 독자들이 독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보여준다. 1900년대부터 식민지 시기까지 독본이 독자에게 수용되는 양상은 식민지 시대 독본이라는 제도의 사회적 기능과 효과, 독본 학습을 둘러싼 식민권력과 독자 대중의 길항관계를 보여준다. 독본의 읽기는 쓰기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독본처럼 쓰는 모방의 과정을 겪다가, 그것처럼 쓰지 못하는 자신에게 자괴감을 느끼거나, 독본과 다르게 쓰기를 감행한다. 이러한 글쓰기의 과정은 독본이 갖는 `표준성`에서 비롯한다. 제국의 교육기관이 기획하고 명령한 표준이라는 경계는 텍스트를 읽는 독자에게 자신이 `읽고 쓰는` 존재, 즉 지식인이라는 자의식을 형성케 한다. 이 자의식은 표준에 대한 `모방 욕망`, 표준에 대한 미달태로서의 `자기 검열`, 표준에 대한 `차이화`라 명명할 수 있는 글쓰기의 과정을 낳는다. 식민지 시대 조선에서 교과서를 읽고 자기화했던 주체들은 독본의 글쓰기를 전유한다.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 소설과 잡지를 자료로 삼아 조선의 학교 안/밖에서 독본을 바라보는 독자의 시선을 고찰하고, 글쓰기의 전범으로서 독본이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겠다. Modern students read books and did writings in school in another way ever befor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how the colony age`s `reader(讀本)` was recognized by the `readers(讀者)`, that is, student and applied in `writing`. The existing studies of the reader have concentrated on the contents of the reader itself. But educational effect or cultural position of the reader of the day can not be investigated in full without inspecting how the reader was symbolized out of the school. What did the reader arouse for the students of Chosun colony and Chosun people out of school. The remarks represented in novels, journals and newspapers of the day exposed the point of view in which readers of those days watched the reader. Reading the reader brings writing. In this process, after readers try to mimic the reader, they either feel self-destruction because they can not write like that or decide to write differently with that. These processes of writing come from `the property of standard` of the reader. The boundary of standard planed and ordered by educational institute of an empire made readers who read the reader to regard themselves as intellectual, who read and write. This self-consciousness induced the process of writing, which can be named as `imitation desire` for the standard or `self-inspection` as a state of lack for that or `making a gap` with that. People, who read and internalized the reader in the age of Chosun colony, possessed exclusively the writing of the reader. This study observes the view with which the readers in or out of school watched the reader and consider the meaning of the reader as a model of writing based on novels and journals of Chosun colony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