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이의 철학을 통해 살펴본 페미니즘의 차이의 정치학에 관한 고찰: 아시아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최형미 한국여성철학회 2021 한국여성철학 Vol.36 No.-

        ‘여성주의는 그 자체로 차이의 학문이다’. 남성 중심사회에서 노동, 섹슈얼리티 심지어 경제이슈 까지 다른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다른 목소리로서의 여성주의는 모성, 가족, 여성성, 성매매, 재생산기술 등 전반에 걸쳐 다른 목소리를 내는 여성들을 만나야 했다. 이러한 다른 목소리는 여성들의 정치적 연대를 방해하거나 학문으로서의 페미니즘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나며 페미니즘은 차이를 다루는 과정에서 다양한 인식론을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다른 목소리는 ‘우리 안의 타자’, ‘사이보그’ 혹은 ‘키메라’로 명명되었고, 차이가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정치적 개념으로 설명하는 상호 교차성 이론이 등장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다양한 페미니즘의 공존을 이야기했지만, 그것이 갖는 의미성을 충분히 이해했는지는 의문이다. 이 연구는 차이의 철학개념들을 가져와 ‘차이’가 갖는 근원적인 의미성을 고찰하여 여성주의 이론을 확장하고자한다. 니체의 관점주의는 다양한 관점들이 문제 해결을 위한 객관성을 갖는다고 보았고, 들뢰즈는 리좀 개념을 가져와 지식 생산 과정이 동일성의 원리가 아니라 차이를 만나형성된다는 주장을 하였다. 푸코는 계보학을 통해 시대별 차이를 드러내어 우리가 침윤되어 보지 못했던 시대적 에피스테메를 비판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자는 최근우리나라에서 일어났던 아시아 여성운동의 사례를 가져와서, 어떻게 ‘다른 목소리’가 페미니즘 지식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차이의 철학에 기반해 살펴보았다. 아시아 페미니즘은 서구중심의 페미니즘과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의 페미니즘이며, 식민지, 가부장 문화, 빈곤 등 교차적 억압으로 인해 다른 목소리를 낸다는 점에서 차이의 페미니즘이다. 아시아여성운동의 사례가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식을 줄 뿐 아니라, 새로운생각을 가능케 하는 상상력의 단서가 되고,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가치에 비판적관점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다.

      • KCI등재

        본질주의 비판과 차이의 철학

        윤진숙(Yun Jin-Sook)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法學論叢 Vol.16 No.-

        다양성과 다원성으로 표현되는 현대사회에서는 지금까지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라 여겨왔던 이론이 하나의 거대이론으로서 여겨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 문화에 의해 비판적 극복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주로 논의 되어 왔던 주체나 지식, 권력과 같은 거대담론으로부터 벗어나서 보다 미시적인 영역에 관심을 기울이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논의되는 주제는 여성문제이다. 하지만 여성 내에서도 계급, 인종, 민족, 성적 지향 등 다층적인 차이의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인종에 대한 본질주의, 젠더에 대한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은 차이의 철학의 단면을 보여 줄 수 있는 좋은 예이다. 지금까지의 철학이나 이론들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지만 지배적 서구이론이 비서구권 문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 비서구권에서 젠더에 관련된 차별이 행해 질 때 서구의 소수 특권계층을 기준으로 형성된 여성에 대한 개념과 법적 보호의 필요성이 그대로 비서구권의 여성에 여과 없이 적용된다면 또 하나의 인종에 기반을 둔 제국주의의 탄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모든 사물을 젠더라는 하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환원주의로 귀결될 가능성을 지였다는 점에서 젠더만을 기준으로 한 본질주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젠더의 입장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강요하기 때문에 모든 것은 일단 젠더의 차원에서만 논의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차이"의 문제는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구조에서 벗어나 개인의 삶 속에 내재 하는 것이다. 인간의 공동생활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정치적 해방의 규범적 이상으로서의 공동체를 대신하여 보다 급진적으로 차이의 정치학(a politics of difference)을 전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차이의 정치학을 제시하는 하나의 모델로서, 큰 공동체보다 는 비억압적 현대 도시 모델이 이상적일 수 있다. 그러한 도시에서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서로의 이해관계를 도와주는 이러한 사회관계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이방인과의 중재 관계 속에서 더불어 사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모델은 차이의 철학이 반영되는 또 하나의 대안이 된다고 여겨진다. In today's diverse and pluralistic modem society, a theory that has been perceived as objective and neutral until recently is now being considered as one grand theory, and is becoming a target of critical subjugation throughpostmodern culture. We live in an era that has moved away from grand discussions of often argued subjects, knowledge, or power, an era that shows more interest in microscopic fields. In such a situation, the most typical topic being discussed is women issues. However, there also exists the problemof multilayered differences among women, such as class, race, ethnic origin, and sexual orientation. Specifically, the criticism of essentialism regarding gender and race is a good example that can reveal certainaspects of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So far, philosophy and theories have been discussed mainly in the western world. However, the dominating western theories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non-western cultures. If gender-related discrimination takesplace in a non-western world, and the necessity of ideology and legal protection for women, which was formed on the basis of a few privileged class groups of the western world, could be applied as it is without any filtering to non-western women, then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nother imperialism based on gend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with essentialism that takes gender as the only norm in that it carries the potential of ending up as reductionism, which looks at all things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gender. Because from the gender's perspective the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is emphasized, everything is discussed at the level of gender, but in reality, diverse factors are applied in a complex way. The problem of "difference" is something that is immanent in the life of the individual, which goes beyond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woman and man.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ty life for human being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olitics of difference, more radically substituting the community as the normative ideal of political freedom. As one model of such politics of difference, the model of a non-oppressive modem city can be more ideal than a large community. In such a city, there exists no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being dominated, and social relationships that help one another's interests signifies living together in an arbitrative relationship with strangers where diversity coexists. This kind of model is thought to be another alternative that reflects the politics of difference.

      • KCI등재

        ‘능동적 시민’과 차이의 정치

        이선미(Lee Seon Mi)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1

        자유와 평등의 원리를 여성과 남성의 ‘차이’와 결합시키는 문제는 그간 주로 여성주의 시민권 권리(citizenship right) 논의에서 구체화되어 왔다. 이는 주로 복지국가에서 법적 시민으로서의 여성의 권리와 관련한 것으로, 시민 참여에서의 차이와 평등 문제는 상대적으로 무시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공동체주의에서 주장하는 ‘능동적 시민’이라는 이상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능동적 시민의 이상은 무엇보다도 공-사 분리의 잘못된 가정을 통해 공동체적 생활과 담화 경험에서의 차이를 간과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보수와 진보 진영 모두에서 능동적 시민이라는 다소 이상적인 정의가 지배해온 한국에서, 젠더 중립적인 참여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는 젠더 불평등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공동체주의의 ‘능동적 시민’ 가정의 이론적 문제점과 한국에서의 시민참여에 대한 몇몇 경험적 자료를 분석하면서, 저자는 능동적 시민의 차이를 인정하는 젠더-분화적 연대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결론내리고 있다. The question how to make the democracy principles of freedom and equality compatible with the ‘difference’ has been answered mostly in the debates on citizenship right. As it is related in the main with the right of women claimed to welfare state, the issues of difference and equality in citizen’s activities for communal life tend to be ignored. This study explores, from the gender perspective, possibility and limit of the ideal of ‘active citizen’ suggested by the communitarianism. From the discussion on the ideal of ‘active citizen’ from the gender perspective, the author criticizes that the ideal of ‘active citizen’ ignores the difference in communal life and communication experience, presuming wrongly the public-private divide. Particularly in Korea where the rather idealistic definition of ‘active citizen’ in both of the conservative and the radical wing has been dominant, the calls for the gender-neutral participatory democracy could exacerbate the gender inequality. Examining theoretical problems of the ideal of ‘active citizen’ by communitarianism and analysing several data on citizen participation in Korea that shows rather gender difference in ‘active citizen’, the autho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gender-differentiated solidarity can be a preferable alternative in Korea.

      • KCI등재

        진보 철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구성-‘차이’ 개념과 ‘주체성’을 중심으로-

        연효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1

        우리 사회에서 동일성의 철학에 기초한 진보 철학과 마르크스주의는 위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사회 운동은 헤게모니적 실천에 입각한 무페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적 급진적 민주주의의 기획으로 이행해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차이의 철학’을 통해 다양하고 복수적인주체를 위한 진보 담론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정립하기 위해 차이의 철학에 기반한 진보 담론은 여성주의적 시각에 입각해 ‘주체성’의 범주를 새롭게 구성하고자한다. 버틀러의 수행성의 철학과 성차를 강조한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는 새로운 여성 주체성 범주의 구성에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로츠의 변화무쌍한 몸적 주체를 강조하는 육체적 여성주의는 열린주체성 구성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이러한 여성 주체성의 재구성에 기초하여 진보 철학은 실천 전략으로 ‘차이의 정치학’, 특히 그로츠의 ‘지각불가능성의 정치학’을 모색할 수 있다. 나아가 차이의 정치학은 소수적이고 횡단적인 연대의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한다. The progressive philosophy based on a philosophy of identity and Marxism came to reach a crisis in our society. Social movements participated with diverse subjects are to be transformed into Post-marxist and radical democratic project established by Mouffe’s hegemonical practice. We will attempt to make a reconstruction of progressive discourses for diverse and multiple subjects through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The progressive discourses based on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will construct a category of subjects established on the feminist points of view, in oder to set up a democratic value fundamentally. Butler’s philosophy of performativity and Braidotti’s nomadic subjects focused on the sexual difference are important for construction of category of new feminine subjects. But above all, a corporeal feminism in which Grosz emphasized volatile bodily subject shows possibility toward construction of an open subjectivity. The progressive philosophy supported by the reconstruction of feminine subjectivity will try to search for philosophy of difference, especially, Grosz’s politics of imperceptibility as practical strategy. Furthermore, politics of difference will plan to test possibility of minor and traverse solidarity.

      • KCI등재

        ‘다문화학생’의 담론적 구성과 포용-배제의 정치학: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 문서를 중심으로

        이수한,소경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ulticultural students’ have been represented as beings in need of ‘inclusion’ through policy discours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politics of inclusion-exclusion. To this end, using Foucault’s archaeological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key relevant policy documents, issued from 2006 to 2021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ocus of the analysis is to reveal different discourses that portray ‘multicultural students’ as the objects of inclusion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underlying such disco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discourses: multicultural students have been described as the targets of inclusion because they embody cultural differences that (1) can cause linguistic-cultural and achievement gaps, (2) should be experienced and tolerated by the mainstream, and (3) should be turned into ‘differentiated human capital.’ Within these discourses, multicultural students have emerged as the ‘human kinds’ that are subject to the politics of inclusion-exclusion, in that they have been marginalized as ethno-culturally ‘exceptional’ or ‘other than normal’ in contrast to the mainstream, thus requiring special programs for inclusion in schools. 본 연구는 국내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 담론 속에서 ‘다문화학생’이 어떻게 포용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재현(혹은 구성)되어 왔는지를 포용-배제의 정치학의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Foucault의 고고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21년까지 교육부 및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발행한 주요 다문화교육 정책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다문화학생’에 대해 어떤 담론들이 형성되어 왔으며, 그러한 담론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맥락적 조건은 무엇인지를 포착하는 데 있었다. 연구 결과,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다문화학생은 언어⋅문화적 격차 및 학력 격차의 원인이 되는 문화적 차이를 구현하는 존재, 주류집단에 의해 체험⋅관용되어야 할 차이를 상징하는 존재,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이를 ‘차별화된 인적 자본’으로 전환해야 하는 존재로 재현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문화학생을 둘러싸고 상호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여러 담론들이 공존할 수 있었던 맥락적 조건들이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학생을 여러 방식의 포용 프로그램(격차 해소, 주류집단의 체험⋅수용, 글로벌 인재 양성)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호명하는 동시에, ‘결코 주류집단과 민족적⋅문화적으로 동등해질 수 없는’ 어떤 예외적이고 특수한 타자로 주변화하는 포용-배제의 정치학의 측면을 보여준다. 연구의 함의로는 포용-배제의 문화적 기제가 만들어내는 ‘불평등한 권력 관계’에 주목하게 하는 다문화시민성 함양 측면의 다문화교육이 강조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의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소정(So-Jeong Mo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 아시아여성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가족이 겪고 있는 변화, 즉 핵가족의 정상성 해체와 가족의 다양성을 거시적으로 접근한 다양화론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고 그 정치적 성격이 매우 상이한 것에 기초하여 세 가지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을 재구성하고, 이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세 가지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은 아노미 다양화담론, 해체 다양화담론, 포스트모던 다양화담론이다. 아노미 다양화담론, 해체 다양화담론, 포스트모던 다양화담론은 1990년대 이후 한국가족에서 일어나고 있는 핵가족의 정상성 해체 및 다양성을 대상으로 하지만, 이러한 가족변화를 보는 정치적 입장이나 가족정책이 동일하지 않다. 그 차이성을 가족다양화에 대한 상황정의, 강조하는 다양한 가족유형, 가족다양화의 원인, 가족정책 등의 정치적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 결과 각각의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은 한국가족의 양극화 속의 가족들간(families)의 다양한 차이(별)성, 하나의 가족(family)가 내포하는 다양한 차이(별)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한계가 없지 않다. 특히 다양화라는 개념은 한국가족변화가 지닌 계급(층)적 차별성을 다원적 의미의 수평적 차이성을 갖는 것으로 채색하는 정치적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양화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가족의 변화를 양극화 속의 다양성과 특정 가족의 계층별, 성별, 연령별 질적 차이성 및 차별성을 드러낼 수 있는 한국가족 변화론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들간, 특정 가족의 계급(층)별, 성별, 연령별에 따른 다양한 차이성이 아니라 차별적 다양성을 규명하는 실증적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critically diversity of diversification discourses about Korean family since the 1990s. Consequently, three type of discourses are discovered. Namely, they are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econstruction diversification discourse and post-modern diversification discourse, which has been suggested since the 1990s. However there is, still, serious differences among three discourses in some family issues. First,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interprets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y as the ‘anomie state'. However, Korean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oes not accept the post-modern rhetoric in Western family. So,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iffers from the post-modern discourse. Second, through deconstruction diversification discourse,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as the ‘deconstruction' of the modern-nuclear family has bees shown. This discourse suggests that ‘deconstruction' of modern-nuclear family be the crisis of Korean family, which can't be solved without changing Korean political-economic status as part of global capitalist system. Third, post-modern diversification discourse insists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be characterized by the post-modernity and be viewed a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rough those three diversification discourses, we cannot understand the change of Korean family. To solve thi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build family theories on the polarization of Korean family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political-economics.

      • KCI등재

        차이의 정치학으로서 에코페미니즘 : 우리나라 풀뿌리 운동의 사례

        최형미 한국여성철학회 2024 한국여성철학 Vol.41 No.-

        이 연구는 왜 지금 에코페미니즘에 관심하는가에서 시작된 것이다.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페미니즘이 생태학과 만나야 하는 이유와 기후재앙을 해결하려는 생태운동이 페미니즘을 만나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며 에코페미니즘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이 과정을 통해서 에코페미니즘이 필연적으로 교차성을 염두에 둔 차이의 정치학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에코페미니즘이 폭넓게 확장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코페미니즘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답을 이상화(2011)의 에코페미니즘의 분류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는 생태와 여성의 관계를 기반으로 에코페미니즘을 경험적 영역, 개념적 영역, 인식론적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경험적 영역은 생태파괴가 여성과 정치적 소수자들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는 것을 밝혀내는 운동과 사회 정치적연구들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개념적 영역은 초월, 위계, 지배, 이성 등 기계론적 세계관과 가부장적 세계관을 구성하는 개념 등을 비판하고 생태와 여성을 중심으로 우리 사회를 이해하는 내재성, 연결, 감성 등의 개념으로 우리 사회에 대한 사고 체계를 바꾸어내는 존재론적 혁명의 영역이다. 셋째, 인식론적 영역은 생태파괴의주된 피해자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식론적 우위를 갖고 있음을 밝혀내는영역이다. 즉, 여성 및 정치적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확대해 지식을 생산하고 변화를 추동하는 영역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풀뿌리 운동에 나타나는 에코페미니즘적 요소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 시도는 에코페미니즘이 다양한 지역, 시대적 맥락속에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나라의 정치사회적 맥락 안에서 에코페미니즘의 요소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This study begins by exploring wh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cofeminism today. It examines the reasons why feminism, which advocates for women’s rights, should intersect with ecology, and why ecological movements aimed at addressing climate disasters should intersect with feminism, thu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ecofeminism. The researcher argues that ecofeminism must inherently engage in the politics of difference with an awareness of intersectionality. Despite the broad expansion of ecofeminism, the question of what ecofeminism truly entails persists. The researcher addresses this question by starting with the classification of ecofeminism proposed by Lee Sang-hwa (2011). He categorizes ecofeminism into three domain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y and women: empirical, conceptual, and epistemological. Firstly, the empirical domain includes movements and sociopolitical research that reveal how ecological destruction disproportionately affects women and political minorities. Secondly, the conceptual domain critiques concepts like transcendence, hierarchy, domination, and rationality that constitute mechanistic and patriarchal worldviews, and seeks to transform our societal thought system through concepts like immanence, connection, and sensitivity, which center on ecology and women, thereby fostering an ontological revolution. Thirdly, the epistemological domain asserts that the main victims of ecological destruction hold an epistemological advantage in solving these issues. This involves amplifying the voices of women and political minorities to produce knowledge and drive change. Finally, based on this framework, the study aims to uncover ecofeminist elements present in grassroots movements in South Korea. This effort is grounded in the recognition that ecofeminism emerges in various region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seeks to identify its elements with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자유주의적 접근과 비판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윤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1

        다문화교육의 과제는 크게 소수자의 주체화, 둘째, 다수자들의 변화, 셋째, 공동체 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한국 다문화주의 담론이나 다문화교육의 수준은 이주민들의 한국 사회 적응을 돕는 수준이며, 주로 정책이나 제도 수준에서 논의되고 있을 뿐 일상적 수준에서 서로 다른 차이를 어떻게 관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빠져있다고 생각한다. 인종과 민족이 다른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를 가르치고, 한국문화를 알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더 나아가 소수자들의 적응을 넘어 소수자들이 주체화할 수 있어야 하고, 다수자들 역시 함께 변화할 때, 어렵게 공동체를 이루어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오늘날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주류 담론인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주장과 한계를 살펴보고,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도전을 살펴볼 것이다. 이것을 기초로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할 것이다. The ai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mainly on the subjectivity of the minorities, the change of the majorities, and the formations of community. However discussions on multi-culturalism and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s in Korea are at best situated in helping immigrants accommodate Korean society. It is, therefore, required that the discussions on how Korean policy and system can accept the gaps in their everyday life.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those who have different races and ethnicities is undoubtedly an important task. However, beyond the minorities adaptation, the community would not go until the minorities are able to be independent, and the majorities change by themselve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reviews on theme and limit of the liberal multi-culturalism and the challenge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Based on these reviews, the implications will be examined.

      • KCI등재

        미국문화 읽기와 ‘비판적인 다인종 다문화 페미니즘’

        태혜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1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the cultural' and the differences are homogenized and fragmented in the global market. The task of reading American culture in a new perspective starts from reflection on that reality and our subjecthood. In this article, the writer proposes to read American culture as contending narratives. American cultural narratives have been composed of Native America, African America, Chicano America, and Asian America as well as a white canonical America. In order to read these 'multiethnic' cultural narratives comprehensively, the writer presents 'cultural politics of commonness and difference' as a methodology of connecting and comparing diverse ethnic groups along the axes of race-sex-class. 'Critical Multiethnic Feminism' is suggested as a theoretical base. This base emphasizes the intersectionality of race-gender-systems and follows the political line of anti-racist anti-capitalist feminist activism. 'Critical Multiethnic Feminism' encourages us to deal with the analytical narratives of subaltern women of color more attentively because they rewrite the U.S. national narratives from a complex and multiple position such as outside-in or inside-out. Their narratives are also to be discussed while being connec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ethnic males and females. 미국이 그 정점에 있는 지구화 시대에 ‘문화적인 것’, ‘차이들’은 세계시장에서 동질화되고 있으며 서로 연결되지 못한 채 파편화되고 있다. 미국문화 읽기는 바로 그러한 현실에서 자신의 주체됨의 문제를 성찰하는 데서 비롯된다. 미국문화를 읽는다는 것은 문화를 일단 서사(narrative)로 개념화하는 것이다. 미국문화 서사들은 백인 미국만이 아니라 토착 미국, 아프리카계 미국, 치카노 미국, 아시아계 미국 등의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어 ‘다인종 다문화(multiethnic)’ 서사라고 불릴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의 다인종 다문화 서사들을 읽어내는 방법론적 기반으로서 ‘공통성과 차이의 문화정치학’이 제시된다. 이것은 화합하면서도 갈등을 일으키는 성, 인종, 계급적으로 많은 다양한 집단들을 서로 연결짓고 비교하는 데 필요한 입장이다. 이론적 기반으로서 제시되는 ‘비판적인 다인종 다문화 페미니즘’ 관점은 인종과 계급과 젠더의 역학을 중시하며 반인종차별적․z반자본주의적인 페미니즘적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액티비즘 전통을 따른다. 그 전통에 따라 이 관점에서는 유색인종 하위주체(subaltern) 여성들의 분석적인 목소리들을 비중있게 다룬다. 이들이 다시 쓰는 미국 이야기는 미국의 공식 서사에서 누락되고 생략된 것들을, 중심/주변 사이의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장들을 부상시키면서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미국이라는 국가적 서사를 다시 쓰고 있기 때문이다. 유색인종 하위주체 여성들의 서사들은 다른 성, 인종, 계급 주체들의 서사들과 다양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따로 논의될 게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비교되는 가운데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 KCI등재

        Religion and Political Ideology in the World

        Jung Hyoun Kim(김정현) 한국종교학회 2010 宗敎硏究 Vol.61 No.-

        정치행위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지만, 학술적 연구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개인의 종교적 성향이 정치적 행위(정치적 성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체계적이며 검증가능한 데이타 분석을 통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종교적 성향은 종교의 일반적 세 특징인, 교단(교파)의 차이, 종교 행위의 심도 차이, 종교 독트린에 대한 신앙심의 차이를 계랑적으로 개념화하여 측정한후 이러한 세가지 독립변수가 개인의 정치적 성향 (종속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모텔은 종교간 인식차 이론과 문화갈 등 이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단일 이론을 통한 분석에서 보여지는 중요변수인식오류를 최소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밝혀진 새로운 가설은 종교 전통주의자들이 종교 근대주의자들보다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임을 밝혀주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불교신자와 카톨릭 신자들이 정치 척으로 보수적임을 밝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