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배구수업이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김재화(Kim Jaehwa)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6 No.-

        본 연구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배구수업이 학습자의 스포츠맨십, 집단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D고등학교 2학년 8개 학급 총 240명으로 하였으며, 스포츠교육모형 집단 4학급 116명, 전통적수업 집단 4학급 124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수업의 내용으로는 배구를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스포츠맨십 검사지는 Vallerand 등(1996)이 개발한 MSOS(Multidimensional Sportspersonship Orientation Scale)의 문항을 성창훈(2003)이 번안ㆍ제작한 것을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집단응집력 검사지는 Widmeyer, Brawley & Carron(1985)이 개발한 집단 환경 질문지(GEQ)를 이한규(1995)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계발한 것을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Cronbach α계수 값이 .70 이상로 나타나 검사지의 신뢰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절차는 일반계 남자 고등학교 2학년 두 집단 학습자(240명)를 대상으로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8주간 16차시의 배구수업을 실시한 뒤 스포츠교육모형 집단과 전통적수업집단의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육유형에 따른 시기별 스포츠맨십과 집단응집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맨십 측면에서, 스포츠교육모형 배구수업은 전통적 배구수업보다 동료배려, 상대존중 요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집단응집력 측면에서, 스포츠교육모형 배구수업은 전통적 배구수업보다 집단차원 과제응집력, 개인차원 과제응집력 요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요컨대, 스포츠교육모형 수업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동료를 배려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 상호협조적인 집단풍토와 개인의 과제지향적인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운동에 몰입하고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스포츠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Sport Education Model affects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of Volleyball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0 students of eight second-year classes in D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which are grouped into two: sport education model group and traditional class group; each group consists of 116 students in four classes and 124 students in four classes. As for the method of this study, MSOS(Multidimensional Sportspersonship Orientation Scale) created by Vallerand(1996) and adapted by Seong Changhoon(2003) was used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a sportspersonship test. For group cohesiveness test,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GEQ) created by Widmeyer, Brawley & Carron(1985) and developed by Lee Hangyu(1995) through the analysi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result of the pilot test revealed that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over 0.70, which means the credibility of the test is very favorable. As for the research process, the pretests on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of two groups of general men"s high school second-year 240 students were performed and the posttests on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of sport education model group and traditional class group were performed after sixteen-period classes during eight weeks. Data were processed by the SPSS(ver. 21.0)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hange of periodic sportspersonship and group cohesiveness according to educational types.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through two-way ANOVA. First, in terms of sportspersonship, sport education model volleyball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volleyball class in raising a colleague consideration factor and a respecting others factor. Second, in terms of group cohesiveness, sport education model volleyball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volleyball class in raising a group level task cohesiveness factor and an individual level task cohesiveness factor. In short, it is suggested that sports education model clas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respecting others and considering colleagues, and on the mutual cooperative group atmosphere and personal task-oriented inclination by offering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ve opportunities. In addition, the study on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sport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students" immersing and exerting in the exercis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required.

      • KCI등재

        레슬링 선수의 자기관리가 집단 응집력과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슬링 선수의 자기관리가 집단 응집력과 선수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레슬링협회에 등록된 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집단 응집력, 선수만족도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관리와 집단 응집력, 선수만족의 하위요인은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신관리는 집단 응집력의 대부분 하위요인에 정적영향을 주었고, 자기관리의 몸관리와 훈련관리는 집단 응집력의 대부분 하위요인에 부적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는 대인관리가 집단 사회, 개인사회, 개인과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신관리는 선수만족도 하위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자기관리의 몸관리와 훈련관리는 선수만족의 하위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는 대인관리가 선수만족도의 전체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관리는 과제수행과 상호작용, 훈련관리는 상호작용 요인에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집단 응집력은 자기만족에 정적영향을 주었고, 집단 응집력의 집단사회, 개인사회, 개인과제 요인은 선수만족의 과제수행, 상호작용, 지도성 요인 대부분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레슬링선수의 자기관리가 집단 응집력과자기만족도에 주는 역할을 확인하였고, 개인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집단 응집력이 선수 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restler’s self-management on group cohesivenesson and player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management, group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questionnaires for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n Wrestling Associ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5.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group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most sub-factors of group cohesion, and body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most sub-factors of group cohesion. Specifically, interpersonal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oup society, individual society, and individual tasks. Third 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and body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Specifically, interpersonal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ll 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mental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ask performance and interaction, and training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factors. Fourth Group cohe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satisfaction, and group society, individual society, and individual task factors of group cohe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ost of the task performance, interaction, and leadership 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role of the wrestler's self-management on group cohesion and self-satisfaction was confirmed. If a method that can lead to group cohesion at the same time as self-management is devised and applied to players,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m to experience a high level of player satisfaction and lead a positive life as a player in the future.

      • KCI등재

        가상회의 앱 기반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집단응집력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필현(Phil Hyun Yoon),고민정(Min Jeong Ko),한주희(Ju hee Hah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대학의 경영교육에 가상회의 앱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수업이 도입됨에 따라 가상 환경에서 구성된 집단이 응집력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변화된 경영교육 환경에서의 성과창출 요인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방법] 인천지역에 위치한 A전문대학 B학과에서 2020년 1학기동안 가상회의 앱 기반의 온라인 경영학 수업을 수강한 242명을 대상으로 집단응집력 및 집단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별 학업성적을 통해 성과를 측정하였다. PROCESS macro와 HLM을 활용하여 집단수준 및 교차수준 간 변수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상회의 앱 기반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의 사회응집력과 정서응집력은 집단효능감을 매개하여 집단학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수준 분석에서 집단응집력의 네 가지 차원 중 정서응집력만이 집단효능감을 매개하여 개인학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구성된 집단의 사회응집력과 정서응집력이 집단차원과 개인차원의 학업성과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상 앱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상황에 대한 전망 및 성과창출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nline classes based on a virtual conference app were imported in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inspects whether the group in the virtual education environment can have cohesion and ultimately improv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Methodology]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20, a survey has been conducted, and 242 data from students who took online business classes based on virtual conference apps have been collected. Using PROCESS macro and HLM, we tested the hypothesis. [Findings] Social cohesion and emotional cohesion had positive effects on group academic performance mediated by group efficacy. In the cross-level analysis, only emotional cohe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academic performance mediated by group efficacy. [Implications] This study proved that the social cohesion and emotional cohesion of the virtual study group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t the group level as well as the individual level. Accordingly, the prospects for online classes based on a virtual conference app were discussed.

      • KCI등재

        소집단 커뮤니케이션이 구성원의 집단 응집력, 집단 만족도, 노력회피성향에 미치는 영향

        범기수(Khi Su Beom),김은정(Eun Jung Kim),백세진(Se Jin Bae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3 No.2

        본 연구는 소집단의 상호작용에서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집단의 응집력, 집단의 만족도, 구성원의 노력회피성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1명의 30개 소집단으로 이루어진 대학생에게 그들 집단의 팀 프로젝트가 끝난 시점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하부 요인 중 동등참여는 과업적 응집력과 사회적 응집력, 집단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하부 요인 중 존중은 사회적 응집력과 노력회피성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응집력의 경우, 과업적 응집력은 노력회피성향을 낮추었으며 집단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성원의 위계질서가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는 과업중심의 단기프로젝트 팀에서 집단 성원의 응집력을 높이고 만족도를 증가시키며 사회적 태만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rocesses in small group interactions on group cohesiveness, group satisfaction, and members` withdrawing effor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group cohesiveness affected group satisfaction and withdrawing efforts. To achieve this goals,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171 college students in Korea assigned into 30 teams which conducted the final group projec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first, among two factors (equal participation and respect) of communication process, equal participation positively affected group cohesiveness (task-cohesiveness and social-cohesiveness), group satisfaction. Second, among two 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f communication process, ``respect`` negatively affected social cohesiveness and withdrawing efforts. Third, among two factors (task and social-cohesiveness) of group cohesiveness, task-cohesiveness predicted the lower level of withdrawing efforts and the higher level of group satisfaction.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문태란,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4

        This paper aimed to illustrate how group therapy affects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group cohesion of high school socc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High School Soccer Association in K-Gu S City in Korea and were involved in the therapy. We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two randomly arranged group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having six memb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via 12 sessions total of art therapy,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without pre-test and post-test from May to August 2018. We selected the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scale and group cohesion scale as the research tool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measured by Wilcoxon-signed rank test on SPSS 22.0.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via two steps as the group art therapy is focused on the changes in every treatment step.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is examination h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could not only disclose their inner conflicts but also mainta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team membe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effectively by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youth soccer players. It is also evaluated as a clinical study on the athletes who playing football in high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K구의 고등학생 축구협회에 소속되어 있는 12명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자들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을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을 무선으로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1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의사소통만족 척도와 집단응집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은 SPSS 22.0의 월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으로 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의사소통만족과 집단응집력에 효과가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미술치료 활동으로 내적갈등을 표현하게 하고 집단원간의 상호작용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집단응집력을 향상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축구생활을 원만하게 도왔다는 점에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앞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더욱 활발히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체조선수들의 선수만족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청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05 코칭능력개발지 Vol.7 No.3

        본 연구는 체조선수들이 인지하고 있는 선수만족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일반 남․여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4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응답에 불성실한 9부를 제외한 39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선수만족의 검사도구는 Chelladurai(1985), Widmeyer와 Williams(1991)의 운동부원 만족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집단응집력은 Carron과 Widmeyer 그리고 Brawley(1985)가 개발한 집단환경설문지(GEQ)를 토대로 이한규(1995)가 우리나라 스포츠팀 실정에 맞게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연구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선수만족의 세부요인인 과제수행만족, 코치의 지도만족, 사회상호 작용만족 요인은 집단응집력의 세부요인인 집단과제응집력, 집단사회응집력, 개인과제응집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수행만족요인은 개인사회응집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만족의 세부요인인 과제수행만족, 코치의 지도만족요인이 ‘성별(남,여)×지위(주장선수, 주전선수, 후보선수)’에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집단응집력의 세부요인인 집단과제응집력, 개인과제응집력요인이 ‘성별×지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집단과제 활동에서 명상기반 훈련이 집단응집력과 집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비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의 비교

        이해선,김완석 한국명상학회 2017 한국명상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명상기반의 훈련이 팀과 같은 조직장면에서 어떤 효용이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팀훈련 형태의 명상훈련이 집단의 응집력과 집단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팀내 구성원에 대한 신뢰와 연결감, 상호이해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만일 그런 긍정적 효과가 있다면 명상법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른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대학생 32명을 자비명상 훈련집단과 마음챙김명상 훈련집단에 무선할당하고 5회기로 구성된 명상훈 련과 함께 4-6명으로 이루어진 팀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했다. 집단응집력과 집단만족도, 동 료에 대한 신뢰도, 상호이해도, 연결감, 연민적 사랑을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과제관련 집단응집력은 두 가지 명상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집단응집력은 자비 명상집단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집단만족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 다. 팀장이나 동료에 대한 신뢰도와 상호이해도, 팀원에 대한 연결감은 자비명상 집단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마음챙김명상 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연민적 사랑은 두 집단 모 두에서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연구의 결과를 다양한 팀활동이 이루어지는 조직장면과 관련 지어 논의하였고, 명상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농구 팀 수행성적에 따른 코치의 지도 행동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

        정지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대학 농구팀 수행성적에 따른 코치의 지도행동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참여자는 총 101명으로 전국대회의 성적에 따라 우수팀과 비우수팀으로 수행성적을 구분하였다. 검사도구는 한글로 번안한 스포츠 리더십 검사지와 집단 응집력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농구 팀 수행성적에 따른 실제 지도행동 유형의 차이와 집단 응집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집단 t검증을 이용하였다. 코치의 지도행동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수 농구팀의 코치들은 비우수 팀의 코치에 비해 전제적 행동을 많이 사용한다. 둘째, 우수팀은 비우수팀에 비해 집단 차원의 사회 응집력이 높다. 셋째, 농구 코치의 훈련과 지시 행동과 긍정적 피드백 행동은 우수팀의 집단 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농구 코치의 민주적 행동은 우수팀의 응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농구 코치의 전제적 행동은 수행성적에 관계없이 집단 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oach's leader behavior type and team cohe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ach's leader behavior and team cohesion in good performance and bad performance basketball teams. One hundred and one athletes and eight coaches of eight University basketball teams from Seoul and Kyongee were selected, and questionnaires measuring Leadership Scale for Sports (Chelladurai & Saleh, 1980) ad sports cohesion (Lee et al., 1993, 1994) were administered. The good performance and bad performance teams were determined by team's winning records. Independent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conclusions from the findings are; (1) The coaches of good performance teams tend to use more Autocratic behavior than the coaches of "bad performance", (2) The good performance teams have higher Group Intergration-Social cohesion than the bad performance teams, (3) Coaches' Trainning and Instruction behavi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hesion of good performance teams, and (4) Coaches' Democratic behavior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ohesion of the good performance teams, while coaches' Autocratic behavi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hesion of basketball teams regardless of their team performance.

      • KCI등재

        대중무용 활동 청소년들의 집단응집력과 중독과의 관계

        신혜숙(Hea Sook Shin)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0 No.-

        연구는 대중무용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사회문화를 창출하고 있는 춤 동아리에서 발생되는 집단응집력과 중독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정상적인 대중무용 참여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SPSS(ver 16.0) 프로그램으로 자료처리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참여형태 중 경력에 따른 집단응집력은 "1년 미만" 보다 "3년 이상"에서, 참여만족 정도에 따른 집단응집력은 "매우만족"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다. 공연 참여 횟수에 따른 집단응집력은 "참여 경험이 없다" 또는 "년 1,2회 참여" 보다 "1년에 3회 이상" 참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중무용 활동 청소년들의 참여형태에 따른 중독현상에서 참가형태 중 경력에 따른 중독현상은 "1년 미만" 보다 "3년 이상"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만족 정도에 따른 중독현상은 "조금만족" 보다 "매우만족"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공연 참여에 따른 중독현상은 "참여 경험이 없다"보다 "1년에 3회 이상" 참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중무용 활동 청소년들의 집단응집력과 중독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집단응집력은 중독에 40.9%의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응집력 하위요인 중 집단수용, 집단관여 요인은 중독에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소속불안은 부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group cohesiveness and addiction by surveying 165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popular dance activities,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s to the relation between group cohesiveness and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popular da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group cohesiveness was somewhat higher in those of "three years or longer" than in those of "less than a year", and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it was somewhat higher in those who were "very satisfied,"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contests, group cohes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participated "three times or more a year" than in those who did "none" or "once or twice a year." Second, as to the relation between addiction and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popular da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d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of "three years or longer" than in those of "less than a year," and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were "very satisfied" than in those who were "moderately satisfi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contests, addi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participated "three times or more a year" than in those who did "none." Third, in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popular dance activities, group cohesiveness was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diction, and group cohesiveness explained 40.9% of addic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group cohesiveness, group acceptance and group involve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diction, and belonging anxie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t.

      • KCI우수등재

        여행서비스접점에서 집단 구성원 간의 사회적 영향 : 동조이론을 적용한 집단응집과 심리적 거리의 조절된 매개효과

        홍민정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4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group cohesiveness and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our gui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interactions and conformity intention with other customers’ complaints in a travel group.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Korean travelers who have experience in overseas package tours. A total of 276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ROCESS path modeling. The results showed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between customers have a direct influence on group cohesiveness, and group cohesiveness also has a direct influence on conformity intention. On the other hand, only direct interactions between customers directly affect conformity intention with other customers’ complaint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veness showe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between custom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conformity intention by fully mediating group cohesiveness. Finally, the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he tour guide was shown to moderate indirect effect of direct interaction between customers on conformity intention by mediating group cohes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group cohesiveness and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our guides are critical variables to the group behavior through social interaction among travel group members, suggesting that travel enterprises must consider the role of tour guide in terms of customer cohesion and customer relationship in the travel group. 본 연구는 여행 집단 내 고객 간 상호작용이 다른 고객의 불평 동조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집단응집력과 가이드와의 심리적 거리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탐구해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해외 패키지여행 경험이 있는 내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총 276부의 분석 가능한 응답을 토대로 PROCESS 경로 모델링을 활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고객 간 직접적, 간접적 상호작용은 집단응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응집력 역시 동조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동조의도에는 고객 간 직접적 상호작용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집단응집력의 매개 효과 검증에서는 고객 간 직접, 간접적 상호작용 모두 집단응집력을 완전 매개하여 동조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이드와의 심리적 거리는 고객 간 직접적 상호작용이 집단응집력을 매개하여 동조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집단응집력과 가이드와의 심리적 거리가 여행 집단 구성원 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집단행동에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실증적으로 밝혀냈으며, 이를 통해 여행 기업은 여행 집단 내 고객의 응집 및 고객과의 관계 측면에서의 가이드의 역할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