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경미,백사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함으로써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식에서 진로결정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 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Holland 진 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진로결정성의 증가는 자신이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데 도움 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진로독립성의 증가는 학생들이 의존적인 진로결정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사고의 성숙을 도와주며 진로성향의 증가는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 비를 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 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는 합리적 유형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들이 진로 의사결정능력 수준이 부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합리적 유형의 증가는 학생들 이 자신과 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해나가며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진로결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향상시켜 자신의 진로선택에 보다 성숙하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현명하게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소수 대학생들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결과를 같은 또래의 다른 대학교 학생들에게 모두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들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활동들이 많은 프로그램으로 편안하고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는 참가자의 요구와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 러므로 참가자들을 전공과 기타 개인적 특성별로 차별화하고 요구와 수준에 맞는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effects of a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College freshme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nhance College freshmen's ability to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with maturity and to carry out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by developing and utilizing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as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efficient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for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s of decisiveness, independence, and propensity of the career choice. It indicates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reasonable pattern of decision-making, but not in the intuitive, and dependent patterns. It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reasonable career decision-making.

      • KCI등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홍보물 유형과 관여도에 따른 홍보태도와 프로그램 참여의사 차이: 대학상담센터 온라인 게시판 홍보를 중심으로

        강혜영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This study was begun by the interest to marketing of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the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in counseling. Research questions was as followed: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the ad.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 level?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 level? Third, do attitude toward the ad. affect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significantly? 18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simulation(male: 79.4%, female: 20.6%). Data collection was accomplished 16-17, January, 2012. Researcher made two kinds of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the manipulation check was processed. Measurement of involvement, attitude toward the ad.,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was made on the basis of measures in advertising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teraction and major effects were not observed in attitude toward the ad.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 level. Second, Interac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ut major effect of involvement was found i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y advertising appeal types(rational vs emotional) and involvement(F=24.93, p<.001). Third, 39% of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was explained by attitude toward the ad.,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gram participatory intention (Beta=.63, t=10.73, p<.001). These results show that involvement and attitude toward the ad. are important in advertising group counseling program. 본 연구는 상담 분야에서 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상담서비스 상품에 해당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방식에 대해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홍보물 유형(이성적 유형, 감성적 유형)과 관여도(홍보되는 것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 지각정도)에 따라 홍보태도(홍보되는 것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반응)와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홍보태도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상담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방식 중, 온라인 게시판 홍보내용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홍보내용에서 몇 가지 특징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광고 분야의 광고소구유형이라는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홍보물 유형을 이성적 유형의 홍보와 감성적 유형의 홍보로 구분하고, 각각의 정의에 해당하는 홍보물을 제작하였으며 이에 대한 조작 점검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180명(남: 79.4%, 여: 20.6%)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2012년 1월 16-17일까지 계절학기 수업을 통해 진행되었고, 연구자가 총 7개 분반에 직접 들어가 진행하였다. 관여도 측정, 홍보태도 측정,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의사 측정은 모두 광고 분야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 홍보물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홍보태도에서는 홍보물 유형과 관여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두 변인 모두에서 주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사에서는 홍보물 유형과 관여도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관여도의 주효과만 나타났다(F=24.93, p<.001). 셋째,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태도가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설명해주는 양은 39%였고, 홍보태도는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유의하게 영향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Beta=.63, t=10.73,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에서는 잠재적 내담자(고객)의 관여도와 긍정적 홍보태도가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높이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홍보 시, 잠재적 내담자(고객)의 관여도를 고려하고, 홍보하는 상담서비스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형성하도록 하는 홍보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 KCI등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노인화,유형근,정연홍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2

        This research collected and conducted meta-analysis on Masters and Ph. D. level research within the past 15 years from 2000 to March of 2015, where the test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test configured group counsel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school adjust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171 effect sizes form 166 studies wer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total average effect size was a large value of 1.218.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the group trea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were show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 and the group size. Third, in the theoretical method approach it was shown that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test was conducted maladjusted students group, realit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shown to have the biggest effect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Fourth, for teacher adjustment, peer adjustment and schoolwork adjustment, the effect size of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the greatest, and for school rule adjustment, solution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the largest effect. This research analyz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disposal and approach characteristic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this research study can be useful to develop programs for school adjust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usefully for applying and conducting programs in actual school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5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중 집단상담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한 실험연구 166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평균효과크기는 1.218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자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 부적응학생 대상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1.433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크기와 참여자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이론적 접근방법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매체활용 접근방법에서는 미술활용 집단상담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적응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현실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적응 하위영역 중 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업적응 영역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학교규칙적응 영역에서는 해결중심 집단상담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특성 및 접근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것으로 이는 학교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현장에서 적용·실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문제점과 과제

        안이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1 초등상담연구 Vol.10 No.1

        초등학교 집단상담은 교육적인 목표의 달성이라는 측면에서 성인대상의 집단상담과 성격상 매우 다르다 발달과정을 거치고 있는 아동이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의 집단상담은 더 많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초등학교의 집단상담은 재량활동 시간과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조차 담임교사의 의지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또한, 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성인대상의 상담프로그램을 적절히 재구성하거나 약화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먼저 연구자가 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틀(frame)을 제시하고 16시간에 걸쳐 초등상담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사들과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요구도 조사, 내용구성, 조직화, 운영, 평가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일치를 보았다. 위의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초등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점검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문제점과 개선책을 본고의 과제로 기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금택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tudy, it is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depend on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and also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depend on neurological levels.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before the test and after the test of the experiment group those who were in NLP group therapy program?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by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of the experiment group in NLP group therapy program?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by the different neurological levels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The object of the study was 10 students from W-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and KvSBQOL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before the test and after the test of the experiment group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depend on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of the experiment group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by the different neurological levels in experiment group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As a result, NLP group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빈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신경논리적 차원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점수 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참여빈도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경논리적 차원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의 W대학교에서 실시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의 삶의 질 척도(KvSBQOL)를 사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삶의 질 사전-사후점수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참여빈도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삶의 질 점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경논리적 차원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삶의 질 점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어느 정도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효과가 크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동해(Dong Hae Ju)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대상으로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사회역량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심리사회역량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고안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심리사회역량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심리사회역량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감정조절, 갈등해결,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의사소통 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상담프로그램 초기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고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타인의 표현에 공감하고 집단참여 수준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trengthen psychosocial competencies for children of regional child cent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psychosocial competency was reviewed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psychosocial competenc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at agree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nd among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24 people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a non-identical group pre-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hange in psychosocial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positive change in the psychosocial competency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social competenc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ified.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empathy, emotion 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lf-esteem. In contra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a has not been proven. Third,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hildren showed only their own claims and did not match, but it was found that they gradually sympathized with the expression of others and improved the level of group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way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in regional child centers were presented.

      • 고등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병금,박민수 한국교류분석학회 2008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TA 이론의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미주리주’ 학교상담 프로그램 모델의 계획-설계-실행-평가의 4단계 개발모형을 참조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했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강원도 강릉시 소재 K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중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10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고, 동질성 집단 1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7주간에 걸쳐 주 2회씩 10회에 걸쳐 사전-사후 프로그램을 효과를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자기 존중감검사와 대인관계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A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가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 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기 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TA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가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의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 존중감 및 대인관계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강수정,이은영,천성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U시 소재 O중학교 1학년 중 2019학년도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에서 자살위기 문항(AMPQ-III Q53, Q57) 점수의 합이 2 이상인 대상자 1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8명씩 무선배정하였고 동질성검사를 통해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우울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 2회 50분씩총 12회기의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우울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울이 감소하고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가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고, 자살 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board game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ith suicidal tendenc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O Middle School in U City who scored a sum of 2 or more on the suicide crisis questions (AMPQ-III Q53, Q57) in the 2019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and 8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homogeneity test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same group.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given a pretest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of 50 minutes twice a week. Afterwards, the two groups were given a post-test, and normality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Results First,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depression. This mean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less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and reducing depression in suicidal adolescents,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suicidal adolescents that reflect their needs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김보미(Kim, Bo Mi)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8 특수·영재교육저널 Vol.5 No.1

        본 연구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국내 실험연구 논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의 개괄적 특성(연구대상, 실험설계방법, 자료분석), 독립변인(진로집단상담 프로 그램)의 회기와 기반이 된 이론,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방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향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와 적용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연구는 선행연구에 따라 2009년도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한 국내 실험논 문들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43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연구는 분석 틀의 세 가지 영역에 따라 총 8개의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로서 먼저 개괄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설계는 대부분 사전·사후설계연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방법분석 결과로는 크게 양적통계방법과 질적통계방법으로 나눌 시 33편이 양적통계방법이며 질적통계방법은 10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통계 방법으로는 변량분석 방법 중 t 검증과 혼합변량분석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독립변인(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결과로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목적과 연구대상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중 상담기법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사용된 논문도 나타났다.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구들 진로성숙도, 진로자기효 능감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진로성숙도검사, 진로의식성숙도검사, 진로결정효능감검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는 모든 연구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앞으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experimental  studies  on  career  group  counsell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areer  group  counselling  for  future  research.  There  is  a  growing  emphasis  that  career  group  counselling  enhance  the  adoption  of  successful  adult  lives  by  general  student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9  to  2016  revealed  43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43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8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experimental  design,  data  analysis,  carer  group  counselling  program(independent  variable),  theory,  objective  skills(dependent  variable),  method  of  measurement,  result(the  effectiveness  of  each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8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group  counselling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춘실 ( Choon Sil Kim ),김희진 ( Hee Jin Kim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9 동서정신과학 Vol.12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이미 개발된 칭찬 프로그램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중학생의 발달적 특성과 요구에 맞게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소재하는 D중학교 3학년 24명이다. 이들 중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12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으로 구성된 12명을 대상으로 5주간 60분씩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 후 또래관계 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통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또래관계가 더 향상되었다. 셋째,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to be more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as a good guide, many previous research was very helpful in my studying. The program took place at D middle school located in Busun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24 volunteer third year students. The 24 student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12 students in each group.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dministered by the researcher for 5 weeks from 28th November 2006 to 28th November 2006, with the time setting of total 10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using 3 scales measuring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middle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increasing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interpersonal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Admi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