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집단기억 현상을 통하여 본 북한 사회 이해

        전우택(Woo Taek Je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2

        전통적으로 인간의 기억이란 개인적이고 상황과 무관한 독립적인 신경생리적 현상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억의 사회적, 집단적 성격이 집중적으로 부각되게 되었다. 그것은 개인의 인식이 사회적 영향을 받으며, 기억을 타인에게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사회화되며, 이야기된 기억은 집단의 기억으로 바뀌기 때문이었다. 특히 북한에 대한 이해에 있어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의식의 집단화가 집단기억과 연결되며, 북한에서는 그 지도부가 통치 수단으로서 집단기억을 이용하였으며, 북한 사람들의 의식 구조와 행동 양식의 이해를 위하여 집단기억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된 집단기억 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하고 특히 각 내용에 있어 북한적 현상과 연결시킬 수 있는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집단기억은 정치와 종교, 사회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것은 사회 질서를 정당화하고, 집단 구성원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집단의 유지와 재생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형상 과정은 개인의 기억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순화와 압축, 강조와 동화, 정교히 수정됨과 관습화 등이 그것이다. 또한 집단기억은 집단의 필요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도 있으며 그러한 왜곡 기전은 기억의 재구성, 기존 인지 틀을 새로 짜는 것, 기억 회상에 대한 회피와 감정적 마비 등의 인지적 불일치를 처리하는 것과 선택적 생략, 조작, 과장과 미화, 연결과 분리, 적에 대한 비난, 환경을 비난하는 것, 상황적 틀을 조정하는 것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기억의 현상은 북한에 있어서는 그 지도부가 하나의 생존전략으로 이용하여 왔으며, 전 국민을 하나로 결집시키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이용하여 왔음이 그들의 역사 해석, 대중 선동, 교육 부분 등에서 뚜렷이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그것이 북한 주민들에게는 자존심을 높이는 일로 받아들여져 상승 작용을 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집단기억은 북한 국민들의 의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여, 향후 북한과 북한 사람들의 의식 구조와 행동 방식의 연구에 대한 주요 연구 주제가 될 필요성을 나타내 보인다 하겠다. Until the late 1970s, memory was viewed as an essentially biological and individual process which is context-free, and isolated psychological phenomenon.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is way of thinking was advanced that memory, as it occurs in everyday life, was powerfully influenced by social factors. Indeed, social process have now been demonstrated to affect encoding, retrieval, and the maintenance of memories. Memory, then, may be considered a social rather than an individual phenomenon. The social or collective aspects of memory can be thought as follows. First, memory has a social aspect in the perception level. Second, memory is“socialized” by the process of telling the story to the others. Third,“individual memory” becomes the group’s“collective memory” because when a group listens the story about one group member’s experience, the group makes the content of the story a part of their own in the form of religion, politics, art, and social activity. Examples of collective memory can be seen in Flash Bulb Memory phenomenon, Commemorative ceremonies, and Religion. Collective memory has these social functions. First, it justifies current social order. Second, it makes the identity of one group. Third, collective memory helps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group. Since collective memory has a tangible role in a society or group,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real situations and needs of the group. Collective memory includes not only the objective historical facts, but also“presumed” memory which the group wants to have for the group’s positive self-image. Mechanisms for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re as follows. Leveling-Simplification and Condensation, Accentuation and assimilation, Elaboration, Convention-alization And the Mechanism of distortion of collective memory such as Selective omission, Fabrication, Exaggeration and Embellishment, Linking and Detaching, Blaming the enemy, Blaming Circumstances, Contextual Framing was discussed. I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the collective memory phenomenon seems to be important for several reasons. First, all communist countries tried to make their people have way of collective thinking for their economical principle, and this collective memor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way of collective thinking. Second, leadership of North Korea involving Kim Il-Sung and Kim Jung-Il have used this collective memory as a main tool of their ruling North Korean people in various ways. Third, to understanding North Korea people’s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pattern, collective memory phenomenon in North Korea gives a lot of cues. So in this study North Korea’s national annual of 1993-1996 was analyzed critically and searched the example of collective memory in North Korea.

      • KCI등재

        기념공간에서의 집단기억특성과 공간연출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서희정 ( Heejung Seo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까지 우리 사회에서는 수없이 많은 사건이 발생해왔고 사회는 이를 기억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연구 해왔다. 실제 과거 사건에 대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기억한 것이 아닐지라도 사건에 대한 집단기억을 재구성한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기억이 생성되고 지속 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이러한 기념공간은 기억이 온전하게 발현될 수 있는 공간이며, 과거 사건을 현재, 미래와 연결 지을 수 있는 집단기억의 매개체이다. 이에 따라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집단기억을 재구성한 기념공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본 연구는 이에 보탬이 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모리스 알박스와 제프리 K올릭의 집단기억이론에 대해 연구하고 특성을 도출해내었으며, 기념공간에서의 고찰을 통해 기념공간의 구성요소에 따라 집단기억특성을 분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국내·외 현대기념공간 중 각 국가에서 대두된 기억을 주제로 하는 기념공간에 해당되는 사례를 총 6개로 한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념공간에 따른 집단기억의 특성과 공간연출요소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먼저 집단기억이론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모리스 알박스의 이론에서는 상호관계성, 현재성, 지속성, 재구성, 선택성, 장소성이라는 특성 그리고 제프리 K. 올릭의 이론에서는 상호관계성, 현재성, 지속성, 선택성, 재구성, 심상성, 시간성이라는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기억의 특성은 기념공간에서 기념대상의 측면, 관람자의 측면, 공간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었다. 기념대상의 측면에서는 선택성과 시간성, 관람자 측면에서는 상호작용성과 재구성, 공간적 측면에서는 현재성, 지속성, 심상성, 장소성이라는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된 특성과 공간연출요소를 통해 분석모델을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분석모델을 통해서 기념공간에 따른 집단기억의 특성요소와 공간연출요소인 형태, 비례, 동선, 빛, 재료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공간을 체험하는 관람자들에게 어떤 식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집단기억의 특성과 기념공간의 연출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어떠한 연출요소를 활용해 집단기억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대기념공간이 추모와 새로운 의미를 더하는 기억의 공간으로써 작용하기 위한 공간연출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urge to memorialize major events is not new. The difference is that the homages today are paid not with a painting on a cave wall or a statue in a park but often with something experiential and interactive. They do not merely evoke memories from those with direct experience of the actual past events, but they also can instill emotional reactions and empathy that feel somewhat like memories, created and sustained by those experiencing the reconstructed space of collective memories of events. Memorial spaces are those in which memory can be fully manifested and are a medium of collective memory that can link past events to the present and futur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ng collective memory of significant events. (Method) To begin, the researcher first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y theory of Maurice Halbwachs and Jeffrey K. Olick. Then, case studies were created in which a total of six memorial spaces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memorial spaces in various countries were classified by memory characteristics, how they are related to the presentation factors, and how they are expressed. (Results) Halbwachs`s theory of collective memory posits a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t, continuity, reconfiguration, selectivity, and place character. Olrick`s theory posits a correlation between persistence, selectivity, reconstruction, imagination, and temporalit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ies can be divided into the memorial space area, spectator area, and spatial area. On the aspect of the memorial object, it can be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ivity, temporality, interactivity, and reconfiguration in terms of viewers, currentness, persistence, imagination, and placeness. And the analysis model was completed through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spatial rendering factor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model,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y according to the memorial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factor, proportional, circulation, light, and material, which are the spatial rendering elements, and proved to be eff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helps identify the kind of presentation elements that can be used to express collective memory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ory and the presentation elements of memorial space. These can serve as guidelines for space design for those directing modern memorial spaces to function as a space for adding new memories and new meanings.

      • KCI등재

        절차기억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기억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윤주(Lee, Yun-ju),김택호(Kim, Tack-ho)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절차기억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들의 기억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 소재의 H 요양병원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증치매노인으로 선 별되고 참여 의사를 밝힌 경증치매노인 18명을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으로 각각 9명씩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연 구 기간은 2019년 11월 4일부터 2019년 12월 12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6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총 12회기 절차기억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기억력 검사 도구로 서울 언어학습검사와 레이 복합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대기 집단의 동질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하였다. 각 대상자의 질적 분석을 위해 미술치료 시 대상자의 언어와 행동을 관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억력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절 차기억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기억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기집단 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기억력 특히 시각적 기억력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procedural memory on memory and self-esteem of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 study subjects lived in H nursing hospital in G-city, and 18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who were selected based on havings early senile dementia and who reveal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November 4, 2019, to December 12, 2019,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using 12 procedural memory tests, including pre- and post-tests; therapy occurred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 and the Rey Complex Figure Test were used as memory test tools, and Rosenberg s self-esteem scale was used to assess participants self-esteem.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4.0. In order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individual changes in memory and self-esteem were described based on observations of subjects language expressions and behaviors during group art therap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procedural memory on the memory and self-esteem of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memory, especially visual memor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herapy also appeared to significantly improve self-esteem.

      • KCI등재

        1960-70년대 ‘집단기억’과 기억의 재구축 : 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본고에서는 이청준 소설에서 무엇이, 얼마나, 어떻게 재현되는지, 또한 왜 기억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집단기억의 내적 원리를 규명하고 있다. 이는 작가가 어떤 사건을 얼마나 공정하게 다루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그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통해 얻으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답을 찾는 일이다. 기억과 문화 및 사회 집단의 관계를 체계화하고 개념적으로 세분화한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이론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집단정체성, 트라우마, 기억정치 등의 요소를 해명하는데 유효한 경로로 제공한다. 이청준은 1960-70년대 집단기억의 양상을 가장 잘 드러낸 작가이다. 그는 한국전쟁을 체험하고 전후 폭력적 현실과 상처를 회상하는 가운데 집단기억이 만들어낸 병리와 정체성,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섬세하게 재현한다. 특히 ‘전짓불 체험’으로 상징되는 트라우마와 관련된 집단기억 방식은 1960, 70년대 역사의 의미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이청준 소설의 중요한 의미는 ‘현실’을 기억의 토대 위에 구축했다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동시에 현재를 의식하고 그것을 다양한 층위의 기억 방식을 동원해 집단 기억의 실체를 보여주었다는 데 있다. 작가는 전쟁의 비극이 가라앉기도 전 4.19의 희망과 5.16의 좌절을 함께 경험하고, 급속한 산업화의 길로 들어선 현실 공간의 모순, 이데올로기 뒤편에 숨겨진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탐색하고 있는 것이다. Lee, chung-joon is an author who best reveals the aspect of 1960-70s' collective memory. He delicately draws the pathology and identity which collective memory and the process of politicization of memory have made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Korean War and recollecting the violent reality and injury after war. The most remarkable point is the method of memory regarding Trauma, that is so-called ‘flashlight experience’, which can be said to be a signifying process of 1960-70s' history. The value of his novel does not stay at the point that he built ‘reality’ on the basis of memory, same as other authors, however he recognizes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with the past, and reveals true nature of collective memory by mobilizing the method of memory various level, e.g. restoration, recognition, reminding, and remaining memory, beyond the comprehension of the past. In this process, Lee, chung-joon shows the contradiction of real space where the experience of the hope of 4.19 and frustration of 5.16 at the same time, just before the tragedy of war was settled and rapidly entered industrialization, the politicization process of memory which is hidden behind ideology, i.e. western modern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thes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ner principle of collective memory by investigating what, how much, in which way, is reproduced, and why it is reminded in Lee, chung-joon's novel. This is not the matter of how fairly the author treats an event, but the matter of how he remembers anything in which method, and to search for the answer to what to get through politicization of that memory. Alaida Assmann's memory theory, which systemized and conceptually segmented the relation among memory, culture and social group provides a useful route to explain the elements of the memory, collective identity, trauma, the politics of memory politics, etc. displayed in his novel. In this process, the significance of the generations' fiction-writing, who remember this period, can be interpreted.

      • KCI등재

        부산시민공원역사관 내 도입부 천장의 문양을 둘러싼 논란과 기억의 표상

        유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question over the reason why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public acts before the clear historical fact. Previous Camp Hialeah,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was a place where the various collective memories exis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current Busan Citizens Park Museum, as a representative ‘Realms of Memory’ of Busan. Busan Citizens Park Museum was caught up in controversy upon its open, due to the ‘Rising Sun Flag[旭日旗]’ patterns on the ceiling of the History hall in the Park Museum. As the anti-Japan issue was expanded and reproduced by the media, the identity of the public museum was threatened as the controversy was ignited with the conflict of memory. As a Veterans’ organization demanded removal of the pattern of the ceiling, insisting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History Hall of the Park Museum, the issue entered into a long-term conflict. Busan city considered that the only solution for the conflict in the ‘Rising Sun Flag[旭日旗]’ pattern was the historical truth. That was, to break the fictional imagination that the officers’ club was the ticket off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suggesting the positive material, and to determine no relation between the ‘Rising Sun Flag[旭日旗]’ and the Eighth US army pattern by comparing the two. Nevertheless, the conflict was intensified unexpectedly. The reason wa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of nationalism, which was the common interest. That is, the organizations who insisted on the maintenance of the ceiling pattern considered the painful memory of the past as the object to overcome, on the contrary, the groups who insisted on the removal of the ceiling pattern had more strong intention to erase the injury of the past. Interesting point is, recollection of ‘Rising Sun Flag[旭日旗]’ pattern was a memory that hurts their position and pride of their organization who insisted on removal, on the other hand, it became a good opp ortunity to show off the power of their unity and identity through the struggle externally. This was originated from the political nature of collective memory. Controversial conflict of memory was barely settled, however it was an important experience in making the public history, furthermore, it suggests a new solution to cure the historical trauma of the public. 본고는 대중의 ‘집단기억’이 명백한 역사적 진실에 앞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이유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논란의 배경이 된 구 캠프 하야리아 부지는 부산의 대표적인 ‘기억의 장소’로서 과거 일제시기부터 현재의 부산시민공원이 탄생하기까지 다양한 ‘집단기억’이 산재한 곳이다. 부산시민공원 개장과 함께 공원역사관 내 천장의 ‘욱일기’ 문양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반일 정서를 담은 이슈가 언론에서 확대 재생산 되면서 논란은 기억갈등으로 점화되어 공공박물관의 정체성까지 위협을 받았다. 특정 보훈단체가 공원역사관의 역사의식을 문제 삼으며 문제가 된 천장 문양의 철거를 요구하면서 장기간의 갈등 국면에 진입하게 되었다. 부산시에서는 ‘욱일기’ 문양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역사적 진실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은 장교클럽이 일제시기 마권판매소였다는 허구적 상상을 실증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깨뜨리고, ‘욱일기’ 문양과 미 8군 문양을 비교하여 양자는 하등의 상관이 없음을 명백히 밝히면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갈등은 심화되었다. 그 이유는 공통의 관심사인 민족주의를 해석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즉 천장 문양의 존치를 주장하는 집단들은 과거의 아픈 기억 또한 극복의 대상으로 여긴 반면, 천장 문양의 철거를 주장하는 집단들은 과거의 상처를 묻고자 하는 의도가 더 강했던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철거 주장 집단에게 있어서 ’욱일기‘ 문양의 떠올림은 그들 집단의 위치와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기억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갈등 투쟁을 통해 집단의 단결력과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에 더 없이 좋은 기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집단기억이 가지는 고유의 정치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논란이 되었던 기억의 갈등은 가까스로 힘들게 봉합되었지만, 공공의 역사 만들기에 있어서 중요한 성찰의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향후 집단기억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전쟁의 기억과 장소 연구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 Pyeong Jeon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 속 한국전쟁의 기억 양상에 대해 살피고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박완서의 기억은 개인적 회상의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기억은 순수한 사적 기억이라기보다는 집단적 기억의 자장 안에 놓인 회상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기억은 강요된 집단기억이 무엇인지를 증언하는 것으로 박완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복원을 통해 특정한 사건과 장소에 남아 있는 집단적 상처와 억압, 그리고 그 치유과정을 추적하면서 여전히 유효한 민족집단의 비극에 다가선다. 박완서는 전후 반공 이데올로기의 억압 속에서 주체의 내면을 왜곡하고 개인의 성찰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집단기억의 폐쇄적이며 억압적인 기억에 주목한다. 당대 집단의 이해와 필요에 따라 기억을 선별적으로 재구성하는 집단기억에 저항하면서 더 이상 사적인체험에 한정되지 않는 특수한 역사적 국면, 예컨대 일제 식민지, 한국전쟁, 반공주의에 입각한 군사독재 체제 같은 시대 상황과 마주한 주체로서의 개인을 회상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적 계기로 인한 억압의 기억, 은폐되고 억압된 정체성을 현실의 맥락에서 회상하고 복원하는 일이다. 또한 작가는 집단 기억의 생산 과정을 탐색하면서, 기록되는 것과 지워지는 것, 기억되는 것과 망각되는 것의 대비를 통해 회상의 실체에 다가선다. 이를 통해 강요된 지식과 앎 속에서 무시되거나 폄하된, 차별화되어 흩어졌던 기억들을 조립하고 무엇이 기억되고 어떤 것이 침묵되는지, 왜 기억이 부인되고 망각되는가를 구체화 시킨다. 그것은 ‘고향’을 기억함으로서 정체성의 복원을 시도하고, 전쟁의 상흔을 간직한 신체를 회상함으로써 집단적 기억과 당대의 역사적 사실을 드러내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Korean War and the memory on the novel of Park, wan-seo.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mainly discussed Park`s memory for the Korean War in terms of the recall. However, the memory in this novel might be the collective memory rather than the personal memory. In this case, the collective memory proved that retrospection is limited to the social; the writer still effectively describes the tragedy of an ethnic group by tracking the healing process, injure, and oppression to be left at the place and memory that the events happened through the writer`s personal memory for the war. Her novel shows the closed and oppressive aspects of the collective memory that make it impossible to reflect the personal introspection and distort the look deep into ourselves under the pressure towards ideology of anticommunism after the war. Upon the necessity and understanding for the group, this makes the memory to be restructured selectively, and oblivion makes it to be easily used to another aspect of the memory. Experience of the war is no more a personal one and that will remember or restore the individual as each subject in the middle of the age such as a specific historical conjunctur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War and a military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anticommunism This is the memory to restore the oppressive memories, covered up ego in the same context due to the historical opportunity. With a notice of processing collective memory, Park, wan-seo enables us to look into the truth for the collective memory through the between recorded and erased things like public and personal memory or between remembered and forgotten things. She puts together the imposed knowledge and the memories which are scattered, discriminated, ignored, and derogated, and she also specifically reproduces why the memory is denied and forgotten in her novel. She is trying to restore the identity by remembering the home, and allow meeting the collective memory and the historical facts of that time by remembering the body scar through the war.

      • KCI등재

        부산시민공원역사관 내 도입부 천장의 문양을 둘러싼 논란과 기억의 표상

        유현 ( Yoo Hyeo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본고는 대중의 ‘집단기억’이 명백한 역사적 진실에 앞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이유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논란의 배경이 된 구 캠프 하야리아 부지는 부산의 대표적인 ‘기억의 장소’로서 과거 일제시기부터 현재의 부산시민공원이 탄생하기까지 다양한 ‘집단기억’이 산재한 곳이다. 부산시민공원 개장과 함께 공원역사관 내 천장의 ‘욱일기’ 문양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반일 정서를 담은 이슈가 언론에서 확대 재생산 되면서 논란은 기억갈등으로 점화되어 공공박물관의 정체성까지 위협을 받았다. 특정 보훈단체가 공원역사관의 역사의식을 문제 삼으며 문제가 된 천장 문양의 철거를 요구하면서 장기간의 갈등 국면에 진입하게 되었다. 부산시에서는 ‘욱일기’ 문양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역사적 진실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은 장교클럽이 일제시기 마권판매소였다는 허구적 상상을 실증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깨뜨리고, ‘욱일기’문양과 미 8군 문양을 비교하여 양자는 하등의 상관이 없음을 명백히 밝히면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갈등은 심화되었다. 그 이유는 공통의 관심사인 민족주의를 해석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즉 천장 문양의 존치를 주장하는 집단들은 과거의 아픈 기억 또한 극복의 대상으로 여긴 반면, 천장 문양의 철거를 주장하는 집단들은 과거의 상처를 묻고자 하는 의도가 더 강했던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철거 주장 집단에게 있어서 ’욱일기‘ 문양의 떠올림은 그들 집단의 위치와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기억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갈등 투쟁을 통해 집단의 단결력과 정체성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에 더 없이 좋은 기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집단기억이 가지는 고유의 정치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논란이 되었던 기억의 갈등은 가까스로 힘들게 봉합되었지만, 공공의 역사 만들기에 있어서 중요한 성찰의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향후 집단기억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question over the reason why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public acts before the clear historical fact. Previous Camp Hialeah,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was a place where the various collective memories exis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current Busan Citizens Park Museum, as a representative ‘Realms of Memory’ of Busan. Busan Citizens Park Museum was caught up in controversy upon its open, due to the ‘Rising Sun Flag[旭日旗]’ patterns on the ceiling of the History hall in the Park Museum. As the anti-Japan issue was expanded and reproduced by the media, the identity of the public museum was threatened as the controversy was ignited with the conflict of memory. As a Veterans’ organization demanded removal of the pattern of the ceiling, insisting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History Hall of the Park Museum, the issue entered into a long-term conflict. Busan city considered that the only solution for the conflict in the ‘Rising Sun Flag[旭日旗]’ pattern was the historical truth. That was, to break the fictional imagination that the officers’ club was the ticket off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suggesting the positive material, and to determine no relation between the ‘Rising Sun Flag[旭日旗]’ and the Eighth US army pattern by comparing the two. Nevertheless, the conflict was intensified unexpectedly. The reason wa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of nationalism, which was the common interest. That is, the organizations who insisted on the maintenance of the ceiling pattern considered the painful memory of the past as the object to overcome, on the contrary, the groups who insisted on the removal of the ceiling pattern had more strong intention to erase the injury of the past. Interesting point is, recollection of ‘Rising Sun Flag[旭日旗]’ pattern was a memory that hurts their position and pride of their organization who insisted on removal, on the other hand, it became a good opp ortunity to show off the power of their unity and identity through the struggle externally. This was originated from the political nature of collective memory. Controversial conflict of memory was barely settled, however it was an important experience in making the public history, furthermore, it suggests a new solution to cure the historical trauma of the public.

      • KCI등재

        관광객의 집단기억과 장소정체성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군산시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

        정찬영,이훈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ze the process during which tourists’ individual memories transform into collective memories, and (2) analyze the phenomenon of collective memory transforming into place ident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participants had various collective memories of Gunsan even without visiting the city in advance. However, participants formed collective memories related to ‘exploitation’ and ‘resistance’ through various media of the modern heritage. Moreover, through media like ‘exploitation’ and ‘resistance’, intentional collective memory is formed, and thus intentional collective memory makes tourists recognize Gunsan as a place related to modern heritage.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Halbwachs’s concept of collective memory, analyzing the process of tourist’ personal memories transforming into collective memorie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rough which the nature of experiences is usually studi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process of changing perception of place identity, it was found that tourism experience plays a role in the formation of place identity. As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 tourism policy groups should start working on utilizing memory as a tourism resource. It is also important to choose and utilize the right media that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tourists’ memories into collective memories.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can reestablish or strengthen the basic image of place identity. 본 연구는 군산의 근대문화유산을 경험한 관광객의 개인기억이 집단기억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변화된 기억이 장소정체성이 형성되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군산시를 사전 방문하기 전에 군산에 대하여 다양한 집단기억을 보유하였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현장에서 사진, 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근대문화유산을 직접 경험하면서 ‘수탈’과 ‘항거’ 와 관련된 의도된 기억을 집단기억으로 수용하였다. 이를 통해 ‘수탈’과 ‘항거’와 관련된 매체들이 의도된 집단기억으로 변화시키고, 의도된 집단기억은 군산을 근대문화유산과 관련된 장소로 인식하였다. 학술적 시사점은 Halbwachs의 집단기억 개념을 바탕으로 관광경험을 통해 관광객의 개인기억이 집단기억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관광지 방문 전 과정을 통해 장소정체성 인식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장소정체성 형성에서 관광 경험을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관광정책집단이 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기억을 선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관광객들에게 집단기억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매체의 선택과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 집단기억의 형성은 지역의 장소정체성을 새롭게 정립시키거나 기존이미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의 기념과 집단기억

        박찬승 ( Chan Seung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2015년은 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으로,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이를 기념하는 각종 행사들이 진행되었다. ``기념``행사는 집단기억의 재현이자, 집단기억의 재생산을 위한 의례이다. 중국과 타이완의 승전기념일 행사, 일본의 전몰자 추도식, 한국의 광복절 기념식도 마찬가지로 집단기억의 재현이자 재생산을 목표로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 기념행사가 그 방향성을 각기 달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5년 8월 일본의 아베 총리는 전후 70주년을 기념하는 담화를 내놓았다. 그의 담화는 우선 과거 전쟁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말하였지만, 그 반성과 사죄는 과거형으로서, 그동안 사죄와 반성을 표시해온 과거 내각의 입장을 계승한다는 입장만을 표명한 것이었다. 또 전쟁시기 일본인들의 희생, 그리고 전쟁 상대국의 희생은 언급하였지만, 한국인으로서 징병, 징용 등에 동원된 이들,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된 이들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또 세계의 평화와 번영, 인권 등을 위해 일본은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 평화주의``의 기치 아래 노력하겠다는 다짐을 했지만, 그가 말하는 ``적극적 평화주의``란 실은 군사력의 강화, 집단적 자위권의 확보, 대외 영향력의 강화 등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아베담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반응이 나왔다. 일본 내의 언론과 지식인의 다양한 반응, 그리고 동아시아 각국 정부와 언론, 지식인의 반응은 동아시아인들의 과거 일본의 식민지지배와 침략전쟁을 둘러싼 인식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한 인식의 차이는 전쟁에 대한 집단기억의 차이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이었다. 전쟁에 대한 집단기억의 차이는 2차대전기 아시아태평양전쟁의 성격, 전쟁책임과 전후책임, 난징대학살 사건의 진상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동아시아 각각의 나라, 그리고 각국 내부의 사회집단 간에는 이와 같은 이슈들에 대한 집단기억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여러 집단기억들은 서로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에서는 역사학자들의 학술교류를 통해 의견 차이를 점점 좁혀 나가고 있기도 하다. 동아시아에서 역사, 특히 전쟁의 기억을 둘러싼 여러 집단 간의 충돌은 당분간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보편적인 가치관에 입각하지 않은 담론이나 집단기억은 점점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고, 따라서 결국은 인권, 자유, 민주 등과 같은 보편적인 가치관과 역사적 사실에 입각한 담론과 집단기억이 보다 우세하게 될 것이라 전망된다. As 2015 mark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Ⅱ, numerous commemorative events were held in countries of East Asia. ``Commemoration`` refers to the symbolic act of creating a homogeneous time-space for a community and a communal contemporaneity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a ``collective memory.`` The V-day celebrations of China and Taiwan,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war dead in Japan, the Liberation Day ceremonies of Korea are all geared toward the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of collective memories. The differences among these events chiefly lie in the attitudes toward war. In August of 2015,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gave a statement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Although his statement included words such as ``remorse`` and ``apology`` for the past war, they were of the past tense, simply reiterating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cabinets. While the damage and suffering incurred by the people of Japan as well as the countries that fought against Japan were described, not a word was said about the Korean men who had been conscripted into the war, or of the Korean women who had been used as comfort women for the Japanese soldiers. The statement by Abe has drawn various responses. The responses by the media and intellectuals within Japan as well as those of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have demonstrated clearly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ast colonial rule and aggressive war by Japan. And thes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re intricately linked with differences in the memory of war, particularly collective memory of war. The differences in the collective memory of war are easily recognizable in the discord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Asia-Pacific War, war and post-war responsibility, and the truth of Nanking Massacre. Each East Asian country has its conservatives, progressives and moderates, each with a different stance toward the above issues. And they are fiercely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o create a memory that is favorable to their own stance, and furthermore to turn it into the collective memory of their society, that is, history. The ongoing conflicts among various groups in East Asia surrounding history, particularly war memory, are unlikely to subside in the near future. However, with the progression of globalization, discourses and collective memories that are not founded on universal values are increasingly being discredited.

      • KCI등재

        문화기억과 기억융합으로서의 아리랑

        권오경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9 No.-

        Until now, I have researched the way of Arirang consilience with the memorial culture and memorial consilience. At first, I studied about the function and the essentials of Arirang in the point of individual memory, and then I insisted that Arirang be needed as individual culture at first because Arirang is not a local or national song but a personal folk song intuitively. There are four types of changes of Arirang. First, it has changed from individual memory to collective memory. Secondly, it was originally collective memory. Thirdly, it became collective memory artificially. Lastly, it was reconstituted from forgotten memory. And I have researched the successive changing process of Arirang as a song of loss, resistance & overcome, and as culture as of now. In this process, I found that Arirang has changed from individual memory to collective memory. Also the sympathy and change of medium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cess. On the other side, Arirang has changed from collective memory to individual memory by the contact of genre, interference, and brokenness of genre's frame by the group experience. Also I suggested that in order to create new Arirang culture as cultural consilience we need the memorial consilience. Also the preconditions for the memorial consilience include functional memory, individual memory, stratification of memory, motive of memory, reinforcement of medium, caution for selection of knowledge, consumption patterns, etc. For the memorial consilience, habit-memory(past as present) and imagination of memory(past as future) are needed. And there are three stages for cultural consilience-the stage of remembering, making the memory, and memorial consilience. Typical examples of remember stage is building a museum or recording documents. Arirang festival or contest is related with the second stage-making the memory, and the best example of the third stage-memorial consilience is art consilience. At present Arirang includes not only songs but also culture-poems, movies, plays, items for daily use. Arirang has become a global song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enjoy and should preserve and transmit. For this reason, fieldwork and study of the Arirang must be restarted basically. Self-activity is also required for creating new Arirang culture. Local governments should preserve and transmit their local Arirang respectively but should not argue that their own local Arirang should represent the whole Arirang. Otherwise, Arirang culture cannot be in harmony, losing the function of social unification. 향토민요는 전승되는 과정에서 적층성과 유동성을 동반한다. 이 과정에서 향유자와 전승자의 기억이 매개되며, 기억의 기능에 따라 소리의 변이가 발생하고, 시대와 매체에 따라 소리의 기능이 달라진다. 민요의 사회적 역할은 담당층의 기억이론으로 접근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민요의 문화융합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아리랑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았다. 아리랑은 시대마다, 그리고 소리의 주체에 따라 ‘기억하기’를 되풀이해오면서 개인기억이 집단기억화되기도 하고 집단기억으로서의 아리랑이 개인기억화되기도 하였다. 특히 집단기억으로서의 아리랑은 집단기억하기, 집단기억 만들기, 재구된 집단기억 등으로 다양하게 집단화된다. 한편, 기억의 융합은 곧 과거의 융합을 현재에서 행동하는 것이다. 행동은 깊은 과거의 의식 속에 거의 무의식적, 잠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순수기억을 선별적으로 불러내서 이것을 현실적으로 활동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기억 융합은 곧 문화융합으로 이어진다. 아리랑의 문화융합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습관적 기억화(과거의 현재화)와 기억의 심상화 과정을 설정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은 다시 기억 중심으로 보면, ‘기억하기단계’-‘기억만들기단계’-‘기억융합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문화융합방안을 살펴보았는데, ‘기억하기단계’에서는 박물관건립 혹은 기록화 사업을 대표적 사례로 살펴보았고, ‘기억만들기단계’에서는 아리랑축제나 경연대회를, ‘기억융합단계’에서는 예술융합을 대표적 사례로 삼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