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방법에 의한 비가시성 금의 회수율 향상

        이종주,명은지,박천영 한국광물학회 2019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2 No.3

        본 연구목적은 비-가시성 금 정광(Au = 1,840.00 g/t)으로부터 금을 단체분리 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질산농도 효과, 마이크로웨이브 침출시간 효과그리고 시료 첨가량 효과에 대하여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조건에서는 금이 전혀 침출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용성-잔류물의 무게는 질산 농도, 마이크로웨이브 침출시간 그리고 시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불용성-잔류물에 대하여 XRD 분석한 결과 석고와 anglesite가 나타나는데 이는 정광에 포함된 방해석과 방연석이 질산용액과 반응하여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불용성-잔류물에 대하여 납-시금법을 수행한 결과 정광보다 금함량이 최소 1.3배(Au = 2,464.70 g/t)에서 최대 28.8배(52,952.80 g/t)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납-시금법에서 회수된 금 함량은 gold nugget effect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향후,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 실험에서 정광의 시료채취 방법을 개선하고, 더 작은 기공 크기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침출용액을여과하고 납-시금법에서 여과지를 태워서 시료로 투입하는 방법을 수행한다면 gold nugget effect를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liberate gold from invisible gold concentrate (Au = 1,840.00 g/t) throughmicrowave nitric acid leaching experiment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microwave-nitricacid leaching experiments and examined nitric acid concentration effect, microwave leaching time effectand sample addition effec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Au (gold) contents were notdetected in all of the microwave leaching conditions. In the insoluble-residue, weight loss rate tendedto decrease as the nitric acid concentration, microwave leaching time and sample addition increased. In anXRD analysis with solid-residue, it was suggested that gypsum and anglesite were formed due to dissolutionof calcite and galena by nitric acid solution. When a fire assay was carried out with insoluble-residue,it was discovered that gold contents of the solid-residue were 1.3 (Au = 2,464.70 g/t) and 28.8 (52,952.80g/t) times more than those of concentrate. But in the gold contents recovered, a severe gold nugget effectappeared. It is expected that the gold nugget effect will decrease if a sampling method of concentrateis improved in the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experiments and filtering paper with smaller poresize is used for leaching solution and burned filter paper is used for sampling in lead-fire assay.

      • KCI등재

        전자(電子)스크랩에서 구리 및 주석의 회수(回收)를 위한 질산(窒酸) 침출(浸出) 및 침출액(浸出液)에서 유리질산(遊離窒酸) 제거(除去) 연구(硏究)

        안재우,서재성,Ahn, Jae-Woo,Seo, Jae-Seo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5

        Fundamental study has been made on the recovery of copper from the electronic scrap by hydrometallurgical process. Nitric acid was used as a leaching agent to dissolve the metals such as Cu, Sn, Pb, Fe etc. from the crushed electronic scraps. TBP was employed to extract nitric acid from the strong nitric acid leaching solutions and to reclaim nitric aci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Cu was effectively leached by 3.0-4.0 M nitric acid. And 95% of nitric acid in the leaching solution was extracted by 60% TBP, and 98% of nitric acid was stripped from the loaded organic phase by distilled water and it was possible to reuse as a leaching agent. 전자스크랩중에 함유된 구리 및 주석을 습식공정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침출제로 질산을 이용하여 분쇄된 전자스크랩에서 구리, 주석, 납, 철 등의 금속 성분들에 대한 침출율을 조사하고 최적 침출조건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질산 침출 용액으로부터 TBP를 이용하여 유리질산을 분리 추출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3.0-4.0 M 질산으로 구리를 효과적으로 침출시킬 수 있었으며, 질산 침출액 중 유리질산을 60% TBP에 의해 95%정도 추출이 가능하였고, 유기상에 추출된 질산의 98%를 증류수에 의해 탈거하여 질산침출액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폐 배터리 셀 분말의 선택적 리튬 침출을 위한 질산염화 공정 최적화 연구

        정연재,박성철,김용환,유봉영,이만승,손성호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1 資源 리싸이클링 Vol.30 No.6

        In this study, the optimal nitration process for selective lithium leaching from powder of a spent battery cell (LiNixCoyMnzO2, LiCoO2) was studied using Taguchi method. The nitration process is a method of selective lithium leaching that involves converting non-lithium nitric compounds into oxides via nitric acid leaching and roasting. The influence of pretreatment temperature, nitric acid concentration, amount of nitric acid, and roasting temperature were evaluated. The signal-to-noise ratio and analysis of variance of the results were determined using L16(44) orthogonal array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oasting temperature followed by the nitric acid concentration, pretreatment temperature, and amount of nitric acid used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thium leaching ratio. Following detailed experiment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10 h of pretreatment at 700°C with 2 ml/g of 10 M nitric acid leaching followed by 10 h of roasting at 275°C. Under these conditions, the overall recovery of lithium exceeded 80%.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of the leaching residue in deionized water after roasting of lithium nitrate and other nitrate compounds was performed. This was done to determine the cause of rapid decrease in lithium leaching rate above a roasting temperature of 400°C. The results confirmed that lithium manganese oxide was formed from lithium nitrate and manganese nitrate at these temperatures, and that it did not leach in deionized water. XRD analysis was also used to confirm the recovery of pure LiNO3 from the solution that was leached during the nitration process. This was carried out by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the leached solution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본 연구에서는 Taguchi method을 사용하여 폐 배터리 셀 분말(LiNixCoyMnzO2, LiCoO2)으로부터 선택적 리튬 침출을 위한 최적의 질산염화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질산염화 공정은 질산 침출 및 배소를 통해 질산리튬을 제외한 질산 화합물을 산화물로 변환하여선택적 리튬 침출을 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전처리 온도, 질산 농도, 질산 침적 양, 배소 온도에 대하여 Taguchi method를 적용하여 인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L16(44)직교 배열표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신호 대 잡음비(S/N) 및 분산 분석(ANOVA)을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소 온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질산 농도, 전처리 온도, 질산 사용량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각 인자에 대해세부적인 실험을 진행한 결과 전처리 700°C에서 10시간, 10 M 질산 2 ml/g 침출, 275°C 배소 10시간이 적절하였다. 그 결과 80% 이상의리튬을 침출을 확인하였다. 400°C 이상 배소 시 급격하게 리튬 침출율이 감소원인 분석을 위해 질산리튬과 질산 화합물을 배소 후 D.I water에서 침출하지 잔류물에 대해 XRD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질산리튬과 질산망간과 400°C 이상의 온도에서 리튬 망간 옥사이드의 형성하며 D.I water에서 침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질산염화 공정 시 침출된 용액을 고액분리 후 증발농축하여 XRD 분석한결과 LiNO3의 회수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구리 산침출 거동의 비교연구

        김민석,이재천,정진기,김병수,김수경 한국자원공학회 201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9 No.4

        Leaching of copper from the shredded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has been studied in nitric and sulfuric acid solutions. Hydrogen peroxide was added as oxidant in the case of sulfuric acid leaching.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acid and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s, solution temperature, pulp density, and leaching time were investigated. In the nitric acid solution, an optimum copper dissolution of 96% was obtained in 120 min at 90℃ temperature, 100 g/L pulp density and 4.0 M HNO3 concentration. In the 2.0 M sulfuric acid solution with 10 vol.% hydrogen peroxide, 87% of copper was leached out in 120 min at 50℃ temperature and 50 g/L pulp density; the leaching of copper decreased remarkably by increasing the pulp density beyond 50 g/L. Tin and lead, the alloy components of solder, were leached into solution to less than 5% because of precipitation of tin as stannic acid in nitric acid and lead as sulfate in sulfuric acid solutions, respectively. 질산과 황산을 침출제로 사용하여 분쇄된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구리의 침출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황산 침출에서는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첨가하였다. 침출제의 농도, 침출시간과 온도, 과산화수소의 농도, 광액농도 등이 구리의 침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질산용액에 의한 구리 침출의 최적조건은 질산농도 4.0 M, 광액농도 100 g/L, 침출온도 90℃, 침출시간 120분이며, 이 때 구리의 침출율은 96% 이었다. 황산농도 2.0 M, 과산화수소 농도 10 vol.%, 광액농도 50 g/L, 침출온도 50℃, 침출시간 120분의 침출조건에서 87%의 구리가 침출되었으며, 광액농도가 50 g/L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구리 침출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솔더의 합금원소인 주석과 납은 각각 질산침출에서 주석산, 황산침출에서 황산납으로 석출되어 매우 낮은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함(含)루테늄 스크랩으로부터 질산침출(窒酸浸出)에 의한 불순물(不純物) 제거(除去)

        안재우,정동화,서재성,이기웅,이강명,이재훈,Ahn, Jae-Woo,Chung, Dong-Wha,Seo, Jae-Seong,Lee, Ki-Woong,Yi, Kang-Myung,Lee, Jae-H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5

        폐스크랩으로부터 Ru을 회수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질산을 침출제로 사용하여 Pb, Ba, Zn, Al, Bi, Ag Fe, Co, Zr, Si 등의 침출 거동을 고찰하고, 이들 성분들을 제거 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고액농도 250 g/L에서 10-15% 질산 용액으로 약 90%의 Pb를 침출시켜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Ba의 경우도 Pb와 유사한 침출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금속원소들 중 Zn, Al, Bi, Ag, Fe, Co, Zr은 질산농도 증가에 따라 침출율이 증가하나 질산농도가 10% 이상에서는 침출율이 거의 일정하였다. 한편, Ru의 경우는 약 100 ppm 이하로 침출율이 미미하였고, 질산침출 후 잔사중에 Ru이 50%이상으로 농축됨을 알 수 있었다. A recovery process of Ruthenium from waste electronic scrap has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nitric acid leaching as a part of development for scrap pretreatment process to obtaining an optimum conditions for removal of removing various impurities such as Pb, Bi, Zn, Al, Bi, Ag Fe, Co, Zr, Si. From the experiments, 90% of Pb leached with 250 g/l pulp density in 10-15% nitric acid. Leaching behavior of Ba was also similar to that of the Pb, but those of other metal impurities, such as Zn, Al, Bi, Ag, Fe, Co, Zr, showed different behavior, in which the dissolution rat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nitric acid in solution is increased up to the 10% $HNO_3$ in solution and then it was constant above 10% $HNO_3$ concentrations. Meanwhile, the dissolution of Ru in $HNO_3$ solution was less then 100ppm, and that the total content of Ru in undissolved residue scrap was resulted in an increment of 50%.

      • KCI등재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을 이용한 금 정광으로부터 페널티 원소 제거 및 금 품위 향상 연구

        김현수,푸레브 오윤빌렉,박천영 한국광물학회 2019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2 No.1

        본 연구는 금 정광에 함유된 비소(As) 및 비스무스(Bi)와 같은 페널티 원소(penalty elements)를 제 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을 이용하였다. 또한, 금 정광 시료로부터 금 함량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침출조건은 페널티 원소의 제거를 향상시키기 위해 질산농도, 침출시간 그리고 고액비를 변화하였다. 실험결과 고체-잔류물에서 시료무게 감소율, 비소와 비스무스의 제거율 그리고 금 함량은 질산농도와 침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고액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최대 비소와 비스무스 제거율 및 금 함량이 얻어지는 침출조건은 질산용액의 농도 6 M, 침출시간 5분이었다. 이 때, 고체-잔류물 시료의 무게 감소는 87 %, 비소 제거율은 98.23 %, 비스무스는 거의 제거(100 %)되었 고 금 함량은 81.36 g/t에서 487.32 g/t으로 증가하였다. 고체-잔류물을 XRD로 분석한 결과, 질산농도 가 증가할수록 황철석 피크들은 사라지고 반면에, 원소 황의 피크들이 증가하였다. This study used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with the aim of removing penalty elements such as As and Bi. Moreover, enhanced gold content from the gold concentrate sample. The leaching conditions were changed: leaching time, nitric acid concentrations and solid-liquid ratio; In order to improve the removal of penalty elemen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ample weight loss rate, As and Bi removal rate and gold content in the solid-residues have been increased when the nitric acid concentration and leaching time were increased while the solid-liquid ratio was decreased. The leaching conditions for the maximum As and Bi removal and gold content were: leaching with a 6.0 M nitric acid solution doing 5 min. At these, the solid-residue sample weight loss was 87 %. As removal rate was 98.23 % and Bi was completely removed (100 %). Furthermore, gold content increased from 81.36 g/t to 487.32 g/t. The XRD of the solid residue showed that pyrite disappeared as the nitric acid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hereas sulfur peaks was increased, too.

      • 음폐수 주입에 따른 침출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 농도 변화

        양민석 ( Minseok Yang ),배우빈 ( Wo Bin Bae ),전다운 ( Dawoon Jeon ),김영모 ( Young Mo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매립지 최종처분장의 침출수는 고농도의 무기염류와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발생되어 COD/BOD 비율이 높은 특징을 지닌다. 더욱이 암모니아, 아질산염 같은 질소원의 농도도 높아 유기물/질소원의 비율이 때론 낮게 형성되어 생물학적 질소처리를 하는데 있어 메탄올 같은 외부 탄소원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물/질소원 비율의 불균형, 고농도 질소원으로 인해 생물학적 침출수 처리장에서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고농도 아산화질소(N<sub>2</sub>O)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에서는 광주에 위치한 침출수 매립장에서 대체 탄소원으로 음폐수가 침출수와 함께 유입되어 생물학적으로 처리가 되었다가 다시 침출수만 처리되는 과정을 거쳤는데 이들 성상변화가 어떻게 생물학적 공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음폐수가 유입되기 전에는 침출수 내 아질산염과 질산염이 유기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난분해성으로 전혀 탄소공여체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여 무산소조에서 완전히 탈질 되지 않은 체 호기조로 유입되었다.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의 활성도는 1.8 mgO<sub>2</sub>/h/gMLVSS로 대부분은 질산염 형태로 질산화가 이루어졌으며 N<sub>2</sub>O 발생비율은 유입수 총질소의 0.002 %로 나타났다. 이후 음폐수가 침출수와 함께 유입되면서 먼저 아질산염 산화 미생물의 활성도가 50 %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질산화 반응도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N<sub>2</sub>O 발생비율은 유입수 총질소의 0.00003 %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음폐수 유입 전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탈질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무산소조에서 아질산염 및 질산염이 모두 탈질되었다. 한편 음폐수 유입량이 서서히 줄어들고 중단이 되자 유입 전처럼 무산소조에서는 탈질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호기조에서는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이 회복되면서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은 한 때 20 mgO<sub>2</sub>/h/gMLVSS까지 증가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N<sub>2</sub>O 발생비율은 유입수 총질소의 0.015 %까지 증가하였다.

      • KCI등재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폐질산구리용액을 이용한 구리 및 금속불순물의 침출

        전민지,이재천,정진기,Jun, Minji,Srivastava, Rajiv Ranjan,Lee, Jae-chun,Jeong, Jinki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3

        A fundamental study to recycle a Si-Sludge and waste copper nitrate solution acid solution generated by domestic electronic industries was carried out. The waste copper nitrate solution was used as the lixiviant to leach the metals like Cu, Ca, Fe, etc. from the sludge leaving Si in the residues. The effect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pup density on the metals leaching from the sludge was investigated. To enhance the extractability of Fe, the effect of HCl, $HNO_3$ and $H_2O_2$ introduced additionally during the leaching was also examined. Considering the leaching efficiency of Fe along with Cu, the leaching conditions comprising of 200 ~ 225 g/L pulp density and $90^{\circ}C$ temperature for 30 min were optimized. Under this condition, 98.27 ~ 99.17% Cu could be dissolved in the leach liquor with the obtained purity of Si in the residues as 98.69 ~ 98.86 %. The study revealed that the leaching of Cu contained in the Si-Sludge with the waste copper nitrate solution is a plausible approach by which the obtained leach liquor can further be treated suitably to recover Cu as the high pure value-added products. 국내 전자산업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와 폐질산구리용액을 동시에 순환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수행되었다. 폐질산구리 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주요성분인 구리, 칼슘, 철을 비롯한 금속성분을 회수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침출실험을 행하였다. 침출온도, 침출시간, 광액농도 등이 금속성분의 침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철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염산(HCl), 질산($HNO_3$), 과산화수소수($H_2O_2$)를 첨가하여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구리의 침출과 철의 제거 효과를 고려하여 최적 침출조건은 광액농도 200 ~ 225 g/L, 반응온도 $90^{\circ}C$, 반응시간 30분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때 슬러지의 주요 성분인 구리의 침출율은 98.27 ~ 99.17% 이었으며 실리콘 슬러지에서 실리콘의 순도는 98.69 ~ 98.86%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실리콘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던 구리성분을 폐질산구리용액으로 침출하고 뒤이은 분리정제 공정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고순도 금속구리 또는 구리화합물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E-11 : 모의매립조를 이용한 혐기성 처리된 음식물폐기물 폐수의 폐기물매립지 내 처리에 관한 연구

        김형욱,윤석표,WangFei,박흥석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유기성 폐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는 생활폐기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전국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평균 1만 3671톤에 이르러 생활폐기물 중 점유율이 27.8%에 달한다. 2006년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음식물 폐수의 해양배출 금지가 2013년부터 본격 시행됨에 따라 음식물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처리는 현재 전국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해양배출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육상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매립지를 하나의 “생물학적 반응조” 로 생각하는 “Bioreactor Landfill” 은 매립장 내에 침출수 재순환을 통해 추가적인 수분을 공급하고 생물학적 반응을 촉진시켜 조기안정화 및 침출수 수질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Bioreactor Landfill을 혐기성 처리된 음식물 폐기물 폐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혐기성 처리된 음식물폐기물 폐수를 실험실 규모의 모의매립조에 운전조건을 달리하여 주입하고 (Lys 1 = 재순환 안함, Lys 2 = 침출수 재순환, Lys 3 = 1 day 질산화 후 침출수 재순환), 조건에 따른 침출수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혐기성 폐액의 폐기물 매립지 내 주입 처리시 발생하는 침출수의 효과적인 처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발생한 침출수는 CODCr, TKN, Cl-, pH 등을 분석하였다. 인공강우(증류수)를 주입한 Lys 4와 혐기성 처리된 음식물 폐기물 폐수를 주입한 Lys 1의 침출수를 비교하면 84 day 운전 후 누적 CODCr 배출량에서 각각 0.24kg, 0.32kg을 나타내어 소화액 주입 시 34.6%의 증가율을 나타내었고 누적 TKN 배출량에서는 각각 0.0013kg, 0.024kg, 누적 염소이온 배출량에서는 각각 0.01 kg, 0.034 kg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소화액 자체가 높은 CODCr, TKN, 염소이온 농도를 지니고 있어 모의매립조 주입 시 침출수 내 농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모의매립조 운전조건을 달리한 Lys 1, 2, 3의 침출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59 day 운전 후 누적 CODCr 배출량에서는 Lys 1, 2, 3이 각각 0.344 kg, 0.189 kg, 0.129 kg로 침출수 재순환 없이 운전한 Lys 1보다 재순환을 실시한 Lys 2, 3이 45%, 63% 감소된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누적 TKN 배출량에서는 Lys 1이 0.032kg, Lys 2, 3이 각각 0.023 kg, 0.019 kg으로 침출수 재순환 없이 운전한 Lys 1보다 재순환을 실시한 Lys 2, 3이 27%, 40% 감소된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누적 염소이온 배출량에서는 Lys 1이 0.05kg을 나타내었고, Lys 2와 Lys 3은 각각 0.044 kg, 0.042 kg으로 13%, 16% 감소된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Lys 1, 2, 3, 4 침출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혐기성 처리된 음식물 폐기물 폐수를 폐기물 매립지에 주입하면 침출수 중의 CODCr, TKN, 염소이온 배출량이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하루 동안 침출수를 질산화시킨 후 재순환하는 것이 재순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보다 CODCr, TKN 배출량이 63%, 40% 감소하여 침출수 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

      • KCI우수등재

        BSE 이미지를 이용한 비가시성 금의 관찰 가능성과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에 의한 금 회수

        이종주,박천영 한국자원공학회 202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7 No.1

        본 연구는 BSE 이미지를 사용하여 미세한 광물에 포함된 보이지 않는 금을 관찰하고, 보이지 않는 금을 포함한 분말 광석 시료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 실험을 통해 금을 회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편광반사현미경에서 관찰하기 어려웠던 금 함유 극미립자 광물을 BSE 영상과 EDS 분석을 활용한 결과 금을 함유한 명암이 밝은 광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광석분말 시료를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실험 한 결과 매우 짧은 시간에 황비철석과 황철석이 완전분해되었다. 질산침출용액과 불용성 잔류물은 여과지로 간단하게 여과할 수 있었다. 질산침출용액에서Au는 전혀 용해되지 않았지만 Ag, Cu, 및 Zn은 완전하게 침출되었다. 첫 번째 여과지,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여과지자체를 각각 납-시금법에 적용한 결과 이들 모두에서 금이 효과적으로 회수되었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invisible gold, including that present in fine minerals, using back scattered electron (BSE) imagery, and to recover gold using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experiments of powdered ore samples, including of invisible gold. As it is difficult to observe gold-bearing, fine minerals using a polarized microscope due to its resolution, BSE images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 analyses were used in this study to easily identify brighter, fine minerals containing gold. As a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test was applied to the powdered ore samples, arsenopyrite and pyrite were completely decomposed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Both the nitric-acid leaching solution and insoluble residue were easily filtrated with three filter papers. In the nitric-acid leaching solution, Au was not dissolved at all, whereas Ag, Cu, and Zn were completely leached. When analyzing the insoluble residue, the first filter paper containing fine particles, as well as the second and third filtrated samples were used in the lead-fire assay respectively. All of the gold particles were effectively recovered from the samples during this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