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목표조절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와 진로모호성의 매개효과

        송영주,김봉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and career ambigui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and career goal disengagement and reengagement. Participants were 437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online surve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goal disengagement or career goal reengagement. However,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had a fully indirect effect on career goal disengagement and career goal reengagement via career goal discrepancy and career ambiguity. These findings reveal the underlying mechanism (career goal discrepancy and career ambiguity) by which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leads to career goal disengagement and reengagement. Th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자기조절이론에 기반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목표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과 진로목표이탈 및 진로목표재설정의 관계에서 인지, 정서 변인으로 진로목표불일치와 진로모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리서치를 통해 4년제 대학교 재학생 4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모형의 검증결과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은 진로목표이탈 및 진로목표재설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로목표불일치를 매개로 진로목표이탈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모호성을 매개로 진로목표재설정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목표불일치와 진로모호성을 이중매개로 진로목표재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목표이탈 및 진로목표재설정의 관계에서 인지, 정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부정적 피드백이 어떻게 진로목표조절을 이끌어내는지 자기조절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목표조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정서적 변인에 대한 상담적 개입 뿐 아니라 적절한 진로목표조절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적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진로목표불일치와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유기은,이기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3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through career goal discrep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areer anxiety. A total of 286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responded to the questinnaires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areer goal discrepancy, career anxiety and self-encouragement. Excluding missing data and outlier, 278 data (men=103, women=175)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A moderated mediation is an integrated model that combines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 therefore we tested the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on the relation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areer anxiety was verified. Second, self-encourag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career anxiety. Lastly, using SPSS Macro,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areer anxiety through career goal discrepa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was true at all levels of self-encouragement. This study further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ity students' negative affect related to career by examining the antecedents of career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practi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비교경향성과 진로불안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와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 286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 진로목표불일치, 자기격려, 진로불안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일부 문항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8명을 제외한 278명(남 103명, 여 175명)의 데이터를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절된 매개모형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인 모형이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차례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진로불안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진로목표불일치와 진로불안의 관계를 자기격려가 조절하였다. 자기격려의 특정 값에 따른 분석 결과, 자기격려를 더 많이 하는 집단에서 진로목표불일치를 높게 지각함에 따라 진로불안이 높아지는 수준이 약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비교경향성이 진로목표불일치를 매개하여 진로불안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자기격려의 모든 조건 값에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 장면에서의 개입에서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박기산,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4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Stres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and Self-Compa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stress. A sample of 409 undergraduates (male=152, female=257)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reer stress, career goal discrepancy, and self-compassi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nalyz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stress was verified. Additionally, self-compas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career stress. Last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stress through career goal discrepancy was confirm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진로목표불일치를 통해서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가 조절하는지를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9명(남자 152명, 여자 257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진로목표불일치, 진로스트레스, 자기자비를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5.0을 통해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7.4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의 부분 매개효과가 발생됨이 검증되었다. 둘째, 진로목표불일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를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진로목표불일치를 매개하여 진로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커지면 진로목표불일치를 통해 진로스트레스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자기자비를 높여주는 것이 진로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

        한동헌(Han dongheon),서영정(Seo youngjeong),조영아(Cho 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강점활용, 진로목표불일치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8년 11월 30일부터 2018년 12월 5일까지 웹기반 설문기관을 통해 전국의 4년제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진로적응성, 강점활용, 진로목표불일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진로적응성, 강점활용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진로목표불일치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의 순차적인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 대한 상담에서 강점활용과 진로목표불일치를 다루는 것이 진로적응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is purpose, 330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were surveyed on parental autonomy support, career adaptability,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through Web-based survey institutions from Nov. 30, 2018 to Dec. 5, 2018.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utonomy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adaptability, strengths use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goal discrepancy. Second,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played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in a sequential manner. This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support their children s autonomy to improve their career adaptations. It also suggests that addressing strengths use and career goal discrepancy can be helpful in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in counselli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career adaptation.

      • KCI등재

        다문화 청년들의 진로장벽과 삶의 만족의 관계: 진로목표불일치,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김민선,박희진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년들이 청년기 경험하는 진로장벽과 삶의 만족의 관련성과 진로장벽과 삶의 만족 관계 안에 존재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맥락적 장벽으로 볼 수 있는 진로장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로에서 진로목표불일치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정한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청년 28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과 진로목표불일치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진로장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를 통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상담실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 검증

        송영주,손재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reer goal-discrepancy, and career di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goal 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distress. A total 329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measures of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career goal discrepancy scale, and career distress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istr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distr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career goal discrepanc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goal discrepancy in career distre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진로목표불일치, 진로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진로목표불일치, 진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진로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목표불일치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에 있어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및 진로목표불일치를 확인하고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행동의 조절효과

        배미향(Bae mihyang),한동헌(Han dongheon),조영아(Cho you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academic burnout among undergraduates. To this end, a survey on career goal discrepancy, proactive behavior, academic burnout was carried out with 580 four-year nationwide through a web-based survey institu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goal 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The proactive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ngth use behavior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academic burnout,. Namely, while the higher career goal discrepancy, the higher academic burnout among college students, but the higher the level of strength use behavior, the slower the increase in academic burnout w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ir strength use behavior rather than requiring efforts to improve their deficit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academic burnout due to career goal discrepanc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목표불일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기반 설문조사기관을 통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4년제 대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진로목표불일치, 주도적 행동, 학업소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목표불일치는 학업소진에 정적으로, 주도적 행동은 학업소진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목표불일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 중 강점활용 행동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진로목표불일치가 높아질수록 학업소진이 높아지지만, 강점활용 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학업소진의 증가폭이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목표불일치로 인해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위하여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고, 그 강점을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 자기격려로 조절된 진로목표불일치의 매개효과

        임미영,성승연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진로목표불일치를 통해서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자기격려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44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진로목표불일치를 부분 매개하여 진로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격려는 진로목표불일치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진로목표불일치를 매개로 진로스트레스로 이어지는 간접효과를 상승시키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career stress through career goal discrepa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whether this relation is moderated by self-encouragement. To this end, data from 441 university students aged 18 and over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collected, and the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analyzed sequential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directly affects career stress by partially mediating through career goal discrepancy. Second, self-encouragement was identifi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enhances the influence of career goal discrepancy on career stress. Third, self-encouragement was seen to augment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eading to career stress through career goal discrepan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its findings.

      • KCI등재

        전문대 여학생의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의 관계: 진로통제소재의 조절효과

        임수연(Lim Sooyeon),문성미(Moon Seongmi),이수정(Lee S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 여학생의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진로통제소재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년 4월 3일부터 4월 22일까지 서울, 경기, 세종 소재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487명의 여학생들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내적통제소 재와 학업지속의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진로외적통제소재와 학업지속의향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직업목표불일치와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진로내적통제소재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내적통제소재는 직업목표불일치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대학 생의 진로 및 학업 상담 시 내담자의 직업목표불일치의 수준과 통제소재경향에 대한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learning persistence in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data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487(N=487)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Sejong city collected from April 3 to 22, 2019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goal discrepanc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rning persistence and career locus of control. Secondly, the result from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goal discrepancy and learning persistence. career internal locus of control had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moderating negative influence of career goal discrepancy on learning persistence.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regarding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clients who have a problem of learning persistence were discusse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사회적 주변화가 이주배경 청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에 의해 조절된 진로 목표 불일치의 매개효과

        장현진,류예진,왕희찬,연규진,김민선,폴김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career goal discrepan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as moderators of the mediation model. Data collection took place through the Gallup Korea Research Institute. Migrant background youths (N = 329) aged 25 to 34 responded to a survey that included measures assessing our study variab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1.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goal discrepancy was a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more career goal discrepancies are experienced by young people from migrant backgrounds, which lowers life satisfaction. Also,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cceptance of Korean and foreign parental culture, the more the mediation effect is weakened. Finall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ith immigrant youths in South Korea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지 탐색하고, 한국과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한국갤럽연구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전국의 만 25∼34세의 이주배경 청년 32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 목표 불일치가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외국인 부모 문화 수용 태도 각각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배경 청년들이 사회적 주변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 목표 불일치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되고, 이는 삶의 만족을 낮추게 되는데, 이때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매개효과가 완화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이주배경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