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변화 과정

        유우경,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f Savickas(2011) and to present a substantive theo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participa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 theory method. As a result, 169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axis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participating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esperation for solving career problems’. The caus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 phenomenon were ‘confusion of one's career’, ‘ambivalent feeling about career counseling’,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desig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terest in self-growth’ and ‘attitude of acquaintanc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acilitation and assistance for story construction’, ‘dynamics in storytelling’, and ‘support of counselo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adult clients use to solve the ‘desperation for career problem solving’ in the course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dubiousness’, ‘being at a loss’, ‘novelty’, ‘proudness’, ‘struggling to write’, ‘breaking through difficulties’, ‘establishing a new career execution plan’, ‘activating senses-making’, ‘increasing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Also, as a result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being expanded of self-understanding ’, ‘increased of self–esteem’, ‘clarity of career goal’ and ‘inclining to live life based on life portraits’ were derived.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in five stages: ‘ignition phase’, ‘shaping phase’, ‘specification phase’, ‘behavioraliz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The core category of how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going through was ‘regeneration as the protagonist of life through story co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proces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changing process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oncretely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concrete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escriptions in the field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1)의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구성 상담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69개 개념, 56개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진로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진로 문제 해결에 대한 절실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 혼란에 빠짐’, ‘진로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 ‘진로 설계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자기 성장에 대한 관심’, ‘지인들의 태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스토리 구성을 위한 촉진과 조력’, ‘스토리텔링의 역동성’, ‘상담자의 지지’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의아함’, ‘난감함’, ‘신기함’, ‘뿌듯함’, ‘글쓰기에 힘을 쏟음’, ‘어려움을 타개해 나감’, ‘새로운 진로 실행 계획을 수립함’, ‘감각 만들기가 활발해 짐’, ‘반성과 성찰이 늘어남’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자기 이해가 확장되어 감’, ‘자긍심이 높아짐’, ‘진로 목표가 명료해 짐’, ‘생애초상화에 따른 삶을 지향해 나감’이 도출되었다. 본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여 보면 ‘점화 단계’, ‘형상화 단계’, ‘구체화 단계’, ‘행동화 단계’, ‘확장 단계’의 5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스토리를 구성하며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구성 상담 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내담자들이 진로 구성 상담에서 경험하는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진로 구성 상담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개입과 처방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구성상담의 질적사례연구

        선미진(Mi Jin Sun), 유나현(Nahyun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이 진로구성인터뷰(CCI)를 활용한 진로구성상담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진로를 구성하며, 진로구성상담은 종단적으로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 3명을 대상으로 2회기의 진로구성상담을 실시하였다. 사전 미래진로자서전(FCA)을 작성 후 진행된 1회기에는 진로구성인터뷰(CCI)를 통한 탐색이 이루어지고, 2회기에는 연구자와 함께 생애 자화상을 구성하였다. 이후 약 6개월 후 추수상담을 실시하여 사후 FCA를 작성토록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진로구성상담의 효과를 분석하며, 참여자들의 진로구성 과정 및 효과를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은 8단계 생애 자화상 작업을 거치며 각자의 생의 주제를 발견하고 진로를 구성하는 과정을 함께 했다. 사전-사후 FCA를 통해 참여자들에게서 나타난 직업적 내러티브의 변화는 ‘방해받는 것에서 희망적인 것으로의 변화’, ‘일반적인 분야에서 구체적이고 탐색적인 것으로의 변화’, ‘무시하던 것에서 방향성이 있는 것으로의 변화’ 그리고 ‘모호한 것에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며 진로구성상담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도 지속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CCI를 활용한 진로구성상담에서 8단계의 생애 자화상 작업을 통해 진로구성 과정을 살펴보고 2회기의 진로구성상담의 종단적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구성상담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rough what process highly educated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construct their career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using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CCI), and whether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is longitudinally effective. Methods To do this, two session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conducted for three highly 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In the first session, which was conducted after writing the Pre-Future Career Autobiography(FCA), exploration was conducted through CCI, and in the second session, a life portrait was constructed with the researcher. After about six months, a follow-up session was provided for a post-FCA, and the effect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analyz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career construction process and effects of the counseling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Results Participants went through eight stages of life portrait work, discovering career theme of each life and career constructing together. The changes in occupational narratives in the participants represented ‘change from hindered to hopeful’, ‘change from general fields and desires to specification and exploration’, ‘change from disregard to direction’, and ‘change from vagueness to focus’, and continued six months after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eight stages of a life portrait work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using CCI and confirmed the longitudinal effectiveness of 2 session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re included.

      • KCI등재

        진로상담 수퍼비전 구성요소에 관한 고찰

        최윤정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정서 상담과 구별되는 진로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진로상담 수퍼비전에 대한 구성요소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문헌고찰을 함으로써 진로상담 수퍼비전 구성요소와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첫째, 진로상담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 진로상담의 본질적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진로상담 성과 연구와 국내외 진로상담 전문가 역량에 관한 문헌자료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특성들을 검토, 요약하였다. 끝으로,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특성들과 Bronson(2010)이 제시한 진로상담 수퍼비전의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진로상담 수퍼비전 구성요소들을 제안하였다. 구체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은 정신건강을 다루는 다른 형태의 상담과 유의미하게 다르면서도 개인 심리․정서 상담에 특별한 전문성이 추가된 상담의 형태로 합의되고 있다. 둘째, 과반 수 이상으로 언급된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특성은 진로발달 이론, 직업 정보 및 출처, 전문가 윤리, 상담기술(개인/집단/진로), 내담자 탐색을 위한 평가 기술, 내담자와 협력적 관계 형성과 유지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진로상담 수퍼비전의 구성요소는 (1) 수퍼비전 관계 (2) 상담기술 (3) 사례 개념화 (4) 평가 기술 (5) 직업 정보와 자료의 제공 (6) 개인적 문제와 진로문제의 적절한 조화 (7) 발달 단계별 진로 문제 다루기 (8) 구직활동 전략 (9) 진로상담 윤리의 9가지이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수퍼비전의 역할을 조명하고 향후 진로상담 수퍼비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article contains an overview of components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for training of career counselor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emotional-social counselors. Discussion also focuses on perspectives regarding career counseling to identify the meaning of career counseling and qualities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to articulate the components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Results indicate that career counseling is regarded 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forms of counseling and a specialized extension of personal counseling. It is described that the qualities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are as follow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work information and resources, career counselor ethics, major theories and models of counseling, job market information, counseling skills, assessment skills, mak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clients. Based on the qualities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and the component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that Bronson(2010) introduced, it is addressed that nine components of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are as following; (1) supervision relationship, (2) counseling skills, (3) case conceptualization, (4) assessment skills, (5) information and resources, (6) interconnection between career issues and personal issues, (7) career issues across developmental stages, (8) work search strategies, and (9) ethics for career counselor.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of career counselors and research with relation to the career counseling supervision are provided.

      • KCI등재

        진로 전환기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상담 사례연구

        이시현,이제경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8 No.2

        This is a single case study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utilizing Savickas' (2011, 2015)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C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ent's CCI according to the Life-Design Counseling Manual (Savickas, 2015) and to presen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individual's career story by co-constructing a life portrait, and to examine its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by identifying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this process on a middle-aged woman's career transition difficul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were able to confirm the positive meaning and effect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n middle-aged women with career transition uncertainty in the field of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e long-term effect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by confirming the changes and effects of the counseling even after 9 months after the end of the counseling. Third, even after three sessions of short-term career counseling, the applicability of short-term counseling was confirmed in that the client experienced deep reflection and reflexivity, solidified her identity through her own career story, and gained confidence and courage in making future career-related deci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Savickas(2011, 2015)의 진로구성 인터뷰(CCI: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를 활용하여 진로구성 상담을 실시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생애설계 상담 매뉴얼(Life-Design Counseling Manual; Savickas, 2015)』에 따라 내담자의 CCI를 평가한 후, 생애 초상화를 공동구성함으로써 한 개인의 진로 이야기(career story)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과정이 중년여성의 진로 전환기 어려움에 어떠한 의미와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확인하여, 진로 및 직업상담 현장에서의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및 직업상담 현장에서 진로 전환기 불확실성의 문제를 가진 중년 여성에게 진로구성 상담이 주는 긍정적인 의미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담 종료 후, 9개월이 지난 후에도 상담을 통한 변화와 효과를 확인하여, 진로구성 상담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3회기의 단기 진로상담에도 불구하고, 내담자가 깊은 반성과 성찰을 경험하고, 자신만의 진로 이야기를 통해 정체성을 확고히 하여, 미래의 진로 관련 의사결정에 대한 확신감과 용기를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단기 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한계 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진로교과목과 진로구성 이론을 중심으로

        강미영(Miyoung Kang),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human life and career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with reference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career course in the university. In the study,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was used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o effectively understand and explain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quality. The questions of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were applied to the entire study, includ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was deriv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such as life career theme, occupational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aning of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derived as ‘Enlightenment about the existence and possession of the yoke’ ‘Reach the world in language’, ‘Insights again with inward eyes,’ ‘Revelation of Futur Antérieur,’ and ‘The Re-start in Hub.’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presented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of life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urvived have formed their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s thr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alking again’. Second,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action activities in the career course and constructed a career ‘By oneself and Together.’ Third, the experience of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ans ‘By oneself, Self-Construction living together.’ This study hopes that this relational inquiry process will be a meaningful help for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is expected tha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and to transform the atmosphere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대학생인 개별 인간의 삶과 진로구성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내러티브 탐구로 수행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교과목을 수강했던 대학생 2명과 함께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참조하여 4단계로 수행되었으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해석적 틀로써 진로구성 이론이 활용되었다. 진로구성 인터뷰 질문들은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 등 연구 전반에 적용되었으며, 핵심개념인 생애진로주제, 직업적 성격,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의 의미는 ‘굴레의 존재와 소유에 관한 깨달음’, ‘언어로써 세상에 다다르다’, ‘다시 속눈으로 통찰’, ‘전미래의 현시’, ‘허브에서의 재출발’로 도출되었다.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에 전할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인 연구참여자들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들은 ‘주체적 해석과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해 그들의 진로구성 경험을 형성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진로교과목 수강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에 참여하며 ‘스스로, 더불어’ 진로를 구성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은 ‘스스로, 더불어 살아가는 자기 세움’의 의미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탐구과정이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의 삶에 의미 있는 도움이 되기를 소망하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진로교육의 실천을 바르게 하고,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의 공기를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진로구성 상담에서 내러티브 접근에 대한 탐색적 논의

        김이준(Yi-Jun Kim)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career counseling was not to select a specific job, but to pursue harmony between life and work, and to transform meaning making with consideration of various roles and contex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representative career theorie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hilosophy and explored the main concepts, contents, and processes of career counseling in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framework. To this end, I will focus on the cor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framework, the process of applying them to career counseling, and the techniques of counseling through narrative approaches. Based on this, shows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narrative approach of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areer counseling with constructivist worldview in the field of domestic career counseling, and presents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areer program, and discusses what to consider when using a narrative approach to career counseling. 진로가 하나의 ‘일’만이 아니라 삶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역할과 환경의 맥락을 고려한 의미 구축을 도모하는 것으로 변모하면서 개인의 진로구성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Busacca & Rehfuss,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철학에 기반한 대표적인 진로이론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중 진로구성이론(career construction theory)과 체계이론 틀(system theory framework)의 진로상담의 주요 개념과 내용 및 과정을 탐색하였다. 특히 내러티브를 활용한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대표 이론인 진로구성이론과 체계이론 틀의 핵심개념과 특징, 진로상담에의 적용과정 그리고 내러티브 접근을 위한 기법을 살펴봄으로써 구성주의 진로상담이 실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내러티브의 접근이 진로상담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빠른 사회변화와 다양한 내담자들의 확장된 진로 이슈들을 다루어야만 하는 국내 진로상담 분야에서도 구성주의 철학을 담은 진로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새로운 진로프로그램 개발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진로상담 영역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위한 구조화된 상담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유형 연구

        유우경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coming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dult career guidance by analyzing the career design type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it. The participants were seven adults who were working or looking for a job after college, and each of them participated in counseling to solve the problem of career transition. The counselor used six questions of career composition interviews to draw out the small stories of the clients, and they created an biographical grand career story called life portrait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de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co-construction of them. In this counseling, clients became clear about their career path and became convinced that they should pursue their lif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ir life stor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what types of career design in the clients can be classified in this counseling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and the client's change design type was derived as a part of revealing the substantive theory of the change process. As a result, the client types of ‘self-expansion design type’, ‘internal defense design type’ and ‘others consciousness design typ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types facing the career field were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benefit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the process wer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clude the specific measures for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client’s types, the need for preventive measure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use of storytelling intervention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career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진로 설계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 구성 상담과 성인 진로 지도에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이후 직장 생활하고 있거나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7명이다. 이들은 각자 진로 전환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담에 참여하였다. 상담자는 진로 구성 인터뷰의 6가지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들의 작은 스토리들을 이끌어내고, 내담자와 함께 이들을 구성-해체-재구성-공동구성하여 생애 초상화라는 전기적 거대 진로 스토리를 만들어 내었다. 본 상담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들은 자기 진로를 명료화하게 되었고 자기 스토리의 주인공으로서의 삶을 추구해야겠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연구 문제는 본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변화 과정을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로 삼았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변화 과정에 대한 실체적 이론을 밝히는 일환으로 내담자 변화 유형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확장 설계형’, ‘내적 방어 설계형’, 그리고 ‘타인 의식 설계형’ 3가지의 내담자 유형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현장에서 마주하는 내담자 유형들의 특성을 진로 적응가능성(adaptability) 관점에서 다양하게 논의하였고, 또한 진로 설계 서비스의 유익함과 그 과정에서 반성(reflection)과 성찰(reflexivity)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시사점으로는 내담자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을 위한 구체적 방안, 진로설계 서비스의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성 제기, 그리고 진로 실무에서 반성과 성찰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개입을 제시하였다.

      • 비자발적 진로전환자를 위한 진로상담 방법의 탐색

        조성희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2021 기독교문화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생애발달에 있어 진로전환에 직면한 성인들의 전환 특성을 이 해하고, 진로상담을 위한 개입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이론을 탐색하고자 하 였다. 무엇보다 비자발적으로 진로를 전환해야 하는 성인은 진로장벽에서 심리적 및 정서적 상실감으로 가중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진로전환에서 외상 위기를 맞이한다. 전환을 받아들이게 되는 변경 사건에서 겪게 되는 위기에 대한 이해와 전환 및 대처 자원 평가에서 성인에 초점을 맞춰 개발된 Schlossberg 전환 모델을 소개한다. 직업 전환의 원인, 경향 및 과제에 Nicholson의 모델 그리고 삶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혼란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전환 과정의 성격을 다루지 않는 순차적 선형 체계를 제시하는 Bridges 모델과 혼란의 예측 불가능한 전환 특성을 다루는 Bussolari와 Goodell 모델, 전환이 건설적이고 변형적인 주기라는 개념이 기반인 Kennedy의 통합 전환 모델을 살펴본다. 전통적인 사회적 맥락이 깨어지고 빠른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현실에서 비자발적으로 진로전환을 맞이하게 된 성인들에게 적용되어 야 하는 진로전환상담은 생애전반을 돌보며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 탐색된 진로전환 상담이론을 바탕으로 기독교 상담 차원의 돌봄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진로상담에서 앞으로 준비되어야 하는 과제들 을 제시하였다. 첫째, 진로상담자는 비자발적 전환자의 문제를 탐구하고, 위 기 속에서 위기대처방식을 탑재시켜 직업 세계를 내다보는 관점의 변경요청 을 통해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촉진하도록 돕는다. 둘 째, 내담자와의 작업 동맹을 통해 내담자가 비자발적 전환에 대처할 때, 상 담자는 내담자가 지닌 역량과 적응의 자원을 발견하고 내담자의 삶과 경력 에서 수행하는 많은 역할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동역자가 된다. 셋째, 진로상담자는 진로 상담 현장에서 인생에 기반을 둔 내담자의 개인적인 이야기에 초점을 두어, 각 시기에 대한 의미부여 작업, 개인 내러 티브를 통한 내담자의 통합적인 그림으로의 구성 역량을 갖춘다. The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adults facing career changes in life development and explore theories that could be applied to intervention for career counseling. Above all, adults who have to change their careers involuntaryly face a trauma crisis in career transition due to stress added b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loss in their career barriers. The study will introduce the Schlossberg transition model developed focusing on adults in the understanding, transition and response resource assessment of the crisis involuntary career transition face in the change that accepts the transition. The study look at the model of Nicholson on the causes, trends and challenges of job transition, the model of Bridges, which focuses on life transformation and presents a sequential linear system that does not deal with the nature of confusing and unpredictable transition processes, the model of Bussolari and Goodell, which deals with the unpredictable transition nature of chaos, and the integrated transition model of Kennedy,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constructive and transformative cycles. With the traditional social context being broken and facing rapid change, career transition counseling that should be applied to adults who face involuntary career changes should be taken care of throughout their lives. Based on the theory of career conversion counseling explored in this study, the study presented tasks to be prepared in the future in career counseling in which care at the level of Christian counseling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First, career counselors explore the problems of involuntary career transition and equip them with measures to deal with a crisis in a confusion to help promote movement in a positive and hopeful direction through requests for a chang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career world. Second, when counselors talk about involuntary transitions through counseling relationships with involuntary transitions, they become fellow friends who can discover the abilities and adaptability of involuntary transducers' careers and develop the ability to cope with many of their roles in life and occupation. Third, career counselors should be able to focus on the personal story of involuntary career transition based on life in the career counseling field and to organize it into a reconstruction of involuntary career transition and an integrated picture of life as a whole.

      • KCI등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진로 전환기 직장인의 생애 설계 상담(life design counseling)의 적용 연구

        김신희(Kim Shin-Hee),양은주(Yang Eun-Joo)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진로 전환에 놓인 성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구성주의 진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진로 상담을 실시하였다. 구성주의 진로 상담은 변화하는 21세기 직업환경에 진로 적응성을 키우기 위해 내러티브를 활용한 상담으로, Savicakas(2011)의 생애 설계 상담(life design counseling)이 대표적이다. 생애 설계 상담은 5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가 핵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6명의 성인 근로자들이며 이들은 자발적으로 상담을 신청하였다. 상담은 총 2회기로 진행되었는데, 1회기에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의 상담을 받았고 2회기에는 1회기 상담을 해석한 것을 바탕으로 인생초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상담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내러티브 평가 도구인 미래 진로 자서전(FCA)을 상담 사전 사후에 작성하였다. 상담 결과, 여섯 명 중 한 명만이 아무런 변화를 보이지 않은 ‘정체’에 해당되었고, 나머지 다섯 명의 참여자는 일반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인 내용으로의 내러티브 변화를 보였다. 끝으로 진로 전환에 직면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를 사용한 새로운 진로상담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constructive career counseling to adults who find themselves in a career-transition period. The life design counseling of Savickas (2011) is utilized ‘Career Story Interviews(CSIs)’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ix adult workers who voluntarily applied for counseling. The counseling was conducted in two sessions. During the first session, they received counseling based on career story interviews. During the second session, they reconstruct life portraits based on the first session counseling.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rote a future career autobiography (FCA), which is a type of narrativ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CSIs. The study found that one of the six could be classified as in period of ‘stagnation’, while the remaining five showed narrative changes from general content to specific content. Finally, a new career counseling strategy using career story interviews(CSIs) for adults facing career transitions is discussed.

      • KCI등재후보

        미술매체를 이용한 대학생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Kim, So Ye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삶의 의미 수준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진로상담은 집단참여자의 삶의 의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진로상담 과정에서 집단참여자들은 ‘진로 문제 인식하기’, ‘일과 자기 연결하기’, ‘다시 시작하기’ 등의 주제를 체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험을 통하여 향상된 삶의 의미는 집단참여자의 자기-변형을 촉진하고, 일의 의미에 대한 차이를 만들어내었다. 이로써 대학생들의 진로 탐색은 더욱 구체화되었고, 진로 선택 및 행동에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는 진로 상담 과정에서 개인의 경험과 소망에 대한 스토리를 표현하고 형상화시킴으로써 재구성하고, 일을 통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 change on the level of "the meaning of life" after practicing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artmedia therapy. The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 First, according to the Dependent t-test,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causes the group participants to have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e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have experienced "cognizing his/her career problems", "connecting working to Self" and "restarting". Through this experiences, "the raised meaning of life" promoted self-metamorphosis and made a difference on the participants" attitude and meaning about working. Therefore, their career exploration was specified and the transition of their career choices and behaviors was generated to happen possibly. It shows that the re-formation by expressing and shaping of life story about individual"s experiences and hopes is essential for career counseling program.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삶의 의미 수준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진로상담은 집단참여자의 삶의 의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매체를 이용한 집단 진로상담 과정에서 집단참여자들은 ‘진로 문제 인식하기’, ‘일과 자기 연결하기’, ‘다시 시작하기’ 등의 주제를 체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체험을 통하여 향상된 삶의 의미는 집단참여자의 자기-변형을 촉진하고, 일의 의미에 대한 차이를 만들어내었다. 이로써 대학생들의 진로 탐색은 더욱 구체화되었고, 진로 선택 및 행동에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는 진로 상담 과정에서 개인의 경험과 소망에 대한 스토리를 표현하고 형상화시킴으로써 재구성하고, 일을 통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 change on the level of "the meaning of life" after practicing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artmedia therapy. The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 First, according to the Dependent t-test,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causes the group participants to have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e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have experienced "cognizing his/her career problems", "connecting working to Self" and "restarting". Through this experiences, "the raised meaning of life" promoted self-metamorphosis and made a difference on the participants" attitude and meaning about working. Therefore, their career exploration was specified and the transition of their career choices and behaviors was generated to happen possibly. It shows that the re-formation by expressing and shaping of life story about individual"s experiences and hopes is essential for career counsel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