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정체성 척도개발과 직업정체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들 간 관계 검증

        유홍준,유태용,정태인,배성호,조아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직장에서 평생직업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는 시대를 맞이하여 첫째, 직업정체성의 구성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문항을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하고, 둘째, 직업정체성 구성개념의 요인구조가 다른 표본에서도 재현되는지를 알아본 후에 직장만족과의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고, 셋째, 대규모 표본을 수집하여 직업정체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으로 구성된 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연구 1, 연구 2, 연구 3으로 세 번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업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는 390명, 연구 2에서는 505명, 연구 3에서는 1,11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정체성은 3요인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의 연구에 걸쳐 안정적인 요인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 개인-직업 부합 요인이 직장만족의 하위요인인 전반적 직업만족과 높은 관련이 있었지만, 직업정체성의 다른 하위요인들은 직장만족의 다른 하위 요인과 상관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직업정체성과 직장만족은 서로 변별되는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정체성은 직업평판, 직업에 대한 헌신, 자부심, 사명감에 의해 형성되고, 직업정체성은 개인의 삶의 목적과 직업에 대한 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이순자(Lee, Soon-Ja),김진화(Kim, Jin-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6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및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 두 요인간의 관계 및 직업정체성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J도 내에 소재한 국공립, 법인, 민간 등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82명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은 평균 이상(평균 3.33)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감정이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자격, 교직경력, 근무기관 유형에서 직업정체성에 대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수업전문성 정도는 평균 3.85로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자격과 근무기관 유형에서 수업전문성에 대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 ‘개인-직업부합’이 수업전문성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변인으로는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 ‘개인-직업부합’과 ‘일체감’, ‘감정이입’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정체성은 수업전문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보육교사의 수업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교사 양성과정 단계 및 현직교육에서 교사의 직업정체성을 확고히 다져 나가는 다양한 노력과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ir own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nd their influ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2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in national/public, corporate and private daycare centers in a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are teachers scored above the average (mean 3.33) in occupational identity, and they scored the highest in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ccupational identity according to age, qualifications, teaching career and the type of workplace among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y got a mean of 3.85 in professionalism in teaching, which was slightly above the average, and among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existed in that regard according to qualifications and the type of workpla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mong the subfactors of occupational identity, “person-vocation fit” was 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ism in teaching. Fourth, the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that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child care teachers affects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were “person-vocation fit”, “a sense of unity” and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of occupational identity. Therefore, the occupational ident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o in order to strengthe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various efforts and supports to solidify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teachers at the stag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nd in-service education need to be made.

      •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업정체성이 직업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지훈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 직업정체성, 직업변경의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직업정체성 및 직업변 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학원강사의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직업정체성을 높임으로써 직업변경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강사(입시·보습학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391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 및 직업정체성은 보통 수준으로, 직업변경의도는 보통 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에서 복리후생 및 안정감은 입시학원이 보습학원보다 높았고, 인간관계는 비율제 강사가 월급제 강사보다 높았으며, 직업변경의도는 교육청에 등록한 월급제 강사가 교육청에 등록하지 않은 비율제 강사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의 직업정체성은 학원의 복리후생, 안정감, 직업평판, 인간관계가 좋을수록 증가하며, 사회보험에 가입 안되어있는 강사가 가입되어 있는 강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변경의도는 학원의 안정감이 높고, 시설·설비, 자 부심, 헌신의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강사의 직무환경이 직업변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에서 직업정체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원경영자는 학원강사의 직무환경을 개선함으로 써 학원강사의 직업정체성을 높일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강사의 직무환경, 직업정체성, 직업변경의도 간의 관계 와 영향력을 고려해서 인사관리를 하여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diverse factors affecting the job identity and job-changing intentionality of instructors working in Korean private tutoring academies based on a survey of the three major categories; working environment, job identity, and job-changing intention of the instructors. For the research, a total of 391 questionnair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with regard to working environment category, working environment and job identity were perceived as moderate level, wherease job-chaning intentionality was perceived below ordinary level. Also, prep academies were perceived better than general supplementary tutoring academies in terms of welfare system and job stability. In interpersonal relation demension, instructors choosing performance-based wages were found to show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the fixed-wage instructors. In the case of the intentionality of job changing, instructors registered in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s fixed-wage workers showed a higher-level intentionality than those who were not registered as a fixed-wage instructors. Second, As for the the category of job identity, instructors’ job identity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place welfare system, job repu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no membership of social insurance. In addition, job-changing intentionality showed inverse correlations with workplace stability, facilities, job pride, and low-level dedication. Third, job identity was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structor’s working environment and the job-changing intentionalit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anagement sectors of private academies improve the instructors’ working environment, explore the ways to boost the job identity, and factor these elements into managing human resources.

      • KCI등재

        한국인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위세

        유홍준 ( Yoo Hong Joon ),정태인 ( Chung Tae-in ),김월화 ( Kim Worlhwa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7 한국사회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의 현황이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를 표집틀로 방문조사와 e-mail 조사 등 복합조사를 수행한 직장인 대상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사례 수는 1,115명이다. 직업정체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대체로 높은 지위의 직업군은 직업에 대해 감정이입을 하고 본인과 직업을 동일시하며 본인에게 잘 맞는다고 생각함으로써 비종사자에 비해 직업정체성이 높은 반면에, 중간 지위의 직업군은 직업정체성이 비종사자가 인식하는 것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낮은 지위의 직업군은 본인의 직업에 대해 비종사자보다 감정이입의 정도가 낮고 직업과 동일시하지 않으며 잘 맞는다고도 생각하지 않음으로써 직업정체성이 낮은 현상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종합한 결과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직업의 가치에 대해서 비경제적 측면을 중요시할수록 업무만족이 높으며 본인의 소속 직업군에 대한 위세 인식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정체성이 높았다. 직업군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직업가치에서 업무만족 같은 비경제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among Korean workers and try to find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is. The data for 1,115 workers which are sampled by surveys a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group of workers with high occupational prestige show high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than outsiders(those who are not in those occupations) as they are more identified with own jobs and think of it fitting to themselves. Those workers with middle level of occupational prestige show almost same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with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orkers with low occupational prestige show low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than outside workers as they are less identified with own jobs and think of their job not fitting to themselves. The conclusion of analysis for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influence on occupational identity are as follows.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higher emphasis on noneconomic aspect of occupational values, the higher is their work satisfaction. If the workers feel higher occupational prestige for their own occupations,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re high. Higher occupational status is found to be related with noneconomic aspects of occupational values such as work satisfaction.

      • KCI등재

        고경력 비서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강예린,최애경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ecretaries’ perception of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nd how the occupational identity has formed as well as the meaning of occupation in their live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ecretaries with more 10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selected to b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 of occupational identity has five constructs and 16 lower rank construc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started their secretarial job without prior training or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they had built occupational identity through a sense of responsibility, recognition, trust of their boss, and a desire to grow. Second, alth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run-out of their occupational identity, they had overcome thi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ocial support from their peers, boss, and family members. Third, the participants regarded their secretarial job as a calling, gift and source of self-esteem.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secretaries. 이 연구의 목적은 고경력 비서직 종사자들이 어떠한 과정과 경험을 통해 직업정체성을 형성해 왔는지를 고찰하고 그들에게 비서라는 직업이 주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고경력 비서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비서들의 직업정체성 은 5개의 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첫째, 신입비서로서 자리잡기 둘째, 직업정체성 형성하기 셋째, 직업정체성의 흔들림 넷째, 직업정체성 굳히기 다섯째, 삶에서 직업이 주는 의미찾 기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비서들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서직에 진입하였으나 열정을 가지고 직무를 습득하였으며 직업에 대한 사명감, 상사의 신뢰감, 조직에서의 인정, 성장욕구, 직업공동체를 통하여 직업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으로 밝혀졌 다. 둘째, 여러 원인으로 정체성이 흔들리는 경험을 가졌으나 자발적 자기개발과 사회적 지지 등을 통하여 정체성을 다시 다져나간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비서 라는 직업은 인생에서 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며 선물과도 같은 직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로는 처음으로 비서직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밝힌 것 에 있으며 향후 비서직 진입 및 비서들의 경력개발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비서 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캐디라는 직업의 의미

        장영주,김민주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8

        This study analyzed the job identity out of various job characteristics, which would be found commonly in the caddie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ppropriate for the initial research to extract the unique factors. The golf caddie is a job having unstable legal status, neither workers nor business operators. Even though they work for organizations, caddies are self-employed who cannot be protected legally as laborers. In addition, they were not only emotional workers but also physical worker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job identity that they perceived themselves, was quite simpler than expected like daily workers, which were a bit distant from what they did.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partially ambiguity of their job. With the job characteristics discussed above, their job identity was formed in the overlapped boundary of ambiguity, which w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fusion of job identify. This ambiguous identity which the caddies made in the border lines of various job groups, was called ‘multiple borderline identity’ by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forming job identity, they tended to perceive in the simplest way, because the recognition objects were ambiguous and vague. It was found that they over-abbreviated their job just for making money, based on the compensation satisfaction that could be a instrument to raise their self-enhancement. The caddie’s confusion of the job identity is linked to the culture in which they do not form the normal task groups and support groups. 본 연구는 과업과 고용 및 보상구조에서 특이한 지위를 지닌 캐디 집단의 직업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초기 연구에 적합하면서 고유요인의 추출에 유리한 질적 연구방법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질적 데이터의 분석 결과 캐디들은 자신의 직업을 일용직으로 축약하여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일용직이라는 인식은 이들의 직업 특징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을 이들의 직업이 갖는 중첩된 모호함에서 찾을 수 있었다. 직업정체성은 흔히 직업의 특징에서 구체화되는데,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경계에 있는 직업특성 때문에 이들의 직업정체성도 애매모호함이 중첩된 경계선 상에서 형성 되며, 정체성 혼미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디라는 집단에서 발견되는 모호한 정체성, 애매함이 거듭 중첩된 직업 이미지를 다중 경계정체성으로 명명하였다. 다중 경계정체성으로 인하여 캐디들은 자기고양감 제고의 도구가 될 수 있는 보상만족을 근거로 자신들의 직업을 돈 버는 직업으로 과잉 단순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직업정체성 혼미는 정상적인 과업집단이나 우호집단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화와 행태로 연결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성인 학습자의 학습 경험과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 성인 학습자의 직업 유무를 중심으로

        전병주,김현수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1

        Reflecting the reality in which the adult learners who acquired a license of social worker from lifelong education centers were increasing,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occupational identity as a preservice social worker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targeting the relevant group. For this, this study applied the mixed research methods by dividing the research into Time 1 and Time 2, targeting total 181 adult learners acquiring a license of social worker from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Chungnam·Chungbuk reg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was not favorable. Second, the level and the degree of change of occupational identity were large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matter of having an occupation. Third, total two themes were drawn by explor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through in-depth interview. It included the learning attitud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ocial perception and reinforcement of competenci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and performance of learning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by initially attempting the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form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as a preservice social worker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targeting the adult learner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guaranteeing the right of lifelong learning and also spreading the lifelong education by complementing the insufficient parts of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성인 학습자가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경험에 따라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직업정체성 형성과 그 변화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남·북 지역의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성인 학습자 181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직업 유무에따라 집단을 나누어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정체성 형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는 사회복지사의 자격증 취득기간을 고려하여 학습 초기의 Time 1과 학습이 진행되어 시간이 경과한 Time 2로 나누어실시하였다. 그리고 1차로 진행된 양적 연구결과에서 설명하기 어려웠던 부분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집단에서 학습 초기뿐만 아니라 학습이 진행되어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직업정체성 수준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 유무에 따라 직업정체성의 수준 및 변화 정도가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이 있는 성인 학습자의 직업정체성은 학습 진행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이 없는 성인 학습자의 직업정체성은 학습 진행 후오히려 유의미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직업정체성 형성에 대한 맥락적인 정보를 탐색하여 학습태도 및 교육환경, 사회적 인식 및 역량 강화 등의 2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경험에 따라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대해 처음으로 종단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평생교육원 학습 과정의 실태와 학습 성과를 파악하였고, 나아가 평생교육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평생 학습권을 보장하고 평생교육을 확산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안성은,육권인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1 사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원구성원의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교육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95명)와 심층면 담(12명)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에서는 생리적 욕구가, 직무환경에서는 학생환경이, 직무만족에서는 직무자체 만족이, 직업정체성에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원구성원의 개인배경 에 따라 욕구수준,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원구성원의 직 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원장환경, 동료환경, 시설환경, 업무환경이고,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리적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직무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원 차원에서는 학원구성원의 욕구수준을 고려한 인사관리와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학원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직업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원구성원 차원에서는 전문성 향상 및 사명감 제고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hierarchy of needs and job environment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it is intended to help strengthe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by enhanc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395 people) and in-depth interviews (12 people)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y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is high in physiological needs, job environment is high in student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is high in job itself, and professional identity is high in autonomy.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s,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positi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work experience of the private tutoring professions.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were the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director environment, colleague environment, facility environ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identity were physiological needs, social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at private tutoring 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needs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and improvement of the job environment. At the level of private tutoring profession, efforts to increase professional identity are needed by improving expertise and enhancing a sense of mission.

      •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직업정체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미선,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직업정체성,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과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관계를 분석한 이후,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만 족과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원의 교육서비스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강사의 인사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 원에서 초·중·고등학생을 지도하는 학원강사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과 AMOS 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0.05에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 조직몰입은 보통 수준이고, 개인배경에 따라 일부 변인 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은 직무만족, 직업정체성, 조직몰입에 정(+)의 영 향을 미치고,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등 주요변인의 구조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직업정체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원강사의 조직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과 같은 외재적 요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 고, 직무만족, 직업정체성과 같은 내면적 요인을 고려한 인사관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job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job identity,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background perceived by academy instructors,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job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where perception of the job environmen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onal services of academies and to help set the direction of personnel management for academy instructor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425 academy instructors who t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the academ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 and AMOS 21 and verifi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job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academy instructors are at a normal level,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some variables depending on the personal background. Second, the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academy instructors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job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identity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job satisfaction and job identity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academy instructors.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cademy instructors, external factors such as work environment need to be improved, and personnel management is necessary that considers internal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job identity.

      • 가정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창의적 리더십, 일 중독, 직업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정희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창의적 리더십, 일 중독, 직업정체성에 관해 교사 개인변인별 차이와 창의적 리더십과 일 중독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전라도 지역의 가정어린이집 교사 3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분석에 활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ANOVA, Scheffé의 사후검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창의적 리더십, 일 중독, 직업정체성은 학력, 경력, 월 급여, 이직 의도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대체적으로 교사의 학력과 경력, 월 급여가 많은 집단과 이직 의도가 없는 집단이 창의적 리더십, 일 중독, 직업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문제해결 리더십, 개인적 리더십, 사회적 리더십 순으로 예측되었는데,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반면 일 중독은 유의한 영향력이 없음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 일 중독, 직업정체성이 어떤 차이를 갖는지를 검토하고 직업정체성을 긍정적으로 높여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창의적 리더십, 일 중독과 관련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