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 모형에 기반한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 실태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배광민,박윤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1

        While the quality of training at job training institutes is critical,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analyzing the state of the implementation of job training at these institu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training at the training institutes by investigating its current state and problems based on the CIPP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evaluation model. In this study, several research approaches were employed. First,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training managers at the job training institut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job training institutes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items in the areas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training managers at the institut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ir thoughts and needs concerning training program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provided. First, various train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in job training programs. Next, furthe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i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health and safety managers. Additionally, more funds should be devoted to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institutes.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종사자들은 정기적으로 법으로 규정한 직무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직무교육은 고용노동부로부터 승인받은 위탁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의 질은 현장의 안전보건 관리와 직결되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 실태를 CIPP 모형에 기초하여 조사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직무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1개 직무교육기관의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5개 기관을 선정하여 교육담당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는 정책적 요구에 따른 교육실시, 교육개선과 관련된 항목은 대다수 교육기관이 긍정적인 답변을 제시한 반면 산업체 및 교육생의 요구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도출되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강사의 교육수행정도, 지원환경 및 서비스, 교육내용의 수준, 교육내용의 최신성 등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교육목표의 구체성, 산업체 유형에 따른 교육내용과 실습제공, 교육이수자들의 교육기관과 근무지간의 접근거리에서 일부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과정요인에서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성과 필요성 및 교육진행 모니터링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난 반면 교육평가에서는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산출요인에서는 이해당사자 만족도 가운데 강사 만족도 및 산업체 만족도에 비하여 교육생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교육 운영의 개선을 위해 업종별로 세분화된 직무교육과정 개발이 진행되어야 하고, 지방 교육이수 대상자들의 직무교육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현실적인 교육수수료 단가의 책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취업준비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병주(ByoungjooKim),서화정(Seo, Hwa-J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3GOMS1)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할수록 취업 이후의 직무만족도 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일치의 매개효과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에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교육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도 하지만 직무일치라는 매개변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주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취 업지원프로그램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지원프 로그램 제공이 학생들의 졸업이후 취업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졸업 후 직무일치와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학시절의 대학 교육만족도가 중요함을 확인시켜주었다.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o accomplish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dopted for this study. 2013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s. This mean that job satisfaction after being employed is raised a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curriculum provided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was high. Secondly,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ffect negatively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his mean that employment support program not for consider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 of students but for raising just participation rate don't contribute to raise job satisfaction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Thirdly, mediating effect of jab match is valid in rela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job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mediated by job match.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job match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should be raised while they are in universities. Raisi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is to rais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So in order to raise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effort to raise and manag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의 직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배은정 ( Eun Jeong Bae ),김자경 ( Ja K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2

        장애학생의 보조 및 지원을 위해 최근 특수교육현장에서는 특수교육보조원 배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보조원의 근무 여건을 직무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직무 만족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지역의 국·공립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원 134명을 대상으로 성별, 결혼 여부, 근무하는 학교 형태, 학교급, 경력, 담당학생 수에 따라 분류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 중 스트레스 증상 영역에서 기혼보다 미혼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직무자체 및 스트레스 증상 영역에서는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사회적지지 수준은 결혼 여부에서는 기혼, 학교 형태에서는 일반학교, 학교급에서는 초등, 담당하는 학생수에서는 4명 이하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직무만족도는 학교 형태에서는 일반학교, 학생 수는 4명이하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여부, 학교급,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않았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사회적 지지와 직무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간에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보조원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P Cit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70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134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with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marriage status, types of schools, school levels, years of teaching,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regarding of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n the level of job stress except marriage status in the sub-area of stress symptoms and types of schools in the sub-areas of stress symptoms and job itself. Secon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of individual variables on the levels of social support in every sub-area and total scores. Thir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of school types and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Fourth,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산업안전보건 분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직무교육 이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윤희,윤관식,배광민,조흠학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methods,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program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55 participants of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completed the programs between March and June in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train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in job training programs including experience, workshop, and discussion on issues. In addition, furthe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Moreover, the training programs for health manager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improved for training effectiveness.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의 성패가 좌우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고 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이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의 내용과 방법 및 효과에 등을 조사하여 직무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 및 교육방법의 효과 등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직무교육 시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직무교육을 실시한 총 14개 직무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이수자 리스트를 확보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를 각각 75명씩 무선 표집하고 상대적으로 교육이수자가 적은 재해예방전문기관 종사자는 30명을 표집하여 총 255명을 표집하였다. 표집 과정에서 신규교육 및 보수교육 이수자가 각각 50%씩 분포되도록 하였다. 직무교육 이수자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교육방법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교육 내용 측면에서 전문성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집체교육에서 체험・실습, 실제 사례 간접 체험, 이슈 토론 등을 포함하여 직무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규교육과 보수교육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성 향상 차원에서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가 필요하고, 이를 보수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와 관련하여 업종별 특화 교육의 개설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보건관리자의 직무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보건관리자에 대한 교육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에도 직무교육 기회의 접근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들은 직무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직무교육의 현장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직무교육의 유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진로진학 컨설턴트의 개인배경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요인 분석

        김대열,박명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3

        This study focused on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 who is engaged in the field of private tutoring consultation as the social interest and market volume of the private tutoring consultation field on the career and admission have expanded rec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nd the personal background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For this, the solutions were sought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in private tutoring consultation, enhanc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private tutoring consultation, and reduce the cost of private tutoring consult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07 people who were qualified as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s and engaged in the field of private tutoring consult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 was shown as above the moderate level, in the order of job involvement(3.96), job satisfaction(3.81), and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3.61). Second,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 the degree of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involvement were revealed to be different. Third, the personal background and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of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s were found to partly have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ant, the private tutoring consulting institu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respectively mak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efforts. 본 연구는 최근 진로진학 컨설팅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시장 규모 확대에 따라 컨설팅사교육 영역에서 종사하는 진로진학 컨설턴트에 주목하였다. 이에 진로진학 컨설턴트의 전문성 인식, 직무만족, 직무몰입의 정도와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컨설팅사교육의 교육서비스 질과 효율성, 효과성 제고와 컨설팅사교육 비용 절감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진학 컨설턴트 자격을 취득하고 컨설팅사교육 분야에서 종사하는 5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 컨설턴트의 직무몰입(3.96), 직무만족(3.81), 전문성 인식(3.61)은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진학 컨설턴트 개인 배경에 따라 전문성 인식, 직무만족, 직무몰입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진학 컨설턴트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일부 개인배경과 전문성 인식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로진학 컨설턴트, 컨설팅사교육 기관, 정부가 각각 개인적, 조직적, 제도적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김인엽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some problems in the current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nd to reflect the improvements in the financial reference and textbook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current curriculum by introducing NCS. This study reviews vocational competence in NCS and then compares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also researches whether the factors for NCS ar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education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textbook and reference book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department of insur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Third. the developing work of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reorganized on new curriculum. Fourth. the revision of the contents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nnounced publicly by the Education Ministry. In conclusion. the factors of NCS in financial field are not reflected in the financial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prompt public announcement should be made on the revision of the financial curriculum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n the new financial textbook and insuranc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금융 교육과정을 검토함으로써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현장 직무 능력 적합성을 제고하도록 교육과정을 개정 및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분류 체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금융 분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새 교육과정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반영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한 금융분야의 직무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융관련 교과목을 편제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상 기준학과에 보험관련 학과를 제시하고 ‘보험일반’과 ‘보험실무’ 등 관련 교과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의 개발은 반드시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고 교육현장의 요구사항이나 학교 여건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과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통합공시 및 연계공시를 통해 산업체요구와 교육현장의 통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상업정보계열의 금융 교육과정의 경우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직무능력이 반영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교육과정의 수정 공시가 필요하며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한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학생의 직무발명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요소 추출 연구

        이병욱,이상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educational category and the sub-elements so as to improve employee's invention capability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o achieve i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13 big areas, 45 middle areas and 132 educational elements for employee's invention capability and 8 big areas, 21 middle areas and 49 educational elements for occupational basic capability were drawn. Drawn educational element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wo times of expert examination. Research results dra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0 categories were drawn as educational categories for cultivating employee's invention capability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Those categories were 'understanding of invention',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creative job', 'awareness of job related problem', 'solution of job related problem and invention activity', inventional convergence knowledge', 'invention and foundation', 'understanding of job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job related patent information', 'application of job related patent', 'basic ability of job invention related occupation'. Secon d , th ere are 104 d etailed ed u cation elem en ts fo r cu ltiv atin g em p loy ee's invention capability and each element includes 36 middle categories. 'Understanding of invention' includes 2 middle-categories and 6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creative job' includes 2 middle-categories and 4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Awareness of job related problem' includes 3 middle-categories and 8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and 'solution of job related problem and intentional activity' includes 8 middle-categories and 21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Inventional convergence knowledge' includes 3 middle-categories and 12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invention and foundation' includes 5 middle-categories and 12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Understanding of job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includes 2 middle-categories and 7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job related patent information' includes 3 middle-categories and 7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Application of job related patent' includes 3 middle-categories and 7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and 'basic ability of job invention related occupation' includes 5 middle-categories and 20 detailed educational elements.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 직무발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교육 영역과 그에 따른 하위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고찰을 통해 직무관련 발명 능력에 대한 13개 대영역, 45개의 중영역과 132개교육 요소와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8개 대영역, 21개 중역역과 49개 교육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교육 요소는 2회에 걸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 직무발명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영역으로 10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각 영역은 ‘발명의 이해’, ‘창의성 이해와 창의적 직무 활동’, ‘직무 관련 문제 인식’, ‘직무 관련 문제해결과 발명 활동’, ‘발명융합지식’, ‘발명과 창업’, ‘직무 관련 지식재산의 이해’, ‘직무 관련 특허정보조사 및 분석’, ‘직무 관련 특허 출원’, ‘직무 발명 관련 직업기초능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발명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세부 교육 요소는 104개로 각각 36개의 중영역으로 묶여진다. ‘발명의 이해’는 2개의 중영역과 6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으며, ‘창의성 이해와 창의적 직무 활동’은 2개의 중영역과 4개의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다. ‘직무 관련 문제 인식’은 3개의 중영역과 8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 관련 문제해결과 발명 활동’은 8개의 중영역과 21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다. ‘발명융합지식’은 3개의 중영역과 12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으며, '발명과 창업'은 5개 중영역과 12개의 세부교육요소로 나타났다. '직무 관련 지식재산의 이해'는 2개의 중영역과 7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 관련 특허정보조사 및 분석‘은 3개의 중영역과 7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다. ’직무 관련 특허 출원‘은 3개의 중영역과7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 발명 관련 직업기초능력‘은 5개의중영역과 20개의 세부 교육 요소로 나타났다.

      •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의 구조적 관계분석

        류선영,김성길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직업적합도와 근무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자신의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이 교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 족, 교육신념, 조직몰입의 수준은 보통이었고, 역할수행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는 직업적합도가 높을 수록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보육교사가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우, 민간 어린이집 또는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직무만족,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육신념과 조직몰입에, 교육신념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역할수행에, 교육신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만 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신념은 매개효과가 존재하나,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영·유아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국·공립어린이집 수준으로 개선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교육신 념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from job suitability and workplace types based on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Eventually, the ultimate goal is to identify measur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al services by having educators performing their roles without any issues. To achieve this,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339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 programs including IBM SPSS Statistics 26.0 and AMOS 26.0 a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are average, and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is above average. Second, when job suitability is higher, the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are higher. In addition, when the educators work at national or public institutions, their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mo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is higher than the awareness of the educators working at private organizations. Third, the educators’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dagogical belief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pedagogical belief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Howev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and pedagogical beliefs do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educators’ job satisfaction on role performance, pedagogical beliefs do show a mediating effect,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 work environ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improved to the lev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Also, there should be measures to increase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ducators and trainings to enhance their pedagogical beliefs.

      • KCI등재

        제조 기업의 직무교육서비스품질이 직무능력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ㆍ경북지역 업체를 중심으로

        서영복 ( Yeong Bok Seo ),박찬권 ( Chan Kwon Park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0 No.3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직무교육과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제조기업의 교육서비스품질, 교육연계성, 직무능력,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며, 이들 연구항목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대구ㆍ경북지역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와 PLS를 이용하여 연구항목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고, 이를 충족하는 항목들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정결과 가설 1의 검정으로 직무교육서비스품질 요인들은 직무능력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가설 2의 검정으로서 직무능력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셋째, 가설 3의 검정으로 직무교육서비스품질 요인들과 직무능력 사이에서 교육연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정한 결과 직무교육서비스품질 요인들 중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과 직무능력 사이에서만 교육연계성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따라서 제조업체들에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시한다. 먼저 직무교육서비스품질의 수준을 제고하는 것, 학교교육과 연계된 직무교육을 시행하는 교육연계성의 수준을 제고하는 것은 직원들의 직무능력을 제고 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직무능력 수준의 제고는 최종적으로 직무만족도를 제고시킴으로서 직원들이 해당기업에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만들며, 직원들이 장기간 근무한다는 것은 개별기업의 경영성과의 제고와 함께 기업을 발전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job education and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for manufacturing compan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education linkage, job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search items. Daegu and Gyeongbuk region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items were verified using SPSS and PL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by the path analysis using the research items satisfying th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hypothesis test, hypothesis 1 test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factors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Second, as the test of hypothesis 2, job ability was positively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 Third, as a result of hypothesis 3,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ducational linkage between the quality of service quality factors and the job ability, it was found tha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responsiveness, As a function of time. Therefore, the following items are suggested to the manufacturers. First, raising the level of job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raising the level of educational linkages that carry out job education linked to school education can have an impact on improving the job ability of employees. In addition, raising the level of job competence will ultimately improve job satisfaction, so that employees can work for a long time. The long-term work of the employees will als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company and improve the company.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 운영체제에 관한 연구 :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반영

        허미경 ( Her Mee-kyeong ),김영아 ( Kim Young-a ),임승렬 ( Lim Seung-ryoul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 만족도와 법령에 명시되어 있는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와 실제 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법령 외 직무교육 요구도를 살펴보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교육 체제에 대한 요구조사를 통한 직무교육 운영체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현재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총 304명이었다.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원장의 경력과 학력 등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시설의 유형별, 개인 변인별 원장의 직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는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장 직무교육 운영체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교육내용에 있어 시설 유형과 경력에 따라 선택 할 수 있는 교과내용으로 구성해야하며, 교과목은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으로 세분화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형태는 소규모집단 단위의 사례를 통한 실제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셋째, 교육기관으로는 정부의 직무 및 보수교육을 위한 전담기관의 설립으로 직무교육 및 보수 교육만을 전담하는 독립적인 기구 운영을 통하여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과 주말, 주중, 상시 교육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job training satisfaction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heir job training needs both in the jobs stipulated in the Child Care Act and in the practical jobs outside the Act, thereby suggesting an operating system of job training through a surve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needs. Toward this end, thisi study surveyed 304 child care center director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job training satisfaction and needs, and ANOVA was conducted of th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he directors' work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directors' job training satisfaction and needs vary depending on the center type and individual variable. The results also indicate the following regarding the operating system of job training for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irst, its curriculum should offer options according to the center type and the director's work experience and should be subdivided into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Second, as for the educational pattern,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hrough cases of small groups. Third, as for the educational institute, exclusive governmental institutes for job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thereby expand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offering online and offline courses and weekend, weekday, and everyday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