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수재(感樹齋) 박여량(朴汝樑)의 지취(志趣)와 문학(文學)

        최석기 ( Seok Ki Choi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이 논문은 박여량의 생애와 지취, 학문정신, 인물성격 및 시문학에 투영된 작가 의식을 탐구한 것이다. 박여량은 젊어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뜻을 두고 20여 년 동안 탁영서실(濯纓書室)에서 학문에 침잠하였다. 그는 공자(孔子)의 제자 안회(顔回)처럼 구도(求道)에 뜻을 두고 심성(心性)을 수양하여 실천하는데 힘썼으며, 『대학』에 힘을 쏟아 ‘무자기(毋自欺)’ 3자로 종신토록 가슴에 새기는 부절을 삼았다. 그리고 『춘추』와 『심경』을 통해 절의정신과 도덕적 실천을 배웠는데, 이는 정인홍(鄭仁弘)의 영향으로 남명학(南冥學)의 정수(精髓)를 체득한 것이다. 그는 성현의 도를 현실에서 실천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곽재우(郭再祐)를 구원하고 금성일(金誠一)을 만류하는 데 앞장섰으며, 정승에게 근본을 견고히 할 것을 건의하였으며, 의병에 종사하여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웠다. 또 조정에 나아가 벼슬할 적에는 강직한 논의를 폈고,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한 시도 잊지 않았다. 박여량의 학문정신은 그의 「심위엄사부(心爲嚴師賦)」에 응축되어 있다. 특히 동정(動靜)을 관통하는 心의 주재성(主宰性)을 강조한 점에서 조식의 존양(存養)·성찰(省察)·극치(克治)로 이어지는 삼단계 수양론(修養論)을 자기 학문의 근간으로 삼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박여량의 인물성격은 고고한 한 마리의 학(鶴), 세찬 물결 속에 서 있는 지주석(砥柱石), 한 겨울 눈을 맞고도 푸름을 그대로 지닌 소나무 같은 존재로 기억되고 있다. 또한 인(仁)에 가까운 강의목눌(剛毅木訥)한 성품에 학문의 힘이 더해져 강직한 의논을 전개하며 나라를 걱정한 인물로 기억되었다. 박여량이 지은 시는 총 170제 175수인데, 절구(絶句)가 111제 116수로 율시(律詩)나 고시(古詩)에 비해 월등히 많다. 시의 특징은 형식적인 면에서 율시보다 절구가 많으며, 수사적기교(修辭的技巧)보다는 진솔(眞率)한 성정(性情)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시의 제목이 사자성어(四字成語)로 된 것이 많으며, 특정 장소를 소재로 지은 시가 많으며, 자신의 감회(感懷)나 지취(志趣)를 노래한 시가 많다. 또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감회(感懷)를 노래한 서정시(敍情詩)가 많으며, 세상에 대한 근심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고향을 그리워한 시가 많으며, 꽃·달·새 등 자연을 소재로 志趣와 感懷를 노래한 시가 많으며, 회화성(繪?性)이 돋보이는 시가 많다. 시세계의 특징은, 안회(顔回)를 향한 志趣, 우국애민의 정조(情操)와 환로의 비애(悲哀), 고독한 나그네의 객수(客愁), 고향을 그리워한 향수(鄕愁), 전쟁의 기억(記憶)과 비통(悲痛)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향수미(鄕愁美)와 비애미(悲哀美)가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This study presents an exploration into Park Yeo-교뭏 (1554- 1611)`s life, taste, academic spirit, and writer`s consciousness reflected in his poetic literature. Setting his mind to self-cultivation through study when young, Park devoted himself to study at Takyeongseoshil for about 20 years. Like Yan Hui, one of Confucius` pupils, he set out to search for truth, worked hard on his mental and spiritual cultivation, and studied Great Learning hard, taking a three-letter word “Mujagi” to his heart till the end of his life. Furthermore, he learned the spirit of integrity and moral practice through Chunchu and Simgyeong, getting to the essence of Nammyeonghak under the influence of Jeong In-hong. He placed importance on the practice of sages` teachings in reality. When Japan invaded Joseon in 1592, he took a lead in saving Gwak Jae-woo and detaining Kim Seong-il, suggested that Jeong Seung should solidify his fundamentals, and took an initiative in the battle at the Mountain Fortress of Hwangseok against the Japanese soldiers as one of the loyal troops. While in government office, he engaged in discussed based on his integrity and never stopped worrying for the nation. His academic spirit is found in a concentrated form in Shimwieomsabu, which also shows that he built a foundation for his study based on the three-stage cultivation theory leading to Jonyang, Seolchal, and Geukchi by Jo Shik in that he emphasized the residence of the mind that penetrated the state of things. Park`s character is remembered as that of a proud, lonely crane, that of a pillar standing solid in the middle of strong currents, and that of a pine tree staying green even with snowfalls in winter. Future generations also remember him as a patriot that worried for the nation by adding the power of study to his strong and steady character close to perfect virtue and developing his solid discussions based on his integrity. Park left a poetry collection of total 170 Jes and 175 Sus, of which the Chinese quatrain poems are 111 Jes and 116 Sus and much more than his Chinese verses and free verses. His poetry can be characterized by the overwhelming number of Chinese quatrain poems compared with Chinese verses, the abundance of poems about his feelings than rhetoric techniques, the frequent use of four-character idioms for the title, and the predominance of poems about certain places or his own sentiments and impressions. In terms of content, he wrote many poems about his personal sentiments in the form of lyric, his worries about the world, his missing of his hometown, and his impressions and sentiments about nature such as the flowers, moon, and birds. In addition, many of his poems excel in pictorial nature.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ic world include his impressions of Yan Hui, his sentiment of worrying for the nation and caring about the people, his sorrow with his government job, his nostalgia as a lonely traveler, his homesickness for his hometown, and his memory and grief of war. Overall the aesthetics of nostalgia and pathos is distinguishable throughout his poetry.

      • KCI등재

        玉溪 盧禛의 志趣와 學術

        최석기 동양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This article is focussed on Ok-gye Rohm Jin(盧禛, 1518~1578)'s Studies & Its Inclination. His academic inclination can be summarized next three boundaries; Lost in study like the great scholar Ju-ja or Jeong-ja(朱子․程子), Be united in the nature like Jeung-jeom(曾點), and Be dutiful to his parents. His studying way can be called in short 'the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明體適用)'. 'the Principle(明體)' means cultivating one's real nature(存心養性) through respect(敬) and 'Application(適用)' means applying a rule to a real life properly. As I studied his academic inclination through the three fields of the theory, editorial and history view, I found out he suggested a different theory from Lee, Hwang(李滉) and Oh, Geon(吳健)'s ‘Gyeok-mul(格物) and Mul-gyeok(物格)', and sticked to the critical position like Lee, Hwang and Lee, Hang(李恒)'s opinion upon the theory of 'In-sim-do-sim-che-yong(人心道心體用說)' by Roh, Su-sihn(盧守愼). In his works of [Gwan-gwa-ji-in-ron(觀過知仁論)], I could find a partial face of his scholarship to follow the Saint's mind through paying a deep attention to the text of [the Analects of Confucious(論語)]. And , in [Jang-hoeng-geo-yang-cho-seol(張橫渠養蕉說)], I examined his moral philosopher's mind that he extract the truth in natural things and make it an useful tool to cultivating his nature. And, the work of [Sa-byeong-mu-ryang-eui-rong(死病無良醫論)] made us to find his idea of 'the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明體適用)' in the matter of the King and Lieges, for the end, the work of [Tu-geum-gue-maeng-ron(渝金櫃盟論)] showed us his view of great minister by emphasizing the virtue of faith(信) and justice(義). 이 글은 盧禛(1518~1578)의 志趣와 學術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그의 지취는 朱子․程子처럼 학문에 침잠하는 것, 曾點처럼 自然合一을 추구하는 것, 그리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 그의 학술은 한 마디로 明體適用이라 할 수 있는데, 敬을 통해 存心養性하는 明體의 공부와 그것을 현실에 맞추어 適宜하게 실행하는 適用의 學術이라 하겠다. 또 학술성향을 學說․論說․史論을 통해 살펴보았는 바, 『대학』의 ‘格物’․‘物格’에 대한 해석에서 李滉․吳健과는 다른 설을 제기였고, 盧守愼의 人心道心體用說에 대해서는 李滉․李恒 등과 마찬가지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논어』의 한 구절을 정밀하게 분석해 過를 보고 군자의 마음을 아는 점을 논술한 「觀過知仁論」에서 그의 경학의 일면은 엿볼 수 있었고, 張橫渠의 「芭蕉」를 보고 사물에 내재한 이치를 발견해 자신의 심성을 살피는 도구로 삼아야 함을 역설한 「張橫渠養蕉說」에서 그의 도학자적 성향을 살필 수 있었다. 또 「死病無良醫論」에서 임금과 신하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논한 그의 明體適用的 思惟를 엿볼 수 있었고, 「渝金櫃盟論」에서는 信으로써 몸을 지키고 義로써 절개를 길러야 국가의 柱石이 될 수 있다는 그의 大臣論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玉溪盧禛의 志趣와 學術

        최석기(Choi, Seok-k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이글은 盧禛(1518~1578)의志趣와 學術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그의 지취는 朱子·程子처럼 학문에 침잠하는 것, 曾點처럼 自然合一을추구하는 것, 그리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 그의 학술은 한 마디로 明體適用이라 할 수 있는데, 敬을 통해 存心養性하는 明體의 공부와 그것을 현실에 맞추어 適宜하게 실행하는 適用의 學術이라 하겠다. 또 학술성향을 學說·論說·史論을 통해 살펴보았는 바, 『대학』의 ‘格物’·‘物格’에 대한 해석에서 李滉·吳健과는 다른 설을 제기였고, 盧守愼의 人心道心體用說에 대해서는 李滉·吳健등과 마찬가지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논어』의 한 구절을 정밀하게 분석해 過를 보고 군자의 마음을 아는 점을 논술한 「觀過知仁論」에서 그의 경학의 일면은 엿볼 수 있었고, 張橫渠의 「芭蕉」를 보고 사물에 내재한 이치를 발견해 자신의 심성을 살피는 도구로 삼아야 함을 역설한 「張橫渠養蕉說」에서 그의 도학자적 성향을 살필 수 있었다. 또 「死病無良醫論」에서 임금과 신하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논한 그의 明體適用的 思惟를 엿볼 수 있었고, 「渝金櫃盟論」에서는 信으로써 몸을 지키고 義로써 절개를 길러야 국가의 柱石이 될 수 있다는 그의 大臣론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focussed on Ok-gye Rohm Jin(盧禛, 1518~1578)'s Studies & Its Inclination. His academic inclination can be summarized next three boundaries; Lost in study like the great scholar Ju-ja or Jeong-ja(朱子·程子), Be united in the nature like Jeung-jeom(曾點), and Be dutiful to his parents. His studying way can be called in short 'the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明體適用)'. 'the Principle(明體)' means cultivating one's real nature(存心養性) through respect(敬) and 'Application(適用)' means applying a rule to a real life properly. As I studied his academic inclination through the three fields of the theory, editorial and history view, I found out he suggested a different theory from Lee, Hwang(李滉) and Oh, Geon(吳健)'s ‘Gyeok-mul(格物) and Mul-gyeok(物格)', and sticked to the critical position like Lee, Hwang and Lee, Hang(李恒)'s opinion upon the theory of 'In-sim-do-sim-che-yong(人心道心體用說)' by Roh, Su-sihn(盧守愼). In his works of [Gwan-gwa-ji-in-ron(觀過知仁論)], I could find a partial face of his scholarship to follow the Saint's mind through paying a deep attention to the text of [the Analects of Confucious(論語)]. And , in [Jang-hoeng-geo-yang-cho-seol (張橫渠養蕉說)], I examined his moral philosopher's mind that he extract the truth in natural things and make it an useful tool to cultivating his nature. And, the work of [Sa-byeong-mu-ryang-eui-rong(死病無良醫論)] made us to find his idea of 'the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明體適用)' in the matter of the King and Lieges, for the end, the work of [Tu-geum-gue-maeng-ron(渝金櫃盟論)] showed us his view of great minister by emphasizing the virtue of faith(信) and justice(義).

      • KCI등재
      • KCI등재

        龍巖 朴雲의 贈詩 硏究

        이정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4 No.-

        덕에 나아가기 위해 선비들이 행해야 하는 일은 마음을 전일(專一)하게 하여 성학(聖學)을 궁구하고 이를 일상생활 속에서 잘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용암이 추구한 학문의 경지는 자득(自得)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위기지학(爲己 之學)과 무관하지 않으며 마음의 다스림을 중시한 것이다. 용암의 증시(贈詩) 는 자신과 뜻을 함께 하는 지음(知音)이자 삶의 철학이 일치하는 도우(道友)에게 보내는 마음의 선물과 같은 의미이다. 용암의 증시를 통해 정감 깊은 선비의 인품을 감지할 수 있다. 용암은 구암(龜巖) 보다 20살이 더 많으나, 한훤당을 위시한 옛 스승을 존현(尊賢)으로 받들어 모신다는 점에서 심정적으로 일치해 있다. 이러한 마음을 익히 확인한용암은 도우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증시(贈詩)로 선사하였다. 기촌이 도우(道 友)와 사별하게 되자, 용암은 기촌의 상심(傷心)을 헤아려 위무(慰撫)의 정감으로 증시(贈詩)를 제작한 바 있다. 이는 용암 역시 기촌과 의기투합할 정도로시정신이 일치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용암의 증시에는 활연대오(豁然大悟)의 경지와 깨달음을 향한 자신의 의지가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깨달은 사람의 시정신은 세속적인 삶에서 야기하는 번뇌가 제거된 마음 상태이다. 용암은 권력자보다는 갈매기 한 마리와 벗하는 삶이 더 낫다고 생각하였으니, 그의 희원(希願)은 세속의 때가 묻지 않아 매우 순수한 자연과의 합일이다. 이를 통해 자연과의 합일이 가능한 용암의 내면을 유추할 수 있다. 용암에게 산수자연은 세상사(世上事)에서 비롯된번뇌로부터 초탈케 하는 활연대오(豁然大悟)의 공간이다. 학자의 지취(志趣)를 지닌 용암의 시정신은 퇴계의 그것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배우기를 좋아하는 마음이 변하지 않음을 보여준 용암은 일생동안 부귀영화에 얽매이지 않은 채 학문에 정진하였다. 용암의 청렴한 정신은 그의 후손들에게 잘 계승되었으며, 이는 용암의 시문에 잘 나타나 있다. 중요한 것은 고결한 선비 정신을 토대로 가학(家學)의 전통이 대대로 이어지도록 힘쓴 선비가 바로 용암이라는 점이다. 이로써 용암은 참 선비의 삶을 완성하였음을 알수 있으며 그의 고귀한 삶과 시정신은 영원히 계승될 것이다. Because Yongam devoted himself to studying the heart, his outstanding personality always shone even when he lived in the world. Even though Yongam was eight years older than Toegye, he responded with a good heart. There were not a few parts where Yongam and Toegye agreed with each other in heart. In order to cultivate the virtue of the mind, what scholars have to do is concentrate their minds, s tudy Neo-Confucianism diligently, and practice it well in daily life. He tried to match knowledge and behavior in everyday life, and did not forget what he had learned and put his efforts into practice for the rest of his life. The realm of learning that Yongam pursued begins with self-realization. The study of lava can stabilize the mind, and the emotions can be well controlled with a good heart. Jeung-si(贈詩) is like a gift to his true friends. It has the same meaning as a gift from the heart to friends whose philosophies of life match. Therefore, through his Jeung-si(贈詩), one can confirm the character of a sympathetic scholar. Yongam is 20 years older than Guam, but they both share a great respect for their great teachers. Jeung-si(贈詩)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state of enlightenment and his will toward enlightenment appear. The enlightened person's spirit of vision is a mind freed from distracting thoughts from worldly life. His hope is a mind that is in harmony with nature as distracted thoughts disappear. To Yongam, the natural landscape is a space of awakening to remove distracting thoughts. His poetic spirit, which is related to the scholar's spirit, is also in line with that of his teacher, Toegye. He did not change his love for learning, and he was not bound by fame or fortune throughout his life. His spirit of integrity was well passed down to his descendants, and this is well shown in Yongam's poetry. He continued the family tradition based on the spirit of a noble scholar. The academic spirit of Yongam, who completed the life of a true scholar, will not disappear and will be inherited forever.

      • KCI등재

        류(類)개념에 대한 묵자(墨子)의 인식과 활용

        이경무 ( Lee Kyoung-moo ) 한국공자학회 2019 孔子學 Vol.38 No.-

        先秦 시기 諸子의 名辯에서 類개념의 논리적 의미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사람은 墨子다. 墨子가 말하는 ‘類’는 어떤 ‘무리’를 하나의 ‘모임’ 즉 하나의 ‘부류’나 ‘종류’ 등의 ‘집합(set)’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다. 墨子는 어떤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를 ‘類’에 관한 언급을 통해 다루어 간다. 墨子는 한편으로는 ‘同類’, ‘非類’, ‘知類’를 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察類’, ‘知辯’, ‘知取’ 등을 논함으로써 名辯에서 갖는 類개념의 논리적 위상과 역할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類개념에 대한 墨子의 인식과 활용은 최소한 두 가지 측면에서 독자성을 갖는다. 첫째는 名辯에서 갖는 類개념의 위상과 역할을 개념의 차원과 논변의 차원에서 밝힌다는 점이고, 둘째는 類개념을 名辯의 근본 문제인 名實一致 문제와 연계하여 다룬다는 점이다. 墨子의 類개념은 얼핏 보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유개념(genus)와 서로 상응하는 듯하지만, 발생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유개념과 다르다고 보아야 한다. Mo-tzu was a pioneer who discussed meanings of generic concept in earnest in pre-Chin’s argumentations about name and reality. He signified and mentioned generic concept to certain set or class as a gathering of same clusters or a gathering of differ clusters. And he categorized wether two types of elements belonged to same set or not on the ground of generic concept argumentations. He dealt with the same class, the differ class and knowing them on the one hand and looking and knowing the sameness and the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and than revealed logical meanings and roles of generic concept on debates. His assertions were very unique at that times. The generic concept of Mo-tzu looks like the generic concept of Aristotle at first glance. But they are different concepts each other in developments and logics.

      • KCI등재

        洪亮吉과 黃景仁의 交友와 旨趣探討

        진명호 중국인문학회 2010 中國人文科學 Vol.0 No.45

        常州诗人崛起于清中叶的乾隆、嘉庆之交,当时在诗坛执牛耳的袁枚曾赞为群星聚于常州,享有书香之誉,其中以毗陵七子为最,其间由洪亮吉与黄景仁为争天下之光。毗陵七子居于同乡,更为系于家族姻亲关系,故自从小即以诗文切磋为乐。每制举文之馀,相互过从谈天论人,兴勃意至时,访山游水啜艺润,此乃为江山助于诗人也。然古人年谱于两人初识之年有误,且众人但重二人之友笃,轻忽曾二人之中各有不同吟咏之格。洪亮吉与黄景仁两人皆生于此乡,长于此地,黄氏少洪氏三年,幼时居于云溪岸,一人十岁一人七载则相识,平生相依为命,自幼鍼芥相投,学汉魏乐府及唐宋之嘉什,时试于纸,从此大兴意趣作之诗。后二人游邵齐焘龙城书院,吸取古人文章之奥,始之诗艺大进。然二人有性情与指趣不同之故,表其各有之长。洪氏性狂,喜游山水,长于古体,五古似大谢,七古则近太白,尤善于骈体,其名于天下。黄氏亦好山水,遇洪氏其诗气大增,专以诗人自居,乾隆朝称其诗人之诗之目,当推为黄景人第一。其人喜读古人雅集,无所不览各朝诗人,又无不写各派之调,索落旁通,荣会贯穿,别具意境。其古诗俊逸似太白,沈鬱淸壯出于杜工部,悲慨近李贺。然其二人弱冠之年,诣诗之境有别,洪氏喜吟研脂握铅,为香草之什,是故黄氏欲劝多读古人之诗,降心阅之,求其用意不用字,字意俱用处。求其用意,虽字简练,然则见其诗味清而腴,如渊明作诗,其诗质而实绮, 癯而实腴也。细搜洪氏衷于字句之因,且推其人擅之体,不难知其有理。洪氏韶华之际,与黄氏居于安徽学政朱筠府,专治考据经学,故殊始重小学。洪氏举其小学入诗学,以此于作诗与咏歌皆主小学之识,其为洪氏讲字句之故。洪氏与黄氏虽各子别有指趣,本性亦稍不同,然二人的友情不变一生,其传为艺林之佳话,是故世有“洪黃”之称。

      • KCI등재

        冲庵 金淨의 金剛山 紀行詩 硏究

        이송희(Lee Song-hee)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본고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되었던 충암 김정의 금강산 기행시를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한 것이다. 충암 김정은 기묘명현으로 도학자로서의 뛰어난 기량 뿐 아니라 盛唐詩에 빼어난 자질을 보여준 문학가이다. 충암의 금강산 기행시 주제 연구에 앞서 기행 동기 및 작품현황을 살펴본 후 30여 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나그네의 鄕愁, 淸澄한 세계로의 沈潛, 밝은 세상이 오기를 希求로 나누어 삶의 의식의 일단을 고구하였다. 나그네의 향수에서는 일찍부터 환로에 나갔다 유배와 해배의 아픔을 겪은 후 금강산 유람길에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시적 제재로 활용하여 시화하였음을 살폈다. 청징한 세계로의 침잠에서는 세속을 떠나 맑고 깨끗한 마음으로 살고자 염원하였던 충암 김정이 금강산에서 여러 스님들과의 만남을 통해 은자로서의 삶의 지향을 경물에 기탁하여 시화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현실 참여 의식에서는 금강산의 장엄한 경관을 보며 경물을 읊는데 그치지 않고 인생을 돌아보며 도학정치의 이상실현을 위한 앞으로의 마음가짐을 형상화하였음을 살폈다. 충암의 금강산 기행시는 1차 유배기 후 정계에 복귀하기 전 불의한 현실에 대한 정치적인 심경과 은자로 표출되는 삶의 지향점, 현실 참여 의지를 통한 미래에 대한 계획 등 내면 의식이 잘 드러난 작품임을 고찰하였다. 김정의 시는 후세의 평론가들에 의해 극찬을 받았으나 작품 자체에 대한 면밀한 고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아쉬움을 금강산 기행시 연구로 계기를 삼고자 한다. This thesis represents a topically categorized review of the poems that Kim Jeong with the pen name of Chungam created on his visits to Geumgangsan Mountain and which were previously less noticed by scholars. Kim Jeong was a man of letters who not only showed excellent qualities as a Dohak(Learning of the right path as a person) but also demonstrated superb skills for Tang Dynasty poetry. In this study, I explore a cross section of Kim Jeong’s perception of life by classifying his thirty or so Geumgangsan travel poems into traveler’s nostalgia, settlement into a world of cleanness and lucidity, and seeking the right world to come. In traveler’s nostalgia, as a person who began to work for the government early in his life and underwent banishment and return, he traveled to Geumgangsan, and his yearnings for hometown and mother that he felt on the occasion were adopted as the subject matter for his poems. As far as settlement into a world of cleanness and lucidity, I survey those poems that Kim Jeong who wanted to leave the mundane world and lead a life with a clean and clear heart created by tapping into the scenic views in Geumgangsan in a bid to express poetically his commitment to a life of a hermit through his meetings with several Buddhist monks. In social engagement, the poet did not stop at having zen meditation while contemplating the magnificent views of Geumgangsan; in retrospect, he described his determination toward realizing the ideal of Taoist politics. Kim Jeong’s Geumgangsan travel poetry excellently described his inner consciousness including his political musings on the unjustified actualities he had before he returned to the political arena following his first banishment, the objectives in his life as a hermit, and his future plans revealed through his commitment to social engagement. ’Kim Jeong’s poetry was highly acclaimed by later reviewers. As his works previously failed to receive a close examination to regrets, I want to try one on his Geumgangsan travel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