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 부산광역시 중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도윤지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6

        The local history research started from the 1960’s postmodernism neted in the local history as the subject of diversity instead of National history. The local is being magnified as a new research theme among history scholar. In these circumstances, the local history research shows sign of activity and the movement that used in various ways at education has become more active. Compared to the contents business of local history,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what serviced for stud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development plan of local history education contents using archives which efficient tool of history education. Students can grow the ability of historical inquiry, thinking, insight through archives-assisted learning. Also, self-learning is possible instead of a lecture by teacher. This research shows a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though literature research, abroad case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history teachers. Concepts of the local history, local history education, education contents are examined at literature research. Local history education of the State Archiv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web site is analyzed. These state archives have been providing the web based service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for a long time. With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carry out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It draw conclusion that 14 category and 35 subcategory and these a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for local history education. 196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출발한 지역사 연구는 국가사 중심의 역사를 지양하고 다양성의 주체인 지역에 주목하였다. 지역화가 사회의 주요한 현상으로 등장하면서 지역사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으며 이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이러한 지역사를 콘텐츠화 하는 사업에 비해 지역사 학습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콘텐츠 개발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학습의 기본 도구인 기록물(사료)를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해외사례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통하여 기록물을 활용한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지역사, 지역사 학습, 교육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해외사례분석에서는 지역사 교육콘텐츠를 활발하게 서비스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의 주립기록보존소들의 지역사 교육콘텐츠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부산 지역의 중학교 역사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에 반영되어야 할 14개의 범주와 35개의 하위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론적 토대와 사례분석, 면담을 통하여 지역사 교육콘텐츠의 개발 원칙과 절차를 제안하고 이 절차에 따라 부산의 지역사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주민 참여와 콘텐츠 개발을 통한 CATV 지역채널의 사업전략

        박찬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8 유라시아연구 Vol.15 No.4

        지역채널은 특정 방송권역 내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채널로, 케이블TV 송출사업자(이하 CATV SO)에 의해 프로그램이 편성된다. 낮은 인지도와 시청률로 인하여 본인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의 지역채널이 특유의 지역사회 구조에 뿌리를 둔 미디어 환경에서 시작된 데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는 제도적으로 해설 및 논평이 제한되고, 편성과 운영에서 지역주민의 직접적인 참여가 적은 사정에 있다. 때문에 지역채널 나름의 정체성과 매채력을 뚜렷이 얻지 못하고 있다. TV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가 소비되던 환경이 기술적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단말기들을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소비되는 환경으로 바뀌면서 CATV 서비스는 그 영향력과 사업성을 위협받고 있다. 다른 한편 멀티플랫폼 구도가 전개되는 상황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소비가 과거와 비교해 특정 범위의 시청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TV의 비중이 작아지는 것은 CATV SO들에게 제한적이나마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결국 CATV SO의 입장에서는 TV를 중심으로 사용자 접점(user interface)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 형성되는 시청자 집단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CATV SO가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확보하여 차별적 경쟁력의 요소로 삼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멀니 플랫폼 환경이 되면서 시청자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촉면 자체는 더욱 넓어지고 있으며, 소비시간과 빈도 또한 늘어나고 있다. CATV SO로서는 이점에 착안하여 전략적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과 제한된 범위의 시청자에게 맞추어 콘텐츠를 보내는 내로우캐스팅(narrow casting)을 방식을 채널 구성전략과 편성전략에 반영하여 현재와 다른 전략을 구사하는 전략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CATV SO가 콘텐츠의 제작과 확산에 있어 더 적극적 역할이 필요한데, 콘텐츠의 제작과 확산에 있어 지역 커뮤니티의 적극적 참여를 활용하는 지역채널 고유의 전략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CATV SO의 경쟁력을 위한 지역채널의 전략을 미국의 참여형 지역채널, 일본의 참여형 콘텐츠 사례들과 지역 밀착형 채널이라는 특수성을 종합한 지역밀착형 콘텐츠와 주민참여에서 찾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역 커뮤니티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제한된 자원으로 퀄리티 높은 영상을 만드는 방법을 돌아보고, 지역의 특성을 살려서 ‘아는 사람들이 나오는 친근한 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짧고 임팩트 있는 영상’을 후편집으로 만들어 인터넷, 모바일, SNS 등에 확산하여 미디어로서의 입지를 높이는 전략도 살펴본다. 이에 더하여 프리미엄 문화콘텐츠의 역할도 모색해본다. 공연, 전시 등의 프리미엄 문화 콘텐츠를 주민참여형 콘텐츠로 개발하거나 지역채널 콘텐츠의 배경으로 활용하여 채널 정체성의 변화를 모색해볼 수 있다. 더 큰 규모의 제작비를 투입하고 익숙한 인물들이 나오는 기존의 채널들에 비해서 초라하고 어수선한 이미지를 준다는 지역채널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을 지역 커뮤니티 고유의 역량을 활용해서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다. CATV SO가 허가권역의 지방자치단체와 갖고 있는 다양한 협력관계는 이를 위한 유용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지역채널의 설립목적과 기대되는 역할을 현재의 채널운영 상황에 비추어 보면 ...

      • KCI등재

        지역사회의 지역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 사례 분석 - 축제 및 캐릭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웅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7

        Local cultural contents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factors in locating local communities by establishing specialized image of local community and strengthening external competitiveness. Among them, festivals and characters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attracting tourists to the region but also in consuming the contents and experiencing the region, and they also function as representative contents that generate synergy effect through various linked contents. In this sense, in the era where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secure a self-sustaining model for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by utilizing specialized competitive factors of the region, examples of the life culture festival in Gyeongbuk Sungju County promoted by the local community, Ulsankeunaegi We analyze the representative cases of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based on cases and propose efficient and successful content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methods. 지역문화콘텐츠는 지역사회 본 글에서의 지역사회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내 기업과 기관 등을 통합하는 의미로서 정의한다. 의 특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고 대외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역 활성화를 모색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도 축제와 캐릭터는 관광객들을 지역으로 유인시켜 콘텐츠를 소비하고 지역을 체험하게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다양한 연계콘텐츠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대표적인 콘텐츠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지역만의 특화된 경쟁력 있는 요소들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활성화를 위한 자생적 모델 확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시대에서 지역사회가 추진하고 있는 경북 성주군의 생명문화축제 사례, 울산광역시 중구 울산큰애기 캐릭터 사례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콘텐츠 활용의 대표적 사례를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 지상파방송 뉴스콘텐츠 혁신 전략 탐색 연구 : 지역 뉴스콘텐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이종영 ( Lee Jongyoung ),김동윤 ( Kim Dongyoo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1

        뉴미디어로의 급격한 생태계 변화에 맞설 수 있는 다양한 대응과 방안이 실질적인 실천적 노력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지역 지상파방송 저널리즘의 위기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방송뉴스의 위기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극복해 나가기 위한 노력과 실천이 다름 아닌 뉴스콘텐츠 혁신에 있어야 한다고 보고, 그러한 혁신을 위한 필요조건과 내용, 그리고 방향성을 탐색해 보았다. 지역 뉴스콘텐츠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뉴미디어 시대 지역을 선도하는 지역 지상파 뉴스콘텐츠 혁신 전략’을 다음의 몇 가지로 제안했다. 콘텐츠 혁신의 우선적인 목표가 ‘심층분석형 뉴스’를 통한 지역 방송뉴스의 콘텐츠의 질적 수준 향상에 있어야 하며, ‘토론과 숙의가 가능한 뉴스콘텐츠’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삶 속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하며, ‘대안 중심 뉴스’로 지역 주민들의 토론과 숙의를 위한 공론장 역할과 책무성 강화에 있어야 함을 강조했다. 나아가 연구는 지역방송 뉴스콘텐츠의 형식과 기획, 그리고 구성의 참신성을 반영한 ‘창의적 뉴스콘텐츠’를 향한 전환적 자세와 노력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연구는 지역민의 관심과 주목을 이끌고 지역방송 저널리즘의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는 핵심 기제가 기존 뉴스의 형식과 포맷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뉴스콘텐츠의 내용적·질적 전환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Amid the strong new media sensation, various existing diagnoses and alternatives to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broadcasting news contents have not led to sustainable practical efforts. This study focused on content innovation as the part of an effort to actively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broadcasting news. Through twice times of Delphi surveys conducted on local news content experts, this study proposed an “innovation strategy for local terrestrial news content leading the region in the new media era.” As an achievement goal to effectively promote the vision, the research emphasized on the need to raise the quality of local broadcast news contents through in-depth analysis news, permeate local residents’ lives through discussion and deliberation, actively reflect discussion and deliberation through alternative news, and novelty. It calls for bold attempts to restore the tarnished trust of local broadcasting new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news format, as well as promote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news content.

      • 지역축제와 문화브랜딩 전략 연구

        백승국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n the strategy for the regional festival and cultural branding Baik, seung kuk In recently, many government in cities and counties holds over 900 area festivals. but in these festivals, we just can see few strategic approaches. and because programs in festivals are similar and formal, these festivals degrade as annual events hold by governments. Hence, In this research, we researched plan methodology of area festivals as a cultural contents, by using cultural semiotics that expends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at area cultural brand level. With consideration for area studies that spotlights as new paradigm of globalization epoch, Area culture branding that helps to raise area brand identity and image by develop area-city enlargement model, and area cultural contents, we presented five value elements(ecology, taste, heritage, meditation, spirit) and symbolical and empirical images in area, as core concept of area cultural branding. And, for revitalize area festivals, we needs development of new contents, what can create Infortainment and edutainment values, by analyze signification of contents in targeting participant of area festivals. And because of lifestyles, value types, and trend about area festivals are changing, in this research, we established hypothesis about plan process model in festival contents, and presented models : generative model of meaning in festival, and storytelling scheme in festival. By using Methodology that using ecology-history-culture resource in area and plan process model in festival contents, we expect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festival contents plan, and development of science and scientific discourse by further researches, over simple methodologic tool level. 최근 각종 지자체에서 900개가 넘는 지역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나, 이들 축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부족하고, 프로그램도 유사하거나 정형화된 상태로서, 결국 지자체의 연례행사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최근 문화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문화콘텐츠 개념을 확장시키고 있는 문화기호학을 사용하여,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역축제를, 지역문화브랜딩 차원에서 문화원형을 통해 지역축제의 기획방법론을 연구하였다. 우선,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지역학과, 지역의 생태역사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도시 발전 모델과 지역문화콘텐츠개발을 통해, 지역 브랜드 정체성과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역문화브랜딩, 그리고 도시 공간 평가 요소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브랜딩의 핵심 콘셉트로 다섯 가지 평가 요소(생태환경, 맛, 문화유산, 종교문화, 공동체 의식)와 지역의 상징적, 경험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축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의 콘텐츠를 향유하는 참가자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의미작용을 분석, 인포테인먼트 및 에듀테인먼트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지역 축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치 유형 및 트렌드가 변화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본 연구에서는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의 가설을 설정하고, 축제 설계를 도울 수 있는 모델로서 축제의 의미생성모델과 축제 콘텐츠 스토리텔링 도식을 제시하였다. 지역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방법론과 문화기호학 분석도구들을 활용한 축제콘텐츠 기획 방법론 및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통해 문화기호학이 단순한 방법론적 도구 차원을 넘어서 축제콘텐츠 기획의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한 학문의 발전 및 학문적 담론 형성이 기대된다.

      • 남한산성 ‘생생 문화재 사업’의 의의와 개선방안 연구

        임수연(Lim, Su Y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문화재청은 ‘역사콘텐츠의 생기화’를 위하여 ‘생생 문화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08년부터 점차 확대되어 2014년도까지 각 지역의 지역 역사 체험콘텐츠를 지원하고 있다. 그 중 남한산성은 2013년 ‘생생 문화재 사업’의 우수사례로 뽑혔고, 2014년 유네스코에 등재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2014년 남한산성 ‘생생 문화재 사업’ 프로그램을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의 특징에 따라서 분석하여 지역 역사 공간의 가치를 확인하고 지역 역사 체험 프로그램을 참여한 사람들의 인간성 회복의 방안으로 ‘역사콘텐츠의 생기화’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대상에 대하여 지각(지식), 인식(정서, 관점), 체험(행동)의 3요소로써 인지한다. 이 때 본고에서는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가 대상이 되며, 이 콘텐츠는 외적가치(역사적 건조물, 역사적 기록물, 역사적 예술품)과 내적가치(역사 속 인물, 사건, 배경)를 내포하고 있다. 사람이 지역 역사 체험콘텐츠를 경험할 때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이 다른데, 이를 교수 및 학습 주체에 따라서 참여자와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를 중심으로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를 경험함으로써 참여자는 공간에 애착심을 같게 되고 공간은 지역정체성이 부여받는다. 2014 남한산성 ‘생생 문화재 사업’의 7가지 프로그램 중에서 참여관찰법과 면접법을 통해 도출한 결과, 초등학생은 ‘진격의 삼학사’ 프로그램에서, 성인은 ‘사진 속 문화재 이야기’ 프로그램에서 효과가 가장 크게 나왔다. 초등학생은 그 특성상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직 형성되지 않았던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과 애착심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고, 성인은 경우에는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이 역사적인 측면으로 강화된거나 애착심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남한산성 ‘생생 문화재 사업’ 프로그램의 의의는 지역 역사 체험콘텐츠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역사의 생기화’를 통한 지역 역사콘텐츠의 참된 가치를 구현하였으며 다른 역사 콘텐츠의 모범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콘텐츠 개발의 성공원인으로는 공공기관에서 주도하였으며, 1명의 담당자가 주도적으로 매년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결합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은 지속성과 완성도가 부족하였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연계성을 늘리고, 참여자들이 자생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며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의 특성에서 빠진 부분들을 보충하여 완성도를 높이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생생 문화재 사업’의 연구 초석이 될 수 있으며, 지역역사 체험 콘텐츠의 다각적인 분석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의 특성에 따른 분석에 적합할수록 진정성 있는 지역 역사 체험 콘텐츠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개인은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향상시키고 지역은 정체성이 강화될 것이다.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ush ahead with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s’ for ‘History Contents Vitalization’. This project support each district’s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since 2008. Most of all 2013 Namhansanseong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s’ is selected for excellent case at 2013, and it was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Property’ at 2014. So I analyze 2014 Namhansanseong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s’ into district’s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feature. And I confirm district’s historical space value and find a solution about rehumanizing. Common people recognize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with three point; perception, cognitive, experience.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is classified external value(historical construction; document; artworks) and internal value(historical person; case, background). And I grasp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contents. Then participants experience the contents, they have attachment and assign a space identity. Among the 2014 Namhansanseong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s’, ‘The advancing Samhakssa’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orytelling beyond photograph’ program for adults effect location attachment and district ident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got location attachment and district identity for the first time through experiencing the programs. Whereas adults were raised location attachment and were reinforced district identity. This program’s significance is realizing genuine Historical Contents Vitalization, and it could be good example. Sucessing points are conducting programs as nonprofit purpose, taking same person charge of 2008 to 2014 programs, and combining many kinds of historical contents. However some programs are not enough. That’s insufficient sustainability and completion. That’s could be resolved the problems to projecting continuous programs, supporting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adding district’s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feature content. This study is relevant that establishing a basis of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s’ and providing a wide variety of views about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Therefore planning according to ‘District Historical Experience Contents’ feature could improve person’s district attachment and space identity.

      • KCI등재

        콘텐츠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임상수,김행선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20 신용카드리뷰 Vol.14 No.3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tents industry, whose importance has been highlighted by the Hanryu(Korean Wave).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is preparing various policies for the contents industry, and measures for fostering the local-oriented content industry were proposed in particular. However, while this government's policy is positive in that it has sparked regional interest in the contents industry, it may be negative in that excessive competition has worsened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inducement effect of the contents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and attempts to analyze whether the contents industry can be fostered by region. As a result, it is desirable to foster the contents industry in Seoul, Jeonbuk, Daejeon and Ulsan rather than in Gyeonggi in terms of production activiti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foster the contents industries in Seoul, Busan and Gyeongnam rather than in Jeonnam, Gwangju, and Gangwon. Also, when looking at the impact on GDP, it is desirable to foster contents industry in Daejeon, Jeju and Seoul rather than Gyeongbuk, Gyeongnam, and Incheon as a whole. In terms of the impact on GRDP in the region, it seems desirable to foster contents industry in Seoul, Gyeonggi and Jeju rather than in Gyeongbuk, Chungnam, and Incheon. Next, when looking at the economic effect of the contents industry on the local governments in each industry, we can see that the local government's strategic industries vary depending on the aspect of production activity and value added. In conclusion, the current government's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contents industry seems to be desirable. However, it seems necessary to select and nurture competitive industries based on information on regional economic effects, as fostering all industries in the contents industry could worsen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본 연구는 한류에 힘입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콘텐츠산업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이 때문에정부는 콘텐츠산업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고, 특히 지역 중심의 콘텐츠산업 육성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 정책은 콘텐츠산업에 대한 지역의 관심을 유발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악화된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일 수도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콘텐츠산업에 대한지역별 육성의 타당성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 결과, 국가 전체의 생산 활동 측면에서 서울, 경기보다는 전북, 대전, 울산에서 콘텐츠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지역 생산 활동 측면에서는 전남, 광주, 강원보다는 서울, 부산, 경남의 콘텐츠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GDP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국가 전체적으로는 경북, 경남, 인천보다는 대전, 제주, 서울의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지역의 GRDP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경북, 충남, 인천보다는 서울, 경기, 제주의 콘텐츠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음으로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콘텐츠산업의 업종별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살펴보면 생산 활동 측면과 부가가치 측면에 따라 해당 지방정부의 전략 업종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의 콘텐츠산업에 대한 지역별 육성 전략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든 지역이 콘텐츠산업의 모든 업종을 육성시키는 것은 자원배분의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역 경제 파급효과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업종을 선택하여 육성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향유 지속 방안

        정혜경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4

        Political Issues and Ways of the Activation on Regional Cultur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political issues on regional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of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Regional Promotion Agency and to find methods of the activation them. The results of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ntents of daily life has increased politically. Second, it has developed to strengthen loc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finding localized content. Third, according to policy changes, ways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local cultural contents were transformed into web contents and various platform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it has not been enough to promote the local publicity by serving contents on the local channel. Another issues is local cultural contents a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policies and directions of investment institutions. Therefore, they should implement policies that reflect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minimizing policy guidelines. Finally, they need to implement policies that consistently link local cultural content with enjoyers who have experienced local cultural content such as crowd funding by enjoyers, integrated marketing and design systems for them. If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ervice of local cultural contents politically, the enjoyers will not be able to meet the regional cultural contents in fragmented form, but will be able to enjoy them on the macroscopic network. 이 글은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문제를 파악하고 향유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현재 지역문화콘텐츠 정책은 첫째, 지역민의 참여와 생활문화콘텐츠로 그 외연을 확장하며 전통적인 지역문화콘텐츠의 개념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둘째, 지역특화 융복합콘텐츠와 지역산업을 연계함으로써 지방 소멸 위기에 직면한 도시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셋째, 미디어 기술에 따른 소비문화의 변화와 웹콘텐츠 중심의 정책은 지역문화콘텐츠의 생태계를 새롭게 재편하는 중이다. 지역문화콘텐츠 정책은 지역자원이 과거와 특정 지역에 머물지 않고, 현재와 소통하며 고유한 이름을 찾도록 추동하며,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지역문화콘텐츠로 포섭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관련 사업은 향유자 중심의 정책을 표방하면서도 사업자의 관점에서 출발하고 마무리된 경향이 있다. 콘텐츠 시장은 제작과 소비의 경계를 허물고 역동적으로 콘텐츠의 생산과 향유를 이끌고 있지만, 지역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우 개발비를 지원하는 기관의 정책과 사업 틀에 묶이거나 콘텐츠 시장의 유행을 쫓는 한계를 보인다. 지방분권이 가속화되고 관련 정책은 Top↔bottle 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지만,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서는 중앙 정부의 정책과 흐름에 구속된 측면이 강하다. 지역문화콘텐츠 정책과 평가 방식이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가능성을 차단해서는 안 될 것이며, 지역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제작하는 일 못지않게 이미 만들어진 콘텐츠의 생명력을 연장하는 일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향유자 관점에서 콘텐츠의 생명력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향유자에 의한 매개-생산-소비가 가능하도록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취향을 엮어 하나의 향유 라이프 사이클을 형성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구술문화 전통을 활용하고 통합적 향유 로드를 설계해야 한다. 기존의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아니다. 분산된 지역문화콘텐츠를 묶고 입체화하여 향유자가 미션을 수행하듯 전국 단위의 지역문화콘텐츠를 지속해서 경험하고 관련 모험을 감행할 수 있게 하는 형태이다. 아울러 향유자에 의한 참여와 매개를 확장하기 위해 향유자 중심의 ‘지역문화콘텐츠 크라우드 펀딩 사업’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펀딩사업과 구별되게 향유자로부터 펀딩을 받아 관련 콘텐츠를 양산하는 방식이다. 또한 지역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의 폐쇄성을 극복하고 향유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문화콘텐츠의 향유 로드를 입체적으로 디자인하고 정책적 차원에서 통합 마케팅을 실현할 것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향유 정책이 실효성 있게 전개된다면 향유자는 전국의 지역문화콘텐츠를 파편화된 형태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 네트워크를 타고 지역문화콘텐츠의 세계를 유영하며 지역문화콘텐츠의 또 다른 생산 주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역할 고찰 : 공주아리랑을 중심으로

        이주영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글로벌지식융합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역할을 공주아리랑을 중심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 의의와 무형문화유산 특징, 상관성, 공주아리랑 의의와 전승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탐색한 후, 무형문화유산 특징에서 추출한 무형문화유산 기반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 특질 3대 요소를 추출했다. 3대 요소는 ‘지역 고유성’, ‘민족 대표성’, ‘예술 전승성’ 등이다. 이를 문화콘텐츠 관점에서 논의해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공주아리랑 역할을 모색했다. 첫째, 지역 고유성 특질 기반 역할이다. 지역 고유성은 지역브랜딩과 상관성이 높은 점에 착안해 정체성, 지역 자원 유기적 결합, 스토리텔링 측면에서 공주아리랑 역할을 제시했다. 둘째, 민족 대표성 특질 기반 역할이다. 민족 정서의 콘텐츠 유입, 세계화 전략과 연결시킨 공주아리랑의 창조성 발현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예술 전승성 특질 기반 역할이다. 예술성의 생명은 해당 음악이 가진 핵심 요소가 중심을 잃지 않도록 유지, 발전시키는 것이 다. 전승체계의 구심점 필요, 공주아리랑의 다각적 홍보와 실생활에 반영되는 실천의 장 확대가 긴요하다. 요컨대,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공주아리랑의 핵심 역할은 무형문화유산이라는 가치와 의의를 담지한 특질이 수용된 문화콘텐츠화다. 지역에 충분히 착근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이상의 제언이 수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제주지역 성평등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김은정(Kim Eun Jung),이화진(Lee Hwa Jin),강지영(Kang Ji 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성평등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및 내용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성평등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제주의 자연환경, 제주 설화, 말과 글, 역사, 생활 문화 등의 영역에서 교육 내용을 발굴하고, 제주지역 성평등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성평등 교육의 콘텐츠 개발의 방향은 지역에서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선정하였고 다양한 주제의 지역 콘텐츠를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활동지 형식으로 교육안을 구성하였다. 지역의 교육 콘텐츠 소재 선정은 성평등 교육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과 다양한 분야의 지역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주의 언어, 설화, 역사 속 여성, 해녀, 그리고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도민을 설득할 수 있는 통계자료 등을 포함하였다. 성인지 감수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주제를 가지고 제주지역의 콘텐츠 소재를 발굴하여 객관적인 통계자료와 관습적 생활모습과 역사, 사회문화 전반을 아울러 제주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찾고자 했다. 이 콘텐츠는 제주 지역의 성평등 문화에 대한 가치관을 지역 콘텐츠를 통해 현재 제주의 상황을 인지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교육에 참여하는 대상이 제주지역 교육 콘텐츠를 성평등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고자 하는 것이 이 콘텐츠 구성의 최대 목표이다.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mployees in related fields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in Jeju.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explored in Jeju’s natural environment, Jeju folklore, words and writings, history, and living culture, and the content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Jeju was developed and utilize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was sele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materials that can gain empathy in the region, and the education plan was organized in the form of an activity site so that local contents on various topics could be utilized in the field. The selection of materials for local educational content included Jeju’s language, tales, women and women in history, and statistical data that could persuade residents based on objective data, as well as opinions from experts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With a theme that can foster gender sensitivity, the government sought to obtain objective statistical data, customary living patterns, history, and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eju alone by discovering content materials in Jeju. This content is design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reflect on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ulture in Jeju through local contents. The main goal of this contents is to make education contents in Jeju consider gender 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