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9 한국지역문학연구 Vol.8 No.1
박태일은 지역문학 연구의 개척자이다. 그는 20여년에 걸쳐 지역문학자료들을 수집하여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그의 연구가 미친 지역은 경남 지역부터 제주도, 전라도, 경북, 북한, 만주까지 넓다. 그는 전국을 돌아다니며 모은 자료들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문학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지역의 자료들이 발굴되고 조명되어야 할 이유를 증명하였다. 박태일은 지역문학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학자적 정체성을 수립하였다. 그는 미개척 상태였던 지역문학연구를 개척하고 그 성과를 여러 권의 연구서, 산문집, 전집 등으로 발간하였다. 그는 지역문학을 연구하는 학회를 창립하고, 지역문학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입안하여 한국의 지역문학연구가 활성화되도록 이바지한 선구자이다. Park Tae-il is one of the most leading researchers of local literatures. He has collected, classified, and organized local literary materials for over two decades with the extensive research coverage reaching as far as Gyeongnam, Jeju, Jeolla, Gyeongbuk, North Korea, and Manchuria. He has successfully proved why these materials deserve to be discovered and illuminated by meticulously analyzing them and granting literary values to them. The study of local literatures allowed Park Tae-il to build his scholarly identity. He pioneered digging into the relatively untapped field of local literature and compiled his accomplishments in a number of books, including academic book, collection of proses, and complete collection. He also established a research institute dedicated to studying local literatures and contributed to revitalizing studies of local literature in Korea by developing a unique research methodology as to local literature, solidifying his reputation as one of the leading pioneers in studies of local literature.
러시아 지방의 지역별 범주화를 통한 연구방법의 모색:83개 연방주체를 중심으로
황성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Russia is a federal state consisting of 83 federal subjects. Each subject might be called as an independent unit and has its own historical, cultural and economic indigenous characteristics. Thus this article explores some useful research methodologies through categorizing Russian regions. Due to conceptual ambiguity, arbitrary regional divisions, and lacks of original research methodologies, area studies have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Paradoxically, however, scholars who related to area studies have also merits to define regional concepts in creative ways. In additions, it is possible for scholars conducting area studies to employ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from many disciplines. Area studies on Russian locality, namely, on 83 Russian federal subjec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correspond exactly to practical purpose of area studies. Because area studies are to aim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gions. Secondly, area studiers have to implement field research with thorough advance preparations. Thirdly, scholars nee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using of various sorts of concepts and methodologies. Final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include some specific information which help policy-makers for Korean government pursuing national interest. 지역연구는 태생적으로 개념의 모호성과 인위적 지역구분이라는 자의성의 한계를 띠고 있으며, 명확한 연구방법이 부재하다는 비판도 받아 왔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지역연구는 모호성과 자의성을 통해 좀 더 자유로운 지역 개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연구방법 역시 모든 분과학문의 연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러시아 지방연구, 즉 83개 연방주체에 대한 지역연구는 첫째, 해당지역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기본과제로 하는 지역연구의 실용적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둘째,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한 현지조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모든 분과학문의 개념과 연구방법을 포괄할 수 있는 다분과학문적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넷째, 전략적으로 우리나라의 대러시아 정책입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함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적 재구성’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민해야 할 점은 지역연구는 흔히 말하는 사회과학 전공자들만이 수행하는 작업이 아니라, 어학과 문학을 포함한 모든 분과학문 전공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학문 영역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지역연구가 정체성을 의심받은 이유는 학문 외적인 논리에 따라 발생한 지역연구가 명확한 학적 경계를 갖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특히 ‘지역연구’가 아닌 ‘지역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경우에, 각각의 분과학문전공자들은 자신의 학문적 영역을 지키기 위해 배타적 시각으로 지역연구를 배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배타성은 비단 국내에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어느 나라에서든 존재했던 현상인데, 학문적 필요가 아닌 정책적 필요에 의해 발생한 지역연구의 태생적 한계가 이러한 학문적 편견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중요한 사실은 지역연구가 정책적 필요에 따라 발생한 학적 체계임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지역연구는 무엇보다도 모든 학문의 공통분모, 혹은 교집합이라는 인식론적 합의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 연구센터의 연구개발성과에 관한 연구: 지역대학의 선도연구센터(S/ERC)와 지역혁신센터(RIC)의 성과를 중심으로
이슬기(Lee, Seulgi)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계의 관점에서 지역의 연구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 지역대학에 설치된 선도연구센터와 지역혁신센터에 초점을 맞추어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했다. 패널회귀모형을 구성하여 독립변수인 선도연구센터와 지역혁신센터의 수가 지역의 연구개발성과인 특허출원 수, 특허등록 수, SCI등재 논문 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지역대학이 선도연구센터를 유치하는 것은 지역의 특허출원 수, 특허등록 수, SCI등재 논문 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역혁신센터는 특허등록 수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대학의 선도연구센터와 지역혁신센터는 지역의 연구개발성과에 긍정적이었고, 각 연구센터의 성과가 센터만의 성과가 아니라 지역에도 파급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들 센터가 지역혁신체계 내에서 갖는 중요성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R&D performance in a region i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Focusing on the It investigates this relationship empirically Science/Engineering Research Center(S/ERC) and Regional Innovation Center(RIC) established in regional universities. The panel regression model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s, which is the number of S/ERC and RIC, on the outcomes of regional R&D including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patent registrations, and SCI publications. The analysis reveals several results. Firstly, S/ERC to the region had a positive impact on all aspects of the regions R&D outcomes, including patent applications, patent registrations, and SCI publications. Secondly, the number of RIC ha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number of patent registrations on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RC and RIC, which are established in regional universities, play a crucial role as the R&D hubs in the RIS. The performance of these centers had an extensive effect impact on the region. The autho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ERC and RIC within the RIS.
대전광역시 감면조례에 의한 지방세 감면 타당성 검토 :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감면
허등용 한국지방세연구원 2017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17 No.13
Ⅰ. 서론 □ 연구목적 ○ 본 보고서는 대덕연구개발특구지역(이하 대덕특구)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중인 대전광역시 감면조례 제8조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감면 기간 연장의 타당성을 평가 분석함. - 지방자치단체는 서민생활지원, 농어촌 환경개선, 대중교통 확충 지원 등 공익을 위하여 지방세의 감면이 필요하다고 인정되거나, 특정지역의 개발, 특정산업ㆍ특정시설의 지원을 위하여 조례에 의한 지방세 감면을 할 수 있음(지특법 제4조). - 다만, 지방세 감면이 방만하게 운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방재정의 건전화를 도모하기 위해 연평균 10억 원 이상의 조례 감면에 대한 심의 규정을 두고 있음. - 대전광역시에서 현재 시행중인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취득세 감면액은 연평균 10억 원을 상회함에 따라 기간 연장의 타당성 분석이 필요함. ㆍ 대전광역시 시세 감면 조례 제8조 연구개발특구에 대한 취득세 감면규모는 2014년 1억 원, 2015년 108억 원, 2016년 50억 원으로 연평균 감면액은 53억 원임. ㆍ 현재 시행중인 감면규정에 따르면 특구개발사업의 시행자가 연구개발특구지역을 개발 조성하여 분양ㆍ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 및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직 접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를 면제하고 있음. ㆍ 특구에서 첨단기술기업, 연구소기업, 외국인투자기업 및 외국연구기관이 고유 업무 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 취득하는 부동산 취득세를 면제함. - 대덕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부동산 취득세 감면기한이 2017년 12월 31일로 일몰 예정임. ○ 본 보고서의 궁극적 목적은 국가적 정책과제를 지방세 감면제도를 통해 효율적으로 지원함과 동시에 지방재정의 건전한 운영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제언을 제공하는데 있음. Ⅱ. 연구개말특구지역 연역 및 현황 □ 연구개발특구지역 연역 ○ 한국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과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1970년대 국가 연구개발단지로서 대덕 연구단지를 조성함. - 1980년대에는 대덕연구단지 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입주가 시작되며 연구기반이 확충되기 시작함. - 1990년대에는 민간기업연구소 입주가 확대되었으며 사ㆍ학ㆍ연 연계의 토대가 마련되었음. - 2000년대에는 과학기술 네트워크 및 연구개발형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었으며 첨단 기업들의 입주가 증가함. ㆍ2005년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으며 대덕특구 출범 및 특구지원본부가 설립됨. ○ 최근 연구개발특구지역은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선도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함. - 2011년 제2차 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 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광주, 대구에 연구개발특구가 추가로 지정됨. - 2012년「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되어 시행되었으며, 부산 특구가 추가 지정되었으며, 2015년 전북특구가 지정되었음. □ 연구개발특구지역 일반현황 ○ 현재 다섯 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연구개발특구는 첨단기술 기반 창업 활성화 및 안정적 기업 성장을 통한 고용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높은 경제적 성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연구개발특구 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체 수는 2005년 687개에서 2015년 4,330개로 약 6.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연구소 기업의 경우에는 2006년 2개에서 2017년 4월 현재 400개로 20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연구개발특구의 매출액은 2005년 2조 5,639억원에서 2015년 44조 1,211억원으로 17.2배 증가하였으며 고용현황도 2005년 23,558명에서 2015년 말 175,214명으로 7.4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또한 과학기술의 창출ㆍ활용ㆍ확산 극대화를 위한 지역적 역량 결집으로 인하여 연구개발특구 지역 내의 연구개발 성과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대덕연구개발특구 현황 ○ 대덕연구개발특구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새로운 개념 정립 및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제정을 통해 국가혁신체제의 모범사례를 창출하고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음. - 대덕특구 지역의 입주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2005년 총 744개였던 입주기관은 2015년 1,705개로 증가하였음. - 대덕특구지역 내의 근무 인력의 경우 2005년 23,558명에서 2015년 67,696명까지 증가 하였으며 연구기술직 및 생산직, 관리직 등이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대덕특구 지역에서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2015년 국내 특허 및 해외특허를 각각 116,998건, 57,273건 출원하였으며 1,577건의 기술을 이전 시키는 등 높은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음. ○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연구개발 측면에서 질적 성장을 이루었으며,산업생태계 측면에서 매출액 및 기업수가 증가하였고,연구 인프라측면에서 입주기관과 연구 인력이 증가하였음. □ 연구개발특구지역 감면 현황 ○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감면 조례 - 현재 연구개발특구지역은 대전, 광주, 대구, 부산광역시, 전남 및 전북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관할지역에서는 시세감면조례를 통하여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취득세 100% 감면을 지원하고 있음. - 감면대상은 ① 특구개발사업의 시행자가 연구개발특구지역을 조성하여 분양ㆍ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 ②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 또는 ③ 특구에서 첨단기술기업, 연구소기업, 외국인투자기업 및 외국연구기관이 고유업무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 취득하는 부동산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전라북도 및 경상북도를 제외한 대전, 부산, 대구, 광주, 전라남도의 경우 시세ㆍ도세감면 조례에 따른 취득세 감면은 2017년 12월 31일로 일몰이 도래함. ㆍ전라북도의 도세감면조례의 경우, 2018년 12월 31일에 일몰이 도래하며, 경상북도의 경우, 2019년 12월 31일에 일몰이 도래함 ○ 대덕특구에 대한 시세 감면조례2) 대덕특구는 대전광역시 시세감면조례를 통해 취득세 100%를 감면받고 있으며 2017년에 해당 조문에 대한 일몰이 도래함.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시세ㆍ도세 감면조례 중 가장 먼저 신설되었으며,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13년간 감면 혜택을 지원하고 있음. ○ 대덕특구에 대하여 최근 3년간 총 1,609건,159억원의 감면으로 연평균 53억을 감면하였음. - 2014년 총 감면건수 3건,감면액 1억 원이었으나 최근 3게 증가하여 2015년 감면건수,962건, 감면액 108억원,2016년에 감면건수 644건,감면액 50억원인 것으로 나타남. Ⅲ. 감면타당성 정가 □ 병가대상 감면신청 내용 ○ 대전광역시 감면조례 제8조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감면 - 본 보고서에서 수행하는 감면타당성 검토는 대전광역시 감면조례 제8조에 따른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취득세 감면연장을 대상으로 함. ㆍ특구개발사업의 시행자가 연구개발특구지역을 개발 조성하여 분양ㆍ임대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 및 연구개발특구진홍재단이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 면제 ㆍ특구에서 첨단기술기업, 연구소기업, 외국인투자기업 및 외국연구기관이 고유업무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 취득하는 부동산 취득세 면제 -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한 감면은 2005년 11월 25일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2017년 12월 31일에 일몰기간이 도래함. - 대전시에서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해당 감면을 연장하고자 함. - 2014년 ~ 2016년 동안 연평균 감면액은 53억으로 향후 감면기간 동안 발생할 연평균 감면액이 10억원을 상회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으므로 지특법상 외부기관에 의한 타당성 평가 분석이 필요함. □정책성 병가 ○ 정부는「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연구 개발특구 및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설립 중임. 이를 통해 정부는 기초과학 연구수행 및 연구성과를 비즈니스와 연계하고 국가미래성장 동력 창출에 기여하고자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관련 사업을 국정과제로 추진 중임.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서는 다수의 연구소와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할 것임. - 지방세 감면 등 조세지원을 해줄 경우 입주기업의 세 부담을 경감시켜 이들이 해당 지역에 입주할 인센티브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이에 따라 중앙정부 정책과의 조화 및 지원차원에서 대덕특구에 대한 감면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됨. □ 재정 및 경제적 영향 평가 ○ 대덕특구에 대한 감면연장은 취득세와 보통교부세를 감소시키는 재정적 영향과 대전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평7]할 수 있음. - 감면을 해줄 경우 감면액 10억원당 취득세 10억원 감소, 보통교부세 1.8억원 감소로 지방 재원은 11.8억원 감소함. 감면액이 연구개발 또는 과학기술서비스 부문에 투자될 경우, 감면액 10억원당 부가가 치, 생산물세, 기타 생산세 창출효과는 6억원 ~ 7.4억원, 고용은 14~15명 창출될 것으로 추정됨. - 연구개발 등에 대한 투자는 당해에만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누적되어 발생하므로 본 추정보다 더 큰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음. ○ 또한,위의 효과는 감면연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특구지역 내 기업의 투자이탈 방지효과 및 추가적인 신규 기업 유치 효과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때 본 추정보다 더 큰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음. ○ 추가적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경우 국가 전체적으로 총요소생산성을 증가시켜 GDP 잠재성장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 기초연구의 지식스톡이 1% 증가하면 국가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은 0.46~0.3%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음. □ 감면연장에 대한 검토의견 ○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감면 타당성 평가에서는 정책성,지방재정 및 지역경제 영향평가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임. 정부의 국정과제인 기초과학 발전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방세 감면을 통해 연구소와 기업이 투자하거나 입주할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 취득세를 감면해줄 경우 입주예상 기업의 투자 증대를 통해 발생하는 부가가치, 순생산물세,기타생산세 유발효과는 감면액보다 작지만,양질의 고용이 창출되며, 대덕특구내로의 신규 입주기업이 증가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감면액을 크게 상회할 가능성이 있음. 연구개발 투자 성과의 누적성,타 특구지역으로의 투자이탈 방지효과,대덕특구지역 내의 신규 기업 유치 가능성을 고려하면 대전지역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는 이러한 추정치 보다 더 크게 발생할 것이라 예상됨. ○ 타 지역에서도 조례를 통해 연구개발특구지역에 대해 취득세 100% 감면혜택을 제공하고 있음. 부산,대구,광주,전남은 대전과 동일하게 2017년 12월 31일에 일몰이 도래하지만 일몰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으며,전북과 경북의 경우 일몰 도래기간이 1~2년 남은 상태임. - 이들 지역은 취득세 100% 감면을 해주더라도 최소납부세액 15%를 징수하므로 실질적인 취득세 감면혜택은 85%임. ○ 이를 종합하였을 때 대덕특구에 대한 취득세 감면을 연장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판단됨. 대덕특구의 취득세 감면율을 현행 100%를 유지하며,새로 설정되는 감면의 일몰기한은 2020년 12월 31일로 함.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이성호(Lee Sung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통합 창원시 출범 이후 최근 10년간 ‘창원’이라는 지역이 연구대상으로서 어떠한 관점과 주제로 다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연구’를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특정 활동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한 학술연구 전체로 정의하고, 창원이라고 하는 지역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 현황과 변화의 동향 전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행정구역 통합 이후의 창원시를 내·외부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통합 창원시의 지역성이 어떠한 방향으로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활용된 지역연구 성과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록된 정규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 10년간 창원 지역연구는 지역개발 관련 분야와 행정학을 중심으로 한 사회과학과 역사학 중심의 인문학 등을 기반으로 연간 30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마산, 내용적으로는 행정구역 통합과 마산만, 항만 등의 연안해양도시의 특성이 연구 동향에서 두드러지며, 특히 지역 내 주요 대학의 연구비 지원을 받은 지역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관심과 이슈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창원 지역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정체 내지는 침체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인문학 분야의 감소와 행정구역 통합 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특정한 주제나 지역특성이 부각되지 않아 시기별로 연구 성과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즉 아직까지 창원시는 행정구역에 따른 지역성의 새로운 변화양상이나 이에 따른 지역연구의 새로운 흐름이 전개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연구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창원 지역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합 이후 유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지역성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100만 대도시로서의 현재의 다양한 삶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을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외부 연구자와 신규 연구자들을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지원사업의 모색과 지역자료 구득을 위한 연구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새로운 연구자들이 창원이라는 지역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gional studies for the recent ten years in Changwon after launching a consolidated administrative district. This study defined regional research as entire academic research targeting specific activities or groups within a particular region and identified the trend of recent research papers in Changwon.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examined how Changwon is recognized internally/externally after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and which direction Changwon’s regionality forms. Regular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n academic journal citation index(KCI) from 2010 to 2019 were reviewed for the analysis. In the past ten years, more than 30 research papers about Changwon’s regional studies have been successfully conducted per year based on Social Sciences centering around regional planning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Humanities centering around history. Masan region was investigated remarkably on a local ba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and maritime cities were examined prominently on a content basis. In particula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nd funded by local universities have made successful results.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regional research in Changwon has been stalled or declined, although increased attention and issues in the region.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uccessful research results largely fluctuated due to reduced studies in the humanities field and lack of attention to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n other words, Changwon has not yet discovered new flows of regional studies and new localities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t entails a difficulty of vitalizing Changwon’s regional studies. Henceforth, an establishment of a systemically combined new locality emerging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should be preceded. Particularly, contemplating regionality reflecting the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esent living space as a metropolis of a million population is needed. In addition, vigorous support, such as diverse support projects and construction of research databases, should be employed in order to bring external and new researchers consistently and engage researchers’ interest in Changwon.
국가연구개발사업과 지역 불균형의 재생산 :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의 정책연계 활동을 중심으로
박세준(Park, Sei-Joon),김종길(Kim, Jong-Kil) 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학 Vol.23 No.1
It has become importa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R&D level and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research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regional imbalance are in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mbalances and regional imbalances, which are deepening in the field of R&D, and their reproduction mechanisms, are major tasks of community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R&D projects on the reproduction of regional imbalance structures, focusing on the policy use of the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Support Program(hereinafter referred to as SSK), one of the major national R&D projects. To this end,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status of university orders for research funds, the status of support for research funds from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research funds for SSK, policy linkage, and policy activities by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ceived an overwhelming amount of research funds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produced a high level of research results. In particular, the SSK project, which aims at social and policy reflux of research results, shows a more serious concentration phenomenon in the metropolitan area. As shown in the case of the SSK project, the gap in R&D costs by region leads to differences in research capabilities of universities located in the region, and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olicy knowledg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region. In a knowledge-based society wher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knowledge are emphasized more than ever, regional R&D cost gaps can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for reproducing and deepening regional imbalances. 연구개발 수준과 지역발전 간 상관성이 중요해졌다. 하지만 연구개발과 지역불균형의 관계에 관한 연구성과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개발 분야에서 심화하는 지역차이 및 그것과 지역 불균형의 관계, 그리고 그 재생산 기제를 밝히는 작업은 지역사회학 연구의 주요 과제이다. 이 연구는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하나인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의 정책적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사업이 지역 불균형구조의 재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국내 대학 연구비 수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정책연계, 정책활동 등의 지역별 현황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연구비를 수주하고 있었고 더불어 높은 수준의 연구성과를 산출하고 있었다. 특히 연구성과의 사회적·정책적 환류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에서는 더 심각한 수도권 편중 현상을 보였다.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사례에서 보듯이 지역별 연구개발비 수주 격차가 지역 소재 대학의 연구역량 차이, 더 나아가 지역에서 생산·유통되는 정책지식의 양과 질의 차이를 초래한다. 지식의 가치와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역별 연구개발비 격차가 지역 불균형을 재생산하고 심화하는 주요 기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 : 전주시를 사례로
노영순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3 地理學論叢 Vol.69 No.-
현재 지역이 처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를 가지고 위하여 지역의 역사와 장소성, 주민들의 삶에 방식에 대한 고찰, 현재 처한 여건과 미래전망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에 관련 학계나 연구 집단은 물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지역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카데미즘에 입각한 회고적 접근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앞으로 지향해야할 지역연구의 접근방향은 역사·지리·문화·경제 등 다분야간의 융합을 꾀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 지역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의 사례를 통해 현 시점 지역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기억(Remembrance), 회복(Resilience), 재생(Regeration) 등 ‘3R’로 규정하고 지역정책과 지역연구 간의 선순환 관계를 제시한다.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oblems of the region and hav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placeness of the region, the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prospect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fore,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is increasing not only in related academic and research groups, but also at the level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oving away from the criticism of retrospective approach based on academism, the approach direction of regional research that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should seek convergence among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conomy, and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basic premise. It should aim for ‘policy regional studies’ that actively responds to current issues. Through the case of Jeonju, this study def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regional research at the present time as ‘3Rs’ such as Remembrance, Resilience, and Regeneration, and presents a virtuous circl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licies and regional studies.
일본에서의 아태지역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송석원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8 아태연구 Vol.15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examine a trend of the Asia-Pacific research in Japan since modern nationalism setablished there. The main focus is on who has researched the Asia-Pacific region in Japan, why has studied it and which area has been studied so far. Also, I move on to examine who has helped the study and what precisely has done as a time order. By dwelling upon these examination, I will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ia-Pacific area study carried out in Japan. Edward Said has pointed out that an area study is an outgrowth of imperialism and the study itself is 'ugly neologism.' Said's opinion can be applied to the Asia-Pacific study during the pre-war period. The area study in Japan was for the purpose of the war under the theme of imperialism during the pre and inter-war period. As a result, the study mad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fying of the Asia-Pacific area and Japanese holding a prominent position. The study about the Asia-Pacific area in the post-war period pays attention to a power of Asia under reflection on pre-war period and shifts its work frame from 'domination' to 'living together.' Reorganization of the study system also gives an energy to the Asia-Pacific area study. 본 연구는 근대 민족주의 형성기 이래의 일본에서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의 동향을 역사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연구가 누가, 어떠한 의도로, 어떠한 정치적·정책적 고려 및 학문적 관심에 의해, 어떠한 지역을, 어떠한 시각으로, 어떠한 조력을 얻어, 구체적으로 동 지역의 무엇에 대해 연구하였는지를 시계열로 분석, 정리하고, 이러한 분석의 결과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를 도출해내고자 한 것이다. 지역연구가 제국주의 정책의 파생물로서 그 자체가 ‘추악한 용어’라는 사이드의 지적은 전전(戰前, pre-war)기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전기 및 전간o(戰間, inter-war)기, 일본의 아태지역연구는 제국주의적 전쟁 수행의 목적에 부응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그 당연한 귀결로서 아태지역의 정체성과 일본의 지배적 우월권의 확립에 이바지하였다. 전후(戰後, post-war) 일본의 아태지역연구는 전전기의 반성에 서서 아시아의 역동성에 주목하는 연구하는 한편, ‘지배’에서 ‘공생(共生)’의 모색이라는 연구 프레임의 전환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체계의 재정비가 아태지역연구의 새로운 활력이 되고 있다.
고선규(Seon Gyu Go)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3 국제지역연구 Vol.7 No.1
본 논문은 일본 지역연구의 방법론과 연구경향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정치학적 분석에 주목하여 각 지역별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지역연구의 대상, 방법론 그리고 지역연구자 집단의 변화 등을 살펴보고 최근에 진행되어 온 지역연구의 경향 변화에 대해서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본정치학에서 지역연구는 발전도상국에 대한 연구 내지는 제3세계에 대한 연구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의 결과, 주로 정치발전론, 근대화론, 제3세계론 등의 형태로 연구되어 왔다. 1980년대 이후, 분석방법에 있어서 일본정치학은 전통적으로 역사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서술적 설명이 주류를 형성하여 왔으나 일본형다원주의자의 등장으로 인해 계량적, 실증적 연구방법이 증가하게 되었다. 지역연구 동향을 각 지역별로 살펴 본 결과, 정치학계에서는 여전히 유럽 지역연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이 동아시아 지역연구가 많다. 그리고 국제정치학 분야에 한정해 보면, 동아시아지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북미지역연구가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동향은 일본과 지리적 문화적 인접성과 군사 안보적 의존은 물론 경제적 이해관계가 밀접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methodology in area studies and its trend in Japan. In particular, this paper traces empirical data in analysing the existing area studies in Japanese political science. Until recently, area studies in Japan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Third World. Especially, theories of political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have been main concerns of many scholars in Japan. It was not until the 1980s that a series of area studies with empirical and quantitative analyses have been accepted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in Japanese politics. Until the early 1980s, a descriptive and historical explanation has long been accepted as a traditional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found that the main concerns of Japanese area specialists have been given to European countries followed by East Asian countri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area studies were focused on East Asian countries followed by North American areas. These trend reflects Japan`s traditional concerns on military security and regional economic relations with its neighbouring countries.
강원지역의 민속 연구 현황과 과제 -구비전승 분야 ‘설화’ 연구를 중심으로-
박현숙 ( Park Hyeonsuk ) 남도민속학회 2024 남도민속연구 Vol.49 No.-
이글에서는 강원도 18개 시군의 설화 자료를 기반으로 한 설화 연구 현황을 미시적, 거시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강원지역 설화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강원도 지역별 설화 기초자료 수집 및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지역과 관련된 인물, 자연, 사물 등의 지역별 특정설화의 집중 연구, 지역설화와 연계한 축제 및 콘텐츠 개발 연구 등의 미시적 연구 그리고 강원권역 설화의 거시적 종합 연구도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다만, 특정설화 연구와 연구 대상 지역의 편중성 문제, 그리고 연구 내용의 중복 문제와 설화 기초자료 접근의 한계는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강원지역 설화 연구의 양적,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연구 대상 설화의 자료 발굴 및 연구의 다양성 확보, 강원지역 설화의 기초자료 DB화 및 통합플랫폼 구축, 강원지역 설화 연구 인력 확보 및 양성을 제안하였다. 향후 강원지역의 설화 연구를 위한 실제적인 실현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folktale research based on folktale data from 18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at a micro and macro level, and presented future tasks for folktale research in the Gangwon region. Gangwon Province is a region where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on folktales for each region are relatively active. In addition to micro-level studies such as intensive research on regional-specific folktales such as characters, nature, and objects related to the region, and research on festivals and content development linked to regional folktales, comprehensive macro-level research on folktales in the Gangwon region was also conducted extensively. However, issues such as bias in research on specific folktales, bias in the region being studied, duplication of research content, and limitations in accessing basic data for folktales are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in the future.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nhance and revitalize folktale research in the Gangwon region, this study proposed ways to discover data on folktales to be studied, secure research diversity, create a basic database and build an integrated DB platform, and secure and train research personnel. Based on this study, practical implementation ways for future research on Gangwon region folktales will need to be s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