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아태지역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송석원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8 아태연구 Vol.15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examine a trend of the Asia-Pacific research in Japan since modern nationalism setablished there. The main focus is on who has researched the Asia-Pacific region in Japan, why has studied it and which area has been studied so far. Also, I move on to examine who has helped the study and what precisely has done as a time order. By dwelling upon these examination, I will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ia-Pacific area study carried out in Japan. Edward Said has pointed out that an area study is an outgrowth of imperialism and the study itself is 'ugly neologism.' Said's opinion can be applied to the Asia-Pacific study during the pre-war period. The area study in Japan was for the purpose of the war under the theme of imperialism during the pre and inter-war period. As a result, the study mad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fying of the Asia-Pacific area and Japanese holding a prominent position. The study about the Asia-Pacific area in the post-war period pays attention to a power of Asia under reflection on pre-war period and shifts its work frame from 'domination' to 'living together.' Reorganization of the study system also gives an energy to the Asia-Pacific area study. 본 연구는 근대 민족주의 형성기 이래의 일본에서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의 동향을 역사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연구가 누가, 어떠한 의도로, 어떠한 정치적·정책적 고려 및 학문적 관심에 의해, 어떠한 지역을, 어떠한 시각으로, 어떠한 조력을 얻어, 구체적으로 동 지역의 무엇에 대해 연구하였는지를 시계열로 분석, 정리하고, 이러한 분석의 결과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를 도출해내고자 한 것이다. 지역연구가 제국주의 정책의 파생물로서 그 자체가 ‘추악한 용어’라는 사이드의 지적은 전전(戰前, pre-war)기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전전기 및 전간o(戰間, inter-war)기, 일본의 아태지역연구는 제국주의적 전쟁 수행의 목적에 부응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그 당연한 귀결로서 아태지역의 정체성과 일본의 지배적 우월권의 확립에 이바지하였다. 전후(戰後, post-war) 일본의 아태지역연구는 전전기의 반성에 서서 아시아의 역동성에 주목하는 연구하는 한편, ‘지배’에서 ‘공생(共生)’의 모색이라는 연구 프레임의 전환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체계의 재정비가 아태지역연구의 새로운 활력이 되고 있다.

      •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홍석준 ( Seok Jo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현대사회는 전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와 지역문화(local culture)가 공존하는, 복합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적 현상이 지배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지역연구``(area studies)에 대한 각별한 관심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류학에서 지역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의 역사는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인류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한 바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문화 전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온 문화인류학자들은 초창기부터 부족, 종족, 국가 단위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위를 지역연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것을 주창해 왔다. 그러나 지역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부족이나 종족, 국가 단위의 분류는 지역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사실상 협소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문화의 개념에 기초한 구분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지역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작으로, 지역연구와 문화인류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호남 지역문화`` 연구를 사례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향후 호남 지역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역연구로서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선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재해석을 요하는 일로,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 심화하기 위해선 지역문화를 다루는 다양한 학문 분야로부터의 다각적인 접근을 어떻게 통합 또는 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지역사회연구와 이민현상

        김혜순(KIM Hye Soon) 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학 Vol.16 No.3

        이주/) 이민현상에1) 내재된 지역성은 쉽게 공감되지만 지역사회 연구에서 관련연구를 찾기 어렵다. 그 이유로 선행연구의 편향성, 이민자/집단 중심의 연구와 자료, 접근방안 문제를 제기한다. 학술정치적 대안은 중심부(서구와 서울) 지향적 학술활동이 아닌 지역에 '착종된' 연구며, 초기 이민현상 전개에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 정책에 대한 학술적 개입이다. 대안과 결론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자체 이민정책 내용분석과, 분석기준으로 정책과정에 작동하는 주요요인별 지역특성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국내 선행연구를 '지역사회연구에서 이주/이민'과 '이주/이민연구에서 지역'으로 분류해보면서 후자에 만연된 국내 지역현실의 식민화 경향을 지적한다. 둘째, 현 단계 국내 '지역사회연구에서 이민'현상의 연구대상 및 분석 자료로 지자체 이민정책의 적실성과 자료로서 갖는 한계점을 설명한다. 정책체계와 과정을 문건분석 및 참여관찰 결과로 소개하면서 중앙과 지자체의 역학관계를 구조-행위성논의로 접근할 여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자체 이민정책의 분석과 평가에 '지역성 반영' 이라는 기준을 활용하되 지역성이 분석차원으로 구체화되지 못했음을 감안하여 정책과정에 작동하는 요인의 지역적 특성 확인, 이것이 정책내용에 반영된 정도 분석, 이들의 지차체간 비교분석을 제안했다. 지역 연구자에게 기대되는 학술정치적 개입을 강조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Locality that is inherent in migration phenomena is readily recognizable, but is a subject rarely discussed in local studies in Korea. This paper argues the paucity is related to the Western and Seoul-centric perspective, and lopsided focus on immigrants and immigrant groups only in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A politico-academic alternative is called for: to adopt local-embeddness over metropole-centric orientation; and to intervene in the immigration polices which often lead the formation of immigration reality itself, especially during its initial, unfolding stage. To substantialize these suggestions, this research proposes content analyses of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nd evaluation of its local specificity that is expected to be reflect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es.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prevalent colonial orientation towards the local periphery, which is particularly manifest in domestic literature on locality with Western migration research framework. Then, with document analyse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of the policy system and process,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s the subject and data of analysis is introduced, and limitations as a data is discussed. Most noteworthy relevance of the data i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tructure-agency approach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astly, a proposal is made for 'locality check' i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operationalizing "locality," conceptual schemes of locality are presented, based on which local policies can be evaluated and compared across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the call for politico-academic intervention of local studies researchers in policy making processes.

      • KCI등재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이성호(Lee Sung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통합 창원시 출범 이후 최근 10년간 ‘창원’이라는 지역이 연구대상으로서 어떠한 관점과 주제로 다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연구’를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특정 활동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한 학술연구 전체로 정의하고, 창원이라고 하는 지역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 현황과 변화의 동향 전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행정구역 통합 이후의 창원시를 내·외부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통합 창원시의 지역성이 어떠한 방향으로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활용된 지역연구 성과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록된 정규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 10년간 창원 지역연구는 지역개발 관련 분야와 행정학을 중심으로 한 사회과학과 역사학 중심의 인문학 등을 기반으로 연간 30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마산, 내용적으로는 행정구역 통합과 마산만, 항만 등의 연안해양도시의 특성이 연구 동향에서 두드러지며, 특히 지역 내 주요 대학의 연구비 지원을 받은 지역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관심과 이슈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창원 지역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정체 내지는 침체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인문학 분야의 감소와 행정구역 통합 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특정한 주제나 지역특성이 부각되지 않아 시기별로 연구 성과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즉 아직까지 창원시는 행정구역에 따른 지역성의 새로운 변화양상이나 이에 따른 지역연구의 새로운 흐름이 전개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연구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창원 지역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합 이후 유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지역성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100만 대도시로서의 현재의 다양한 삶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을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외부 연구자와 신규 연구자들을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지원사업의 모색과 지역자료 구득을 위한 연구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새로운 연구자들이 창원이라는 지역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gional studies for the recent ten years in Changwon after launching a consolidated administrative district. This study defined regional research as entire academic research targeting specific activities or groups within a particular region and identified the trend of recent research papers in Changwon.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examined how Changwon is recognized internally/externally after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and which direction Changwon’s regionality forms. Regular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n academic journal citation index(KCI) from 2010 to 2019 were reviewed for the analysis. In the past ten years, more than 30 research papers about Changwon’s regional studies have been successfully conducted per year based on Social Sciences centering around regional planning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Humanities centering around history. Masan region was investigated remarkably on a local ba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and maritime cities were examined prominently on a content basis. In particula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nd funded by local universities have made successful results.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regional research in Changwon has been stalled or declined, although increased attention and issues in the region.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uccessful research results largely fluctuated due to reduced studies in the humanities field and lack of attention to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n other words, Changwon has not yet discovered new flows of regional studies and new localities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t entails a difficulty of vitalizing Changwon’s regional studies. Henceforth, an establishment of a systemically combined new locality emerging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should be preceded. Particularly, contemplating regionality reflecting the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esent living space as a metropolis of a million population is needed. In addition, vigorous support, such as diverse support projects and construction of research databases, should be employed in order to bring external and new researchers consistently and engage researchers’ interest in Changwon.

      • 강원 지역 문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 : 좌표와 연구 방향의 재설정을 위하여

        서준섭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2005 강원문화연구 Vol.24 No.-

        본고는 지구화, 지방화 시대의 강원 지역 문화 연구의 좌표와 연구 방향 재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오늘날 강원문화 연구는 1) 역사와 전통 연구, 2) 현대 문화 연구, 3) 지역 문화 정책과 관련된 연구 등으로 대체로 세 가지 주제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가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강원문화 연구는 ‘무엇을 위한 강원 문화 연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연구의 대상과 목표를 재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문화는 우리를 만들고, 우리는 문화를 만든다’는 두겹의 시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필요하다. 1) 과거의 기억의 복원과 잊혀진 가치의 발굴을 위한 연구, 2) 주민의 일상 생활 이해를 목표로 한, 현금의 강원 문화의 실상 연구, 3) 일상 생활에서의 주민들의 창조성 제고와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문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 4) 환경과 자기 존재를 연결시키는 문화를 창조하기 위한 연구, 5) 문화발전과 지역 발전을 연계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6) 미래의 지역문화 구상과 정책수립을 위한 연구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강원문화 연구를 재구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 지역주의와 지방성의 극복을 위해 연구 주제에 대한 관심 전환과 시야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 문화에 대한 전문가와 인력이 크게 확충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참여와 제휴에 의한 학제간의 연구 등의 통합적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의 전반적 문화 수준을 높이는 연구를 지역 문화 연구의 잠정적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 필요한 지역 문화 연구는 문화의 개념을 확대하는 문화연구가 필요하다. 강원지역 문화의 현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지역 문화연구, 지금까지의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문화연구,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문화 담론의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후보

        거시적 지역사회실천과 실천통합적 연구의 모색: 포괄적 지역사회실천·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이론기반 평가

        김가율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4 미래사회복지연구 Vol.5 No.1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회 수준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거시적 성격보다는 지역사회의 자원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구성원 개인과 가족을 돕는 미시적 성격의 실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은 거시적 수준의 지역사회 변화를 위한 실천과연구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에서 ‘포괄적 지역사회실천(CCIs)’, 그리고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CBPR)와 변화이론기반 평가연구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포괄적 지역사회실천’은 살아서 움직이고 변화하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따라서 실천의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포괄적이며 다층적이고 진화적인 특징을 지닌다. 지역사회 기반연구와 이론기반 평가연구 방법은 전통적 연구 방식이 ‘포괄적 지역사회실천’의 이러한 특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없다는 비판에서 대안적으로 제시되고 있는연구 접근법이다. 이러한 방식의 지역사회실천과 연구방법이 한국의 현장에서 어떻게활용될 수 있을까에 대해서는 한층 더 심화된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의 아카이브 구축 환경 변화

        김정희,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1

        Recently, local studies looking at the 'local(region) as a whole'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study of local architectural histor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that encompasses the local and the entire and clues to three-dimensionalize the time and space in the local. To infer the 'presentness' of each era, reliable data in various fields are needed. Recently, as many databases (DB) and archives,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other local archives, have been established and publicized, research resources in the local are growing rapidly in quantity and quality.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check the data necessary to study the local architectural history(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firme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archive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 status and problems of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in places that currently disclose loc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among generalized web-archive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research on local architectural history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the data used for Jeju. As a result, local studies, local archives, and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agree with recent changes in local research trends, and the degree of archival construction has reached the same level as the available research resources except core data in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nsity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s low because the local architectural history research resources that can be obtained are fragmented because there are no archives and construction entities specialized in local architecture. As each archive has entered the stabilization and upgrading stage, the construction of new archives needs to be reconsidered, but it is time to find a detailed way to link related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such as private records, to reduce the gap in information needed in terms of research on local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history. 최근 '전체로서의 지역'을 바라보는 지역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역건축역사의 연구는 지역과 전체를 어우르는 구체적인 정보와 지역 내 시공간을 입체화하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에는 각 시대의 ‘현재성’을 유추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신뢰도 높은 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국가기록원부터 지역학 아카이브에 이르기까지 많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와 아카이브(Archive)가 구축되고 공개도가 높아지면서 지역 내 연구자원은 양적·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역의 건축역사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를 총체적으로 확인하는 일은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 범용화된 홈페이지 중 지역역사 연구자원을 공개하고 있는 곳을 대상으로 아카이브 구축 환경의 변화 추이와 그 안의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의 현황 및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지역건축역사 연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제주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 활용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역 연구와 지역 아카이브, 지역건축역사 연구는 최근의 지역학 연구 경향 변화와 동일선상에 있으며, 아카이브의 구축도는 지금까지 지역 건축역사연구에서 핵심 자료를 제외한 연구자원의 가용치와 동일한 정도에 도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지역건축에 특화된 아카이브와 구축 주체가 없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지역건축역사 연구자원이 파편화되어있어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밀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각 아카이브가 안정화, 고도화 단계에 들어선 만큼 새로운 아카이브의 구축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나, 지역건축건축역사 연구의 측면에서 필요한 정보의 공백을 줄여가기위한 민간기록 등 관련 정보의 강화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보 간 연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러시아 지방의 지역별 범주화를 통한 연구방법의 모색:83개 연방주체를 중심으로

        황성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Russia is a federal state consisting of 83 federal subjects. Each subject might be called as an independent unit and has its own historical, cultural and economic indigenous characteristics. Thus this article explores some useful research methodologies through categorizing Russian regions. Due to conceptual ambiguity, arbitrary regional divisions, and lacks of original research methodologies, area studies have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Paradoxically, however, scholars who related to area studies have also merits to define regional concepts in creative ways. In additions, it is possible for scholars conducting area studies to employ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from many disciplines. Area studies on Russian locality, namely, on 83 Russian federal subjec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correspond exactly to practical purpose of area studies. Because area studies are to aim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gions. Secondly, area studiers have to implement field research with thorough advance preparations. Thirdly, scholars nee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using of various sorts of concepts and methodologies. Final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include some specific information which help policy-makers for Korean government pursuing national interest. 지역연구는 태생적으로 개념의 모호성과 인위적 지역구분이라는 자의성의 한계를 띠고 있으며, 명확한 연구방법이 부재하다는 비판도 받아 왔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지역연구는 모호성과 자의성을 통해 좀 더 자유로운 지역 개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연구방법 역시 모든 분과학문의 연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러시아 지방연구, 즉 83개 연방주체에 대한 지역연구는 첫째, 해당지역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기본과제로 하는 지역연구의 실용적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둘째,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한 현지조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모든 분과학문의 개념과 연구방법을 포괄할 수 있는 다분과학문적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넷째, 전략적으로 우리나라의 대러시아 정책입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함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적 재구성’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민해야 할 점은 지역연구는 흔히 말하는 사회과학 전공자들만이 수행하는 작업이 아니라, 어학과 문학을 포함한 모든 분과학문 전공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학문 영역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지역연구가 정체성을 의심받은 이유는 학문 외적인 논리에 따라 발생한 지역연구가 명확한 학적 경계를 갖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특히 ‘지역연구’가 아닌 ‘지역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경우에, 각각의 분과학문전공자들은 자신의 학문적 영역을 지키기 위해 배타적 시각으로 지역연구를 배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배타성은 비단 국내에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어느 나라에서든 존재했던 현상인데, 학문적 필요가 아닌 정책적 필요에 의해 발생한 지역연구의 태생적 한계가 이러한 학문적 편견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중요한 사실은 지역연구가 정책적 필요에 따라 발생한 학적 체계임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지역연구는 무엇보다도 모든 학문의 공통분모, 혹은 교집합이라는 인식론적 합의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2010년대 수도권 대도시의 지역연구 동향 분석: 수원, 고양, 용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성호(Lee, Su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수도권의 수원, 고양, 용인시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의 지역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지역연구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사례로 살펴본 세 지역은 기본적으로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지역이라는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과학 분야를 위주로 수도권 소재 기관, 특히 대학 소속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지역연구가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10년간 특별한 변화양상이 나타나지 않는 고양과 용인에 비해 수원의 지역연구는 약 2배 이상 증가하면서 두 지역과의 격차를 확대하였는데, 특히 역사학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 분야의 강세, 지역 내 연구자, 연구기관 소속 연구자, 그리고 지역 내 기관의 연구비 지원 역할이 두드러졌다. 수원은 수원화성이라고 하는 지역 고유자산 이외에도 다양한 도시정책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활성화되는 한편, 지역연구기관의 설립을 통한 전문연구자의 증가와 학술지원사업 등으로 지역연구의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연구의 진흥을 위해 지역 기반 연구자의 확대 필요성과 함께 지역학의 학문 영역적 확대를 통해 종합적 지역연구로서 재정립하는 것 역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gional studies in the past ten years for Suwon, Goyang, and Yongin, and sought directions in order to vitalize regional studies. The regional studies of three cities were done mainly in the social science field and showed a trend tha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y researchers affiliated t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Goyang and Yongin, where there was no notable change in the past ten years, the number of Suwon"s regional studies has more than doubled. In particular, it is remarkable to notice that there were domination of humanities field research centered around historical studies, high numbers of local and institutional researchers, and sizable research fundings from local institutions. Suwon city established the scaffolding to vitalize regional studi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by supporting academic projects. Given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vid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regional study as a comprehens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y by expanding the academic scope.

      • KCI등재

        지역정보화연구 다시보기

        오철호(吳徹虎)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4 No.2

        앞으로 지역정보화연구의 관심은 단순한 이념적 또는 행정적 논쟁에서 사람중심의 현실적인 문제해결로 이전 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지역정보화를 공급자인 정부입장이 아닌 수요자인 정책대상집단의 입장에서 접근한다면 좋은 지역정보화란 특정한 기관에 의해 특정한 제도의 도입확산보다는 정책수혜자의 다양한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부합되는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정보화 연구 역시 특정한 관점 또는 분야에 집착하지 않고 정책대상집단의 니즈를 다양한 관점에서 신속하며 적합하게 분석하여 활용가능한 정책정보(예, 연구결과)를 창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볼 수 있다. 응용학문분야로서 지역정보화연구의 강점 중 하나는 다양한 관점과 가치를 흡수?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역정보화현상에 대한 연구를 다른 학문, 예컨대 사회과학내 세부 학문분야들 간의 융합을 토대로 수행한다면 지역정보화와 관련한 현상을 보다 포괄적이며 균형있게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논단은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즉, 디지털사회에서의 지역정보화연구에 대한 자기 성찰과 새로운 방향모색의 노력으로, 복잡한 사회현상인 지역정보화를 특정한 관점이 아닌 인접 사회과학의 다른 시각을 통하여 지역정보화 현상에 내재된 다양한 실체를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과학의 통섭적 또는 통합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Local informtization has long been a subject of research in social sciences. But recently its related research has been dominated by a specific perspective like Public Administration. This phenomenon may not be a constructive move to the growth of the field in terms of providing more balanced interpretations of reality and, thus, more relevant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What makes this situation more complicated is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ICT and its wide diffusion throughout the society. So one of urgent issues facing the field of local informatization is how to catch up with the rapid change in use of ICT in our daily lives and, more importantly, its implications for the quality of life for those living in local areas. This policy question asks for a new way of examining the reality, which leads to the so-called integrated understanding of phenomena germane to local informatiz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note attempt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how other fields like Sociology and Political Science try to view local informatization, more specifically, what are their understandings of it, what issues they've been interested in and how they've been studyi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