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지역사회에서 펼쳐지는 협동 조직 활동

        김정섭(Kim, JeongSeop),정유리(Jeong Yuri),유은영(You Eunyou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9 農村社會 Vol.29 No.1

        현상학적 사회학 전통에서는 흔히 농촌 지역사회를 일상에서 당연히 주어지는 소여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농촌 지역사회는 주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실재다. 어떤 의미에서는 한국 농촌에 지방 사회가 많이 있지만, 지역사회는 사라졌다고 말할 수 있다. 농촌 지역사회는 특정 지역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뭔가를 하려 할 때 비로소 인지되는 출현적 속성이다. 그 같은 출현적 속성의 연쇄가 긍정적 결과를 낳을 때, 이를 두고 ‘지역사회의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홍동면·장곡면 지역에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바탕으로, 협동조합 등 다양한 사회단체가 주도하는 집단행동의 지속적인 연결망 구축 과정으로서 농촌 지역사회의 발전을 서술했다. 조사·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민들은 지역사회에서 공유하는 서사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을 만든다. 둘째, 지역사회의 서사는 분화하거나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사의 변화와 함께, 지역사회 조직이 변화하거나 다른 조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 조직이 활동하는 장소는 지역사회 발전 과정에서 변화, 확대, 이동된다. 넷째, 외부와의 접촉은 종종 지역사회의 문제를 새로운 서사로 표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다섯째, 큰 규모의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사회가 대응하거나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면 지역사회 외부와의 연결망 또는 지역사회 내 대형 조직의 협력이 중요해진다. Rural communities are often regarded as a kind of what is given and identified with lifeworld in the tradition of phenomenological sociology. But a rural community is a socially constructed reality in residents" everyday lives. In a sense, we can say that there are many local societies in rural South Korea, but local communities have been disappeared. Rural community has an emergent property that is visible only when residents in a specific area tries to do something collectively. Therefore,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y stems from combining different collective actions, which has own purpose. Based on the interviews and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s at Hong-Dong and Jang-Gok areas, we tried to shape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y as a process of continuous unfolding web of collective actions, which are initiated by diverse community organizations such as cooperatives. Some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residents make community organizations to respond to community"s problem that were identified by the reference of community narratives. Second, the narratives in the community can be differentiated or reshaped newly. Along with those change of narratives, community organizations can be differentiated or transformed into another organization. Third, places on where community organizations acts are changed, enlarged, or moved i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Fourth, contacts with the outside agent often provide a chance at which the existing problems in community can be expressed by a new narrative. Fifth, facing the problem that the community responds or solve by mobilizing much resources, networking with some big community organizations or the outside actors from the community becomes the major challenge.

      • KCI등재

        지역사회조직과 연계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축 방안 :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용 전략을 중심으로

        황명주,김형수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of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Community Attire Council through the local network as a model of a social service. This is adequate to its local society based on the right understanding and critiques of the policies cultivating Community Attire Council in the view of a local government. Approaches to setting and using a network of a local communities a method for cultivation for community based Community Attire Council. The summary on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 for supporting and cultivating community based social enterprise are the following : First, the success of a Community Attire Council is possible when it is understood and there is activ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and its products and services are eventually purchased. Second, local government shall search for the abilities of non-government category and plan on how to connect to Community Attire Council. Third, active practice on cultivating Community Attire Council centered at a local community and the change of policies to transfer power of approval and support to a local government is advisable in the view of upbringing Community Attire Council that is adequate to a local society.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과정은 여전히 중앙 정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양적 성장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아래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정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중앙정부의 의존성에서 탈피하여 지방사회 주도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계층제적 거버넌스 형태에서 수평적 거버넌스 형태로의 전환을 통한 중개조직으로의 기능 변환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내재한 다양한 자원 동원을 위한 지역사회조직의 참여와 연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자원의 탐색과 발굴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연계시키기위한 정보제공, 조정 및 중개를 통한 행위자들의 연대를 촉진시키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는지역의 특성에 걸 맞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정착을 위해 지역사회 내의 자원 조사를 통한 실행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담부서의 설치와 각종 복지기관, 시민단체, 학계를 연결할 수 있는 구심점으로서 전문지원기관의 설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에 관한 연구

        김남숙 한국노년학연구회 2012 한국 노년학연구 Vol.21 No.-

        지방분권제도가 1991년 시작된 이후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사회복지 관련 업무가 지차체로 이양되었다. 2006년 사회복지사업법 의 개정으로 그 지역사회에 적합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독자성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지 발전 도모의 기본 조건이며 민ㆍ관의 파 트너십의 협업으로 형성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등 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지역사회 욕구를 파악하 여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요청하고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 초석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무엇보다 부산 해운대구라는 기 초지역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중 노인복지서비스를 위한 노 인들의 욕구조사, 지역사회에서 의미 있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도 자들의 의견, 노인복지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과 해운대 지역 의 노인복지관련 종사자들 중 기관장들을 중심으로 한 초점집단면 접, 그리고 해운대 지역의 노인복지관련 전문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3라운드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대 지역사회계획 중 노인복지계획을 위한 비전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목표를 제안했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이 되는 기관단체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협의회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0 공공정책연구 Vol.27 No.2

        본 글은 사회복지영역의 중심축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단체인 사회복지협의회(Council on Social Welfare)와 지역사회복지관(Community Welfare Center)의 발전과정 속에서 나타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영역의 가장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해온 기관은 사회복지협의 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대가 되면서 사회복지협의회는 커다란 혼란에 접어들게 된다. 바로 명칭도 유사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가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최근에는 광역시는 물론이고 일부 기초자치단체까지 지역복지재단의 건립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 내에 건립되고 있는 지역복지재단도 기존에 설립 운영되고 있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사회복지협의회가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예측된다. 또한 지역사회복지의 최일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도 최근에는 많은 수의 노인종합복지관이나 장애인종합복지관이 건립 운영되면서 일부지역에서는 업무의 중복으로 고민하고 있다. 때문에 보건복지부에서는 2010년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이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설치 운영과, 일부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 지역복지재단의 설립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지역 내에서 중복되는 당면과제와 업무의 문제점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지역사회복지관도 2010년도에 진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관한 연구와 모델사업이 앞으로 어떻게 제도화되느냐에 따라 지금까지 가까운 지역에 건립 운영되던 노인종합복지관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의 통합적인 사업진행의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 등에 관한 내용들을 논해 보았다.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issues and future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are the central part of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has been playing the key role in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in Korea. However, in 2000s,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a great challenge becaus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which is similar in name to Council on Social Welfare, appeared. In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smaller communities, in addition, Local Welfare Foundation increased in number recently. There are expected great difficulties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work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newly being established Local Welfare Foundation have the similarity in their role and function. There are duplicate issues facing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n recent years, which provide welfare service prior to any other organization, because so many new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have been established and have become competitors in providing welfare service. Therefo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quested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do a research project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2010. At this time,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urgent issues and problems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whil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many local welfare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in metropolitan areas and other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programs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which will be dependant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model program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장혜성(Chang Haes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269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ver the country a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o collect basic data for community use skills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order in korea. Pla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necessity and support need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listed in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are 1) Link to IEP objective of students with disorder are not enough wh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laned. 2) ecological assessment are actively practiced for prior and post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3) class-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efore community-based instruction. 4) instruction strategies that is important to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ut visual prompt is not used enough. 5) Instruction for use of money in community are not enough. Every teacher gives positive response to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but their biggest inquiry are staffs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surveyed specifically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needs, and then proposed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지역친화적 사회적 기업정책에 대한 발전방안

        최무현,조창현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함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원도 지역의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을 심층면접하여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지역개발과 연계된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심층면담결과, 사회적 기업의 운영 동기는 사상 및 이념 등의 실현,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등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당면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과 지역봉사, 사회적 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의 기대 등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기업의 주요 목적은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사회적 목적 실현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또한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을 위한 장애요인으로 사회적 기업의 조직역량 문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지원 문제,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집행 문제가 언급되었고, 이들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정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재구조화, 사회적 기업의 내부 조직/인적 역량의 향상, 사회적 기업의 관리 및 평가 체계의 구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조사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먼저.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과도한 시장화를 특징으로 하는 관(官)주도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 정책 탈피, 재원의 지나친 정부의존으로 인한 자주성 상실의 회복, 공급측면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조정, 지역과 연계되지 않은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화 구축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친화적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은 조직의 역량 강화와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생태계를 회복시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역량을 결집하는 로컬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P>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P>

      • 지역사회조직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이마리아 ( Maria Lee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8 사회복지실천 Vol.7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의 지역사회조직화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여 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하는 146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고 있는 지역사회조직화 사업 2005년, 2006년 담당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주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상관관계 분석,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조직화의 실태, 즉 전반적인 조직형성·문제해결·지역사회 역량강화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점대로 측정이 되었다. 한편 응답자 중 50% 이상이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한 학부과정 교육이 충분치 않았다고 응답하였고 지역사회조직화 전략, 기술, 역할, 과정에 대한 교육이 보충되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고 기관과 외부 단체에서 시행하는 지역사회조직화와 관련된 보수교육에 관하여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독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직형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사회복지사의 기술 및 태도(p<.05)와 기관장의 지원(p<.05)으로, 문제해결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사회복지사의 기술 및 태도(p<.01), 기관장의 지원(p≤.001), 지역사회 유형(p<.01)으로,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기관장의 지원(p<.001),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조직화 지식 및 경험(p<.00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이론적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한 고급통계를 활용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고, 질적연구방법의 결과와 양적연구방법의 결과 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실천적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조직화 담당자가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을 충분히 경험하여 지역사회조직화의 기술 및 태도를 체득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담당기간이 증가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조직화 담당자가 본인의 사업에 전력을 다할 수 있도록 기관장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는 학부과정에서 지역사회 조직화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마련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조직화 담당자를 위한 보수교육이 다양한 사회복지 관련 조직과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by inferential statistic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organizing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organizing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Further, this study wishes to find strategic devices for reinvigoration of the community organizing which is a important practice part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based on the community.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2 social worker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charge of community organizing in 2005 or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degree of organization building·problem solving·community empowerment were average about 3 in standard of 5 grade. The educational degree of social worker in charge of the community organizing examined as undergraduat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and supplementary training or education in social work field. More over 50% of answers replied that undergraduat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weren`t sufficient. Also, they answered to supplement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skill, process and organizer` role in undergraduate educational contents. However, they satisfied supplementary training or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 in social work fiel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organization building are social worker`s skills and attitude(p<.05), and supports of chief(p<.01) in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problem solving are social worker`s skills and attitude(p<.01), and supports of chief(p<.001) and community type(p<.01).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have an effect on community empowerment are supports of chief(p<.001), and social worker`s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the community organizing(p<.001).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 points. Firstly, personal manager need to consider that social worker charge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for long time. Secondly, support of chief need to extend to social worker charge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 points. First, education of the social work association need to make various curriculums about community organizing in undergraduate. Second, social work association need to support education or training for social worker charge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 담양군을 중심으로

        손순용 전남도립대학교 2010 전남도립대학교 논문집 Vol.12 No.-

        In this age of localization, the local communities plan and implement their welfare programs and make evaluations regarding them.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there should be some partnership and cooperation between residents and government agencies and among residents themselves. Another way to institute social welfare realization in local communities is to set up a welfare plan for local communities every 4 years. This study looked into the overall contents of the second-term welfare plan for Damyang County, Jeonnam Province and the sugges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local community welfare plan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n activation of the local community welfare council of Damyang County. Second, the welfare work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fields where local residents have high expectations. Third, there should be reinforced welfare resources on the part of Damyang County itself. Fourth, a more detaile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atter of selecting companies that will put social welfare plan into practice. Fifth, there should be a continued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plan. It is hoped that some great improvements are made in the welfare level of Damyang County in the course of yearly progress in the second-term local community welfare plan.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중앙정부의 권한이 지방으로 이양되고 있다. 기존에는 중앙정부의 주체로 마련된 정책과 제도를 지방자체단체가 단순하게 집행하는 수준에 그친 반면, 근래에는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어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복지 프로그램 을 기획하고 실행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재원 운영방식도 중앙과 지방이 공동으로 성과에 책임을 가지는 포팔보조가 부각되고있다.(정순관 외,2009:8). 사회복지의 지방분권화는 지역사회의 복지역량을 극대화화는 방향으로의 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기본적인 전제가 자리 잡고 있다. 첫째는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민과 관,민과 민의 파트너십과 협력이며,둘째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복지활동 참여의 활성화이다(한국지역사회복지연구소 2008 : 14). 특히 2003년에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은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두 가지 법적장치 를 가지고 있는데 첫째는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사회복지사업법 제 7조 제 2항)이며,둘째는 4년마다 시·도 및시·군·구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 및 시행)(사회복지사업법 제 15조 제 3항)이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관과 민의 파트너십과 협력을 이루기 위한 법적 장치 이며,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주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주민의 욕구와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 하여 지역주민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장치이다.

      • KCI등재

        한국 지역사회교육정책 변천과정의 특성 연구

        이재민(Lee Jae M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해방 이후 전개된 지역사회교육정책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파악하여 지역사회교육정책 변천과정의 특성과 관계를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 전개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교육 발달단계에 따른 시대구분을 활용하였으며, 문헌고찰을 통한 역사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지역사회교육정책의 특성을 분석하는 준거로 정책접근방향(하향식, 상향식)과 지역사회교육특성(지역사회발전 지향, 개인의 교육적 성장 지향)을 토대로 정책환경(정치, 경제, 사회·문화)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한국 지역사회교육정책은 전반적으로 중앙정부 중심의 하향식체제로 운영되었으며, 시민사회 형성기(1988-1997)이후 정책 개발, 성과에서 부분적인 상향식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교육 특성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 지역사회개발을 지향하는 ‘지역사회발전 중심’에서 지역의 교육적 기반 구축을 통한 ‘개인의 교육적 성장 중심’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치체제와 정부의 주요 이념 철학은 지역사회교육정책의 접근방향을 결정하며 경제적인 측면도 결국에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지역사회교육정책은 정책접근방향과 지역사회교육 특성(지역사회발전 중심, 개인의 교육적 성장 중심)에 따라 ①중앙정부 중심의 인적자본 개발형, ②중앙정부 중심의 지역사회 개발형, ③지방정부 중심의 학습기회 제공형, ④지방정부 중심의 지역공동체 형성 지향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의 지역사회교육정책이 정책환경(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변화를 반영하여 지향하는 목적과 특성이 다르게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changing process of community educational policy in Korea, which has expanded in recent years for the purpose of community recovery and stronger regional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the historic evolution and community educational policy of each era,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and the features of community educational policy i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olitical environment and features of community education policy of each era led to the following logics: First, the political system and main ideas of the government have determined the direction of community education policy and its main features. Second, the community education featur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n policy approach: ① state government-led community development type ② state government-l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ype ③ local government-led community formation type ④ local government-led learning opportunity typ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led to changes in the community education policy are ‘politics’ and ‘society.’ The social aspects are linked to the ‘economy, another factor that has influenced the community education policy. Fourth, as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Korea has influenced the community education policy, it has not established its unique features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