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 지역통합의 장단점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

        이옥연 ( Okyeon Yi ),빈난새 ( Nansae Bi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5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3 No.1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를 제도화한 20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유럽 지역통합의 발전과정을 검토하며 그 장단점을 분석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통합은 기본적으로 역내 회원국 간 차별을 제거하는 과정을 가리키나, 시대의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는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통합의 필요성도 변하는 속성을 내포한다. 우선 지역통합을 출범시키려면, 구성원 간 집단안보와 경제번영을 보장하기 위한 신뢰 구축이 요구된다. 이후 지역통합을 제도화하려면, 지역통합 결과를 공식화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각종 이권을 둘러싼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심지어 기존 구성원에게 일부 권한을 양도하도록 설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통합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수반되는 이와 같은 불가피성이 아시아나 유럽에 보편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선행연구가 경시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결국 유럽과 마찬가지로 아시아에서도 구성원들이 지역통합을 구축하고 유지하려는 결단을 내린다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긴박감을 지역통합을 운영하는 원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는 강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우선 1945년 이후 유럽 지역통합 결산물인 유럽연합의 발전과정을 정리한 후, 지역통합이 전개되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아시아에서 진행된 지역통합의 전개과정을 대조한다. 이어 유럽 지역통합의 장단점을 분석해 아시아에 주는 함의에 대한 일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work aims to draw an implication in Asia by evaluat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gional integration in postwar Europe. Regional integration, by definition, refers to a process to rid of discrimination among member states in the region. This is an on-going process so that the need for regional integration varies with the change of the circumstance in the region. To put regional integration in motion, prospective member states first need to build mutual trust with regard to collective security that facilitates economic prosperity. To institutionalize the consequent outcome of regional integration, they have to resolve conflicts of interest in the process of deepening regional integration and persuade their current member states into yielding their stakes in interests to others, including the newcomers. In this paper, the authors purport to show that previous research dismiss this commonality between Europe and Asia in that no regional integration is definite. The authors will also argue that Asia and Europe share one driving force that enables member states to beget and nourish regional integration: a political aspiration and determination to overcome all odds. In the remainder of the paper, the authors will first evaluate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since 1945, and conclude with an implication for regional integration in Asia.

      • 통합물관리 이행에 따른 상수원 관리지역 지원제도의 정비 방안 연구

        전동진,정아영,김철회,김창수,조을생,이정호,한대호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ㅇ 상수원보호구역을 포함한 상수원 관리지역 등에 거주하는 주민은 각종 행위규제 및 시설설치 제한으로 인한 불이익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상 차원의 주민지원사업이 「수도법」, 「4대강 수계법」, 「댐건설관리법」에 명시되어 있음 ㅇ 법령 및 운영형태상 입법의 불일치와 정합성 결여로 주민 불만 및 민원이 증가하고 있고, 사업대상 지역 간의 갈등 및 수혜자 및 피해자 간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음 ㅇ 주민지원사업의 대상지역, 대상범위, 지원사업의 중복과 사업계획의 수립, 집행, 시행 등의 혼재로 사업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한 시점임 ㅇ 일회성, 낭비성 소규모 위주의 지원사업 지양 및 상수원 수질보호 또는 안정적인 용수 확보에 따른 피해지역의 불공평 문제 해소를 위한 지원사업의 투명성, 효과성, 형평성 문제의 개선이 요구됨 □ 연구의 목적 ㅇ 상수원 수질보호 및 안정적인 용수 공급 등을 위한 각종 행위규제에 따른 불이익을 해소하기 위해 시행 중인 주민지원사업의 시행·운영의 통합 및 정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체계 □ 연구의 내용 ㅇ 법령 등에 따른 주민지원사업의 대상, 수립절차, 재원, 계획 집행 및 관리와 관련된 현황과 이슈를 검토하고, 국내 타 부처의 주변지역 지원 및 주민지원사업의 사례와 국외 수질보전을 위한 규제기준과 재원, 주민지원사업 추진체계, 사업내용 등의 현황을 검토함 ㅇ 상수원 관리지역 지원제도의 통합 및 개선 방안을 규제 및 지원 기준, 효율성 및 투명성, 통합물관리 관점의 개선방안으로 제안함 □ 수행체계 ㅇ 연구의 내용을 담아 <그림 1>과 같은 추진구조를 토대로 연구를 수행함 Ⅱ.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 현황 분석 1. 주민지원사업의 변천 □ 「수도법」에 의한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 ㅇ 1999년 4월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은 보호구역 내 주민에 대한 재정지원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상수원보호구역 행위규제에 대한 지원, 상수원 수질개선, 생활환경 개선 및 소득 수준 향상으로 정책 동참을 유도함 □ 「수계법」에 의한 수계관리기금 주민지원사업 ㅇ 1990년대 후반 수돗물의 수질오염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하며, 1998년부터 2002년의 기간 동안 4대강 물관리종합대책을 만들게 되었고,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고자 「4대강 수계법」이 제정·시행되었음 ㅇ 1999년 「한강수계법」 그리고 2002년 「낙동강수계법」, 「금강수계법」, 「영산강섬진강수계법」이 제정됨에 따라 「수도법」에 근거한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의 대상 지역 중 일부는 「4대강 수계법」에 의한 주민지원사업 대상으로 분리되었음 □ 「댐건설관리법」에 의한 댐주변지역 지원사업 ㅇ 1999년 댐의 신규 건설을 순조롭게 추진하고자 「댐건설관리법」을 제정하여 2001년부터 동법에 따른 댐주변지역 지원사업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으며, 대상지원 댐이 댐발전소, 다목적댐, 용수전용댐, 홍수조절용댐 등으로 확대·포함되고, 출연금의 출연율이 증가하고 있음 2. 제도적 특성 비교 □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의 주요 특성 ㅇ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의 시행절차, 시행기관, 내용은 유사한 형태를 보이나, 목적 및 기본방향, 재원, 주관부서, 대상지역과 대상자는 일부 차이를 나타냄 □ 사업 종류 ㅇ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은 소득 증대, 복지 증진, 육영사업을 공통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세부적인 사업범위는 차이가 있음 □ 시행체계 ㅇ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은 근거 법령이 다르고 환경부 내 소관부서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전체적인 시행 흐름은 유사한 형태를 보임 □ 주민 의견수렴체계 ㅇ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은 마을주민의 의견을 이장이 수렴하고 있음 □ 타 사업과 연계 ㅇ 「수도법」과 「수계법」 주민지원사업은 다른 재원으로 추진되는 사업과 중복지원을 가급적 지양하도록 하고 있으나, 댐주변지역 지원사업은 이에 관한 조항이 없음 □ 사후관리 및 평가 ㅇ 「수계법」은 시설 및 물품에 대한 지도점검에 관한 사항을 지침에 명시하여 의무적으로 수행하고, 부정행위가 발견되면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나 상대적으로 「수도법」, 「댐건설관리법」 지원사업은 대응이 약함 ㅇ 「수도법」에 의한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은 사업평가를 하고 있지 않으며, 4대강 수계기금 주민지원사업은 한강을 제외한 3대 강에서는 평가를 수행하지 않음 3. 관리 및 운영 현황 비교 □ 관리청 관리 현황 ㅇ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은 관리청 담당과에서 사업을 담당하고 있고, 지원사업별로 소관 부처와 근거 법령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자체에는 한 과에서 담당하기도 하며, 한 과에서 지원사업을 담당할 경우 사업계획이 중복성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남 □ 사업 대상면적 및 대상자 ㅇ 「수도법」에 의한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은 「수계법」 주민지원사업과 달리 대상면적과 인구와 무관한 수도사업자의 출연금을 기반으로 조성되어 지자체 간 보상의 형평성에 영향이 있음 ㅇ 「수계법」에 따른 면적당 사업비와 인구당 사업비는 4,300만 원과 120만 원으로 「수도법」에 비해 약 1.5배, 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댐주변지역 지원사업 대상 댐은 총 27개로, 출연금을 위한 판매수입금의 비중이 높아지고 신규 댐이 추가되어 댐주변지역 지원사업 총사업비가 늘어났음 □ 사업 현황 ㅇ 「수도법」의 경우 500만 원 이하 사업부터 1억 원에서 5억 원 이하의 사업이 골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수계법」 주민지원사업과 댐주변지역 지원사업은 3천만원 이하 지원사업의 비율이 87.6%, 79.1%로 사업의 대부분을 차지함 ㅇ 3개 법에 따른 지원사업 모두 복지증진사업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소득증대사업의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음 4. 상수원 관리지역 지원제도 관련 개선 논의 및 반영 □ 고려 필요 개선방안 ㅇ 「수계법」 주민지원사업은 지역주민, 마을 등 공동단위,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별 선호 사업에 차이가 있으므로 사업 실효성을 위한 이해관계자별 제도 정립이 필요하며, 수계관리 여건의 변화를 고려한 정책방향 설정 조정, 효과적인 수단, 환류체계의 정립이 필요할 것임 ㅇ 댐주변지역 지원제도의 운영 지침·규정 구체화 및 의견수렴을 통한 실효성 제고가 필요하며, 운영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단계별 방안 수립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 5.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 지방인구 감소 문제 ㅇ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인구 감소, 고령화 등의 사회경제적 변화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사업 추진이 필요함 □ 농업환경의 변화와 디지털 농업화 ㅇ 농가인구의 감소,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농산물 수입 증가 등으로 인한 농업 부문 교역조건 악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 혁신이 진행 중이며, 농업과 환경을 조화하여 농업 생산을 지속할 수 있는 농업 형태를 추구하고자 함 6. 이해당사자 의견수렴 및 만족도 조사 결과 □ 이해당사자 의견수렴 ㅇ 3개 법에 따른 각 지원사업의 운영 현황과 애로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의 각 담당자, 주민대표와 인터뷰를 수행함 ㅇ 사업 추진·운영·사후관리, 사업비 배분·통합에 관한 사항, 담당자의 개선의견, 주민 요구 사항 등을 중심으로 주요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참고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만족도 조사결과 ㅇ 2020년 기준 각 지원사업에서 주민을 대상으로 최근 시행한 자체 만족도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참고하여 정리한 결과, 지역주민은 법률에서 정한 주민지원사업의 목적과 관계없이 단기간에 현금으로 지원되는 사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발전을 통해 지역주민의 소득을 중장 기적으로 증진하는 것으로, 주민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주민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재정이 중장기적 측면에서 지역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시설 또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에 투자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음 ㅇ 매년 동 사업에 대한 성과평가를 시행하도록 의무화하고,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세부 사업 간 재원 배분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 7. 시사점 ㅇ 사업별 특성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 원주민과 이주민 사이의 갈등, 농업환경의 변화 등을 종합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준의 정비방안을 모색하고, 주민의 수용성과 정비방안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해 단계적인 정비 로드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Ⅲ. 국내 타 부문 및 국외 지원사업 현황 및 시사점 1. 국내 타 부문 주민지원사업 □ 타 부문 (주민)지원사업제도의 시사점 ㅇ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한 행정작용, 행위제한에 대한 지원의 성격을 지닌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공원구역 주민지원사업,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등을 대상으로 법적 근거 및 목적과 기본방향, 대상지역과 대상자, 행위 제한, 지원사업의 종류 및 사업 우선순위, 재원, 사업 시행 및 관리, 사후관리와 평가 및 환류 등의 특성을 검토함 ㅇ 행위 제한의 정도 또한 상이한 수준이나 지원사업의 종류는 유사하며, 한편 지원사업의 우선순위는 해당 지역 거주자를 우선적으로 하나, 토지를 소유하는 경우까지 포괄하거나 별도 제시가 없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ㅇ 재원의 규모 면에서도 지원사업마다 차이가 크며, 지원사업의 정도가 행위 제한의 정도, 행정작용의 수용성을 감안할 때 적정한 수준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함 ㅇ 사후관리와 평가 및 환류는 전반적으로 주민지원사업의 부당사용, 미사용에 대한 사유를 검토하고 반환조치를 하는 등 미흡할 때에 대한 대응이 좀 더 있었으나 우수한 활용에 대해서는 장관 표창 이외에 실질적인 인센티브는 제한적임 2. 국외 지원사업 □ 국외 지원사업제도의 시사점 ㅇ 독일은 상수원보호구역 내의 농업 및 임업 활동의 행위 제한 규제에 대한 경제적 피해보상의 개념으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오염원과 관련된 토지의 이용을 규제하는 정도에 따라 주민지원사업비는 직접 차등 지원하여, 주민지원 보상사업이 수질보호와 직접 연계됨으로써 관련 주민이 제도상 수질보호에 협조하도록 유도함 ㅇ 일본은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해 수혜 지자체 및 민간 출연금을 토대로 기금, 수질보전기구를 조성하여 수질정화사업에 대한 지원을 시행하고, 수원보호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곳에 기금사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요도천수계의 수질보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윤택한 지역사회의 형성과 관련 주민의 생활환경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으나, 개별 보상이나 개별 지원은 없음 Ⅳ. 주민지원사업의 정비방안 검토 1.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의 정비방향 □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 정비방향성 정립 ㅇ 통합물관리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효율성, 형평성, 지속가능성의 개념에 착안하여, 물과 관련된 재정지원제도로서 주민지원사업 관련 재정제도의 소망성(desirability)을 효율성, 형평성,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함 ㅇ 효율성은 제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도의 적정성을 의미하고, 형평성(equity)은 재정제도를 통해 이익을 받는 대상자 사이에 공평성이 확보된 정도를 말하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재정제도가 중장기적으로 존속 가능한가를 의미함 2. 규제 및 지원 기준 중심의 개선방안 검토 □ 문제점 ㅇ 3개 주민지원사업의 형평성이 유사한 특성을 지닌 지역, 대상자에게는 달성되나, 상이한 근거 법령 적용 시 큰 차이가 있으며, 개별 사업·지역 간 형평성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 정비방향 ㅇ 「수도법」 주민지원사업은 보상을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 동일한 행위규제에 따른 동일한 보상을 지원하며, 규제피해 수준을 고려하여 형평적인 지원 제공을 고려할 수 있음 ㅇ 「수계법」 주민지원사업은 행위규제 수준을 고려하여 지원 형평성을 제고하고, 직접 및 간접 지원사업을 분리하여 시행하며, 사업 대상지역의 정의를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 ㅇ 「댐건설관리법」 주민지원사업은 소규모 댐의 지원방안을 고려하고, 댐주변지역 설정 방법을 정비해야 할 것임 3. 효율성 및 투명성 중심의 개선사업 검토 □ 문제점 ㅇ 3개 주민지원사업의 목표달성도 측정을 위한 성과평가가 부재하며, 사업의 중복성 측면에서 보면 일부 사업의 중복성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 정비방향 ㅇ 「수도법」 주민지원사업은 사업 추진주체의 다양화를 통한 주민공동체의 사업주체 참여방안 마련이 필요함 ㅇ 「수계법」 주민지원사업은 지속가능한 사업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주민만족 중심의 사업관리, 사업 인지도 및 호응도 향상을 위한 교육 활성화 및 지도자 양성, 조직 구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 ㅇ 「댐건설관리법」 주민지원사업은 사업 평가 및 환류체계를 마련하고, 특별회계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사업시행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4. 통합물관리 관점의 개선방안 검토 □ 문제점 ㅇ 3개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의 근거가 되는 「수도법」, 「4대강 수계법」, 「댐건설관리법」의 대상지역 유사성, 사업 중첩 지점, 근거 법령 차이로 인한 지원금액 차이, 사업 세분화 추진에 따른 효율성 저하 등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있음 □ 정비방안 ㅇ 「수도법」-「수계법」 주민지원사업은 동일한 규제에 대한 동일한 지원을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ㅇ 「댐건설관리법」-「수계법」 주민지원사업은 지역별 사업비 통합 활용방안을 마련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음 Ⅴ. 중장기적 지원사업 정비방향 1. 미래지향적 중장기 지원사업 방향 □ 부담원칙에 충실한 재원 확보 및 지원조직 구성 ㅇ 원인자부담원칙과 사용자부담원칙에 충실한 재원의 확보와 친환경농업 및 중장기 소득증대사업에 재원을 통합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임 □ 통합유역위원회의 구성 ㅇ 민주적 대표성 관점(선출되지 않은 권력에 의한 공권력 행사)에서 일정비율 주민대표를 선출하는 통합유역위원회를 구성하고, 「수도법」, 「수계법」, 「댐건설관리법」상 주민 지원사업 운영의 투명성을 전제로 계획 수립과 운영 그리고 사후관리와 평가를 연계하는 관리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임 ㅇ 계획 수립부터 운영과 사후관리 그리고 평가결과의 공개까지 전 주기적 관점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투명성을 확보하며, 실질적인 주민 참여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임 □ 지원사업 통합관리 및 교류 ㅇ 지원사업 담당자들의 주기적인 연찬회가 특정 공간(liaison)에서 이루어지면서 유사사업의 발굴과 결합(coupling)과 규모의 경제 확보를 논의하고 운영에 반영할 수 있도록 장려함 ㅇ 통합입법의 형성과 통합 사무국의 신설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낭비와 중복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서비스하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2. 중장기적 지원사업의 정비체계 □ 정책 실행력 및 주민 수용성 중심의 정비체계 ㅇ 규제 및 지원 기준 합리화, 효율성 및 투명성 증대, 통합물관리 관점에서 제안한 내용 등을 고려하여 상수원 관리지역 지원사업에 대해 정책 실행력과 수용성을 고려한 수립, 운영, 관리 및 평가 대안을 정리하였음 □ 단계적 정비방안 마련 ㅇ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 「4대강 수계법」에 따른 상수원 관리 지역 주민지원사업, 「댐건설관리법」에 따른 댐주변지역 지원사업 등 3개 사업의 목적에 맞게 추진하도록 개별적으로 개선하여 형평성, 효율성,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적 정비방안을 마련하였음 ㅇ 중기적 관점에서 「수도법」과 「수계법」 간의 지원사업 형평성 제고와 유역 차원의 수질관리를 위해 공공수역의 범위를 확대할 것을 제안함 ㅇ 장기적 관점으로 3개 물 관련 주민지원사업의 지출을 통합하는 방안, 일차적으로 지출 부문만 통합하는 것을 넘어 수입 부문까지 통합하는 방안, 중장기적 측면에서 3개의 주민지원사업은 ‘(가칭)물주변지역 주민지원사업’으로 통합하되, 시군구 차원에서 5년 단위의 중장기계획에 기초한 지역발전정책으로 추진하는 방안 등을 고려함 Ⅰ. Introduction 1.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 Background of the research ㅇ Residents of water supply management areas, including water supply protection zones, are at a disadvantage due to various restrictions on activities and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Resident support projects for compensation are specified in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the Four Major River Basins, and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ㅇ Due to inconsistency of legislation in terms of the operational form and the the lack of coherence in the laws, the number of civil complaints from residents is increasing, and conflicts are occurring between the project target regions and between beneficiaries and victims. ㅇ It is 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rojects, given problems including the overlapping of the target areas, scopes, and operations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and the confusion in the establishment, execution,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 plans. ㅇ It is required that the transparency, effectiveness, and equity of support projects be improved to avoid one-time, wasteful, small-scale support project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inequity in affected areas by protecting water quality of water sources or securing stable water. □ Objectives of the research ㅇ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caused by various activity regula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water quality protection of water sources and stable water supply,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peration, integ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that is being implemented. 2. Research content and structure □ Content of the research ㅇ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related to the targets, establishment procedure, financial resources, and the execution of plans and management of resident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laws and regulations were reviewed. Cases of support for neighboring areas and resident support projects of other domestic ministries, regulatory standards and financial resources for water quality conservation abroad, the promotion system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and project content were reviewed. ㅇ The integr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support system for water supply management areas was proposed considering the aspects of improving the regulation and support standards, efficiency and transparency, an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 Research structure ㅇ This study was conducted following the structure below. Ⅱ.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1. History of resident support projects □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water supply protection area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ㅇ In April 1999,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was introduced as a financial support system was needed for residents in the water supply protection areas, and the policy participation was encouraged by supporting the regulation on activities in the areas, and improving the water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income levels. □ Resident support project by water system management fund according to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ㅇ In the late 1990s, polluted tap water emerged as a social problem, and the Comprehensive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Four MAjor Rivers was developed from 1998 to 2002. In order to legally support this,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Four Major River Basins was enacted and implemented. ㅇ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Support For Residents of the Han River Basin in 1999 and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the Geum River Basin, and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in 2002, some target areas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the water supply protection areas based on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became subject to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Four Major River Basins. □ Support project for areas around dams under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ㅇ In 1999,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was enacted to facilitate the new construction of dams, and since 2001, support projects for areas around dams have been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The target range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Hydroelectric plants, multi-purpose dams, dams for water use only, and flood control dams, and the contribution rate of contribution fund is increasing. 2. Comparison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 Main characteristics of support projects under the three laws ㅇ The implementation procedures, implementation agencies, and content of the support projects according to the three laws are similar,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urpose and basic direction, financial resources, department in charge, target areas and target residents. □ Project types ㅇ Support projects according to the three laws commonly include projects involving income increase, welfare promotion, and education programs, but the specific scopes are different. □ Enforcement systems ㅇ The overall implementation processes are similar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applicable laws are different and the departments in charge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re different. □ A system of collecting opinions from residents ㅇ Opinions of residents are collected by the village head. □ Linking with other projects ㅇ It is encouraged tha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for other projects funded by different resources is avoided if resident support projects subject to the Water Supply ~ River Basins are underway in the area, but there are no corresponding provisions for the support projects for areas near dams. □ Follow-up management and evaluation ㅇ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stipulates matters concerning guidance for and inspection of facilities and goods in the guidelines and allows corresponding measures to be taken if malpractice is found, but the response measures support project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and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are relatively weak. ㅇ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the water supply protection areas are not subject to evaluation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and resident support projects funded by the Four Major Rivers Water Fund are not evaluated except for those relevant to the Han River. 3. Comparison of the management and operational statuses □ Status of the management agencies ㅇ Support projects under the three laws are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in charge of each corresponding management agency but in the case of some local governments, they are handled by a single department although each project is subject to the different law and regulations; in this case, it was found that efforts are being made to eliminate redundancy in project plans. □ Project area and target residents ㅇ Unlike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the projects in water supply protection area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are planned based on the contributions from water service providers who have no relation to the target area and population, which affects the equity of compens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ㅇ The project costs per area and population according to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are 43 million won and 1.2 million won, which is about 1.5 times and 2.7 times higher than those specified in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Act. ㅇ A total of 27 dams are eligible for support projects for areas around dams, and the proportion of sales revenue for contributions has increased and the total budget for support projects in areas around dams has also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new dams. □ Project status ㅇ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projects with a budget of less than 5 million won and less than 500 million won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case of resident and dam area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the percentage of projects with a budget of less than 30 million won account for 87.6% and 79.1%, respectively. ㅇ In all of the support projects under the three laws, the percentage of the welfare promotion projects was highest, followed by the projects to increase income levels. 4.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water supply management areas and reflecting the result □ Necessary improvements for consideration ㅇ Since each stakeholder such as residents, villages as a single unit, and local governments prefer different types of project in the case of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by stakehol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 project. It will be necessary to adjust the policy direction and establish effective means and a feedback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in water system management conditions. ㅇ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operating guidelines and regulations of the support system for dam area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through collecting opin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stablishing a step-by-step plan to maximize operational efficiency. 5.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 The problem of local population decline ㅇ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where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are being conducted, since there have been socioeconomic changes such as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it is necessary to promote projects taking these factors into account. □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igital agriculture ㅇ Digital innovation is underway to respond to the worsening of terms of trade in the agricultural sector, caused by a decrease in farm populations and the consumption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nd an increase in the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We aim to pursue a form of agriculture that can sustain agricultural production by harmonizing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6. Stakeholder opinion collection and satisfaction survey results □ Stakeholder opinion collection ㅇ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 representatives implementing two or more support proje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operating status and difficulties of each support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laws. ㅇ We aimed to set improvement plans by collecting major opinions focusing on the project promotion, operation, follow-up management, project cost distribution, integration, opinions of the person in charge on improvements, and residents’ needs. □ Satisfaction survey results ㅇ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cent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mong residents on each support project as of 2020, local residents prefer projects supported by cash in a short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projects specified in the law. ㅇ The ultimate purpose of the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is to increase the income of local residents in the mid- to long-term through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by actively reflecting their demand, while inducing financial investment in projects for building facilities or infrastructure that can lead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in the midto long-term. ㅇ It is necessary to make it mandatory to conduct a performance evaluation for a project every year, and to introduce a method of setting priorities regarding resource allocation among sub-projects according to the result. 7. Implications ㅇ A realistic improvement plan should be sought by compil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nd information on the population decline due to aging, conflicts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and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ep-by-step maintenance roadmap after reviewing the acceptability of residents and the feasibility of maintenance measures. Ⅲ. Status of Other Sectors in Korea and Overseas Support Projects and their Implications 1.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other sectors in Korea □ Implications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system in other sectors ㅇ For projects including Baekdu-daegan projects which have a supporting characteristic for administrative action and regulations on activities in certain regions, projects in limited development districts, park-area projects, and projects in areas with power plants, the following elements were reviewed: the legal basis, project purpose, basic direction, target areas and target residents, regulations on activities, project types and priorities, financial resources, project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follow-up management, and feedback system. ㅇ The restrictions on activities are at different levels, but project types are similar. Also, although the priority of a support project is usually the residents in the area, it can vary; sometimes it includes land owners or it is not specifically presented. ㅇ In terms of the size of financial resources, there is a big difference among support projects, and an overall review is needed to see if the level of a project is appropriate, when considering the degree of restriction on activities and the acceptability of administrative actions. ㅇ With regard to follow-up management, evaluation, and feedback in general, there have been more actions taken when they were insufficiently carried out (e.g. monitor cases of taking improper advantage of or not implementing projects and withdraw the financial support). For exemplary cases, however, there are no practical incentives, other than commendation from minister. 2. Overseas support projects □ Implications of support project systems abroad ㅇ Germany operates a support system with the concept of economic damage compensation for restrictions on agricultural and forestry activities within water supply protection zon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regulation on the use of land associated with pollution sources, the country grants different amounts of money for each project, by which the project becomes directly linked to water quality protection, thereby encouraging the relevant residents to cooperate for water quality protection. ㅇ In order to conserve the water quality of water sources, Japan has established a fund and water quality conservation organization based on the contributions from the beneficiary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 with which they support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projects. It contributes to the conservation of the water quality of the Yodo River system and further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a prosperous commun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related residents, and there is no individual compensation or individual support. Ⅳ. Review of Improvement Plans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1. Direction for improving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improving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ㅇ Focusing on the concept of efficiency, equity, and sustainability, which are emphasized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the desir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for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was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equity, and sustainability. ㅇ Efficiency refers to the adequacy of the system as a mea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ystem. Equit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fairness is secured between those who receive benefits through the financial system. Sustainability means whether the system is viable in the mid- to long-term as a means to achieve the purpose. 2. Review of improvement measures centered on regulations and support standards □ Problem ㅇ Although equity in the three types of resident support projects is achieved in regions and target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laws and regul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ssue of equity among individual projects and regions. □ Direction for improvement ㅇ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financial resources for compensation should be secured, the same compensation should be given for the same regulation on activities, and providing equitable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damage caused by regulation can be considered. ㅇ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fairness in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the regulation on activities for the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rojects separately, and clearly set the definition of the “target area.” ㅇ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plans for supporting for small dams should be developed, and how “dam areas” are set should be improved. 3. Review of improvement projects focusing on efficiency and transparency □ Problem ㅇ There is no performance evaluation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the three types of resident support projects, and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redundancy of some projects. □ Direction for improvement ㅇ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in projects by diversifying the entities that implement a project. ㅇ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a sustainable project 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project management focusing on residents’ satisfaction, promotion of education, training of leaders, and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to improve project awareness and response should be considered. ㅇ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project evaluation and feedback and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project implementers by mandating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accounts. 4. Review of improvement plan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 Problem ㅇ The fact that target areas for support projects under three different laws end up overlapping, areas where different projects are simultaneously implemented, the difference in grants due to different laws, and the decrease in the efficiency due to the fragmented project promo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improvement. □ Direction for improvement ㅇ For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and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implementing the same support schemes for the same regulations can be considered. ㅇ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ntegrate the funds by region for the resident support projects under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and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 Support in River Basins. Ⅴ. Mid- to Long-term Direction for Improving Support Projects 1. Future-oriented, mid- to long-term direction for support projects □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conforming to the burden principle and establishing a support organization ㅇ It is necessar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conforming to the Causer Pays principle and the User Pays principle, and integrate financial resources for eco-friendly agriculture and mid- to long-term income increase project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continuous communication are needed. □ Creation of the Integrated Watershed Committee ㅇ From the viewpoint of democratic representation (an exercise of public powers by non-elected powers), an integrated watershed committee should be formed that elects resident representatives at a certain percentage level; it should plan support projects on a condition that it guarantees operational transparency under the three water-related laws, and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that links follow-up management and evaluation. ㅇ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rom a life-cycle perspective that incorporates the planning, operation, follow-up management, and disclosure of evaluation results to secure transparency, and lay the groundwork to ensure actual resident participation. □ Integrated management of support projects and exchange ㅇ It is recommended that periodic banquet meetings of support project managers be held at a certain place (liaison) to discuss the planning and coupling of similar projects and securing economies of scale and reflect them in operation. ㅇ Through integrated legislation and a joint secretari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services to local residents, while minimizing waste and duplication. 2. Reorganization system for mid- to long-term support projects □ Improvement system centered on policy feasibility and resident acceptance ㅇ Considering the rationalization of the regulation and standards on support, the promotion of efficiency and transparency, and what has been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how to establish, operate, manage, and evaluate support projects in water management zones were summarized, focusing on policy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 Step-by-step plan for improvement ㅇ A step-by-step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to ensure equity,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for the purpose of the three projects: the water supply protection area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the water supply management area under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four major River Basin, and the Act On Construction Of Dams And Assistance To Their Environs. ㅇ In the mid-term, we suggest that the scope of public waters be expanded to enhance the equity of support projects under the Water Supply and Waterworks Installation Act and the Act on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River Basins, and water quality be managed at the watershed level. ㅇ In the long term, we consider a plan to integrate the expenditures of the three types of water-related resident support projects, and a plan to integrate not only the expenditure sectors but also the import sectors. In the mid- to long term, the three types of resident support project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the area surrounding a water body,” (tentative name) and promoted as part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5-year mid- to long-term plan at the Si/Gun/Gu level.

      • 사회통합형 지역발전정책의 가능성과 정책 적용

        이상대,정유선 경기연구원 2015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Korea has severe disparities and social problems between regions, communities. Futhermore, Korea has a weak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onflicts within and between communities. Until now, regional development policy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balanced development concept and mainl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industrial park designation. From now, new approaches based on community welfare, health and health care, and social conflict management are needed in making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rame. Recent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urope and Korea’s experimental regional growth strategy is focused on the efficiency - social equity - local autonomy in common. OECD is to promote the complementarity between different policy areas, that is, the mix of efficiency-equity-sustainability principles. Spatial practices that include the social cohesion objectives in the policy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appear in examples of policies of EU, UK and France. EU operates inclusive growth, UK acts comprehensive budget subsidy (that is, a single pot budget), and France seeks to combine social cohesion policy and urban policy. Promoting effects and side effects of social cohesion-orient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may appear. In the positive effects, firstly, it could achieve efficiency, equ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regional development. Secondly, officials and residents can apprehend overall results of project and program budget and easily monitor the projects. But, side effects appear. The priority of individual program and project become ambiguous. And responsibilities between competent ministries and departments of municipality can be unclear. We propose three policy improvement suggestions. First, regional development policy should extend to social cohesion objectives. Second, to the vulnerable areas, integrated regional policy system should be made in regional government. Third, as a integrated regional restructuring subsidies in case of Gyeonggi Province, the Integrated Community Development Grant of Gyeonggi Province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지역사회통합형 노인요양시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병선 ( Yoo Byungsun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7 장기요양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이 지역사회에 기반하기 보다는 시설내의 서비스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는 현 상황에서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지역사회통합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역사회통합활동을 강화하는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눈덩이표집방식으로 지역사회통합활동을 잘 하고 있다는 평판을 받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6곳의 종사자(원장 또는 사무국장)를 인터뷰하였으며,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방법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통합활동을 강화하는 요인은 첫째, 지역사회통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별 시설의 노력 특히, 시설장의 의지와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는 시설에 대한 지역사회의 신뢰가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자원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사회통합활동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들이 지역사회통합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직원교육 등 직원역량강화 역시 매우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통합활동의 가장 대표적인 자원봉사활동은 법적으로 자원봉사 인정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역사회통합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은 첫째, 장기요양보험제도실시 이후 영리목적의 요양시설이 많아짐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통합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사회복지사의 비중이 낮은 문제와 요양보호사들의 높은 이직도 지역사회통합활동을 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는 노인요양시설 지역사회통합 평가방법이 매우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integration activities in elderly nursing home and to check out the factors that strengthen and impeding community integration activities in nursing ho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an important factors that strengthen community integrated facilities such as the leader's will, community resources networks, capability of staff, and legal standards. On the other hands, there are factors that hinder community integration activities such as the social views on the nursing home for profit, the absence of social worker within the facility and formal evaluation to access community integration activities.

      • 기후경제통합 -지역평가모형 비교분석 및 국내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황인창(박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5 No.-

        최근 국제 기후변화협상에서는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Regional Integrated Assessment Model of Climate and the Economy)의 연구결과가 협상의 주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역별 온실가스 감축 권고량도 이러한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의 연구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의 연구결과는 국내기후변화정책을 수립하는 데도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 워킹그룹(Interagency Working Group on Social Cost of Carbon)에서는 기후경제통합모형을 근거로 탄소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기후경제통합-지역모형을 바탕으로 최적의 기후변화정책을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의 David Anthoff 교수와 네덜란드암스테르담 자유대학 및 영국 서섹스 대학의 Richard Tol 교수는 FUND(Climate Framework for Uncertainty, Negotiation and Distribution) 모형을 활용해 국가(지역)별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따른 최적 탄소세를 산출한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에서 한국은 독립된 국가로 다루어지기 보다는 기타 국가군에 포함되고 있어 모형의 결과를 국내 정책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의 경제규모와 온실가스 배출규모 등을 고려할 때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 모형에서 한국을 독립된 국가로 다루는 것은 국제 기후변화정책에서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효과적인 기후변화정책을 수립해 가는 데있어 필수적이다.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을 통해 한국의 특성을 반영한 탄소의 사회적 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데, 탄소의 사회적 비용은 탄소세 요율을 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고 에너지 정책 및 대규모 개발 사업의 환경영향 평가 시에도 활용할 수 있다.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의 주요 산출물 중 하나인 최적 온실가스 감축량은 배출권거래제도에서 국가총 배출권 할당량을 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국제기후변화협상이 이상적인 형태로 진행되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개별국가의 전략을 반영할 수 있는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기존 모형에 대한 비교 분석 및 향후 모형개발을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비교분석에서는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회후생함수, 경제모듈, 기후모듈, 정책모듈 등을 유형화하고 일반화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의 활용 예로서 미국 예일 대학(Yale University) William Nordhaus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RICE(Regional Integrated Climate-Economy Model) 모형의 응용결과를 살펴보았다. 이론과 수치모형을 활용한 이번 연구의 내용은 국가별로 취하는 선택과 전략에 따라 기후 시스템이 큰 폭으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최적의 기후변화정책 내용이 큰 폭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독자적인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개발의 필요성을 더욱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국제 기후변화협상을 비롯해 변화하는 국제 상황과 새롭게 드러나는 과학적 증거들에 대해 국내 여건을 반영한 효과적인 기후변화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번 연구는 이를 위한 유용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에서 GAMS(General Algebraic Modeling System) 버전으로 작성한 RICE 모형은 게임이론을 활용한 기후변화 협상모형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을 독립된 지역으로 포함하는 기후경제통합-지역평가모형을 구축하는 데있어 기초 모형으로 활용할 수 있다. An integrated assessment model of climate and the economy (IAM) has been a standard tool for the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and policy recommendations. Since policy measures to address climate change take places at a national level, a regional integrated assessment model of climate and the economy (RIAM) is gaining more importance. A RIAM is a useful tool for the assessment of regional (or national) impacts of climate chang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in features of the currently available RIAMs, including social welfare function, economic module, climate module, and policy module. The focus is the regional aspects of climate change.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and its applications to RIAMs. The current paper suggests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RIAM (or potential extensions of the current RIAMs). As an appli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functions on cooperative solutions of the RICE(Regional Integrated model of Climate and the Economy) model. It is found that optimal solutions such as carbon taxes and emissions control rates are very sensitive to the assumptions on social welfare functions of RIAMs. Depending on social welfare functions winners and losers of climate negotiation change their positions. This signifi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s many RIAMs as possible for climate negotiation. It is better for each country to have their own RIAM as a basic tool for national climate policy-making and for international bargaining in greenhouse-gas mitigation. This is because a country’s own preferences such as efficiency, equ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well as national circumstances can be reflected in RIAM. This paper is a good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RIAM. For instance, a game-theoretic model of climate change negotiation is a promising application. The Republic of Korea has not developed its own RIAM yet.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numerical model in this paper can be a stepping stone for the development of such a national model.

      • KCI등재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의 견해

        김연옥,최상배,임경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이 연구에서는 단위학교의 통합교육 지원과 지역사회중심의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네 그룹 30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특수교사들의 견해는 5개 상위범주와 14개 하위범주,59개 의미단위로 분석 되었다. 분석된 상위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지역자원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의 확대와 다양한 방식의 참여형 활동 운영,둘째,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시들의 역량강화와 학교 재구조화,셋째, 학교평가지표의 활용 및 학내 구성원 역량강화 지원,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력보강 및 재구조화, 지역네트워크의 단위학교 통합교육 지원체제 구축,다섯째,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지역중심의 네트워크 구축 및 통합교육 실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지역중심 통합교육이 효율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교사 지원의 필요성과 교사 지원을 위해서 온 • 오프라인의 다양한 통합 교육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support of integrated education in unit school and building regional integrated network for the realization of regional-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Focus group interview were implemen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four groups of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As a result,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into 5 upper categories, 14 lower categories and 59 meaning units. The analyzed upper categories are as followings.; First, expand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using community resources and managing participatory activities in various ways. Second, empowerments of teachers and restructuring schools for integration of curriculums. Third, using school value index and supporting empowerments of members in schools. Forth, reinforcement of human resources and re-strucluralization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ducation support system at schools of community network‘ Fifth, community focused network establishment and integrated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For efficient community focused integrated education, the necessity of teachers' support through ecological approach considering community resources and features of community, and establishing various integrated education network on line and off line are suggested.

      • KCI등재

        갈등이슈에 대한 지역 언론의 보도 비교 연구: "행정구역 통합" 관련 경남,전북,충북 지역 종합일간신문을 대상으로

        전오열 ( O Yeol Jeon ),최동성 ( Dong Sung Choi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지역의 갈등이슈에 대하여 지역 언론들은 어떻게 접근하고 보도하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행정구역 통합` 이슈는 2009년 하반기에 통합 대상 지방정부 간 또는 중앙과 지방정부 간, 지방정부와 지역주민 간, 통합 찬성과 반대 주민 간 등 전국 해당 지역에서 동시에 일어났던 갈등적 이슈이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행정구역 통합` 추진 과정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세 지역 언론의 보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역 언론의 갈등 이슈 보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에 성공한 경남의 창원시·마산시·진해시, 통합이 무산된 전북의 전주시와 완주군, 통합이 지연되고 있는 충북의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 추진 과정을 각각 다루었던 『경남신문』, 『전북일보』, 『중부매일』의 보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진행한 이 연구에서는 각 신문의 `행정구역 통합` 관련 기사의 보도량·기사 가치·게재면·취재원 유형, 기사 제목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기사의 전달 방식과 내용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신문은 다 같이 `행정구역 통합` 관련 기사를 지역의 주요 의제로 다루었으나, 일반주민들 보다는 지방정부 등 공식 취재원에 의존해 보도하였다. 신문별로 보면, 『경남신문』은 행정구역 통합모델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사를 적극적으로 보도하면서 정부 정책의 추진 과정을 객관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북일보』는 통합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찬성과 반대 세력의 갈등 양상을 적극적으로 다루며, 행정구역 통합을 찬성하는 시각에서 보도함으로써 비교적 주관적인 경향을 보였다. 『중부매일』은 이들 두 신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면서 객관적인 보도 태도를 취하였다. 이러한 지역신문들의 보도의 차이는 해당 지역 주민의 관심사와 이해관계, 언론사의 입장 등이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reports of local newspapers on conflict issue. The problem on reora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was one of hot issue recently in Korea. Three local Korean daily newspaper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Kyongnam Shinmun, the Jeonbuk Ilbo and the Joong-Bu Maeil. The study looked the news value, the character of the source, the headlines of the articles an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by the contents analysi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Kyongnam Shinmun showed active and objective coverage, the Jeonbuk Ilbo showed active and subjective coverage. The Joong-Bu Maeil showed passive and objective coverage. The study is highly significant because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he reports of three local Korean daily newspapers on the problem on reora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리더십이슈: 유럽통합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소연 ( Soyen Park ),박성훈 ( Sunghoon Park ) 한독경상학회 2020 經商論叢 Vol.38 No.4

        동아시아에서 지역통합이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이제 약 20여 년이 흘렀다. 1990년대 말에 대두되었던 강력한 지역통합을 향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현실은 개별국가 사이의 자유무역협정이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된 것 외에는 성과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20년 12월 성공적으로 협상이 종결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거의 유일하게 ASEAN과 한중일, 그리고 호주 뉴질랜드를 포괄하는 무역협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RCEP 또한 회원국 사이의 경제발전수준 차이, 경제운용시스템의 상이성, 국가규모의 격차 및 지향점의 상이성 등 향후 많은 장애요인들을 극복해야 한다. 이처럼 지역통합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실로 많은 역경을 극복해야 한다. 특히, 이는 동아시아처럼 문화, 언어, 종교, 경제시스템 등 매우 커다란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에 적용된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의 지역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리더십’과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을 점검해 보았다. 특히, 성공적인 지역통합의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유럽의 경험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지역통합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제도적 리더십 등 세가지의 리더십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함을 밝혀 냈다. 동아시아에 이러한 유럽의 경험을 적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일-프랑스의 리더십 협력과는 달리 동아시아에는 아직도 일본-중국, 미국-중국 사이의 리더십 경쟁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의 강국들 사이에서 아젠다 구축, 실행 등에 있어서 조율할 수 있는 국가의 필요성을 부각하는 요인이 된다. 둘째, 본 논문은 이를 위해서 동아시아 국가들이 동의한 ‘아세안 중심주의 (ASEAN-centrality)’는 그리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평가를 내린다. 물론 RCEP 등과 같이 아세안이 일견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제가 없는 것은 아니나, 아세안이 적극적으로 이를 추진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아세안이 지역통합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자신의 통합에 보다 커다란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셋째,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하여 최근 지역통합의 허브국가로 부상하고 있는 한국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이에 있어서 앞에서 언급한 중국-일본, 미국-중국의 리더십 경쟁에 더하여 한국-아세안 사이의 리더십 경쟁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러한 리더십 경쟁이 모다 조화롭게 진행되어 동아시아의 지역통합이 성공적으로 완수되기를 기대한다. It has been almost two decades since regional integration began to accelerate in East Asia. Despite earlier enthusiasm for regionalism, it is yet to achieve a region-wide FTA, let alone formal institutionalization. Advancing a functional approach to leadership, this paper argues that the limited supply of political, financial and institutional leadership has hindered deeper regionalism. Political leadership to promote regional integration exists, albeit weakly. However, rising political and diplomatic discomfort in the region has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commitments and agreements for deepening regional integration forged at the regional level are only a rhetorical gesture. This paper found that there is a limited supply of stable, coherent, and cooperative financial leadership: Japan’s financial leadership has been intersubjectively challenged, while China’s growing economic activities in the region have intensified financial leadership competition. Institutional leadership,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provided by ASEAN through the channel of ASEAN centrality, has also weakened in recent years over growing tension and waning unity among the ASEAN member states and the inherited constraints of the institution in the world of power politics. Korea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but its credentials are still to be proven. Such leadership vacuum is to be attributed to the emergence and intensification of three sets of leadership competitions in East Asia. This paper hereby draws a temporary conclusion that the success of regional integration depends on joint effor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rivalries are attenuated and functions of leaderships are provided.

      • KCI등재

        강원도 통합지역과 비통합지역 재정지출의 장・단기 효과분석

        심권평(Shen, Quanping),김종섭(Kim, Jong-sup),류승완(Ryu, Seung-wan),박경희(Park, Kyeung-h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3년까지 연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 통합지역과 비통합지역을 대상으로 재정지출의 장·단기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사회개발비는 단기적으로 통합지역과 비통합지역 경제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탄력성은 비통합지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적으로는 비통합지역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통합지역 경제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개발비의 탄력성은 단기적으로는 통합지역에만 경제성장 효과가 있고, 장기적으로 통합지역과 비통합지역 모두 경제성장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장기효과의 탄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행정비는 통합지역에서만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지역에서는 장기적으로 사회개발비가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할 필요가 있으며, 비통합지역은 경제개발비와 일반행정비의 경제성장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재정지출의 효율성을 높이는 투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 of the short-run and long-run impact of government expenditure using panel data during 1995-2013.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of Integration Area and Non-Integration Area tends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economic in the short-run, but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economic in the long-run to Integration Area. On the other hand,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of Integration Area have statistically impacts on economic in the short-run. Both Integration Area and Non-Integration Area have positive impacts on economic in the long-run, and statistic impacts larger than short-run. Furthermore, the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of Integration Area have positive impact on economic both in the short-run and long-ru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ange constitution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that the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has the positive impacts on economic consistently to Integration Area. Also, search the way of improve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and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short and long-run impact of Non-Integration Area for government expenditure invest more efficiently.

      • KCI우수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ism in East Asia and Europe

        Mi-Kyung Kim(김미경) 한국정치학회 2006 한국정치학회보 Vol.40 No.4

        최근 지역통합 비교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개별국가들의 지역통합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적 변수들에 대한 분석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 연구는 비교지역통합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지역적 수준의 구조적 변수에 집중하는 기존연구경향과는 달리 지역통합에 대한 개별국가들의 전략적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정치경제적 조건들에 관한 새로운 가설들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새로운 가설을 발전시킴에 있어 이 연구는 유럽통합의 경험을 지역통합의 보편적 모델로 사고하거나 혹은 개별지역의 특수성만을 강조하여 비교분석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두 가지의 분석적 오류를 모두 지양하고 지역간 비교분석을 개별국가수준의 교차국가간 분석과 결합하여 지역통합에 대한 국가의 선호와 선택을 국제 및 국내정치에서 국가의 정상적인 행위(normal actions)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 연구는 신지역주의(new regionalism)개념과 함께 깊은 지역통합에의 참여를 국내경제의 신자유주의적 전환을 추진함에 있어 국가의 국내적 자율성(state autonomy)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이 같은 이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유럽과 동아시아의 지역통합의 상이한 수준을 비교했을 때 이 연구가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가설은 상대적으로 강한 국내적 자율성을 가진 국가일수록 보다 깊은 통합에 참여할 가능성은 낮아진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국민국가적 자율성의 약화라는 깊은 통합의 정치적 비용에도 불구하고 왜 유럽국가들이 깊은 통합을 제도화 했는가 그리고 왜 동아시아 국가들은 개별국가의 국민국가적 자율성(national autonomy)을 약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지역통합에도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가를 설명한다. In recent years, a burgeoning literature has emerg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integration. Very little systemic research, however, has analyzed the domestic sources of regional integration. Unlike theconventional studies to give too much weight to regional structural variables, this study instead explores the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under what conditions states are especially likely to engage in deeper integration.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states are likely to engage in deeper integration when they are in the context of economic decline rather than economic success, when they have big governments, and when they have relatively weak governments. The main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logic of deeper integration as the main instrument for transforming the national economy in a neoliberal direction and as an external mechanism to enhance the state autonomy in domestic politics. To assess the main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s a cross-national data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n the levels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t which states are participating during the period 1976-1997 in East Asia and Europe, employing a panel ordered probit model with random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