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황화석(Hwang, Hwa-Se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2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 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 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 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investigated to awareness and assessment by festival participants’ to significance of lacal festival in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2011」. As result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estival participants’ in case study are that dominated participants’ were tewnties to fourties consisting consanguine and graduates. There is almost same rat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for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 are that positive responds was dominated at degree of using and respect of local culture resources and main theme reflected to festival. Third, questionnaire items of the significants of local festival are participation desire and real participation rates of citizen to local festival, contribution rate of citizenry reconciliation, effects of regional marketing and increasing regional image,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rate of improving people’s quality of cultural life. In these item, effects of reginal marketing is most positive response by Andong citizen and outsiders. And positive response of economical effects is higher outsiders then citizen. However, the contribution rate of citizenry reconciliation is lower then other items to positive response. Therefore, methods of regoinal embeddedness of case festival are evaluating life quality of local citizen by local festival and leading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o local festival.

      • KCI등재

        지역축제 평판이 지역 원산지 명성, 지역 브랜드 태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승균,최우영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0 마케팅논집 Vol.28 No.2

        Globally renowned festivals, such as Bordeaux Wine Festival, Qingdao International Beer Festival, Boseong Green Tea Festival, and Icheon Rice Culture Festival, have become famous local festival brands by offering a wide range of festival events and programs including activities, food, and workshops. Given how the reputation of a local festival is a multifaceted accumulation of strong beliefs, it improves visitor satisfaction and has positive residual impacts on brand loyalty and viral marketing. Empirical analysis reveals, first, that a local festival’s repu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opularity of a local area. In particular, the four factors festival’s achievements, immersive experiences, subject, and accessibility out of the six that determine a local festival’s reputation, have a huge impact on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a local area. Second, such popularity is likely to improve the attitude of local brands. Third and last, this popularity also has a good influence on people’s willingness to revisit the area. Therefore, this research affirms that the good reputation of a local festival and visitor satisfaction generate a virtuous cycle of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a local reason, building brand favorability for local products, and affecting people’s willingness to visit the area again. 세계적으로 유명한 보르도 와인 페스티벌,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를 비롯해 국내의 보성 녹차 축제, 이천 쌀 문화축제 등은 모두 다양한 즐길 거리, 먹을거리, 체험상품 등 우수한 축제 콘텐츠와 프로그램 진행을 통해 대표적인 지역축제 브랜드로 발전하였다. 지역축제와 관련된 평판의 개념은 다차원적이고 누적된 평가이며 신뢰도가 높은 정보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높여 해당 지역 축제에 대한 충성도 및 자발적 구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이 지역 원산지 명성을 강화시키고 해당 지역 상품에 대한 브랜드 태도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지역축제 평판의 구성요인을 6가지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관련된 변수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지역축제 평판이 지역 원산지 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역축제 평판에 관한 6가지 구성요인 중 시설 만족과 운영 조직을 제외한 축제 성과, 축제 몰입, 축제 소재, 접근성 4가지 요인이 지역 원산지 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 원산지 명성은 지역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 원산지 명성이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역축제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과 만족이 지역 원산지 명성을 강화시키고 해당 지역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와 재방문 의도까지 유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환경축제의 실태와 가능성

        김준(Kim Jun) 한국농촌사회학회 2003 農村社會 Vol.13 No.1

        전국의 지역축제는 지역문화 증진과 지역 활성화를 넘어서 `지역 재구성`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일년에 400여개의 축제가 개최되고 매년 사라지는 축제가 있는가 하면 새로 생기는 축제도 있다. 지방정부는 축제를 만들어내고 개최하려고 하는가. 대부분의 축제는 지방정부에 의해서 추진되고 있고, 지방선거를 포함한 지역 권력구조는 축제의 성격을 규정하기도 한다. 특히 지방자치 단체장의 시간적 제한성과 선거는 지역축제를 방문자의 많고 적음에 묶어버렸다. 그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사회 재구성에 미치는 다양한 역할에 대한 고민은 뒷전으로 밀려나나고 방문객 수를 고려하는 축제로 변화되고 있다. 그리고 지방정부는 앞 다투어 지역 대표축제를 만들려고 고민하고 있다. 지역축제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축제가 지역사회개발, 지역사회의 재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 글은 함평 나비축제를 중심으로 지역의 대표축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보고,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함평의 나비축제를 사례로 했던 것은 짧은 기간에 가장 성공한 축제로 평가받고 있고, 둘째는 축제의 자원을 나비라는 곤충으로 정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관광 불모지인 함평을 친환경농업지역과 생태환경보전지역으로 이미지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축제가 대규모화되면서 수용능력과 준비과정에 어려움이 노출되고 있다. 공무원과 주민의 동원이 자발성을 넘어서 강요되기까지 하고 있다. 그 결과 주민참여가 주민동원으로 변질될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나비축제와 같이 인근 지역 특히 영산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동일한 삶의 공간, 혹은 광역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과 갈이 새로운 축제운영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여기에 백화점식으로 프로그램을 부과하는 것은 주제의 선명성만 훼손할 우려가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지역축제가 지역주민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점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지역축제는 지방정부가 기획하지만 그 결과는 주민들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시민사회 영역에서 축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나비축제가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주민 스스로 이미 만들어진 친환경 이미지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지방정부도 이제 더 이상 이벤트적 전시적 축제는 멈추고 기존의 축제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며 축제의 지역주의를 넘어서 생활영역 단위로 축제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을 살펴볼 때 지역축제에 대한 관심은 지역의 다양한 정치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Local festivals in Korea imply "local reconstruction," in addition to the promotion and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Over 400 or so local festivals are held every year across the country, but some of them discontinue while new ones keep emerging. Why are local governments so eager to create festivals? Most festivals are initiated and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and local power structures, including local elections, often prescribe the nature of those festivals. Especially, the election and time limi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al authorities have defined local festivals in terms of the number of visitors. Consequently, local festivals, which are meant to play a variety of roles in reconstructing local society, are turning into those in which only the number of visitor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Furthermore, local governments are competing with one another for the creation of representative local festivals as local festivals are expected to play vital roles in improving and reconstructing local societies. However, it takes time to verify the anticipated effects of local festivals as most local festivals have begun only recent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n what process representative local festivals are created and what the effects of those festivals on local society are. In this study,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is chosen as an example for several reasons: 1)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local festivals, despite its short history; 2) It is a festival based on a live creature, a butterfly, as its major source; and 3) It aims at vitalizing the economy of Hampyeong, a barren region with little tourist resources, by highlighting the local image as a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rea and an area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s local festivals grow larger, problems regarding their capacities and preparatory processes are exposed. As the participation of civil servants and local residents in the festivals on a voluntary basis is in fact often compulsory,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may reduce to mobilization. As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operates in close relations with nearby areas, especially the living space centered on the Yeongsan River shared by local residents, and autonomous organizations in wide areas, new ways to operate local festivals after the model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re imperative. Something-for-everybody events imposed upon local festivals may tarnish the purposes of local festivals. What is more important is how local festivals are related to the living of local residents. Although most local festivals, so far, have been created by local governments, it is the local residents that take the consequences of the festivals, which is why local festivals should be promoted and evaluated in the domain of civil society. In order for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o be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local residents, local residents themselves should provide services that correspond to the environment-friendly image of Hampyeong. Also, local governments should stop hosting festivals full of scattered events and start reexamining the existing festivals in order to reorganize local festivals beyond regionalism by taking the living area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지역축제지원 조례의 확산요인 분석: 제도적 동형화를 중심으로

        박정인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enactment of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spread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is a representative local government’s support system related to local festivals.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which has been enacted since 2004, is enacted by 134 local governments in 2021. As many local governments mainly include the budget support o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s or the composition of the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in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se two contents. For analysis, panel ordered logit analysis is conducted for 226 local governments and the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from 2010 to 2019.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of local governments is enacted through mimet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In other words, when local governments enact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other local governments’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and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s related to culture, festivals, and tourism have a great influ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mpirically analyzing the diffusion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for the local festival support ordinance. 이 연구는 지역축제지원 조례 제정이 제도적 동형화(institutional isomorphism)를 통해 확산되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지방정부의 지역축제관련 지원 제도 중 대표적으로 지역축제지원 조례를 들 수 있다. 2004년부터 제정되기 시작한 지역축제지원 조례는 2021년 기준 134개의 기초자치단체가 제정하였다. 다수의 지방정부가 주로 단체장의 예산 지원이나 축제추진위원회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지역축제지원 조례에 포함함에 따라 이 연구에서도 이 두 내용에 중점을 두고 조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226개의 지방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를 대상으로 패널서열로짓분석(panel ordered logit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방적 동형화와 규범적 동형화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지역축제지원 조례 제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방정부가 지역축제지원 조례를 제정함에 있어서 주변 지방정부의 지역축제지원 조례와 각 지역의 문화・축제・관광관련 민간 비영리단체의 영향력이 컸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제도적 동형화가 지방정부의 지역축제지원 조례 확산의 주요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지역축제지원 조례에 대한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지역기반 창업기업 제품 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홍인기,민경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1

        Local festival in Korea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as well qualitatively. Driving force of local festival's development is local governments' active supports. Many Local government support local festival opening actively to accomplish economic activation. Activation of local festivals is good chance to local start-up companies. Local start-up companies don't have well known brand, and wide distribution network. But they can sell their products to visitors in local festival. And if fortune smiles upon them, they can get big buyers in local festivals. If so, what factors can contribute to a increase sales of local start-up companie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that focus on tour industrial outcome, we will focus on effect of festival service quality on increase sales. The survey i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we surveyed visitors who visit local start-up companies' booth in festival site. According to survey result, first, each dimensions of festival service quality do no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directly except empathy dimension. Second, each dimensions of festival service quality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y a medium of local image indirectly except assurance dimension. And purchase intention have a great effect on purchase action. Through the results, we can confirm festival service quality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y a medium of local image indirectly. we suggest that improving festival service quality can effect on sales increase of local start-up companies, and for the purpose of sales increase, local government must improve local image at first. 지역축제란 지역기반창업기업들에게 매우 소중한 홍보 및 판매의 장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은 이들의 제품 판매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 기존의 축제서비스품질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축제서비스 품질의 관광산업적 성과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는 달리, 우리는 축제서비스 품질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하여 우리는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은 지역이미지를 매개로 지역기반창업기업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축제서비스 품질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공감성 차원을 제외할 땐 다른 차원은 모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축제서비스 품질의 각 차원은 확신성을 제외하고 지역이미지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구매의도는 구매행동에도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지역축제서비스품질은 지역이미지를 매개로 할 때, 지역기반창업기업의 제품판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영향은 직접적인 영향이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이었다. 또한 지역이미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할 수 있다. 더하여 지역축제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지역기반창업기업제품 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공감성 차원이 영향을 많이 준다는 점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문화관광축제가 지역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산해미읍성축제를 중심으로

        김영철 ( Kim Young-cheol ),임동혁 ( Yim Dong-hyo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2

        지역축제들이 양적으로 성장하는 동안 문화관광축제 또는 지역개발형 축제라는 새로운 모델이 등장하여 단순히 먹고 마시는 축제가 아니라 관광객 유치나 특산물 판촉, 지역이미지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축제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서산해미읍성축제는 최근 5년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었으며, 2016년 세계축제협회 피너클어워드에서 국내 축제 중 가장 많은 금상을 수상하는 등,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축제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문화관광축제중에서도 서산해미읍성축제를 중심으로 지역축제가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해 보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관광축제로서의 서산해미읍성축제가 지역사회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영향에 대하여 축제관련 그룹인 운영참여자, 자원봉사자, 축제관련업무자, 기타참여자 간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파악하려는 것에 있다. 서산해미읍성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행하였고 또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그룹 간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Ⅰ의 검증은 거주지로 설정한 3개 요소 중 1개가 기각되고 2개가 채택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연구가설 Ⅱ의 검증은 관련그룹으로 설정한 3개의 하위요소 중 1개가 기각, 2개가 채택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서산해미읍성축제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서산해미읍성축제가 지역개발형축제로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며, 아울러 향후 지역개발형축제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축제가 지역을 살리는 산업으로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During the period of the quantitative growth of local festivals, a new model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or local development festivals emerged. Instead of just eating and drinking festivals, the typical festival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such as attracting tourists, promoting local products, improving local images, and revitalizing local economy have begun to appear. In this regard, the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has been selected as a cultural tourism festival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has been held a reputation as a festival that ha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ncluding winning the most gold prizes of the festivals at the Pinnacle Awards of IFEA world (Internation Festival & Event Association) in 2016. In this respect, how the local festivals affect local communities focusing on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amo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is analyz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plan can b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as a cultural tourism festival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to analyze perception gap of this effect among the festival related groups such as operating participants, volunteers, festival related officials and other participants. In the reference study, preliminary study on the concept of local festivals, the current status of local festivals,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rocess of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and its effect on local community was conducted and in the empirical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had visited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the effect of the community.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hypothesis I was partially adopted because one of three factors of residences was rejected and two were adopted.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hypothesis Ⅱ was partially adopted because one of three sub-factors of residences was rejected and two were adopted. These results achieved the research goal by suggesting that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From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la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eosan Hami-eup Castle Festival as a local development festival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estival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industry that revitalizes the communities by conducting active studies on the effect of local development festivals.

      • 지역축제의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대범(Kim Dae Beom)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가 주민 없는 축제로 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주민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축제에 있어 어떻게 주민참여가 이루어지는지 그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었다. 또한 궁극적으로 지역축제에 있어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론적 배경에서는 지역축제의 주요개념과 유형,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연구 자료와, 지역축제에서의 주민참여에 대한 주요개념과 분류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증조사를 통해 해남 명량대첩 축제에 대한 주민의 인식, 참여 동기, 기대 효과 순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여 파악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해남명량대첩 축제의 주최 지역인 해남군과 진도군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남 명량대첩 축제의 발전방안을 지역애향심과 지역주민의 경제적 이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순신 장군과 지역주민의 연관성을 위한 역사교육을 실시한다. 해남 명량대첩 축제에 참여하는 해남과 진도 주민들의 근본적인 이유는 조상들의 후손이라는 점이다. 둘째, 우리 지역에 애착을 가질 수 있는 작은 모임을 구성한다. 지역이 점점 개인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단합하고 화합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준다. 셋째, 타 지역 이순신 축제와 우리 지역만의 차별화를 부각시킨다. 해남과 진도군의 주민만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지역주민의 우수성에 대한 시상 및 사례 또한 고려해 본다. 넷째, 주민의 봉사참여에도 경제적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한다. 해남 명량대첩 축제의 경우 주요 프로그램 운영의 주체가 주민이기 때문에 가능한 정책이다. 다섯째, 개인의 영리적 목적보다는 집단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 주민이 화합하여 참여하는 잔치의 경우 각 마을마다 경제적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여섯째, 관광객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관광객의 참여가 많은 지역주민에게 돌아갈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이 커질 것이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앞장서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축제에 있어 많은 주민들의 참여를 증진 시키며, 보다 효율적인 주민참여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specifically designed to increase awareness in the importance of local participation in local festival and analyze how locals’ participation is achieved. Ultimately, pave the way to bring about local participation in local festival.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s key concepts and types of local festivals, functions and a study on the effects and local participation in local festivals for the key concepts and classification, and looked at the effect. And thorough empirical research on locals awareness Battle of Myeongnyang festival,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pected effect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Research targets were locals living in Battle of Myeongnyang festival host organizing local county government of Haenam and Jindo. Based on the result, study suggests development plan for Haenam Battle of Myeongnyang festival that center around and best represent local patriotism and economic interest as follows. First, provide education on the historical relevance and association between Admiral Yi Sun-sin and locals is suggested. The fundamental reason local residents of Haenam and Jind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s is that they are the descendants of the soldiers fought during Battle of Myeongnyang. Second, create and organize small group to foster local patriotism because community is ever becoming individualistic thus it will provided locals a ground to bond and unite Third, locals should differentiate its Yi Sun-sin festival from other counties. Consider awarding locals for excellence in participating program only residents of Haenam and Jindo can achieved and explorer other precedents. Fourth, create policy that will benefit local volunteers economically. This policy is only possible because local residents are the principal of Haenam Battle of Myeongnyang festival. Fifth, developing a system for commercial success as a whole is required instead of an individual. For the festival that locals participating, there is a need for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commercial success that benefits each town. Sixth, lead the wa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ourists can participate is a must because more tourists participate in programs during festival, greater the benefit that goes around. These findings should promot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hope that will lead to more effective participation by locals in the future.

      • KCI등재

        순천만 갈대축제의 서비스품질이 축제만족도와 지역관광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분도 ( Jeong Boon-do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수많은 형태의 지역축제들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축제방문객의 형태에 따른 상품화 전략, 축제이미지 연구, 지역축제 방문 동기와 만족 및 재방문 의사 등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지역축제 관련 연구가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도구는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 시도되고는 있으나 연구의 대부분은 타서비스 산업의 연구결과를 차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하는 지역축제 방문객에 대한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방문객들의 지역관광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척도인 SERVQUAL 방식을 이용하여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 분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5개 차원의 요인(즉, 감정이입, 보증성,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요인)에 35개의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이들 요인이 축제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대하여 어느 정도 중요변수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개의 가설을 세워 검증하였는데, 첫째, 가설1-1(감정이입은 축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4(신뢰성은 축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5(대응성은 축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2(축제만족도는 지역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3(축제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가설1-2(보증성은 축제만족도에 양향을 미칠 것이다.)과 가설 1-3(유형성은 축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 기각되었다.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이 축제만족도와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 향상은 중요하게 요구된다. 지역축제 기획과정에서부터 지난 축제의 미비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제거하고, 다른 지역축제에서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 서비스로의 변화를 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광형태 역시 과거에는 관람형이었지만 현재에는 체험형관광으로 변화하는 현상도 축제 기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방문객들이 직접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환된다면 축제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유사 프로그램의 중복으로 인해 지루함이나 식상함을 배제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local festivals,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visitors' satisfaction in service quality of local festivals held by local governments on local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Using the SERVQUAL to measure service qualit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n the Suncheon Bay Reeds Festival on local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service quality of local festivals, this study established 5 factors (empathy, guarantee, tangibility,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and 35 items and looked at how much important they were to festival satisfaction, local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1(Empathy will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Hypothesis 1-4(Reliability will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Hypothesis 1-5(Responsiveness will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They were adop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Second, hypothesis 2(Satisfaction will have an effect on local tourism satisfaction) and hypothesis 3(Satisfaction will have an effect on revisit intention) were adop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ird, hypothesis 1-2(Guarantee will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Hypothesis 1-3(Tangibility will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were rejected.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festivals is important because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festival was measured as a factor explaining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 It is necessary to remove from the planning process of local festivals the parts that are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by the past festivals and to change into programs and services with high levels of response from other local festivals. In addition, the type of tourism has been a viewing type in the past, but now, the phenomenon that changes into experiential tourism is also something to consider in festival planning. Therefore, if converted into a program that visitors can feel and experience festival satisfaction level can be increased. However, efforts to eliminate boredom and tiredness will be necessary due to duplication of similar programs.

      • KCI등재

        섬 축제의 경제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 - 임자도 튤립축제를 중심으로-

        고두갑 ( Go Du-gab ),곽수경 ( Kwak Su- Kyoung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전남의 경우 지방자치제를 실시한 초기부터 다른 지역에 비해 산업기반이 취약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관광산업에 관심을 가졌으며, 대표적인 것이 지역축제의 활성화이다. 2008년 이후 전시행정이나 낭비 등, 축제에 대한 무용론이 등장하면서 지역축제가 많이 없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전남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연간 86개의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지역축제가 지속적인 관광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지기반 확립, 지역주민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며 부가가치를 높이는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하나, 지금까지 전남은 관광개발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주민과의 갈등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서남권의 대표적인 도서지역인 신안군 임자도의 튤립축제를 통해서 지역주민의 축제의식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여 실제적인 가치와 효용적인 가치의 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서는 생산유발효과는 총 28.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1.1억원, 수입유발효과는 3.5억원, 취업유발효과는 54명으로 나타났다.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축제의 경제적 가치평가에서는 662,031,744원이 추정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안 튤립축제는 비용대비 경제적 파급효과는 매우 크지만, 지역의 산업에 축제가 주는 시그널이 매우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역축제가 발전하고 확대 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생활환경이나 지역산업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축제는 공동체 형성이라는 사회적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 조사결과 지역주민은 축제를 통해 어느 정도의 공동체적인 자긍심을 가지지만, 축제를 통한 공동체의 통합보다는 관광이나 지역발전의 측면에서 기대하고 있다. 지역축제가 오랫동안 주민의 대부분의 직접적인 삶과 연관이 없고, 축제가 관주도적인 관광객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동원된 관광객에 먹을거리 사갈거리가 없는 잔치가 지속되어 내실없는 축제가 이어지고 있다. 성공한 지역축제들의 경우 지역 특색을 살린 주제를 중심으로 축제가 개최되고 있었으며, 축제 개최 과정 전반에 주민들이 깊숙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축제가 지역의 다양한 특성과 연결될 수 내생적인 발전모델을 찾아야 할 것이다. As for Jeonnam, it had weaker industrial foundation than other areas since the initial period of implementation of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and it has been interested in tourism industry as a strategy of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the representative one is revitalization of local festival. Many local festivals have vanished since 2008 due to appearance of useless festival theory including administrative display and wastage but 86 festivals with the largest number of the country are still held in Jeonnam every year.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local festivals to be developed as continuous tourism industry ar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establishment of support foundation, and enhancement of added value through contribution to local residents' income but Jeonnam failed to reflect full intention of local residents in tourism development process up to now and therefore, it had conflicts with residents. This study grasped festival spirit of local residents and economic ripple effect through tulip festival of Sinan-gun, the representative island region in southwest area of Jeonnam and then, it conducted investigation from such two aspects as actual value and effective value. With respect to analysis of economic ripple effect us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 it exhibited that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was total 2.86 billion won, added value inducement effect was 1.11 billion won, import induction effect was 0.35 billion won,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54 people. Evaluation on festival economic value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local residents showed estimation of 662,031,744 won.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inan tulip festival had a great economic ripple effect comparing to the cost but that signal given to the regional industry by the festival was not very gre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nect local living environment with regional industry in order for a local festival to achieve development and expanded reproduction. Second, social value of community formation is very important to local festivals. According to a survey, local residents have a certain degree of community pride through festivals but they expect tourism or regional development than community integration through festivals. Local festivals are not relevant to direct living of most residents for a long time and are promoted to a government-initiated direction with priority to tourists and therefore, feasts with mobilized tourists but without foodstuffs and goods to buy have continued without internal instability. In the case of successful local festivals, it was found that festivals were held focusing on them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 and residents deeply participated in the overall process of the festival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eek an endogenous development model for a local festival to be connected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 KCI등재

        지역축제 프로그램이 참여도 및 효율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종원(Jeong, Jong Won),김정호(Kim, Jeong H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축제 분석 자료에 따르면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하면서 폭발적으로 늘어나 1990년 70여개에서 2008년 926개를 정점으로 자율적으로 통폐합 및 발전을 통해 2013년 752개, 2017년 733개로 하루에 2건 이상 개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및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하여 지역축제에 대한 학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중복과 지역축제 비관련 논문을 제외하고 971개의 논문을 발견 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971개 논문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성공요인 도출 및 문제점 파악, 경제적 파급효과 및 지역축제에 대한 목적과 기대효과 달성여부에 대한 평가연구 등의 3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대부분 주체자의 성과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 주체인 축제 참여자에 대하여 착안하였고, 이렇게 진행되는 지역축제의 핵심인 참여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축제는 어떠한 차별성이 있고, 4차 산업혁명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인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활용하면 지역축제의 참여도 및 효율성에 성과를 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유형에 대한 선행 사례연구를 통해 축제지향성, 축제 운영방식, 축제 개최목적, 축제 소재를 독립변수에 대한 하위변수로 설정하였다. 축제성과를 종속변수로하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매개변수로 하여 모형을 설계 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전체 모형의 입장에서 분석, 평가할 수 있고,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주는 기법인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적합성을 검정 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지역축제에 대한 참여도 및 효율성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지역축제를 참여한 일부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러나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다소 소외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으로 지역축제에 모바일 결제 및 관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 한 것에 대해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ccording to the regional festival analysis data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implemented in 1995, and the number of festivals increased from 70 in 1990 to 926 in 2008, 752 in 2013 and 733 in 2017 More than two cases were held. The research trends of regional festivals were searched through KERIS and RISS, and 971 papers were found except duplication and festival related papers. In the 97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there are three main directions for finding the success factors, identifying the problems, evalua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and attaining the purpose and the expectation effect for the local festival.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centrate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festival participant, who is the main subject of the festival. In order to raise the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which is the core of the local festival,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estival, I started with an inquiry. In addition, we will investigate whether the mobile payment service, an axi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achieve the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of local festivals. In this study, festival orientation, festival operation method, festival purpose, and festival material were set as sub - variables for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precedent case study on the type of local festival. The model is designed with the festival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mobile payment service as the parameter.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 which can analyze and evaluat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whole model, And the suitability was verifie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mobile payment servi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in local festivals, but it is rather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it analyzed some people participating in local festivals. However, it is meaningful to suggest mobile payment and related programs to local festival as an axi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mobile payment service may be somewhat alien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