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홍봉선,남미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The study is searching for programs to build community support systems helping young single mothers based on the viewpoint of eco-systems theory, using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e study examined 150 young single mothers' actual living conditions, needs and their usage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and also it tried to present community support systems appropriate for their needs. The result shows that Korea's young single mothers are a newly emerged poor class, who are out of reach the social welfare system. The life of single mothers at home is worse than those in institution since they don't have any type of support form community. However, they do their best to perform their role as parents and one third of them keep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s biological father. The needs and pressing problems of young single mothers at home and in institution vary from cases to cases, especially regarding to their future plan and self-sufficient pla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some support systems for young single mothers are presented. First, more favorable perception toward young single mothers should be formed among the public in terms of macrosystem level. Second, in terms of exosystem level, redirecting and revising laws on young single mothers and establishing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cooperation systems should also be implemented. Third, in terms of mesosystem, school support, one stop service, outreach, and case management programs are reinforced. Finally, more support for young single fathers, service reinforcement for strengthening of family ties, facilitating young adult parents' growth and consolid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ir families and community are considered in terms of microsystem level.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서베이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청소년양육미혼모의 지원체계 구축방안 모색에 유용한 효과적인 경험 및 내용을 추출하였다. 서베이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욕구 및 실태조사가 전무한 상황에서, 전국에 살고 있는 청소년양육미혼모 150명을 조사하여 그들이 당면한 당면문제 및 욕구, 지역사회서비스 이용 실태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청소년 욕구에 근거하여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면 청소년양육미혼모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정책방향 전환 및 관련법 개정, 지역사회내 청소년양육미혼모를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및 협력체계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지원의 강화 및 지역사회기관차원의 one stop 서비스, 아웃리치, 사례관리 등 전문적 개입이 강화되어야 하며 미시적 차원에서는 청소년미혼부의 지원확대, 가족유지 서비스 강화,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발달 및 성장 촉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Ⅱ

        김은지,김동식,최인희,선보영,김나연,정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한부모가족의 정책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 지원체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청소년한부모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확대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청소년한부모들은 정책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전달체계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미혼모부자 거점기관 등 주요 전달체계에 대한 청소년한부모들의 접근성을 살펴보고, 이들 기관과 타 기관과의 연계가 얼마나 활성화되고 있는지, 전체적인 정책패키지로서 전달체계간의 통합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소년한부모들이 주로 이용하는 전달체계는 공공복지 전달체계와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이었으며,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은 이용율이 크게 낮아 주요한 정보제공 창구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경우에는 담당자들의 태도와 편견으로 인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나, 담당인력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은 다른 기관으로의 연계도 가장 많이 이루어진 편이었지만 정보제공과 서류작성 도움 수준에 그치고 있어 연계기능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은 일차적인 정보접근 게이트웨이로는 활용되지 못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상담기관의 경우 이용율이 매우 낮고, 서비스 제공자들도 청소년한부모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이와 같이 시설중심의 정책전달, 공공복지전달체계의 낮은 친화력, 재가 한부모서비스 전달체계의 부족, 청소년전달체계와의 괴리는 한국 청소년한부모 정책전달의 주요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한다. 공공복지전달체계에서 여성?가족 전담팀?인력을 배치하고,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은 정보제공과 연계기능을 강화한다. 미혼모 전담 온라인 상담창구를 설치하는 한편, 미혼모부자 거점기관의 기능을 강화하여 연계네트워크를 활성화한다. 나아가 청소년상담기관과는 CYS-net과의 연계강화를 통한 정책간 칸막이를 낮춘다. 이와 같은 영역별 전달체계를 통해 청소년한부모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지역사회지원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

        최인재,모상현,이선영,김혜인,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인프라 현황과 서비스 전달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필요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단위별 지원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전국단위 대규모 조사 및 협동연구 등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기타 연구 추진방법으로는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정책 개선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정책추진 주무부처와의 정책협의회를 통해 제안된 정책방안의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실태 파악을 위해 2년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상 나타나는 주요 문제점과 변화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둘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인프라 현황과 서비스전달체계를 분석하였고 개선과제 및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역단위별 우수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지역단위별 지원모형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연구진행을 위해 선진 외국의 사례를 고찰하는 한편 FGI와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전문가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 제시한 연구내용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향후 필요한 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방안과 지역단위별 지원모형을 제시하였고, 향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주요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understands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our nation and has the purposes to prepare improvement policy by analyzing current status of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and service delivery system for youth and regional-based support systems. The study method conducted with literature research, consultation meeting of experts, nationwide survey, and cooperation research and other study promotion method induce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xperts workshop for the policy impro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mental health,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olicy plan was considered through policy meeting with government department promoting the policy. The study contents was performed by dividing to three areas. First,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Second, analyzed current status of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and service delivery system for adolescents’mental health and to give recommendation on improved policy for mental health service infrastructure and service delivery system for youth. At last, searched for appropriate supports and interventions models for crisis adolescents. To prepare improvement plan of infrastructure and service delivery system for adolescents’mental health, it investigated overseas policy and cases and policy enhancing children and adolescents’mental health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reflecting field experts’opinions and interview of FGI group. And based on this, improvement plan in the aspect of future necessary policy,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and service delivery system for youth and regional-based support systems wa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에서의 학교 기반 정신건강사업의 효과적 요인에 대한 연구

        홍현주(Hong, Hyunju),하경희(Ha, Kyunghee),김진아(Kim, Jina),김우식(Kim, Woosik),오은지(Oh, Eunj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2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욕구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학교는 정신건강 예방과 증진, 서비스 접근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장소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서구에서는 학교 기반 정신건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2013년부터 ‘학생 정신건강 지역협력모델 구축ㆍ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는 최초의 전국 단위 ‘학교 기반 정신건강’사업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3년간의 사업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사업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무자 2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후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중심의 교사연수 및 실용적 콘텐츠 개발, 교육 과정을 활용한 학생 정신건강교육, 적극적인 부모 교육 및 상담, 학생 정신건강 학교운영체계 구축, 학교마음건강위원회 구성, 관심군 학생지원 및 위기관리체계 구축, 학생 정신건강 위기대응 훈련, 마음건강 자문의사 지정, 교육청 학생 정신건강 컨트롤타워 구축, 학생 정신건강 지역협의체 구성, 핫라인 시스템 구축의 11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기반 정신건강사업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As the need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is increasing, schools are emphasized as an important place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access to services. ‘Students’ Mental Health School-Community Cooperative Model’ started in 2013. This had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nationwide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3-year-long project. To this en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20 hands-on workers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deduced 11 factors ― case-based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contents, students’ mental health education using curriculum, active education and counseling with parents, establishing school operation systems for students’ mental health, organizing school committees, student support and crisis management systems, crisis response training, designating school doctor for mental health, establishing control tower of Education Office, organizing local committee, and establishing a hot-line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poli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to expand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