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요의 지역차를 고려한 대체연료 충전소 최적입지선정: 플로리다 올랜도를 사례로

        김종근 ( Jong Geun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1

        요약: 초기 대체연료차 시장은 고비용으로 인해 수요 잠재력의 지역차가 존재할 것이며 효율적 입지모델은 이러한 지역차를 고려해야 한. 본 논문은 지역차를 고려한 대체연료차 수요 모델을 기종점 통행량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대체연료차 통행량을 추정한다. 추정된 통행량은 주어진 수의 시설물이 기종점 통행량을 최대로 포괄할 수 있도록 하는 입지모델 (Flow Refueling Location Model)에 입력되어 대체연료 충전소 최적 입지 대안을 제시한다. 사례지역은 플로리다 올랜도 대도시권이며, 수요 추정 및 통행량 통합 시나리오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Abstract: The initial marker of alternative-fuel vehicle (AFV) will show geographically uneven distribution due to AFV`s high price, and thus efficient location model should consider spatial variation of demand. This paper estimates AFV trips by incorporating an AFV demand estimation model with origin-destination COD) trips. The estimates are the input for the flow-refueling location model that maximizes the OD flows that can be refueled by the given number of stations considering AFV`s limited range per refueling. A scenario analysis is conducted by varying assumptions in estimating demands and AFV acceptance rate. Optimal location alternatives for Orland metropolitan area are provided and results are compared.

      • 교육의 지역적 격차에 관한 연구: 중학교 교육현황을 사례로

        추경모 ( Gyeong Mo Choo ) 한국지리학회 2012 한국지리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교육의 지역차를 교육 지표로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중학교 교육을 대상으로 전국 232개 시군구를 연구지역으로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4개의 군집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배경’과 ‘진학 및 학업성취’ 영역이 높은 군집, ‘학교여건’과 ‘진학 및 학업성취’ 영역이 높은 군집, 보통군집, ‘교육배경’과 ‘진학 및 학업성취’ 영역이 낮은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요약하면, 중학교 교육현황의 지역차는 확인되었으며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지역과 전라남북도를 중심으로 한 남서지역의 격차가 나타났고 대도시 지역에서는 지역내부의 격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서울지역은 하위지역간의 편차가 가장 컸다. 중앙 및 지방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교육의 지역차를 줄이기 위한 여러 정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gional differences of education using an educational indicatior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education. The districts administered by 232 local governments were chosen as research area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232 areas were separated into 4 clusters. In short, the regional differences of education in middle school were found and the northeastern provinces had higher values than southwestern provinces. And in metropolitan city (particularly in Seoul) there was the big spatial gap among subregion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policies in order to minimize the regional differences of education.

      • KCI등재

        若年層における談話展開の方法の地域差 - 東京、大阪、仙台方言の比較を中心に -

        琴鍾愛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0 No.-

        본 논문에서는 담화표지의 출현경향으로부터 도쿄, 오사카, 센다이방언의 젊은층을 대상으로 담화전개방법의 지역차를 고찰했다. 그 결과 세 지역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의 종류와 출현 순서는 유사하지만, 담화표지의 출현경향, 즉 담화표지의 출현빈도에서는 지역차가 인정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세 지역의 자세한 비교는 앞으로의 과제이다. 또한 앞으로는 더욱 대상지역을 넓혀 젊은층에서의 담화전개방법의 지역차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gional difference of the discourse deployment method of Tokyo, Osaka and the Sendai's younger generation by comparing the appearance tendency of discourse mark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course marker’s type and the appearance tendency were similar but the appearance number was different among them. Further researches of the younger generation's regional difference of discourse development method are necessary for these three regions and another regions.

      • KCI등재

        日本語方言談話における話者交替

        渡邉有紀恵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In this thesis, aspects of turn-taking has been studied and the difference among regions has been analysed through dialectal discourse data in Iwate, Niigata, Tokyo and Nara. Every utterance has been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back-channel and the actual utterance based on its fun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ategorized utterances, followings have been clarified. ·Iwate and Niigata showed low frequency of turn-taking because the back-channel response is overlapped with the end of interlocutor’s utterance in majority of cases and it does not induce punctuation of interlocutor’s utterance. On the other hand, Nara showed high frequency of turn-taking due to the utterance taking place without overlaps by the back-channel response. Turn-taking ratio by the actual utterance rather than the back-channel response was high only in Nara. ·The ratio of the actual utterance failed to gain the utterance right was the highest in Iwate.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clarified that the regional difference exists in turn-taking. 본고에서는 방언 담화자료를 사용하여, 화자교체의 양상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지역차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발화에 대하여 그 기능에 따라실질적 발화와 맞장구 표현으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실질적 발화와 맞장구 표현은 비교적 지역차가 있다. 이와테, 니이가타, 도쿄는 맞장구 표현의 비율이 높았다. 또, 이와테, 니이가타, 도쿄는 맞장구 표현이 상대방의 발화의 말미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고, 상대의 발화를 중단시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화자교체의 빈도가 낮다. 한편, 나라는 맞장구 표현이 중복되지 않고 발화되기 때문에 화자교체의 빈도가 높다. 화자교체를 하지 않는 맞장구 표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니이가타 현이며, 나라 현은 유일하게 맞장구 표현보다도 실질적 발화에 의한 화자교체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각 담화 자료에서 실질적 발화는 발화권을 취득한 것이 관찰되었다. 발화권을 취득하지 못한 실질적 발언의 비율은 이와테 현이 가장 높다. 본고에서는 화자교체의 양상에 있어서도 지역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 KCI등재

        일본의 방언 담화에서의 화자교체

        와타나베유키에 ( Watanabe Yuki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본고에서는 방언 담화자료를 사용하여, 화자교체의 양상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지역차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발화에 대하여 그 기능에 따라실질적 발화와 맞장구 표현으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실질적 발화와 맞장구 표현은 비교적 지역차가 있다. 이와테, 니이가타, 도쿄는 맞장구 표현의 비율이 높았다. 또, 이와테, 니이가타, 도쿄는 맞장구 표현이 상대방의 발화의 말미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고, 상대의 발화를 중단시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화자교체의 빈도가 낮다. 한편, 나라는 맞장구 표현이 중복되지 않고 발화되기 때문에 화자교체의 빈도가 높다. 화자교체를 하지 않는 맞장구 표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니이가타 현이며, 나라 현은 유일하게 맞장구 표현보다도 실질적 발화에 의한 화자교체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각 담화 자료에서 실질적 발화는 발화권을 취득한 것이 관찰되었다. 발화권을 취득하지 못한 실질적 발언의 비율은 이와테 현이 가장 높다. 본고에서는 화자교체의 양상에 있어서도 지역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In this thesis, aspects of turn-taking has been studied and the difference among regions has been analysed through dialectal discourse data in Iwate, Niigata, Tokyo and Nara. Every utterance has been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back-channel and the actual utterance based on its fun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ategorized utterances, followings have been clarified. ·Iwate and Niigata showed low frequency of turn-taking because the back-channel response is overlapped with the end of interlocutor’s utterance in majority of cases and it does not induce punctuation of interlocutor’s utterance. On the other hand, Nara showed high frequency of turn-taking due to the utterance taking place without overlaps by the back-channel response. Turn-taking ratio by the actual utterance rather than the back-channel response was high only in Nara. ·The ratio of the actual utterance failed to gain the utterance right was the highest in Iwate.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clarified that the regional difference exists in turn-taking.

      • KCI등재

        평생교육관점에서 지역차에 따른 생활시간조사 연구

        박수정,윤지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3 평생학습사회 Vol.9 No.2

        This study analyzed overall time-use analysis using time-us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9 to examine th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 which can be deducted from the state level extensive statistical investigation which is not limited for the specific purpose and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erences the ratio of time related to study among them and distribution of living time related to thi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s 19,826 people among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and I could discover the meaningful result through the MANOVA verification that each type of time-us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al differences or whether a subject is studying or not. Furthermore, I could confirm that the reg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living time also showed the meaningful level. Through this, the research could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in study related time of an adult according to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whether there is a study experience or not, and the study tried to make it a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future lifelong study part by examining measures which can resolve worries about expansion of an educational opportunity of the adult and the regional imbalance of the educational part for an adult in the future based on this. 이 연구는 특정 목적으로 국한되지 아니한 국가 수준의 광범위한 통계조사에서 유추해 볼 수 있는 평생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2009년 통계청에서 시행된 생활시간조사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들의 전체적인 생활시간조사를 분석, 그중에서도 학습관련 시간의 비중과 이와 관련한 생활시간의 배분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우리나라 성인인구 중 19,826명으로, MANOVA 검증을 통하여 생활시간의 각 유형이 지역과 학습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생활시간의 유형에 따른 지역차 역시 유의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의 학습관련 시간에서 지역에 따른 차이와 학습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가 그들의 삶에서 실재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성인들의 학습기회 확충에 대한 고민과 함께 성인들을 위한 교육부문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 향후 평생교육 부문의 실천적 함의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説明的場面で使用される談話標識「ホラ」の使用傾向 - 東京・大阪・仙台方言の地域差を中心に -

        琴鍾愛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학연구 Vol.40 No.-

        설명적장면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 「Hora」의 사용경향 -도쿄・오사카・센다이방언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회화에서 정보의 공유를 환기하여 상대와 정보공유 하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담화표지인 「Hora」를 대상으로 지역차에 주목하여 도쿄방언, 오사카방언, 센다이방언의 사용경향의 차이를 밝혔다. 검토 결과, 「Hora」의 사용빈도는 도쿄방언에 비해 센다이방언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오사카방언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바꿔 말하면 도쿄방언과 센다이방언에서는 상대에게 정보의 공유를 환기하여 상대와 정보공유 하에서 이야기를 진행시키려는 경향이 강하고, 센다이방언에서 그러한 경향이 도쿄방언보다 좀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오사카방언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Usage Tendency of the Discourse Marker, ‘HORA’, in the Explaining Situation - Focusing on the Regional Difference in the Tokyo, Osaka and Sendai dialect - The discourse marker, ‘HORA’, is used in communication to remind the listener of their shared information and lead the communication based on it. In this paper, usage pattern of the discourse marker, ‘HORA’, on the explaining situation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regional difference in the Tokyo, Osaka and Sendai dialect. It was found that the discourse marker, ‘HORA’, appeared in Sendai dialect more often than in Tokyo dialect but it did not appear in Osaka dialect. As a result, communication tendency of Tokyo and Sendai dialect is that speakers are to remind listeners of their shared information and to lead the communication based on it. This tendency is a little stronger for Sendai dialect than Tokyo dialect. However, Osaka dialect does not have the tendency.

      • 목조단독주택의 구법적인 지역차에 관한 조사연구

        히라이 켄지(Hirai Kenji),코마츠 유키오(Komatsu Yuki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According to Survey Results of the 2003 Housing and Land Survey, In Japan, there are about 47million dwelling houses and more than half of them are detached houses made of wood (about 25million). In Japan, most of the home buildings are made of wood and are by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on or the wood frame construction. It has been sai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localities. Japanese life style has westernized and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has developed, we need to study about the differences again. In this study, with the cooperation of the Fixed Property Tax of the Local Tax of Bureau Division of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and 10cities(Sapporo, Aomori, Niigata, Mito, Gifu, Toyama, Kobe, Hiroshima, Takamatsu, Miyazaki), we study about some differences by comparing fixed cases in term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se days in Japan, as a way of a supply of home buildings is more variable and Japanese life style is westernized, we can't find definite local characteristics of wooden home buildings easily like before. Especially it is not easy to find characteristics of inside buildings, interior walls, ceilings, floors and so on. But we can also find some obvious differences of floor space, roofs, exterior walls, and so on influenced by situations of building estates and climate. Through this study, we can say that the differences of wooden home buildings between localities are seen more obviously in terms of exteriors than interiors.

      • KCI등재

        동물의료서비스 이용 지역별 소비자 인식과 만족에 관한 연구 - 수정된 IPA 적용을 중심으로 -

        김수연 ( Su-yeon Kim ),최아라 ( Ara Choi ),구혜경 ( Hye-gyoung Koo )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1

        반려동물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일어나며 반려동물 양육에 있어 필수적 요소인 동물의료서비스 시장 역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동물의료서비스와 관련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며 의료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동물의료서비스 역시 지역격차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논의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19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서비스 시장」 원자료를 활용하여 동물의료서비스와 관련한 소비자 1,0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동물의료서비스 소비자의 전반적인 인식을 확인하고, 이용 지역에 따른 인식과 만족의 차이를 Vavra(1997)의 수정된 IPA 매트릭스 구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논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의료서비스에 대한 전체 소비자의 성과도 평가는 선택다양성, 전환성, 비교용이성, 신뢰성, 안전성, 가격 순으로, 중요도 평가는 가격, 안전성, 전환성, 시장신뢰성, 비교용이성, 선택다양성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소비자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안전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시군구 소비자의 성과도 인식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동물의료서비스의 지역차를 확인하였다. 또한 5대 광역시 소비자와 시군구 소비자가 수도권 소비자보다 가격에 대한 중요성을 유의하게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별 소비자의 동물의료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지역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도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안전성과 시장신뢰성은 모든 지역의 소비자에게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특히 안전성은 모든 소비자 집단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동물의료서비스의 이용 지역별 수정된 IPA를 수행한 결과에서도 지역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장신뢰성과 안전성은 전체, 5대 광역시, 시군구 소비자 집단에서 IPA 매트릭스상 Ⅰ사분면인 중요한 실행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생명을 다루는 동물의료서비스 시장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장신뢰성은 동물병원이 관련 법과 제도를 잘 준수하고 있다고 여기는지와 관련된 사항으로, 관련 법적ㆍ제도적 보조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가격은 모든 소비자집단에서 Ⅳ사분면인 기본요인에 위치했는데, 이는 동물의료서비스에서 가격이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공통 요인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시장 전반의 관점에서 비교용이성은 II사분면의 매력요인으로 도출되어, 향후 시장에서 비교정보의 제공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동물의료서비스의 가격과 관련한 정책적 보조의 필요성, 비교정보제공을 위한 정보표준안 마련 및 동물의료서비스 이용 관련 주요 정보항목의 선별 필요성을 강조하여 정책적 보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동물의료서비스의 지역격차가 존재함을 확인한 바,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실무적 노력이 요구되며, 마지막으로 사업자의 입장에서 소비자 만족을 위해 모든 지역 소비자에게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된 안전성, 시장신뢰성에 대해 집중적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동물의료서비스를 소비자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지역별 격차를 실증하며 동물의료서비스의 소비자지향성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반려동물산업이 성장하고 있고 관련 논의가 적극적으로 필요한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별 동물의료서비스의 격차에 대한 논의의 단초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pet market continues to grow, the animal medical service market,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fostering pets, is also expected to expand. In this situation, research on animal medical services is still insufficient, and like medical services, animal medical services are not discussed much despite the expected regional gap.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1,000 consumers related to animal medical services using the original data of the “2019 Korea Consumer Market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nsumer Agency. Through this, the overall perception of domestic animal medical service consumers was confirmed,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use was confirm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revised IPA matrix of Vavra (1997). The main discussio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all consumers for animal medical services was in the order of selection diversity, conversion, comparability, reliability, safety, and price. The importance evaluation was in the order of price, safety, conversion, market reliability, comparability, and choice diversity.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nsumers by reg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perception of consumers in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was significantly low in all items except safety, confirming regional differences in animal medical services. In particular, consumers in the five metropolitan cities and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price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sumers in the metropolitan are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animal medical services of consumers by reg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and degrees affecting each region were different. However, safety and market reliabilit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for consumers in all regions, especially safet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ll consumer groups. Finally,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performing revised IPAs by region using animal medical services also confirmed regional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hen looking at the IPA matrix in the consumer groups of all, five metropolitan cities, and cities and counties, market reliability and safety were located in the important implementation factors, which are quadrants I. This can be interpreted 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handling animal medical service market.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related legal and institutional assistance is necessary because market reliability is a matter related to whether animal hospitals believe to comply with related laws and systems well. In addition, prices were located in the basic factor, which is the IV quadrant in all consumer groups, which means that prices are a common factor that must basically be met in animal medical service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rket as a whole, comparative ease was derived as an attractive factor in the second quadrant,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omparative information in the future marke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policy supplementation by emphasizing the need for policy assistance related to the price of animal medical services, preparing information standards to provide comparative information, and selecting major information items related to the use of animal medical services. After confirming that there is a regional gap in animal medical services, practical efforts are required to resolve this, and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intensive improvement is needed for safety and market reliability,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common factors for consumer satisfaction. This study evaluated animal medical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demonstrated regional gaps, and sought ways to improve consumer orientation of animal medical services. At a time when the pet industry is growing and related discussions are actively need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on the gap in animal medical services by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