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구축 방안에 관한 소고

        이경자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 No.-

        Recently our society has become more complex, urbanized and mechanized, consequently social pathology and various kinds of stresses have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grows increasingly with the help of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the increase of recovering rate. While traditional community's unification capability becomes weakening over time, social support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s decrease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ve plenty of difficulties in living in the community, although they relieved from the primary symptoms after medical service. They have complicated social-functioning impairment in the community, therefore they are vulnerable to adapting themselves to the various and complex environmen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be aided to develop physical, mental and social capabilities, and potentials in their interests, careers and education. Then they could raise their well-being as much normal as possible.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methods of establishing mental health services which suppor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integrate into their community, through surveying ‘Program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in the United States and mental health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최근 들어 사회가 복잡해지고 도시화, 기계화됨에 따라 각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사회병리현상도 증가했다. 또한 의학발달과 함께 질병에 대한 치유율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장애인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지역사회의 사회통합력이 약화되면서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정신장애인들은 의료서비스를 받은 후 일차적인 증상이 없어졌다 하더라도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때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은 복합적인 사회적 기능장애를 가진 상태이기 때문에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적응하기가 더욱 취약하다.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과 그들의 취미, 직업, 교육 등의 잠재적 능력을 발달시켜 최대한 정상에 가까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지역사회 정신보건 재활프로그램(Program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과 선진국의 정신보건정책 등을 통해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정신보건서비스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모델

        황태연(Tae-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2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지역사회에 서울시 강남구와 경기도 수원시에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가 설립되어 지역내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의해서 많은 정신보건센터가 설치되어 이제 전국에 44개소를 헤아리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인구수가 적거나, 예산배정이 어렵거나, 전문인력이 부족해 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방문보건 요원들에 의해 정신보건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고, 사회복귀시설 또한 설치되어 많은 정신장애인들에게 사회복귀와 지지를 제공하여 입원을 줄이고, 기능을 호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수년간 갑자기 많은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재원이 분배되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견해를 가진 전문가 측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을 강조하는 전문가 측에서는 민간참여형 센터를 중심으로, 또 기존 자원의 이용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복지관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자고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자는 의견과 환자들과 가족이 요구하는 정신보건 서비스는 현실과 거리감이 있으므로 더욱 새로운 재원과 인력을 투자하자는 의견 또한 대립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다양한 모델들을 검토하고, 향후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ope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CMHC)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in the community, now there are 44 CMHCs nationwide established by the joint effort between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Because of small population, lack of budget, and lack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many public health offices(PHO) are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 primarily by the home visiting nurs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vocational workshops are established to reduce recidivism and improve functioning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Rapid growing of thes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programs called debate in the issues of financial resources distribu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Professionals who emphasized public aspect of these services advocate PHO-centered delivery of services.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s who thought consumer-oriented mental health services accompanied with quality of care and easy accessibility urged CMHCs should be the center for community services for the integr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Other professionals started services based on welfare facility to stress existing resource utilization in the community. Among these debates, an opinion that said utilization of limite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is opposed to another that said new investment and reimbursement should be done. The author reviewed various models of community mental health delivery and suggest new model for the future.

      • 보건소중심형 정신보건센터 모델

        이후경(Hoo-Kyeong Lee),이선영(Sun-Young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정신보건체계가 기존의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치료 위주에서 사례관리와 재활 위주로 전환되고 있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이하 지역정신보건사업이라 함)이란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모든 정신보건관련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정신보건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는 조직체계가 필요하다.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정신보건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기 위해서 정신보건센터는 가장 유용하며 선호되고 있는 모델이다. 정신보건센터는 정신보건사업의 조직화,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예방사업, 그리고 정신질환자관리, 사업홍보 및 주민교육, 사업인력 교육 및 훈련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경기도 지역정신보건사업에서 대부분의 정신보건센터는 대학병원 정신과나 전문정신병원에 위탁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와 달리 하남시는 보건소에서 직접 운영하는 정신보건사업으로서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정신보건센터을 설립하였다. 개원한 정신과전문의가 자문의로서 주1회 참여하면서 정신질환자의 약물치료와 집단정신치료를 비롯한 전반적인 지역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본 보건소중심형 정신보건센터 모델은 정신과전문의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주간보호을 중심으로 하여 정신보건사업을 통합하고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보건소형 정신보건센터 모델(중소도시 모델)의 전체적인 특징 및 체계와 조직을 소개하고, 이 모델의 정착과 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과 특징을 살펴보며, 나아가 중소도시의 정신보건사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델로서 일반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The mental health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hospital-orientd to community-oriented, from treatment to cas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after the promulgation of mental health law in 1995.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erforms all the activities within the community. The structure and system are inevitably needed to perform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smoothl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s the best usable and favourable model for the supply of continuing and comprehensiv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performs the roles which are composed of the organiza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mental health promotion, the prevention of mental illness, the management of the chronically ill, public relation & public education, and th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personnels. Most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Kyonggi Province are deligated by the psychiatric department of university hospital or private mental hospital. On the other hand, Hanam health center established the mental health center from the starting point and has been managing it directly. The psychiatrist who has his private clinic in same area participates weekly as a consultant with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he has a role of the medication for patients, group psychotherapy and consultation for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on the whole. This is the community mental health model led by health center that is operated by the least participation of the psychiatrist, and the psychiatrist is able to integrate and manag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center of day ca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introduc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general system & structure; examining several problems and phenomena exposed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this model;and brooding the possibility for generalization as a model applicable effectively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of small or middle city.

      • 저소득 도시지역의 정신보건 요구

        유제춘(Je-Chun Yu),손경국(Kyeong-Kook Son),이혜경(Hye-Kyeong Lee),김사리(Sah-Ri Kim),박보아(Bo-Ah Park),강건자(Keon-Ja Kang),이창화(Chang-Hwa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4 사회정신의학 Vol.9 No.2

        연구목적: 복지를 위한 가용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효율적인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수행을 위해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저소득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과 관련된 지역의 특성, 정신보건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덕구 정신보건센터에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지역의 전체 가구인 7278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경기도 의왕시 정신보건센터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요구 조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해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635개의 회신을 받아 분석 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 지역은 의료보장 형태나 세대별 월수입 등 여러 측면에서 사회 안전망이 부실하고 사회경제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편이었다. 그로인해 지역 주민들은 정신보건 문제의 시급성은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치료는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신보건센터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신보건 서비스 중에서 청소년비행, 치매, 알콜문제 등에 대한 위기개입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정신보건센터의 역할에 대한 홍보와 함께 위기개입에 대한 정신보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 기관의 네트워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지영(Lee, JiYoung),박순우(Park, SoonW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5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제공 기관 간 네트워크 활동 수준을 진단하고, 각 기관의 네트워크 활성화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지역사회 내 네트워크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 충북, 대전 세 개 지역에서 정신보건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145개 기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네트워크 분석(Netminer) 및 통계분석(SPSS)을 통해 네트워크의 구조적 수준과 관계적 수준을 계량화 하였으며, 각 네트워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직, 개인, 환경 3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내 정신보건서비스 기관 간 네트워크 필요성이나 인식에 비해 네트워크 활동이 미비하고 활동 내용도 단순 정보교환 등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지속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 구조적 수준은 조직요인(네트워크 활동 지원 정도)과 환경요인(지역규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적 수준은 개인요인(자격유무, 모임참여 유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기관 간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정신 보건서비스 네트워크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네트워크의 양적인 측면인 구조적 수준과, 질적인 측면인 관계적 수준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네트워크 활성화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활동의 질적 수준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고차원적인 연계활동 사례 발굴하고,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네트워크 모형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networking level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and to suggest the ways of increasing their networking in local communities. For that, it analysed the data collecting from 145 mental health agencies which provide direct services in three areas; Chungnam, Chungbuk, and Daejeon. it quantified the structural and relational level by the methods of network analysis(Netminer) and statistical analysis(SPSS) and analyzed such three factors as organizational,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which were identified as affecting each network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lthough all the mental health agenc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networking, its level was in the state of incompleteness, simply confined to simple information exchange with low stability. Analys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networking,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level was affected by both the organizational factor(support for network activ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ize of area) while the relational level was a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qualification, attendance at gathering).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required to make an exact diagnosis of the network level among local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as to activate their networking. Second, there should be set strategies which could help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structural level and the relational level of networking. Last, there must be efforts to explore good-case finding which shows the high quality and effects of networking, and also to develop networking models which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 서울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서비스 제공자 역량수준 측정

        김희정,김윤정,이연경,이인혜,조정은,서용진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5 정신건강연구집 Vol.6 No.-

        ■ 연구목적 : 지역사회 실천현장에서 제공되는 사례관리서비스에 대한 confidence rate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항목을 통한 사례관리 서비스제공자의 역량 수준을 측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 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2012년 경기대학교 민소영 교수가 개발한 [한국 지역사회 정신보건실천 현장 사례관리 역량척도]를 활용하여 서울 지역 25개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서비스 제공자 215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4일까지 전자우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결측 값으로 제외한 1부를 제외한 214부의 설문을 SPSS 22.0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사례관리 과정을 인테이크, 사정, 계획, 수행, 점검, 평가의 6단계로 분류 하고 수행여부, 중요도, 난이도로 나누어 각각 4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 결과, 수행여부에 대해서는 6단계 모두 평균 3점 이상(대체로 수행한다)의 높은 수행 수준을 보였으며, 그 중 인테이크와 사정 영역의 수행 수준은 95% 이상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의 경우 응답자의 98%가 평균 3점 이상(약간 중요하다)으로 응답하여 사례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전 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에 따른 ‘수행 여부’ 수준을 비교한 결과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수행을 많이 한다’는 결과를 기대 하였으나, 분석결과는 각 단계의 중요도는 평균 4.0점(“매우 중요하다”)에 집중되어 분포된 것과 달리 ‘수행 여부’는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난이도는 1점(“매우 쉽다”)에서 3점 이상(“약간 어렵다”)로 응답한 비율이 99% 이상으로 비교적 어렵지 않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 서비스제공자의 자기효능감이 수행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수행의 모든 단계에서 수행 빈도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변수 가운데 학력, 직위, 경력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수행 여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Objective This study used standardized items and measured the competence levels of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confidence rate of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d by community centers and to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case management services. ■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Competence Level of Mental Health Care Case Management in Korea Communities] developed by Min, So-Yeong of Gyeonggi University in 2012, and surveyed 215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from 25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between August 27th, 2015 and September 4th, 2015 through e-mails. One service provider did not respond, so that this study used SPSS 22.0 and analyzed frequencie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of the remaining 214 survey answers.. ■ Results : This study firstly divided the case management into 6 processes : intake, assessment, planning, implementation, inspec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implementation,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process with the 4-point Likert scale. the most implementations of the 6 processes scored averagely higher than 3 points(most of them were implemented). In particular, the levels of the implementations of intake and assessment were higher than 95%, which means very high. Also, 98% of respondents gave 3 or higher points(little important) for the importance, and showed that they recognized all processes very important. This study compared the ‘implementations’ of the processes by ‘importance’, and expected that ‘people implement the processes that they think important’.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s of most processes averagely scored 4.0 points(“very important”) and the scores of ‘implementations’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bout 99% respondents gave 1 point(“very easy”) or 3 (“little difficult”) or higher points. This showed that they felt relatively eas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service providers’ self-efficacy on implementation, the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who had higher self-efficacies implemented all case management processes more frequently. Also, the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with higher levels of control variables in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work experience implemented case management processes more frequently.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위험 추정 : 타 장애집단과의 비교

        박지혜 ( Park Ji Hye ),이선혜 ( Lee Sun Ha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의 수준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6차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경제, 교육, 근로, 주거, 건강, 사회관계망, 사회적 참여, 차별을 포함하는 삶의 제반 영역에 걸쳐 다양한 장애인 집단의 사회적 배제 실태를 파악하고(N=4,161), 정신장애 집단을 기준으로 장애집단별 사회적 배제 승산비를 추정하여 정신장애 집단의 상대적 배제위험 수준을 살펴보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정신장애인은 경제, 근로, 주거 측면에서 다른 모든 유형의 장애인에 비해 약 2-11배의 높은 수준의 배제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관계망, 사회참여, 차별경험에 있어서도 자폐·지적장애 집단을 제외한 다른 장애인의 약 6-10배 배제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지역사회중심 정신보건서비스와 장애인복지서비스를 보장하는 법적 장치가 정신장애 서비스 관련법에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사회권을 침해하는 각종 제도적 차별조항이 철폐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cope and level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per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The Wave 6 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exclusion in life areas including income, education, work, housing, health,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N=4,161).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s were executed, with the psychosocial disability(PD) group being the reference; the reverse odds rations of different disability groups were compared against the PD reference group (OR=1).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all others, the PD group was about 2 to 11 times more likely to have risks in income, work, and housing; and that compared to other groups except for the autism/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they were about 6 to 10 times more likely to have risks in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the authors urged the need for legal mandates to have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services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more available to the PD groups and the necessity to eliminate various discriminatory legislations that are violating human and social rights of the persons with PDs.

      • 도시 및 농촌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수준에 대한 연구

        김성완(Sung-Wan Kim),배안(Ahn Bae),장창용(Chang-Yong Jang),김명규(Myoung-Kyu Kim),안주홍(Ju-Hong A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1

        연구목적: 증가하고 있는 정신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체계적인 정신보건사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이들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분석 하고, 정신질환의 고위험군 집단을 파악해 지역정신보건 사업의 우선 순위 대상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광주광역시, 목포시, 강진군의 18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각 행정 단위에서 무작위 추출하여 총 17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집단 선별조사 도구로 일반건강검사(GHQ)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통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인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정신건강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정신장애 위험군을 분류하였다. 결 과: 거주지역별로는 광주, 강진, 목포 순으로 정신건강 수준이 높았다. 30대와 40대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하게 좋았고, 60대 이상은 신체증상, 50대는 불안 및 불면증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사회적 부적응은 20대 이하가 가장 높고, 60대 이상이 가장 낮았다. 결혼 후 이혼, 별거, 사별 등의 이유로 배우자 없이 혼자 사는 대상군이 신체증상, 불안 및 불면증, 우울증 등의 문제를 많이 갖고 있는 정신건강 문제의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기타 종교는 기독교나 불교에 비해 사회적 부적응이 유의하게 높은 정신질환의 고위험군이었다. 학력이 낮거나 직업이 없거나 월세 거주하는 교육·경제 수준이 낮은 이들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이 낮았고 정신질환의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정신과 치료의 가족력과 개인력이 있는 경우도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하게 낮고 정신질환의 고위험군이었다. 반면 여론주도층은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하게 좋았다. 결 론: 교육·경제 수준이 낮은 주민, 정신과 치료의 가족력이나 개인력이 있는 주민, 결혼 후 이혼, 별거, 사별한 주민, 기독교, 천주교, 불교 등의 주요 종교가 아닌 기타 종교를 갖고 있는 주민 그리고 중소도시 거주자의 정신건강 수준이 유의하게 낮거나 정신장애의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대책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적절한 정신보건 프로그 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Objective:Increasing mental health problems need systematic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basic data in order to develop a plan and strategy for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states of a large community, including both urban and rural area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mental health states. Methods:A total of 1716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among residents of Gwang-ju city, Mok-po city, Gang-jin gun, who were 18 years and older.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GHQ) was used to evaluate the mental health state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using a paper copies. The mental health states were analyzed by overall mental health state and four subscales:somatic symptom, anxiety and insomnia, social dysfunction and severe depressi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ing mental health were found out and the high risk groups of mental health were discovered. Results:1) Residents of Gwang-ju c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overall mental health states than residents of other regions. 2) Overall mental health states of subjects in their 30’s and 40’s were relatively good. The somatic symptom subscale score was highest for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and anxiety and insomnia subscale was highest for those in their 50’s. On the other hand, social dysfunction was shown to be highest in subjects in their 20’s and younger but lowest in for those 60’s and older. 3) Those who were divorced, separated or bereaved from their spouse showed significantly worst overall mental health as well as more somatic symptom, anxiety and insomnia and severe depression; while those who were single showed more social dysfunction. 4) Subjects who followed a religion other than the major religions which were Christianity, Catholicism and Buddhism showed more social dysfunction. 5) Resident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low education levels, unemployment or living with monthly rent were relatively worse in overall mental health states and scored high in most subscales. 6) The opinion leaders had significantly better overall mental health states and low social dysfunction. 7) Subjects who had family or personal experiences of psychiatric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worse in their overall mental health states. 8) Comparing the high risk group to the non-risk group, those who divorced, bereaved or separated from spouse, had a religion that was not major religion, lived in Mok-po city or paid monthly rent, were unemployed, and had experienced with psychiatric treatment, were more apt to have mental disease. Conclusions:The high risk groups of mental illnes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low education or economic level, family or personal histories of psychiatric treatments, divorce or separation during marriage, having a religion that was not major religion and residents in small-sized city. Therefore, appropriate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high risk people.

      • 증거기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적용에 대한 지역사회 일선 정신보건서비스 종사자의 태도 연구 : 리더십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Vol.1 No.-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응을 위해서 제공되는 정신보건서비스는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보다 과학적인 증거에 기반을 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실천 적용에 대한 지역사회 일선 정신보건서비스 종사자의 태도에 리더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증거기반 실천 적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일선정신보건서비스 종사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일선 정신보건서비스 종사자의 증거기반 실천적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식된 조직특성 요소로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만이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즉, 팀장의 리더십이 긍정적으로 인식될수록 증거기반실천 적용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이었다. 한편으로 분석 결과를 통해서 한국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종사자들에게 있어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살펴봄에 있어서 문화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which is aim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should be based on valid theories and scientific evidences. This study explores community mental health provider's attitude toward evidence-based practice(EBP) which is affected by leadership. During the data collecting process, 172 mental health institutions were randomly sampled and contacted.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ing o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attitude toward EBP, only the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show us we need to consider cultural and environmental specificities in analysing influencing factors of community mental health provider's attitude toward EBP.

      • KCI등재

        정신질환 범죄자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사례검토를 통한 한국적 정책함의에 대한 소고

        한우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3

        본 연구는 정신질환 범죄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미국의 사례 검토를 통해, 한국적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규명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책함의 도출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정신질환 범죄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주체에 따라 법원, 경찰,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나누었고, 배경, 목적, 참여대상자, 서비스 전달체계, 주요 특징, 상호비교 및 한계 등의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의 정신질환 범죄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규명하였다. 정신질환 범죄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경우 미국은 효율성, 효과성, 비용절감 등의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한국은 전체 범죄자 중 정신질환 범죄자들의 비율 늘어나고, 이들의 재범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치료감호소를 제외하고는 대상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사정, 개입, 관리하는 시스템은 없는 실정이다. 한국사회에서 정신질환 범죄자들의 복지와 사회 안정을 위해서는 그들을 다루는 원칙의 변화, 지속적인 관리, 조기 분류, 선발된 전문가와 독립적인 체계, 집중적인 서비스와 자발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