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 비교

        최균(Choi, Gyun),장영신(Jang, Young-Sh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 네트워크 이론인 사회교환이론, 상호조직이론,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고,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을 비교했다. 분석결과에 의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은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의 경우, 상호조직이론과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이고, 남양주시 지역복지협의체는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으로 시 군 구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 강화, 시군 구사회복지협의회 확대설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운영 강화 등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community welfare network models and to suggest what is the best way to activat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is study made analysis and comparison of roles and functions between Pyeongtaek Council of Social Welfare(PCSW) and Namyangju Community Welfare Council(NCWC)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As a result, PCSW"s medel was found that had more elements of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NCWC" model had more elements of social exchange theor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at empower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Welfare Council, establish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reinforcement of ability of organizational operation at Community Welfare Council should be performed successfull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

        이해진(Lee, Hae-Jin),김철규(Kim, Chul-Ky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1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시장화의 경향 속에서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과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를 밝혀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을 공공성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사회복지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사회적협동조합의 네 가지 실천기제로서 지역사회 기반, 참여와 신뢰, 네트워크, 협동과 호혜를 제시하였다. 이를 분석틀로 삼아,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과 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특히, 협동과 호혜를 통한 새로운 지역사회복지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역사회복지실천 주체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함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공공성과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에 관한 후속연구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as an agency to ensure public interest and to identify community welfare services in the context of marketization of social services. Suggesting that the publicness needs to be included in discussing and analyzing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is paper presents four critical factors as community welfare practical mechanisms to enhance the publicnes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community-based practices, participation and trust, networking, and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hen, by applying this framework into the case studies of the Italian social cooperatives` historical experiences and the Korean Ansan Health and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the study found empirical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in ensuring and strengthening publicness in community welfare services. Given that social cooperatives, in particular, present a new community welfare paradigm based on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his paper emphasizes that social cooperatives need to be actively considered as a new practical agency which can accomplish the publicnes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facilitating the following research to look into roles and implications of social cooperatives in terms of identity and publicness of community welfare.

      •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대한 효과적 방안

        황철수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6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2 No.1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지역단위의 생활권 강화, 복지수요의 다양화, 지역별로 특성화된 복지계획의 수립과 시행이 요구됨에 따라 지역사회 주민들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자치단체릐 역할증대가 요구되는 현실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그 역학을 담당하기 위해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 자치단체별로 구성되고 운영되는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그를 바탕으로 효과적 방안을 모색해 본 점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제시에 의미를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사회 환경의 다양하고도 급속한 변화와 그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가운데 법과 제도적 체계가 갖추어져 있고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정부로의 자원이 제공되고 있지만 각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재정 등 복지환경의 차이와 한정된 자원의 분배와 개발이라는 난제를 풀어가야 할 현실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어야만 민관의 협력체계로서 지역사회복지를 발전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는가 하는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지역사회복지관과 시민단체의 협력방안 고찰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경희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1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대한 대처방식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이하게 되고, 경제적 ‧ 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말미암아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처할 전문화된 복지서비스의 욕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사회복지 관련기관 및 지역시민단체들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들 시민단체들의 궁극적 목적은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통한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있다. 이에 시민의식 전반과 지역주민의 생활현장에 기초한 시민단체들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은 사회복지분야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의지와 이해도에 따라 각 지역별 복지수준은 상당한 차이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하고 있는 이러한 최근의 사회복지환경에 민감하게 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의 협력과 관련된 새로운 패러다임의 설정이 요구된다. 이에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동일한 궁극적목적을 가진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들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협력과 공존의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양자의 연대로 지방분권에 따른 여러 변화 과정에 직접 참여, 각종 지역사회운동을 전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관은 활동영역과 서비스 대상자를 확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이는 지방분권시대에 사회복지계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과 시민단체 간 협력실태 및 협력 상의 애로사항을 분석, 장애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들의 구체적인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복지 실천가들이 과거와 다른 관점에서 지역 내 시민단체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복지욕구 충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With the enforcement of local autonomy system, counterplans on various welfare needs of the community people were differed among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diversified social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change of socio-economic status. Professionalized service needs to cope with these problems have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umber of community center and NGO to deal with these problems also have been increased a lot. The ultimate goal of these NGO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Herewith, the role of NGOs, based on the civil consciousness at large and actual life of the community people, is being raised. And also, decentralization policy of the 'Participative Government' is becoming a big challenge to the social welfare arena, and the service level is expected to be quite different based on the degree of will and understanding on the social service among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cope with these changing social welfare environment very sensitively and positively, it is required to set up a new paradigm related to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ommunity center and NGO. Herewith, community center and NGO that have the sam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ving of the community people should establis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sharing partnership to cope with these social changes flexibly. This is the critical assignment that the social service arena should handle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analyzed cooperative practices and conflicts, and did a basic research on the concrete cooperative plans finding out the conflicting factors between the community center and NGO. Cooperative plans found out through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rasing the awareness of partnership need, maintaining the efficient common cooperative partnership, having a leading role of the community center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establishing a council, sharing the utilization method of community resources,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of resource mobilization and P.R. plan, opening web site to inform joint cooperative practices and to exchange varied opinions etc.. This study also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o activate interchange between the community center and NGO, and to contribute to meet the need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of the community people.

      • KCI등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방향성을 지역성, 통합성, 주체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두 조직의 활동 및 협력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성 측면에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협력 논의는 시기적으로 매우 빠른 감이 있으나 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에 따라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통합적 측면에서는 두 조직 모두 통합성을 구현할 기반이 취약하고, 지역사회의 한정적인 자원으로 인해 자원 확보 경쟁 및 이로 인한 갈등 가능성마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체성 측면에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참여 활동 경험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협력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성(읍면동 단위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의식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보장적 기능/사회복지협의회는 개발적 기능으로 핵심 기능 정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민생활 중심/사회복지협의회는 복지 중심으로 조직 구성상의 통합성 강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공식적 자원 조직화/사회복지협의회는 비공식적 자원 조직화로 읍면동 단위의 다중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by the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welfare function of eup, myeon, and dong.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regionality, integrity and subjectivity as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 terms of these directions, examined the activities and co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relat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 follows. From the aspect of regionality, it may be too early to discuss cooperation in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but it is required to find new cooper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aspect of integrity, both of the two organizations do not have a soli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integrity, and even the limited resources of community communities may cause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securing resources. From the aspect of subjectivity, it is an important question how the experie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be utilized for its cooperation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conscientiz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the units of eup, myeon, dong, etc.), establishment of welfare function and developmental function as the key functions of, respectivel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reinforcement of the integr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ering on residents’ life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on welfare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construction of multi?layered safety net for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rough organizing official resources b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unofficial resources by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etc.

      • KCI등재후보

        북한 나선경제무역지대의 지역사회복지 연구

        최예서(Choi, YeSeo) 북한학회 2020 북한학보 Vol.45 No.1

        본 연구는 다가오는 통일복지시대를 대비하여 북한의 나선경제무역지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개발모델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이에 따른 개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북한의 지역사회복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관련 문헌연구와 나선경제무역지대 관련 선행연구고찰, 지역개발정책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선시 거주 경험 있는 탈북민의 증언, 현재 나선시에 출입하고 있는 중국인 사업자들과의 인터뷰 및 증언을 통하여 나선경제무역지대의 제도, 정책, 복지현황, 사회환경 등 경제특구로서의 경제개발잠재력, 개발방향, 이에 따른 다국적기업 진출현황, 나선경제무역지대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분석틀은 로스만의 지역사회개발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의 활동능력과 통합에 관한 문제, 지역사회구조와 문제상황에 대한 가정으로부터의 실제적 문제, 변화의 매개체, 기본적 변화전략, 변화전술과 기법에 따른 지대의 현황, 권력구조에 대한 이해와 시장과 권력의 공생관계, 수혜자 범위, 수혜집단 인식, 수혜집단의 역할인식에 대한 상황, 임파워먼트에 대한 개념과 이해관계에 따른 사회 환경과 하위체계들을 분석하였다. 북한의 나선경제무역지대 지역사회복지 개발방안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경제무역지대로서의 특성에 맞는 지역사회복지개발을 위하여 지역사회복지정책 개발 분야에서 첫째, 사회안전망 및 사회보장협의기구의 구성에 대한 문제, 둘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네트워크 및 공공과 민간의 협력에 관한 대책적 문제와 지역사회복지망 구축에서 첫째, 사회복지파트너십을 어떻게 구축해야 될 것인지에 대한 문제, 둘째, 나선경제무역지대내의 지역공동체를 조성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셋째, 주민조직화와 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사회복지의 실현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의 지역사회복지개발모델 또는 나선경제무역지대의 복지개발에 대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첫 연구논문으로서 향후 통일복지시대에 북한의 지역사회복지개발관련연구의 첫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groundwork for North Korea s community welfare by deriving and analyzing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models based on North Korea s Rason economic and trade zone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unification welfare er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research on local community welfare, previous studies on Rason economic and trade zon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lso, through testimony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d in Rason City and the interviews with Chinese business people currently entering Rason City, this stud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potential impacts of Rason special economic zone on South korea by considering its institution, policy, current community welfare situations, social environment, economic development potential,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the situation of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a result of all of above situations. The analytic frame applied Rothman s community development model to address social situations and subsystems resulted from issues of community capacity and integration, practical problems from assumptions about community structure and problematic situation, media of changes, basic change strategies, change tactics and techniques, the understanding of power structure and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arket and power, the scope of beneficiary, the recognition of beneficiary group, the situation of the role recognition of beneficiary group, the concept and interest of empower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develop community welfa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and trade zone as a way to develop social welfare for North Korea s Rason economic trade zone, this study focused on some issues in several areas to show the feasibility of local community welfare. First, in the area of community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with the organization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security council. Second, in the area of constructing community welfare networks countermeasures about community welfare service networks and cooperat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problem of how to build the social welfare partnership, second, how to make and activate the local communities in the Rason economic and trade zone, Third, this study provide the way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his paper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preparing the first framework related to the research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 North Korea in the future of unification ear as the first research paper on North Korea s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model or welfare development in the Rason economic trade zon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에 관한 연구

        김남숙 한국노년학연구회 2012 한국 노년학연구 Vol.21 No.-

        지방분권제도가 1991년 시작된 이후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사회복지 관련 업무가 지차체로 이양되었다. 2006년 사회복지사업법 의 개정으로 그 지역사회에 적합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독자성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지 발전 도모의 기본 조건이며 민ㆍ관의 파 트너십의 협업으로 형성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등 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지역사회 욕구를 파악하 여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요청하고 필요로 하는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 초석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무엇보다 부산 해운대구라는 기 초지역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중 노인복지서비스를 위한 노 인들의 욕구조사, 지역사회에서 의미 있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도 자들의 의견, 노인복지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과 해운대 지역 의 노인복지관련 종사자들 중 기관장들을 중심으로 한 초점집단면 접, 그리고 해운대 지역의 노인복지관련 전문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3라운드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대 지역사회계획 중 노인복지계획을 위한 비전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목표를 제안했다.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함철호(Ham Cheol Ho),박태영(Park Tae Young),이재완(Lee Jae Wan),류만희(Ryu Man Hee),채현탁(Chae Hyun Tak),김종건(Kim Jong Ge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병행하였다. 조사결과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내용과 성격을 변화시켜야 한다. 기초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업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광역 시·도 지역복지계획은 ‘지원계획’으로 변경되어, 기초자치단체의 복지계획의 수립·실행·평가를 지원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실행·평가의 주체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복지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수립매뉴얼이 쉽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둘러싼 일선환경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 평가의 적절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research,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and FGI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officials and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secretaries. It was to suggest the following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ntents and character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should be changed.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of city, county and ward should be established centering around local businesse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welfare plans should be changed into "support plan" and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the local governments" welfare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Second, legal found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methods of activ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s the subject of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community welfare programs should be easy. Fourth, the security of term for establish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and timing adjustment are required. Fifth, (annual performance plans)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manual should be diversified. Sixth, gener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annual performance pl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nally,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should be secured.

      • KCI등재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채현탁(Hyun-tak, Chae),유애정(Ae-jung, Yoo),박태영(Tae-young, Par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8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역사회복지계획 매뉴얼 작성의 필요성 및 매뉴얼 개발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들을 일본의 지역복지계획 수립의 선행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제1기~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을 계획수립의 주체, 욕구 및 자원조사를 포함하는 지역사회복지조사, 복지계획내용, 주민의견 수렴 등을 포함하는 주민참여, 심의확정 및 보고절차 등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을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 상시적인 계획 수립 및 평가의 실행체계 마련, 지역사회복지조사방법의 다양화, 핵심과제 해결계획의 정교화를 위한 관련 사례 및 자료의 풍부한 제공, 주민참여가 강조된 계획 수립절차의 마련, 지자체의 책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지방의회와의 협력 시스템 마련 등을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need for community welfare plan should be examined when establish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Japan mainly looked at the experience of the preceding. Based on this first stage and the third stage, the community planning manual for planning the welfare of subjects, including research needs and resources research community welfare, plan information, including citizen participation, deliberation and reporting procedures established center of the main conten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This allow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manuals on the exit plan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 constantly running system laid, investigated how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welfare, for the elaboration of the key challenges related to planning practices and provide a wealth of data,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process system, to guarantee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can establish local councils and the development of partnerships with the direction of the system proposed.

      • 지역사회 복지 실천을 위한 주민 참여예산제의 사회복지적 접근 방안 모색 : 서울시 은평구 사례를 중심으로

        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주민 참여예산제도에 관해 서울지역 25개구 중 은평구 지역을 중심으로 현황을 살펴보고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사회복지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서울지역 25개 자치구 중 은평구는 재정자립도 23위로 서민밀집지역이며, 예산부족과 효율적인 예산사용을 위해 서울시 최초로 2010년 12월 30일에 「주민참여 기본 조례」가 제정되어 주민참여위원회를 조직하고 운영위원회․정책기획시민위원회․구정평가시민위원회를 조직하였다. 또한, 참여예산 분과는 여성아동분과, 자치경제분과, 장애인분과, 노인분과, 교육청소년분과, 건설환경분과, 복지보건분과로 나눠 각 분야별 예산에 대한 주민참여를 통한 예산 편성과정에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참여와 자기결정, 참여민주주의 등의 이념을 구현하였다. 2011년 주민제안 사업으로 투표대상이 23건이었으며, 주민투표 결과 20개 사업이 선정되어 2012년 약 9억원의 예산이 반영되었고, 2012년 9월 서울시 참여예산 총회에 참가하여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예산 40억 7천만원을 확보하고, 구정에 대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참여예산 모바일 투표를 실시하는 등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지역사회 예산편성시 지역복지 실천 기반의 사회복지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지역주민의 조직화 과정을 통한 참여예산제 참여 확대와 성숙한 시민화, 전문화이다. 둘째, 지역별 공공의 아젠다(agenda) 형성을 통한 주민제안사업 제시이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별 리더 및 co-worker 양성을 위한 사회복지학교가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별 사회복지관련 기관과의 파트너쉽 형성을 통한 윈윈전략(win-win strategy)이 계획되어야 한다. The research belonging to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had investigated status of Eunpyong-gu among 25 districts in Seoul, and inspected social welfare approach groping by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The study shows that Eunpyong-gu is commoner density area ranked 23th in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mong 25 boroughs, for budget deficit recovering and efficient budget spending, resident participation basic regulations were established on 2010, Dec, 30th when Seoul government determined that date firstly, and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committee, steering committee, citizen’s committee of policy planning and citizen’s committee of evaluating borough office. By participating Sectorial budget for mulation process centered on citizen participation, participative budgeting department divided into women and children, economic autonomy, handicapped, senior, education and youth, construction environment, welfare and health has carried out participation and self-determination and participatory democracy. Vote subjects of resident proposal service was 23 cases in 2011, After being selected of 20 projects, about 900 million budget was assigned in 2012, Eunpyong-gu took apart in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assembly of Seoul opened on 2012, Sep, and obtained budget of 4-billion 70-million won which is the most massive budget in boroughs of Seoul, then mobile vote of participatory budgeting for being fixed citizen participatory opportunity was held successfully and is the first in the whole country. There are several ways to be accomplished of social welfare approach based on community welfare when community budget formulation is enforced through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irst, through community organizing process, we have tried to layout expanding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and had mature citizenship and specialization. Second, in accordance with building public agenda by regional groups, citizen proposal programs are essential for it. Third, for activating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social welfare school cultivating community leaders and co-workers should be operated. Forth, by forming partnership among community welfare centers, it is needed of planning win-win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