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식정보화사회에서의 지방정부 관료제조직의 개혁 방안 : 관료제조직의 형태(形態)개혁을 중심으로

        김순양 영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社會科學硏究 Vol.20 No.1

        본 논문은 지식정보화사회에서의 지방정부 관료제조직의 개혁 방안을 주로 '팀조직(team organization)'이라는 관료제조직의 형태개혁의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론적으로는 지식정보화사회의 특성, 전통적 관료제조직의 한계 그리고 탈관료제적 조직형태로서의 팀조직의 의의 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실증적 분석의 측면에서는 지방정부에서의 계층제적 관료제조직의 구체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일부 지방정부의 팀조직 도입사례를 대구광역시와 경상남도의 경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물론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방정부에서의 구체적인 팀조직 도입방안을 환경변화의 인지 및 공감대 형성, 최고관리층의 관심과 지원, 팀조직의 도입단위 및 도입방법 결정, 적절한 성원배치 및 팀장 선정, 팀비젼의 설정 및 적절한 권한배분, 의사결정 밀 의사전달체계와 팀리더쉽 확보, 적절한 인사관리체계 구비, 팀원들의 능력개발과 정보유통 촉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식정보사회에서 미디어교육의 지향점

        권정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4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4 No.2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directing points of media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considering new technologies and media. For the purpose, shift to the ways of communications and knowledge formation, educational paradigm in the society were analyzed by new technologies and media. And I proposed to educational needs and a desirable human character,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by theoretical viewpoints of media education. In conclusion, media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s life-world focused, aims to develop participatory actions and critical thought for learners. To this end, educators should be practical intellectual an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the capacity to take the lead in social change through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community. Schools should serve to create community culture as fields of democracy. 이 논문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미디어교육의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의 변화와 매체변화, 그에 따른 인간사이의 의사소통과 지식의 형성방식,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미디어의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의 주요 논점을 통해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요구하는 교육과 인간상, 미디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미디어 교육은 학습자의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공동의 문화를 창조해 나가는 비판의식과 참여의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실천적 지식인으로, 학습자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가치 있고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고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식을 구성해 내며 공동체의 ‘집단지성’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하고, 학교는 학습자들이 시민주체로 성장하도록 민주주의의 교육장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가 정보화 법제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방동희,오강탁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8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2

        우리나라는 정부가 주도가 되어 국가사회 정보화를 추진한 연유로 정보화를 추진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제도의 영역이 타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그 법률의 수도 많다. 초기, 정보화의 미성숙 도입단계에서는 국가사회 정보화 정책을 중앙집권적으로 단일의 법률에 의하여 추진하였다. 그러나, 정보화가 성숙하게 됨에 따라 정보기술(IT ; Information Technology)은 국가·사회의 각 부분에 내재되어 각 영역을 변화시키는 핵심 도구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각 영역에서의 법제도 정비가 활발히 이뤄졌으며, 정보화 관련 법률을 광범위하게 분포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영역 간 중복으로 인하여 개별 법률간 충돌을 야기시켰으며, 오히려 국가사회 정보화의 원활한 추진에 장애를 초래했다. 즉, 불필요한 규범경쟁과 정책충돌을 야기시켰다. 전자정부와 국가사회정보화 법체계의 충돌, 디지털콘텐츠정책의 상충은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금번 정부조직개편은 규범 과다로 인한 비효율성 타파를 염두한 강력한 경종이다. 정부조직법 개정 및 정부업무 재편성을 기화로 정보화 법제 체계 전반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시대와 환경에 걸맞는 정보화 법제 체계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하에서는 우리나라 정보화 법제의 발생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연혁과 소위 '정보화 법제 群'에 대한 분류를 기준으로 정보화 법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피고, 새로운 환경을 수용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정보화 법제의 개선 방향과 구체적인 정보화 관련 법령의 제·개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orea's 'Informatization' today is appraised as a success model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at is due to constant efforts by the government. Korea government & assembly have made a lot of IT Law which supports IT Policy strongly. As a results, IT Law has been tailored fit the every aspect of our society. For example,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Now on, IT Paradigm has been changed, IT is embedded into all of life & society. IT is essential necessity to our daily living. The surroundings of IT Policy & Law is largely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IT's Introduction periods. At this point, IT Law needs innovational revision and reorganization. The RheeMuyngbak' cabinet pinpointed the necessity of IT Law's innovation abovementioned. IT Law should discard the nonsystem and the disutility. Every aspect of IT Law [(1) Infra, (2)Service (3)Industry (4)Copyright (5)Ethics(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 rationalized in step with IT Paradigm shifting. At the end, This study proposed 6 bills which preparing and leading "The Futur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Fundamental Act on Futur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enact)", "E-government Act(revise)", "Coyright Act on Information Society(enac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ervice User Protection Act(enact)", "Basic Act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enact)", and "Information Society Safety and Security Act(enact)"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고령층 정보화교육 수준 분석 - 고령층 정보화교육 교재 및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조윤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literacy. Based on the discussion on digital literacy, this study divides digital literacy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apacit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nformation education of the elderly discuss the effect and necessity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of the elderly.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level of information education contents that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discuss them.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information education, we analyzed the programs of the Korea Welfare Info Communication Association, the WooriMapo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 Dong-Jak Senior Welfare Center sele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standard textbook and the college curriculum focus on quantitative utilization. Secondly, it is analyzed that the program focuses on the basic activitie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정보화교육 내용의 수준을 분석하는 데 있다. 고령층 정보화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고령층 정보화 교육의 효과나 당위성에 관해 논의하고 있으나, 이를 논의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정보화 교육의 수준에 관한 논의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 정보화 교육이 다양한 차원에서 이야기 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중에서 어느 수준의 디지털 리터리시 교육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를 논의를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기기이용역량(양적역량)과 디지털정보활용역량(질적역량)으로 구분하여 고령층정보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고령층 정보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고령층 정보화 표준교재 내용과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격차 해소 지원사업의 고령자 정보화교육 집합교육장으로 선정된 한국복지정보통신협의회와 동작노인종합복지관, 우리마포복지관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표준교재와 집합교육장 프로그램 모두 양적이용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통신기기의 활용 영역 중 기본활동에 관한 수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지식 리터러시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선경(Sun Kyung Kim),권정만(Jeong Man Kwon) 한국정부학회 2008 한국행정논집 Vol.20 No.3

        그동안 리터러시의 개념과 유형은 시간에 따라 진화해 왔다. 즉 새로운 기술과 문화 등 환경의 변화에 따라 리터러시의 개념과 유형도 변해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늘날 새로운 지식 사회로의 진입은 새로운 리터러시로서 지식 리터러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식 리터러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며, 도서관이나 문헌정보학 관련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몇몇 지식 리터러시 연구는 정보 리터러시의 개념과 특성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행정 부문에서는 정책적 관점에서 지식관리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먼저 이루어져야 할 지식 리터러시의 이론적·개념적 기반 연구는 오히려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제약의 문제인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리터러시로서 지식 리터러시를 기존의 정보 리터러시와는 차별적인 개념으로 가정하고, 지식 리터러시의 개념적 범주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범주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분석 접근 틀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검토를 통하여 기존의 리터러시 연구들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3가지 이슈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개념 도출을 위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3가지 접근 틀에 근거하여 지식 리터러시의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The concept and types of literacy has been evolved in change of time and historic paradigm. Now, new era of knowledge society has been already became, so that we have needed new literacy as like knowledge literacy. However, preceding study for literacy is little about knowledge literacy. although, knowledge literacy has been a bit included in the concept and characters of information literacy. but, information literacy is lack of the explanation which for literacy(ability, competence, and skills etc.) needed knowledge society. So, through this review about knowledge literacy, we are try to formulating the concept for knowledge literacy. for this attempt, we have to be divided in three branch in preceding study for literacy; ① the study for evolve of literacy, ② the study for model of literacy, and ③ the study for range of level & application of literacy. From being divided in three branch in preceding study for literacy, we extract for the issues of literacy; ① object, ② components, and ③ scope of application. As well, through the extracted issues, trying to formulating the concept for knowledge literacy. Henceforth, in knowledge society, especially have been raised necessity of knowledge management skills and ability, this trial review of knowledge literacy is a really necessity for formulating and setting conception of knowledge literacy.

      • KCI등재

        정보화정책의 진단과 발전방향 : 우리나라 정보화정책의 성과와 과제

        성낙일 ( Seong Nag Il ) 정보통신정책학회 200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0 No.2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국가적 차원의 정보화정책을 강력히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론 갖춘 나라가 되었으며, 경제 사회 전반의 정보화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또한 우리 정부는 국가정보화의 추진 과정에서 정보통신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해왔으며, 그 결과로 정보통신산업은 우리나라의 핵심적 전략산업으로 급성장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우리나라 정보화정책이 보다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어떤 과제들이 해결되고 개선되어야 할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세 가지 관점에서 정보화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먼저, 정보화가 항상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며, 정보통신산업에도 성장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두 번째로 정보통신기술 투자를 통한 정보화의 추진은 개별 경제주체의 유인구조가 작동하여야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세 번째로 지식과 정좌, 또는 콘텐츠의 경쟁력이 갖추어져야 정보통신 인프라의 구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정보화정책이 정보통신산업 육성정책에서 벗어나 우리 경제사회의 정보화를 위한 환경과 여건을 정비해 가는 범국가적 정책과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put emphasis on the strategic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IT) as one of key drivers for economic growth since the early 1980`s. It did not only attempted to foster IT-producing industries (IT industrial policy), but also adopted several policy measures to encourage the effective use of IT in many sectors (informatization policy). The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informatization and IT industrial policies, to analyze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finally, to answer how to improve the policy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paper suggests three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IT-producing sector should not be regarded as an infinitely growing industry. IT can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or productivity improvements only if it is used effectively. Second, the benefits from the use of IT (or informatization) may be maximized when economic agents use IT as a result of their optimizing behavior. Finally, I stress the role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digital contents in a knowledge-based economy. Korea could not be a developed country in the 21st century, unless it would be a world-class information and knowledge producing country.

      • KCI등재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

        배화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 for teaching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draw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t a time when data is increasingly becoming a topic of attention amid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data literacy is covered in the curriculum and data is a major topic of learning in textbooks, presented as tables, graphs and so on. However, as it appears that the importance of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topic,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teaching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the sake of civic education, as well as its future directions.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hold a prominent place in the cultivation of the basic capacity of citizens, rather than being a technical or mathematical/statistical skill. It should be advanced to a level where students can collect and apply data, and even communicate using data. There is a need to support students in their explo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data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subject’s curriculum.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curriculums, textbooks, and methods for teaching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be planned,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ivic qualities for reading and analyzing data critically. 본 연구는 지식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사회과 교육의 차원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과에서는 교육과정 차원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교과서 내에서도 각종 표, 그래프 등을 제시하는 등 데이터를 주요 학습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교육 내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 교육적 차원에서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 및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과 교육에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은 기술적 차원이나 수학 및 통계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보다는 시민의 기본적 역량 함양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활용하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차원까지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 데이터가 갖는 의미를 교과 교육의 차원에서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위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한 연구,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방안 모색이 선행되어야 하며, 데이터를 비판적으로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본형 e비즈니스 모델 구축과정에 관한 고찰 -SEJ의 e비즈니스화 사례를 중심으로-

        정병무,이종호,전동원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3

        1970년경부터 기존의 사회 경제 시스템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정보화 사회``로 부르기로 하자. 일본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1992년에 시작된 거품경제가 꺼지면서 많은 기업이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종래의 불황과는 달리 산업 간에 미묘한 격차를 보이는 특질이 있고 나아가서는 동일 산업 안에서도 업적이 좋은 기업과 나쁜 기업이 공존하는 ``양극화``의 특질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동일 산업 내에서 기업성과의 양극화 현상은 일본기업에만 해당하는 문제는 아니다. 그 원인은 새로운 사회경제 변화 즉 글로벌 사회에 대응한 새로운 비즈니스 시스템을 구축하였는지 못했는지에 따라서 격차가 생기게 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형 e비즈니스 모델이 왜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는가? 그 특징은 어떤 것인가? 하는 문제를 일본 최대의 편의점 브랜드이자 최대 규모의 e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세븐일레븐(Seven-Eleven Japan: SEJ)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그를 위해서 제2장에서 현재 직면하고 있는 정보화 사회와 그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시스템의 특징을 밝히기로 한다. 제3장에서는 SEJ의 e비즈니스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으로 일본형 모델의 발전 과정에 대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일본형 e비즈니스 모델의 의미와 그 특징을 고찰하기로 한다. e비즈니스 모델도 사회 환경에 대응하여야 하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From 1970`s, there is general awareness that social-economic system started change. We call it information society. Japan is not exception from this change. Many Japanese companies meet serious difficulties after the burst of the bubble economy from 1992. But there is seen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society. The polarization of wealth has become more serious. In other words, co-exist of high and law achievers of the company in the same industry, and the gulf of the achievement is more and more enormous. This problem is not also the problem to oneself of Japanese company.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e-business model of Japanese typ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business model of Japanese type? To carry this mission, we used the case of Seven-Eleven Japan(SEJ) evaluated establishing the e-business model of Japanese type. In the Chap.2, we mak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ciety and its responding business model public. In the Chap.3, we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e-business model and its developing process. Lastly, we conside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e-business model of Japanese type. As a conclusion, e-business model also adapt to the its social environmental change.

      • KCI등재후보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의 문식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의 개선 방향

        원진숙 ( Jin Sook W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9 한국초등교육 Vol.19 No.2

        오늘날과 같은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문식력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지만 학생들은 책을 읽지 않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문식력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고, 학생들이 책을 읽지 않는 원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국가 경쟁력 구축 차원에서 주요 선진국들이 독서 환경 구축을 위해 기울이고 있는 정책적 노력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른바 활자 이탈 세대인 우리 청소년들이 책을 읽도록 하기 위해서 공공 도서관 시설 확충과 같은 생태학적 독서 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문식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의 개선 방안으로 교실 안에 생태학적 문식성 환경을 구축하고, 실제적인 맥락 안에서의 읽기와 쓰기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NIE 교육 방법, 읽기 경험 자체를 강조하는 SSR 활동, 독서와 토론 활동과 연계된 쓰기 활동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Even though, literacy in Knowledge Based Society of Information in these day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e reality of student`s lacking in reading is exposed to be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reason why students don`t read a book is mainly related to excessive competitive education and influx of electronic digital culture such as TV, computer internet, video gam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make them to be a active reader, this paper argues the importance of governmental policy about constructing the ecological reading environment such as expansion in public library and etc. The author also suggests direction of improving Korean literacy education as follows: constructing ecological literacy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using NIE program for boosting reading and writing competence in authentic context, and enhancing writing activity with reading and debating.

      • KCI등재

        지식정보사회 관련 기본법제의 개정방향과 내용에 관한 연구

        김일환(Kim, Il-Hw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1

        Today's result of informatization promotion in Korea i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enacted in 1995, which enables to establish informatization policies effectively. The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has been conducted as a mother law for other related laws. However, the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reached at uppermost limit due to the informatization is almost constructed at least in the field of mechanical devices by and large. Nevertheless the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has taken its role for the government policies, promoting informatization system and establishing constituencies of the informatization, has not been performed as a law that could bind on the whole. Expecially, the lack of the functional role by the Informatization Promotion Committee is caused to revise the act for futur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Under the Framework Act on Informatization Promotion, "focusing on the knowledge information", "more activat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can be carried out, but "focusing infrastructure", "mechanical device" and "leading by the overnment" were the key issues on the Act.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legal system to offer a nationwide vision for the Information Society, not to promote informatization. In addition, we have to make a fundamental law system to work as a base for IT policy making and program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