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 네트워크에서 지식 전파 행위자 모형

        박철순(Chul soon Park) 한국생산관리학회 2014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지식 네트워크에서 지식이 전파되는 행태를 행위자 기반 모형으로 모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지식 전파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네트워크 속성, 기업 속성, 지식 속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포괄하는 변수들을 도입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방대한 모의실험으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지식의 암묵성을 중심으로 지식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식의 암묵성이 클수록 지식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지식수준은 낮아졌으며 기업 간 지식 격차는 커짐을 확인했다. 내부 혁신 역량, 흡수 역량과 같이 기업 속성에 속하는 변수들은 지식 전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이 관계를 지식의 암묵성이 조절함을 밝혔다. 즉, 내부 혁신 역량 또는 흡수 역량이 큰 기업일수록 지식수준이 높아지는데 암묵성이 큰 지식일수록 그 효과가 더 증가함을 확인한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agent-based model for knowledge diffusion on knowledge network.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garding knowledge network,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behavior of knowledge diffusion are classified as three categories: network-related, firm-related, and knowledge-related factors. The model adopts all three categories as driver of knowledge diffusion including the depreciation rate of knowledge (network-related), internal innovation capacity, absorptive capacity, learning capacity, degree centrality (thus far, firm-related), and tacitness of transferred knowledge (knowledge-related).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knowledge tacitness on knowledge diffusion based on large simulation runs. It shows that as the tacitness increases, the mean of knowledge level decreases, wherea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mong network members increases. Also, we find that the firm-related variables such as internal innovation capacity and absorptive capacity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irm's knowledge level. We further find that the tacitness of transferred knowledg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related variables and knowledge diffusion. It mean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 firm's absorptive capacity (or internal innovation capacity) on its knowledge level increases as the tacitness of knowledge increases.

      • KCI등재

        신제품 지식의 유형이 제품 품질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연진(Yeon Jin Cho),박경도(Kyung Do Park),임수빈(Su Bin Im)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4

        의사결정의 효율성에 따른 기업의 사업성과는 조직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다양한 지식의 특성들을 경영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기술집약적 산업의 특성상 급진적으로 변화하는 기술적 환경에 발맞추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으로써 지식경영능력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Source-Position-Performance(SPP)구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중에 발생하는 지식의 유형들을 기업의 경쟁적 원천 변수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제품 포지션상의우위를 가져오는 요소로 신제품품질 우월성과 제품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개인차원에서 지식경영활동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하이테크 산업에서 신제품개발팀의 팀리더를 대상으로 표본선정 및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여 팀 내에서의 지식경영활동과 기업의 성과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류한 지식의 특성들로는 지식의 복잡성, 지식의 암묵성, 그리고 지식의 중복성이 있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식의 복잡성과 지식의 중복성은 제품 품질의 우월성에 긍정적인 변수로 작용하는 반면, 지식의 암묵성은 제품품질의 우월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품질의 우월성과 신제품 성과는 유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조직원들은 상호의존적인 다수의 지식과 객관적이며 언어로 상술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 및 공유함으로써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의도적으로 공통적인 인식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사업 활동들을 통해 지식의 창출활동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런 과정들은 신제품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지식의 유형에 따른 지식경영활동과 성과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학문적인 시사점과 이 분야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n organization`s decision abilities as a key driver of financial performance are supported by prior experiences and knowledge capabilities within team. Previous study has examined that knowledge management influences decision making performance.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ew product knowledge in decision making and how and why these knowledge resources affect new product performance. Drawing from research in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this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a more fine-grained notion of the interplay among NPD knowledge and superior firm`s performance by empirically testing differential effects of types of knowledge on new product advantage. The authors test using data collected from 222 new product development teams in the high- technology industries in Korea. The results first indicate that knowledge of high complexity increases new product quality. This new insights suggest that knowledge complexity in terms of the dimensions of breadth and depth is likely to enhance new product quality because of more opportunities to create innovative knowledge by combining diverse knowledge. Second, this results reveal that knowledge of high tacitness decreases new product quality. The creation and comprehension of knowledge can be achieved when knowledge is codified, articulated, and communicated easily. Third, the results reveal that knowledge of high redundancy improves new product quality. The sharing common knowledge is the key to facilitating effective communica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new creative ideas.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marketing literatures b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ing how these three dimensions of NPD knowledge influence product quality superiority at the team level. The authors discus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현지파트너의 흡수역량, 국제합작기업에 대한균등지분율 및 해외파트너와의 신뢰가 태국현지파트너의 지식습득에 미치는 영향

        카니사 부라나반얕,김광수,이광근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knowledge acquisition of Thai local partners from advanced foreign partners through international joint ventures(IJV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itially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IJVs that would influence local partners’ knowledge acquisition - a local partners’ own characteristic (absorptive capacity), a relationship characteristic with IJVs (proximity to the equal equity ownership), and a relationship characteristic with foreign partners (trust), and examined their effects on local partners’ knowledge acquisition.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acitness of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acquisiti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ai IJV local partners, results revealed that a local partners’ own characteristic, absorptive capacity, and a relationship characteristic with IJVs, proximity to the equal equity ownership, ha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local partners’ knowledge acquisition. Results further showed that the tacitness of knowledge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bsorptive capacity and knowledge acquisition and between trust and knowledge acquisition, but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ximity to the equal equity ownership and knowledge acquis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합작투자 상황에서 국제합작기업을 통한 태국 현지파트너의 해외파트너로부터의 지식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먼저 현지파트너의 자체 특성인 흡수역량, 국제합작기업과의 관계 특성인 균등지분율 근접정도, 해외파트너와의 관계 특성인 신뢰 등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현지파트너의 지식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식암묵성이 이러한 특성과 지식습득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태국 소재 현지파트너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지파트너의 자체 특성인 흡수역량과 해외파트너와의 관계 특성인 신뢰는지식습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국제합작회사와의 관계 특성인 현지파트너의 지분율은 균등지분율에 근접할수록 지식습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지식암묵성은 흡수역량 및 신뢰와 지식습득의 관계를 강화하는 반면, 지식암묵성은 균등지분율 근접정도와 지식습득의 관계를 강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폴라니(M. Polanyi)의 지식의 통합성에 기초한 놀이 중심교육 고찰

        이주옥,김금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lay-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ity of knowledge, which is Polanyi's theory of knowledge,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his theory for play-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elementary school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with information on the successful and systematic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on play-centered education. According to Polanyi's knowledge theory, the play-centered education is based on four aspects the concept, effectiveness, integration, and significance of play- centered education. Play-centered education is child-centered education considered a child being the owner of learning and it is the integrated statu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for child to acquire knowledge through play. Through this study, it proves that Polanyi's knowledge theory values children's interests and motivation and ultimately supports child- and play-centered education considering a child as being an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Polanyi's knowledge theory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on play-based education as to connect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Polanyi의 지식이론은 초·중등의 통합교육과정에는 많이 등장하지만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거의 거론되지 않고 있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Polanyi의 지식이론인 지식의 통합성에 근거하여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해 고찰해보고 그것이 놀이중심 교육 활동에 미치는 시사점을 통해 유아교육자들에게는 물론 초등 교육자들에게도 체계적인 유·초 연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Polanyi의 주요문헌을 통해 Polanyi가 주장하는 암묵지와 자득지의 성격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식과 초점식을 통해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지식의 통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지식의 통합성을 바탕으로 한 Polanyi의 이론이 놀이 중심 교육과의 연계성 및 실제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Polanyi의 지식이론은 아동의 흥미와 동기 유발을 중요시하고 능동적이며 자발적 참여로서의 아동을 중요시하는 놀이 중심 교육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Polanyi의 지식이론은 놀이 중심 교육을 통해 유·초 연계를 실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