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사회의 지식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김수욱,남민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4 No.1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based society, to find out desirable intelligent man power development policies and to get som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of higher education in knowledge based era.This study was administ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ference of professionals.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apid social change by innovations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needed creative and intelligent man power.(2) However, most of Korean universities could not performed their essential role and duty as higher education agencies.(3) The traditional role of higher education should be re-examined generally to cope with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based era.(4) Expecially, the structure of university should have flexibility to keep pace with rapid academic progress, innovation of technology and the social demands of intelligent man power.(5) Sufficient support should be allocated to extend the capability of creative research.(6) Diversified teaching methods, for example cyber education, e-learning, should be adopted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7) Various program of extens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customers of life-long education.(8) Liberal and mor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university. 생명공학산업, 정보통신산업, 환경산업, 디자인산업, 교육산업, 경영컨설팅산업, 정밀기기산업 등이 21세기를 주도할 지식기반산업이 될 전망이다.3. 지식기반사회의 촉진요인 및 특성가. 지식기반사회의 촉진요인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게된 배경으로는 크게 지식정보량의구 분분야별 지식기반산업명지식기반 1차산업첨단작물, 첨단축산, 첨단영림, 첨단양식업지식기반 제조업메카트로닉스, 항공우주, 정밀광학기기, 전자정보 통신기기, 생물,의약, 환경, 신소재, 정밀화학지식기반서비스산업정보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방송서비스, 디자인, 컨설팅,엔지니어링, 연구개발, 광고, 교육서비스, 의료, 문화산업(영상, 음반,출판, 캐릭터산업 등), 금융보험 폭발적 증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탈산업화 추세, 세계화의 급진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교육부, 1999b). 구체적으로 지식기반사회를 촉진시킨 요인을 살펴보면 세계화정보화의 진전, 일의 형태기회내용 등의 변화, 문화적 범위와 사회생활 양식 등의 중첩, 지식의 생산과 사용이 환경과 사회적 생존의 위협, 지식을 다루는 체계와 강도의 변화, 지식의 폭발적인 증가 등이다(이무근, 199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 KCI등재

        지식기반사회의 인문사회과학 분야 지식 유형에 관한 담론

        고영만,권용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의 발달과 강화로 인해 우리사회가 지식기반사회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이는 지식의 위상이 변하면서 지식의 확대와 성장 속도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문간의 경계가 약해지면서 상호 침투하는 형상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일반 교육에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논점을 바탕으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지식 유형의 변화 양상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지식의 계통과 기능의 변화뿐만 아니라, 지식의 역할 변화를 정리하였으며, 지식기반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인간 및 사회상을 개괄적으로 제안한 다음 앞으로의 지식의 변화와 그것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인문사회과학적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일반이론 및 학제적 연구의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연구는 이러한 방안 제시를 통해서 실험적인 방식이긴 하지만, 이 방안들이 지식기반 사회에 있어서 지식의 재편 방향을 지시하는 기초적 가이드 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knowledge-based society’s impact on knowledge, it’s functions, and it’s types in fields of humanities an social sciences. Knowledge-based society does not invalidate the definitive mechanism underpinning social coexistence today, bu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will increase greatly whereas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ive resources labor and capital will diminish. Therefore, knowledge-based society demands that we enter at this time into a discussion that takes new approaches to the knowledge. This study provides a doorway to a discussion of topics such as : Anticipating and characterizing the knowledge-based society, spectrum of fields of new types of knowledge for which typical differences can be ascertained, the interlinking of various disciplines in the respective field of knowledge, the new roles and types of knowledge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융합환경에서의 지식기반 사회공헌의 발전방향 : 기업의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배유진 사회복지법제학회 2016 사회복지법제연구 Vol.7 No.2

        It is argu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the source of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increasing competitiveness and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linkage and expansion of local welfare with the value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n a convergent environment should pursu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tatu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hile examining their evaluation and limitations, is to present the future value of legal system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and the value that social contribution of knowledge base should aim for under convergent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examined as well as th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cope and statu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2015.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the convergence environment. Second, although some attempts have been made to subdivide the field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t has been merely attempted with diversity and local linkage. Third, knowledge management to serve as a hub for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s still insufficient. Fourth, there is no statute related t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he main consideration based on these problems is the data, which is the core of welfare-related services in knowledge management. With regard to that subjec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management direction that can be linked to another welfare by convenient and various services by knowledge management are described in detail.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social contribu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gislative system that considers both consumer-centered or supplier-and-consumer welfare system based on IT knowledge management and community sharing, along with the legislation that supports welfare-industry consumer-centered, both sides of supplier and consumer that support. First, a new convergence business model using contents and services is being created due to the knowledge-based industry of the Fourth Revolution. In line with such changes in society, companies should contribute to society in terms of a shared economy and shared values ​​that share mutual benefits based o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Secon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fields besides traditional welfare field, and it should be linked to welfare development of local area. The direction of linki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nd local welfare should be based on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for customized service for customers, rather than a formal and standardized way based on suppliers. Third, in order for a company to make an optimal social contribution, it should be able to judge what kind of welfare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consumer. In other words, data management is so important that the data should be analyzed and provided throughout the stages of pre-planning, execution andpost-implementation of social contribution. Fourth, in order to promote social contribution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ions and society,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not only by regional units, but also by the whole country. From a governance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legal system that can be approached by social contribution of knowledge based industry under legislative and convergence environment considering side.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지속성장과 경쟁력 향상의 원천이라는 방향으로 논의가 모아지고 있고, 융합환경하에서의 기업의 사회공헌이 추구해야 하는 가치와 지역 복지의 연계 및 확대에 대한 고찰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진단하고, 평가와 한계를 짚어보면서 융합환경하에서 지식기반의 사회공헌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 및 이를 뒷받침할 법제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업의 사회저 책임의 의미를 살펴보고, 2015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규모와 현황을 통해 한계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컨버젼스 환경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둘째, 기업의 사회공헌의 분야가 세분화되려고 어느 정도는 시도하고 있지만 다양성과 지역연계로의 시도에 머물고 있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의 허브화 역할을 해줄 지식관리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넷째, 현재 기업의 사회공헌 관련한 법령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런 문제점을 토대로 한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복지와 관련한 서비스의 핵심은 데이터이므로, 지식관리에 의한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또 하나의 복지로 연결될 수 있는 지식관리의 중요성과 관리방향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담았다. 사회공헌의 법제방향은 IT 지식관리 기반 복지시스템 및 공동체적 나눔 그리고 복지산업을 뒷받침하는 입법 및 수요자 중심 내지 및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법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첫째로, 제 4차혁명의 지식기반산업으로 인해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융합사업모델이 창출되고 있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기업은 융합환경에 따른 상호이익을 나누는 공유경제 및공유가치의 관점으로 사회공헌을 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로는 기업의 사회공헌이 전통적인 복지 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로 점차로 확대되어야 하고, 그것이 지역의 복지발전에도 연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의 사회공헌와 지역복지의 연계의 방향은 공급자 중심의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형식적인 차원을 아닌,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분업․협업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셋째, 기업이 최적화된 사회공헌을 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각각의 상황에 따라 어떤 복지가 필요한지를 잘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회공헌의 사전계획부터 실행단계, 실행 단계 후의 관한 데이터가 분석되어 제공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관리가 중요하다. 넷째, 기업과 사회가 유기적으로 갖는 상생적 관계에서 사회공헌의 촉진을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지역적 단위만이 아닌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도 도모되어야 하고,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수요자 중심 내지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입법과 융합환경하에서 지식기반산업의 사회공헌으로 접근될 수 있는 법제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식 기반 사회와 교육

        이상하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6 No.-

        용어 ‘지식 기반 사회’는 일상어처럼 되었다. 개인의 적응력과 창의력이 교육의 중요한 주제로 정착했다. 도대체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지식의 성격은 무엇일까? 개인의 적응력과 창의력이 지식 기반 사회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물음은 지식의 복잡성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대답될 수 있다. 복잡 지식의 산출이 지식 기반 사회에 결정적이라면, 그 사회는 수직 상하의 명령 체계가 아닌 지식의 그물망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지식 그물망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행위자에게 체계 사유는 필수적이다. 지식 기반 사회의 이상적인 행위자는 환경 변화 속에서 조직 체계의 패턴 확인과 역동성을 고려한다. 이에 의해 둘째 물음이 대답된다. 지식 기반 사회와 교육은 철학자에게도 더 이상 낯선 주제가 아니다. 그러나 비형식 논리 및 비판적 사고의 국내 오류론 교육 형태는 지식 기반 사회의 교육 이념에 역행하고 있다. The term 'knowledge based society' was established as an ordinary one. Adaptive and creative thinking became a central subject in education. What is the new aspect of knowledge in the present society? Why is adaptive and creative thinking so important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The first question can be answered by an analysis of complexity in knowledge. The effective production of complex knowledge is crucial for success or failure of a knowledge based society. The society must not be based on a command system like organogram but on a knowledge network. System thinking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a knowledge network. An ideal actor can identify the pattern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to which he belongs. He can also consider the dynamics of system in environmental changes. System thinking is the clue to the second question. The subject of a knowledge based society and education is now familiar to philosophers. But philosophers' teaching method of theory of fallacies in informal logic or critical thinking runs counter to the educational ideal needed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 지식정보사회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이해두 대구대학교 2006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2

        현대는 ‘과학·기술적 혁명의 시대’(the ag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라 할 수 있다. 보노 E. Bono에 의하면 ‘과학은 지식의 생성’(science is the generation of knowledge)이며 ‘기술은 지식의 응용’(technology is the application of knowledge)으로 풀이되고 있다. 과학적 기술적 혁명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곧바로 ‘지식의 폭발’the eruption of knowledge)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지식의 혁명’(the revolution of knowledge)이 이루어지는 사회가 ‘지식 기반 사회’(knowledge based society)로서 이른바 ‘ 식·정보사회’(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인 것이다. ‘지식·정보사회’는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후기단계의 한 모습으로 풀이되고 있으며, 이 사회에 있어서는 ‘지식의 생성’과 ‘지식의 응용’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산업사회가 제품이라는 유형의 물질을 중심으로 생산하는 사회라면, 지식·정보사회는 지식이라는 무형의 가치를 중심으로 생산하는 사회이다. 그러므로 생산의 양식도 ‘근육’ 중심에서 ‘두뇌’ 중심(from brawn to brain)으로 옮겨오게 된다. 산업사회가 ‘기계기술’(machine technology)에 기초했다면, 지식정보사회는 ‘지적기술’intellectual technology)에 기초하고 있다. 산업사회의 교육이 단순한 ‘지식의 전달’knowledge transmission)에 치중했다면, 지식정보사회의 교육은 효율적인 ‘정보의 가공’information processing)기능을 중시하게 된다.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를 맞아 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총체적인 입장에서 살펴보고 학교공동체(학교교육)와 전자공동체(사이버교육), 그리고 시민공동체(사회교육)가 어떻게 조화롭게 정합해 갈 수 있을까를 검토하고 아울러 대학교육의 변화의 길을 모색해 보았다. 지식정보사회의 발전적이며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서는 ‘인간의 얼굴을 가진 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 with Human Face)의 실현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총체적 변혁이 요청된다. It is called that today is ‘the ag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According to E. Bono, “science is the gener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is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the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means ‘the eruption of knowledg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so to speak knowledge based society is the one which the revolu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ccurs progressively. In this society ‘the generation of knowledge(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of knowledge(information)’ is estimated as the supreme primacy of value. While industrial society is based on the ‘machine technology’, information society is based on the ‘intellectual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in the industrial society emphasizes on the ‘knowledge trans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emphasiz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n the mode of education changes ‘from brawn to brain’. The author analyses the paradigm shift of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n general and gropes the possibilities of the harmonious way of combination amongst school community, cyber community and civic community, and the direction of change of college education together. Finally, we should examine the education system in the whole to pursuit the realization of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ith ‘human face’.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지식 축적에 미치는 영향: 업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승현,이창원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본 연구는 공급사슬환경에서 구매자-공급자 관계 사이 사회적 결과물인 사회적 자본이 공급자 관점에서공급사슬 관계자인 두 주체 간에 일어나는 지식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이 업종에 따라 나타나는조절효과의 영향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기존에 연구된 구매자 관점과 달리 공급자 관점에더욱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자의 관점에서 공급사슬 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을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그리고 관계적 자본으로 세분화하여 지식 축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기존에 연구가 부족하였던 공급자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간의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조업과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인으로 업종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급사슬환경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요인 중 관계적 자본이지식축적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이 다음으로 지식축적에 높은 영향을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의 관계에 대한 업종의 조절효과는 제조업의 경우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을 제외하고,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업은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환경의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식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이해를 넓히고, 업종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에 대한 차별화된 경영전략과 지속적인 성과 향상에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급사슬관리의 전략적 방향성이 요구된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 study result between buyer and supplier in supply chain environment, on knowledge accumulation between two suppliers and suppliers,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rocesses depending on industry. Especially, since societal capital has more important meaning in the supplier's perspective than the previous buyer's perspective, this study tried to prove how this relationship is realized within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supply chain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First, from the supplier's perspective, social capital is divid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knowledge accumulation.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ustry as a moderating factor that can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entering o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ollect data. The measurem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on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95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50.9%, and 188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49.1%. In addition, 247 companies with an average sales of less than 50 billion won accounted for 64.6%, while 292 companies with less than 500 regular workers accounted for 76.3%. In addition, the trading period with buyers was 177 with less than 10 years, 46.2%, and 53.8% with 206 with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in the supply chain environment, relational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knowledge accumulation, and structur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knowledge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is social capital, which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apital,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except for structural capital, bu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ognitive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the situation wher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supply chai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ar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buyers. Third,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by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affecting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of supply chain environment was broadened,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was required to help the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y.

      • KCI등재

        사회과 지식생산적 글쓰기의 의미와 유형, 지도 원리

        배영호(Bae,Young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의 사회 및 지식관의 변화를 배경으로 하여 우리의 사회과교실이 기존의 사회과의 구조적 지식에 대한 이해, 분석, 적용 등이 중심이 되는 수동적인 지식 학습의 틀을 벗어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식 ‘생산’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취지 아래 이를 구현할 핵심적 도구로서 사회과 글쓰기의 생산적 의미와 유형, 주제, 지도 원리 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과교실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맥락적이고 상황적 성격의 내러티브적 지식으로 규정하고 ‘생산’의 의미를 창의성이나 수월성의 차원보다는 다원성과 민주성의 차원에서 의미화하였다. 그리고 글쓰기가 갖고 있는 지식 생산의 의미와 읽기와의 연계 지도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국어과적 연구결과에 대한 참조를 통해 이차원적 틀에 의한 사회과 지식생산적 글쓰기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사회과의 다양한 분과영역들에서 가능한 지식생산적 글쓰기의 주제들을 탐색하고 사회과 및 국어과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를 수업에서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도 원리를 도출하여 예시적인 수준에서나마 간단한 수업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 생산의 측면에 초점을 둔 사회과적 글쓰기의 실천적 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성격의 것으로서, 향후 여기에서 시도된 사회과 글쓰기의 유형화, 국어과 연구 결과들과의 연계, 일반적 지도 원리의 적절성 등에 관한 보다 세밀하고 진척된 보완적 논의와 글쓰기의 실천 과정을 통한 현실적합성 확보가 아울러 이루어져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Changes in society and perspective of knowledge today suggest that our social studies education go beyond passive knowledge learning in which understanding, analyzing and applying about structural knowledge of social studies hold the central place, and change into knowledge-productive paradigm. Thi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means of social studies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ductive meaning, types, and principles of guidance of social studies writing.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defined knowledges producted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s narrative knowledges which have contextual and situational traits, and has explained the signification of production in view of pluralism and democracy rather than creativity or excellence. And then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knowledge-productive value of writing, and h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guiding related to the reading, and has attem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writing by two-dimensional framework based on the reference to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text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this study has explored the themes of productive writing in the various fields of social studies, and has developed the general principles of guidance based on studies in social studies and korean subject for practice of writing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has suggested instructional design of social studies writing at an suggestive level. This study has attempted to theorize about practice of social studies writing focused on knowledge production at an approximate level. So it is necessary to argue advanced, sophisticated and supplementary discussions, and secure appropriateness for field applic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education which has discussed in this study.

      •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기술에 의한 학습환경의 변화

        강인애,이인희,황승연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9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5 No.-

        정보사회에 이어 지식사회가 도래하고 있다고 한다. 정보사회는 정보 통신기술의 혁명적 발달로 인해 파생된 광범위한 사회적, 조직적 변화의 시대라고 본다면, 지식사회는 정보기술과 인간의 창의력을 결합해 '지식'이라는 새로운 핵심생산요소를 등장시키는 사회이다. 따라서 컴퓨터, 인터넷, 통신 등 정보와 통신기술의 혁명적 발전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정보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를 위한 짧은 과도기적 상태이며, 지식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 인프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사회에 이르러서도 정보기술 인프라는 지식사회에서 강조하는 새로운 개념의 지식이 생산, 소비, 유통, 관리, 그리고 공유되어, 궁극적으로 전략적 생산기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대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여전히 '문명사적 전환과 변화'를 갖고 올만큼의 대단한 영향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은 교육환경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는 정보기술이 지닌 패러다임과 거의 맥을 같이 하면서, 점차 교강사 중심적 교육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적 교육환경으로의 변화라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교육이론적 발달의 상부상조적 발달을 통해 이전과는 판이하게 구분되는 교육환경적 변화(자율적 학습자, 참여와 탐구의 학습, 재미있는 학습 등)의 요구와 노력이 제기되고있다. 정보기술이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전면적 영향력의 증가가 어쩔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지만,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은 그 전개 방향이나 성격을 확실하게 규명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보면, 정보기술의 음영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하다. Knowledge-based society is advancing followed by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formation society featured by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rought out social and organizational changes in a wholistic and broad sense, while the knowledge-based society foregrounds 'knowledge' as a new essential productive element, which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association between human creativity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is a short and transitory period scaffolding as infrastructure to step forward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Yet, eve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infrastructur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still might be immensely influential to all aspects of the society. Particularly, the paradig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cannot be fully explained without considering the paradigm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along with the humanistic trend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proceed from teacher-centered toward learner-centered, from didactic to autonomous, from passive to inquiring, from linear to hypertext.

      • KCI등재후보

        21세기 지식기반사회와 변리사의 역할

        김영환(KIM, Young Hwan) 유럽헌법학회 2012 유럽헌법연구 Vol.11 No.-

        지식기반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인류의 생활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지난 수십년간 엄격하게 보호된 지식재산권에 대한 적대감이 대두되었다. 그것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민주적 표현을 조장하는 신기술의 대두, 포스터 모던의 해체이론의 영향 증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과보호에 대한 우려,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건강에 관한 재산권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관심 등을 원인이 되었다. 이 논문은 지식기반사회의 특징과 기식기반사회에서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고찰한 후, 지식기반사회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권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변리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였다. 특히 정보자유유주의 이론과 특허권의 확대에 따른 지식재산권의 문제를 새롭게 고찰하였다. This study briefly address the antagonism towar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role of patent attorney in knowledge-based society, beginning with the merits of information libertarianism. The reasons behind this antagonism are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the expanding and pervasive influence of post-modern, and worries about excessive protection. Some of this criticism is perfectly valid, but it’s important to avoid overreacting to this situation by calling for an evisceration of exclusiv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study conclude with a terse assessment of claim that patent attorney’s role needs to be expanded in knowledge-based society.

      • KCI등재

        지식에서 지혜로: 지식기반사회에 대한 불교적 성찰

        김종욱(Kim Jong-wook)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은 진리의 파악이라기보다는 인지의 현상이자 정보의 습득인데, 데이터는 상호의존적 피드백을, 정보는 상호의존적 연결을, 지식은 상호의존적 맥락을 그 본질로 한다. 또한 지식의 형성은 정보와 지식 사이의 인지적 순환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지식의 창조는 지식과 지식사이의 상호작용적 의존성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지식의 형성과 지식의 창조가 모두 상호의존성을 그 본성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식의 이런 형성과 창조를 모든 가치의 원천으로 삼는 지식기반사회는 환경 문제에 관한 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지식기반사회는 탈산업화와 탈물질화를 특성으로 한다는 점에서 자연 자원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친환경성을 지니지만, 네트워크화와 세계화를 특징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폐기물과 오염물을 산출하여 전 지구적으로 확산시키는 반환경성을 지닌다. 지식기반사회가 지닌 친환경성을 강화하고 반환경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창조가 지혜의 통찰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하는 바, 그런 지혜의 내용은 상호의존성의 철학과 상호존중의 윤리, 즉 연기와 자비의 통찰이다. 따라서 상호의존성으로서의 연기와 상호존중으로서의 자비라는 불교생태학적 지혜야말로 지식기반사회의 반환경성을 해독시켜 줄 뿐만 아니라, 지식기반사회 자체가 위험사회로 전화하는 것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제어책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knowledge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s rather the phenomenon of cognition and the acquirement of information than the apprehension of truth;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based on interdependent feedback, interdependent link, and interdependent contex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knowledge depends on the cognitive circularity between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 generation of knowledge relies on the interactive dependence between pieces of knowledge, which shows that both the formation and creation of knowledge are based on interdependence. A knowledge-based society that has such formation and creation of knowledge as the source of all values has a dual na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fact that a knowledge-based society is characterized by deindustrialization and dematerialization is closely related to its eco-friendly nature that decreases the amount of natural resources consumed;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it is also characterized by networking and globalization is correlated with its anti-environmental nature where discarded materials and pollutants are produced and expanded on a global scale. In order to reinforce the eco-friendly nature and to overcome the anti-environmental nature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creation of knowledge must be converted into the insight into wisdom. The technology in a network society makes the world even more complicated, generating uncontrollable hazards and making the life of people far more uncertain. To prevent a network society from being a risk society, we must understand that the core structure of a knowledge-based society as well as the formation and creation of knowledge is the interdependence, and the moral beliefs in cooperation and coexistence based on interdependence and mutual respect must be shared by all. Such philosophy of interdependence and ethics of mutual respect form the core of the Buddhist introspection into ecology. Sinc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ecology is interdependence, it is an ecological wisdom that all constituents forming the ecosystem must have mutual respect toward one another, which is restated in Buddhist terms as maitrīkaruṇā(慈悲, interrespect) due to pratītyasamutpāda(緣起, interdependence). Therefore, a knowledge-based society must be converted into a wisdom-based society so that the knowledge-based society may not be degraded to a risk society through a simple accumulation of knowledge. Furthermore, a so-called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must be upgraded to a wisdom-based knowledge society, and the philosophy of interdependence and the ethics of mutual respect form the core of such wisdom. Consequently, the Buddhist ecological wisdom centered around interdependence and mutual respect is a solution to the anti-environmental nature of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i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prevent a knowledge-based society from being degraded to a risk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