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관과 분석철학의 방법론

        한상기(Han, Sang-ki)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그동안 분석철학을 어떤 단일 특징으로 규정하려는 시도들은 실패를 거듭해왔다. 모든 분석철학자만이 공유하는 실질적인 철학적 견해나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분석철학을 하나로 통합하는 단일 특징을 찾기란 매우 어려운 일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직관”을 분석철학의 방법으로 간주하는 분위기가 점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비록 분석철학에서 이의 없이 시인되는 분석철학만의 방법에 관해 언급하는 사람은 없어졌지만, 최근의 분석철학자들에게서는 철학이론을 전개할 때 직관에 대해 호소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졌다. 이들은 전통적인 개념적 분석, 반성적 평형, 사고실험 등을 통한 철학 활동에 “직관”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급기야 직관에 대한 호소는 전체적으로 오늘날 현대 분석철학의 특성을 이룬다고 할 정도로 상당히 공통적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그렇지만 직관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가진 철학자들도 있다. 그중에서도 카펠렌(H. Cappelen)은 직관에 대한 의존이 철학의 본질적 특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이다. 그는 철학자들이 그들의 논증에서 증거의 원천으로 직관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는 광범한 사례들을 검토하고, 최초의 겉모습과 반대로 그들이 적절하게 ‘직관’이라고 불릴 수 있는것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철학에서 직관은 실제로는 증거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 논문은 직관에 대한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을 논박하고, 철학적 방법의 부분으로서의 직관 개념을 검토해보고 옹호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카펠렌의 회의적 논증을 살피기 전에 먼저 많은 분석철학자가 직관 사용의 범형으로 간주하는 사례 중 하나(게티어 사례)를 통해 직관이 철학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들과 그 근거들을 제시한 다음, 그 논증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직관에 대한 대안의 설명을 통해 철학자들이 실제로 증거로서 직관에 의존한다고 생각할 이유를 제시하면서 철학에서 직관이 하는 역할을 옹호한다. Until now, attempts to characterize analytic philosophy as a single feature have repeatedly failed. There seems to be virtually no philosophical views or methods shared by all analytic philosophers. Therefore, it seems ver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to find a single feature that unifies analytic philosophy. However, after the 1970s, the atmosphere that considers “intuition” as a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began to appear more and more prominently. Although no one mentioned the proper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which is endorsed without objection in analytic philosophy, recent analytic philosophers have quite a lot of cases appealing to intuition when developing philosophical theory. They seem to think that philosophical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onceptual analysis, reflective equilibrium, and thought experiments are based on “intuition.” Eventually, the appeal to intuition yields the impression that it is quite common enough to say that it constitut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s a whole. However, some philosophers have expressed skeptical views of intuition. Among them, H.Cappelen is a leading philosopher who argues that dependence on intuition is not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hilosophy. He examined a wide range of cases in which philosophers seemed to rely on intuition as a source of evidence in their arguments, and argued that contrary to the original appearance, they did not rely on what could adequately be called “intuition.” So he has argued that intuition in philosophy is not actually used as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Cappelen’s skepticism about intuition, examine and defend the concept of intuition as part of philosophical method. But before we look at Cappellen’s skeptical arguments, I will first explain how intuition is used in philosophy through one of the examples (the Gettier case) that many analytic philosophers regard as the paradigm case of the use of intuition and a breakthrough in analytic philosophy. It then presents Capellen’s skeptical arguments and their rationale, and then reviews the argument. Finally, through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intuition, it advocates the role of intuition in philosophy by presenting reasons that philosophers think they actually depend on intuition as evidence.

      • KCI등재

        자기의식 문제와 지성적 직관 - 피히테의 『지식론의 새로운 서술 시도』(1997) 연구

        안윤기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5

        본 연구는 ‘인간의 자기의식’을 다루되, 그것의 주요 특징을 피히테의 초기 저작인 『지식론의 새로운 서술 시도』(1797)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자기의식은 아주 오래전부터 그 가치와 중요성이 널리 인정되었고, 특히 근대에 와서는 우리가 가진 일체 지식을 설명할 철학의 원리로 손꼽혀서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칸트 등에 의해 중용되었지만, 정작 그것의 가능 조건을 논의해 보면 매우 심각한 내적 문제를 가진 주제였다.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 해결책을 제시한 최초의 철학자는 피히테였다. 피히테는 만일 우리가 자기의식을 일종의 반성이라고 보고, 내가 나 자신과 주체와 객체 관계를 맺어 그 결과로 나 자신을 통찰하려 한다면, 우리는 ‘무한소급’ 같은 심각한 오류에 빠지고, 결국 자기의식을 설명하지도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피히테가 보기에 자기의식을 적절히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해야 할 한 가지 조건은 ‘의식하는 자아와 의식되는 자아가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아가 의식의 주체와 객체의 두 항으로 분리되면, 의식 주체에 대한 확인을 위해 제2의 의식, 제3의 의식 등으로 무한소급해야 하며, 의식 주체와 객체가 동일하다는 것을 입증할 방법도 없이 그저 둘의 동일성을 주장해야만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피히테는 자기의식에서 자아의 비분리와 직접적 내적 관계가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자아는 자기 정립이지만(존재), 그때 정립되는 나는 내가 정립한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어야 한다(인식). 그리고 이런 비대상적이고 선반성적인 직접적 자기인식 관계를 표현할 적절한 용어로 피히테는 ‘지성적 직관’을 제안하였다. 우리가 행하는 모든 의식이 전제해야 하는 자기의식은 지성적 자기직관으로서, 사유 주체의 직접적 자기 친숙성, 곧 명증성을 의미했다. This paper deals with human self-consciousness, main characteristics of which will be examined through Fichte’s early work, Versuch einer neuen Darstellung der Wissenschaftslehre (1797). Self-consciousness has long been widely recognized for its value and importance, especially in modern times, when it was used by Descartes, Leibniz and Kant as the principle of philosophy to explain all our knowledge. But when we discuss the possible conditions of it, it is revealed as the subject with serious internal problems. It was Fichte, who first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its problems and tried to find a solution. He believes that if we take self-consciousness for a kind of reflection, and if we try to make a subject-object relationship with ourselves, we will fall into serious error. In Fichte’s view, one of the conditions that must be met in order to properly describe self-consciousness is that the thinking and the thought self must not be separated. If the self were divided into two term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the object, we would have to regress to the second conscious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 of the first, and then to the third conscious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 of the second, etc. (infinite regress) and we would just claim the identity of the thinking and the thought self, without proving they are really the same. To avoid these problems, Fichte emphasizes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 put myself, and I am simultaneously consious of myself as such. Fichte proposes ‘intellectual intuition’ as an appropriate term to express this sort of direct self-awareness. Self-consciousness presupposed by all our consciousness is an intellectual self-intuition, meaning the self-familiarity or evidence of the thinker.

      • KCI등재

        모종삼의 칸트비판은 정당한가? -‘물자체’(Noumena)와 ‘지성적 직관’(Intellectual Intuition)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정재현 ( Chong¸ Chae-h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4

        이 글은 모종삼이 유교도덕철학을 칸트도덕철학보다 우월하다고 믿는 몇 가지 근거를 비판적으로 음미한다. 모종삼은 칸트 도덕철학이 물자체의 개념을 가치개념으로 보지 못하고, 또한 가치 개념으로서의 물자체도 지성적 직관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요청’이라고 봄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도덕 형이상학을 건립하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모종삼의 입장이 그의 지나치게 이상적인 유교해석에서 빚어진 오류임을 지적하였다. 나의 현실적 유교해석에 입각하면, 모종삼이 지성적 직관이라고 주장하는 유가의 도덕적 인식인 사단과 양지의 지식은 모종삼의 주장과는 달리 오류 가능한 것이고, 따라서 칸트의 ‘순수이성의 사실’이나 ‘요청개념으로서의 물자체’와 다를 바 없으며, 사실이 그러함에도 모종삼이 이것을 일종의 인식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오히려 칸트가 우려한 일종의 독단성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모종삼은 유교의 양지와 사단을 독립적이고 추상적 개인의 절대적이고, 무한한 인식으로 간주하는데, 이는 공동체에서의 상호교류를 통한 인식과 그런 인식의 오류성을 인정하는 유교의 구체적 인간관, 구체적 도덕관의 맥락에 비추어 볼 때,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several grounds on which Mou Zongsan claims the superiority of Confucian philosophy over Kant’s philosophy. Mou Zongsan believes that Kant’s moral philosophy fails to establish moral metaphysics because it does not take the concept of noumena as evaluative and does not locate the faculty of intellectual intuition which is supposed to apprend them in human realm. I, in this paper, point out that Mou has gone too much because his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is too much idealistic. The so-called four moral sprouts or innate knowledge under my realistic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the Confucian moral cognition, which Mou equates with intellectual intuition, however, can be wrong and therefore nothing but Kant’s ‘facts of pure reason’ or ‘noumena as postulates’. Mou’s attempt to call the four moral sprouts cognition, therefore, has the danger of being fallen into dogmatism Kant has warned. Moreover, Mou is mistaken in viewing Confucian four moral sprouts or innate knowledge as absolute and infinite cognition by abstractly isolated individuals because Confucian sensibility emphasizes the human cognition through unending mutual communication among members in the social community and thereby its being susceptibility to wrongness.

      • KCI등재

        지성적 직관과 매개된 직접성 - 헤겔의 『정신현상학』 서론을 중심으로 -

        백송이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0

        This paper aims to clarify Hegel’s purpose and his transformation of mediacy in terms of the self-relation of the absolute, especially in contrast to Schelling’s concept of intellectual intuition. According to Schelling, the absolute accordswith itself and by itself, which does not allow any kind of difference in itself. Schelling called this direct accordance “intellectual intuition.” Hence, its immediate self-relationship in which no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exists is also defined as indifference, the state of absence of difference. Because finite thinking has nothing to do with this immediacy of the absolute, which is established only by the absolute itself, it is impossible for the reflection confined to opposition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absolute. Because thinking is only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absolute, it cannot make the absolute its object. Hegel criticized Schelling’s understanding of immediacy, insisting that mediacy or difference is necessary in the course of the appearance of the absolute. He believed and demonstrated that the limitations of reflection can be overcome by reflection itself through his own understanding of mediacy as dialectic. To surpass the limitation of difference or to reach the pure identity, he argued that the limit does not need to be eliminated. Rather, he suggested the integration of the two opposite kinds of relation, i.e., identity (immediacy) and difference (mediacy), from which the restricted but contradictory concept of immediacy comes, thus produces mediated immediacy. The experience of consciousness in the Phänomenologie des Geistes not only shows the process and the internal logic of this concept but also expands the capacity of thinking. 이 글은 매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헤겔의 의도와 고유의 방법을 지성적 직관 개념과의 대비 속에서 제시하고, 헤겔의 정신현상학 서론에서 제시된 ‘경험’ 개념을 통해 매개된 직접성이라는 절대자의 자기 관계의 방식과 그 취지를 고찰한다. 셸링은 절대자의 무매개적인 자기 관계를 주장하면서, 절대자를 사유와 존재가 직접적으로 동일한 무차별자로 규정한다. 여기에는 주객의 대립도 없으며, 유한한 사유가 개입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반성적 사유는 절대자를 그 자체로 고찰할 수 없다. 그러나 헤겔은 이러한 무매개적인 자기 관계를 비판하면서, 오히려 절대자가 자신의 순수한 동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타자 관계, 즉 구별의 매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성적 사유는 주관과 객관의 대립 안에 제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헤겔은 이러한 제한을 다시 반성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는 이 대립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단순히 대립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개라는 타자관계와 직접성이라는 자기동일성을 종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본다. 이는 직접성과 매개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것이다. 경험은 바로 매개된 직접성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변증법적 운동에 대한 논리적인 서술로서, 자기부정을 통해 순수한 직접성을 향해가는 의식의 여정이다.

      • KCI등재

        야코비의 사유구조와 스피노자의 영향

        이근세(Lee, Keun-se)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7 No.-

        본 논문은 야코비의 사유구조에 미친 스피노자의 영향을 규명한다. 독일 철학의 중흥에 스피노자의 철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범신론 논쟁' 혹은 '스피노자 논쟁'의 불씨를 당긴 인물은 야코비였다. 본 논문은 서양 근대사상사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스피노자와 야코비의 철학을 전면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양자의 관계를 조명한다. 야코비의 사유는 스피노자 철학에 대한 그의 입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야코비에게 의식(意識), 자유, 인격신(人格神), 섭리 등은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감정 및 거부할 수 없는 확실성의 대상이다. 그런데 그는 이러한 확실성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의식, 자유, 인격신, 섭리를 환상으로 간주한 스피노자에 의거한다. 야코비는 스피노자 철학에서 지성적 직관을 진리의 빛으로 간주하지만 스피노자가 규정한 직관적 인식의 대상은 거부한다. 스피노자에게 직관적 인식의 대상은 비인격적 신, 자연, 그리고 자연주의적 필연성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스피노자의 철학에 대한 야코비의 이러한 양가적 태도를 해석함으로써 그의 사유구조가 스피노자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을 밝힌다. Cette étude élucide l'influence du spinozisme sur la structure de la pensée de Jacobi. Il est bien connu que le spinozisme a joué un rô̂le important pour l'épanouissement de la philosophie allemande, et c'est Jacobi qui a mis le feu à la Querelle du panthéisme ou celle qui s'appelle Spinozismusstreit. Dans ce travail, nous éclairons le rapport de Jacobi et de Spinoza en effectuant la comparaison de leurs pensées qui ont contribué considérablement au progrès de la philosophie moderne. La pensée de Jacobi est en effet étroitement liée à sa position envers la philosophie de Spinoza. Pour lui, la conscience, la liberté, Dieu personnel, la Providence etc., sont les objets du sentiment immédiat et intuitif et de la certitude irrésistible. Or pour justifier cette certitude, il fait appel à Spinoza qui a considéré comme illusoires la conscience, la liberté, Dieu personnel, la Providence. Et Jacobi tient pour la lumière de la vérité l'intuition intellectuelle préconisée par le spinozisme tout en refusant toutefois l'objet de cette intuition, car l'objet de la connaissance intuitive chez Spinoza est Dieu impersonnel, la Nature et la nécessité naturelle. En interprétant cette position ambivalente de Jacobi envers le spinozisme, nous montrons que la structure de sa pensée demeure sous l'ombre de Spinoza.

      • KCI등재

        피히테의 후기 종교철학 연구

        이정환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50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post-Fichte’s idealistic philosophy of religion, and in Korea the first work to examine Fichte’s theory of the absolute, which laid the basis for the historical theory of German idealism. Starting with Schelling and Hegel’s critical thesis on the issues of cognition derived from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self-consciousness advocated in the early theories,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oral and religious views of the 1800 book “The Vocation of Man” and then to examine mainly the doctrine of God issued from “The Guide to the Blessed Life” a collection of religious lectures from the period of Berlin in 1806, and the later Die Wissenschaftslehre and the lecture of philosophy from 1813 to the last lifetime since 1810. Fichte, greatly influenced by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and moral philosophy, identified the concept of God, the fundamental figure of self and intellect as a source of human morality in his later thought, based on God’s absoluteness and incomprehensibility. Since Kant, who declared that the ultimate foundation of reason in transcendental critical philosophy was object of theology in ideal, the absolute God has been the central subject of their philosophy, from Fichte to the idealism of Schelling and Hegel. In particular, the theory of the late Fichte sets the stage for important development of thought in transcending the limits of subjective idealism based on transcendental self. If atheism and nihilism, two major criticisms of his idealistic philosophy, objectively consider later religious ideas, we can confirm that they were historically wrong prejudices. Kant’s critical philosophy, which claimed that all human perceptions begin with sensual intuition and end up forming concepts and reaching transcendental ideal, unfolded the representation of the absolute knowledge through the intellectual intuition of the absolute in Fichte’s later philosophy and led to philosophical apologetic of the clear distinction from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concept of phenomena. Post-Fichte’s study of religion on this philosophical theory holds an important academic value in Christian theology as well as in the field of German idealism research in the 19th century, and hopes to bring new challenges and creative applications to follow-up research projects in the future. 이번 연구는 후기 피히테의 관념론적 종교철학에 관한 분석으로서, 독일 관념론의 사변적 기초를 마련한 피히테의 절대자 이론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고찰한 작업이다. 연구범위는 초기 학문론에서 주창된 자기의식의 동일성과 주관성으로부터 파생된 인식의 문제들에 대한 셸링과 헤겔의 비판적 논지를 시작으로, 1800년의 저작인『인간의 사명』의 도덕 종교적 관점을 분석하며, 1806년 베를린 시기의 종교 강연집인『복된 삶으로의 지침』, 그리고 1810년 이후부터 마지막 생애 시기인 1813년까지의 후기 학문론과 철학 강의에서 주제화된 신론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칸트의 이성비판과 도덕철학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피히테는 신의 절대성과 파악불가능성에 기초하여 자아와 지의 근원적 형상인 하나님 개념을 후기 사상에서 인류의 도덕성 실현의 원천으로 파악했다. 선험론적인 비판철학에서 이성의 궁극적 토대는 이념적으로 신학의 대상이라고 천명한 칸트 이래로 절대자인 하나님은 피히테를 비롯하여 셸링과 헤겔의 관념론에 이르기까지 그들 철학의 중심 주제였다. 특히 후기 피히테의 신론은 초월적 자아에 기초한 주관적 관념론의 한계를 넘어서는 데 있어서 중요한 사상적 발전의 계기를 마련한다. 그의 관념론적 철학에 대한 양대 비판이라 말할 수 있는 무신론과 허무주의는 후기 종교사상을 객관적으로고찰하게 된다면, 역사적으로 잘못된 편견이었음을 우리가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의모든 인식은 감각적인 직관으로부터 시작하여 개념을 구성하고 초월적 이념에 이르러 끝난다고 주장한 칸트의 비판철학은 피히테의 후기 철학에서 절대자의 지성적 직관을 통한 절대지(absolutes Wissen)의 현시로 전개되었고 하나님의 존재와현상개념의 명확한 구별을 철학적으로 변증하게 되었다. 이러한 철학적 신론에 관한 후기 피히테의 종교론 연구는 19세기 독일 관념론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기독교신학에서도 중요한 학술 연구의 가치를 갖고 있으며, 앞으로 후속 연구과제의 새로운 도전과 창의적인 응용성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희망한다.

      • KCI등재

        둔스 스코투스의 직관적 인식 개념

        김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 Vol.87 No.-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meaning of Duns Scotus’s concept of intuitive cognition. According to Scotus, intuitive cognition is given when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are met. First, the object must exist. Second, the object must be presented directly without proxy. The cognition that does not satisfy either of the two conditions is called abstract. Until the time of Scotus, the general view was that abstraction, at least in this life, was not only the principal but also the only mode of the intellect’s act. However, Scotus asserts that the contrast between the abstraction and the intuition cuts across not only the senses but also the intellect’s cognition. Scotus’s theory on intellectual intuition sheds new light on the problem of cognition of the individuals in medieval philosophy.

      • KCI등재
      • KCI등재

        셸링의 절대자 개념과 ‘철학함’의 문제

        황준필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3

        Der Beitrag fokussiert anhand des Begriffs des Absoluten den Wandel der Schellingschen Philosophie in der Zeit zwischen 1804 und 1809, wie er sich exemplarisch im Vergleich der beiden Texte „Philosophie und Religion“ einerseits und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über das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andererseits darstellt. Es wird für die These argumentiert, dass der Wandel durch ein theorieimmanentes Problem seiner Identitätsphilosophie bedingt ist, welches Schelling durch eine Neukonzeption des Absoluten in der Freiheitsschrift zu lösen versucht. Dabei wird der systematische Zusammenhang der Freiheit des Endlichen und des Problems des Bösen mit dem Begriff des Absoluten herausgearbeitet. Ferner wird Schellings Verständnis des Philosophierens im Rahmen seiner Konzeption der Philosophie als der „Lehre vom Absoluten“ erläutert. 이 글은 일차적으로 셸링의 철학적 전환점이 포함되는 1804년과 1809년 사이의 두 저작에 나타나는 절대자 개념을 다룬다. 즉 앞선 『철학과 종교』와 이후의 『인간 자유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에 나타나는 절대자 개념을 비교하여, 그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셸링 철학의 내재적인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전작에서 표방하는 절대적 동일성으로서의 절대자 개념이 어떤 내재적인 모순에 부딪혔으며, 셸링은 이를 탈동일성 철학적 관점에서 쓰인 이후 저작에서 어떻게 해결하려 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셸링철학에서 절대자 개념과 연관되는 유한자의 자유와 악의 문제, 더 나아가 "절대자에 관한 학설"로서 그의 철학이 지향하는 '철학함'의 의미가 드러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