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이 부착한 ‘부랑인’ 기표와 그 효과: 형제복지원 기억의 재현과 과거청산 논의의 예에서

        이소영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2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the signifié of vagrant that legal mechanism has attached, and its effect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memory. While focusing on the case of human rights abuse at Hyungjae Welfare House(Hyungjae Bokjiwon) that had been revealed to the public in 1987 and referred to as Korean Auschwitz or Korean Holocaust, the article tries to rai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how did legal mechanism of the Instruction(Anweisung)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No.410(enacted in 1975) constitute dominant representation of vagrant during 70s and 80s, and in what forms has such dominant representation been stamped and carved into the voice of victims today as well as into the cultural remembrance of Hyungjae Welfare House?The research starts by problematizing the tendency revealed in majority of media coverage in 1987, that they had focused not on the ills of involuntary confinement itself but solely on the fact that many ‘healthy and sound’ citizens were also confined there by being falsely taken as vagrants. Through examining various cultural representations―media coverage including news reports, editorials and correspondence columns, investigation report by the opposition party, and the sentencing by Supreme Court―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what would have been the signifiant of the signifié vagrant at the time, that was placed at the antipodes to the signifiant such as ‘heathy and sound citizen’, ‘normal person’, ‘man in the straight lane’ etc. Moreover it illustrates how the dominant representation of Instruction(Anweisung)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No.410 affected in drawing a binary code between normal/ abnormal and in segregating each performers into non/vagrant subject. Besides,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 that such signifié of vagrant has on the representation of victims' remembrance today, after 26 years have passed from then. In other words the article analyses how, in the Hyungjae Welfare House memory which returned to the public discourse as an object of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by means of law’, the (effect of) vagrant signifié is carved into the victims' voice and makes un/conscious repetition of non/vagrant identity in their narratives, such as “I was not a vagrant, but a student,” “I was just an ordinary citizen” or “I was a diligent member of this society.” 본고는 ‘한국의 아우슈비츠’ ‘한국의 홀로코스트’로 회자되는 형제복지원 사건을 예로 하여 법이 부착한 ‘부랑인’ 기표와 그 효과에 관하여 다룬다. 내무부훈령 제410호(1975년 제정)의 법적 규제가 어떻게 부랑인에 대한 지배적 재현을 구성하였으며, 그 지배적 재현이 어떻게 다시금 피해자의 목소리와 사회적 기억에 각인되는가가 본고에서 제기하는 고유한 연구질문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시설감금과 폭력, 노동착취와 국가보조금 착복이 문제시되었던 1987년 형제복지원 사건에 관한 당시 언론보도의 초점이 ‘부랑인 아닌 이들도 억울하게 수용’에 일관되게 맞추어져 있었다는 데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여기서 민간인, 정상인, 멀쩡한 사람 등으로 호명된 이들과 반대짝에 놓인 부랑인은 무엇을 표상하였는가? 또 부랑인 시설수용을 규정한 내무부훈령 제410호는 어떻게 정상인/비정상인을 가르고, 주체를 비/부랑인으로 각각 분리하는 효과를 가져왔는가? 본고에서는 먼저 형제복지원이 사건화된 1987년의 언론보도, 사설·논평·독자투고, 사건조사 보고서, 대법원 판결문 안에서 ‘부랑인’이라는 기표가 무엇을 표상하였으며, ‘자활을 통해 노동시장으로 편입되어야 할 대상인 동시에 공적 공간에서 배제되어야 할 대상’으로 부랑인을 주체화하는 매커니즘이 형제복지원 사건 이전과 이후를 관통하며 어떻게 부랑인이라는 기표에 각인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26여 년이 지난 현재, 법이 부착하였던 그 ‘부랑인’ 기표가 피해자 기억의 재현에 있어 무엇을 말하지 않게 혹은 못하게 하는지 다루고자 하였다. 즉 형제복지원 기억이 과거청산의 대상으로 다시금 소환된 오늘날, 그러한 부랑인 기표(의 효과)가 피해자의 현재 목소리에 각인되어 “부랑인이 아닙니다” “일반시민이었다” “성실한 이 사회구성원이었습니다”의 반복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읽어내려는 것이다. 이로써 비부랑인 수용자를 ‘부랑인으로 몰린 억울한’ 피해자로, 부랑인 수용자를 ‘적절한 교화와 보살핌을 받지 못한 애처로운’ 피해자로 각각 새겨넣음(mark)으로써, 부랑인을 벌거벗은 생명으로 기입하는 ‘권력의 폭력적 본성’ 대신 비부랑인까지 부랑인 범주에 밀어넣은 ‘권력의 현현으로서의 폭력’에만 방점이 찍히게 만드는 담론 효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2000년 전후 시기 분단희곡에 나타난 지배적 재현 패러다임 고찰

        최상민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9

        본 연구는 2000년을 전후한 시기의 분단희곡들에 나타나는 재현전략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현전략의 변화는 지배적 재현 패러다임의 변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전 시기의 그것과 달리 새로운 주제의식, 새로운 재현 컨셉의 등장이 이뤄지고 새로운 양식적 특징들이 분단희곡의 지배적인 힘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변화의 원인은 두 가지이다. 외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세대의 등장, 남북관계의 변화이다. 내적 차원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문학장 내부의 변화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주제의식 면에서 재현전략의 변화는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태도를 보여주고자 하는 경향성이다. 이런 경향성은 분단의 극복이 어떤 모습으로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작가적 비전을 보여주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는 새로운 세대의 현실인식이 바뀌었음을 반영한다. 둘째, 연극적 양식에서 포스트모더즘의 양식적 특징들의 수용을 통해 다양한 양식적 특징들이 드러난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강한 희극성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이 희극성은 단순한 배설(katharsis)로서의 웃음이 아니다. 그보다 독자/관객을 깨우침(defamiliarization)으로 이끄는 데 더 초점화되어 있다. 이는 분단희곡의 작가/작품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식적 특징을 차용하되 이전 시기 사실주의나 모더니즘적 양식이 지닌 ‘비판’적인 기능을 놓지 않으려 한 흔적이다.

      • KCI등재

        『젊은 예술가의 초상』과 신부의 재현

        박진훈 ( Jin Hoon Park )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04 제임스조이스저널 Vol.10 No.1

        In Joyce`s age, Irish priests were regarded as the dominant subjects of society. The priests participated in the political actions and many social activities. They also were concerned with the secular affairs such as the fox hunting, materialism. In addition they had the haughtiness as the imperialist who thought of themselves as the ideal stereotype. So the Irish priests treated the young students as the inferior beings or the Others. To criticize these states quo, Joyce described the priests as the men who represented the imperial figures in Portrait. In Portrait there are many priests(Fathers) who represent the imperial articulations and behaviors in Clongowes and in Belvedere College. Especially Father Arnall, Father Dolan, and rector showed the students their haughty and violent articulations / behaviors as the imperialists as follows. At first, Father Arnall had the four imperial aspects in his articulations and behaviors. He represented the slippages of articulation in `the sermon of the hell` and `the quotation of bible`(116-46). Also he infused the Britain / imperial historical view into the students(8). And he ignored the students` identity(50), forcing the prefects and officers to set good examples to their fellow students(118). Secondly, Father Dolan who hit the Stephen unfairly and cruelly had the four imperial aspects, too. He presented the lack of affection for the colonized students. And he didn`t admit the colonized individual reality. Futhermore he held scorn in the school`s law and broke the law with his haughtiness. He always enjoyed the linguistic violence to the students, too. Finally, the rector of the college represented the imperial images. He had the disgusting images such as waning figure, the shrewd northern face, and the craft of jesuits. Futhermore in spite of misunderstanding Stephen`s false piety, he inducted Stephen to be a priest. Eventually he was absurd enough not to recognize the Other`s identity correctly. It represented the imperial partiality of judgment. In conclusion the Irish priests represented the typical figures of imperialism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ir articulations and behaviors, however, had the contradiction in themselves, for they were only agents and mimics of colonialist authority. Therefore the irony of the imperial representation of these priests was that on the contrary they were reducing the imperial authority because of the partiality on their representation.

      • KCI등재

        윤조병 희곡 <이끼 낀 고향에 돌아오다> 고찰

        최상민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analyze the meaning of “the method of dealing with the ideological other” through Yoon Jo-byeong’s play <Return to the Mossy Hometown>. The reason he focuses on this work is to portray a perspectiv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perception or attitude of division that contemporary writers demonstrated. For the effective achievement of the research objectives, it was first compared with the “dominant representation paradigm” that appeared in divided plays that were released simultaneously. Subsequently, I focus on the “dramatic situation” setting and the “character composition” of the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dramatic situation is that the ideological other is represented through the setting of “Catholic anti-communism” vs. “communism.” This can be attributed to his very detailed and extensive observation while highlight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war period. This is a point that unveils his personality as a realist playwright. The characteristic revealed in “character setting” is the appearance of “balancers” that transcend the extremes within the ideological terrain. He attempts to escape ideological rigidity by not dealing with the ideological other at the extremes. This is in contrast to the anti-communism drama of the same period. His attitude not to lose his “balance” would have provided a cognitive motive to the dramas of the 1990s, which focused on the issue of division. Concurrently, this i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is “method of dealing with the ideological other.” 이 연구는 윤조병의 희곡 <이끼 낀 고향에 돌아오다>을 통해 작가의 ‘이념적 타자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논구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을 주목하는 이유는 그가 동시대 작가들이 보여주었던 분단인식, 혹은 태도와 구별되는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연구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우선 같은 시기 발표되었던 반공극들에 나타나는 ‘지배적 재현방식’과 비교하였다. 이어 작품의 ‘극적 상황’ 설정과 ‘인물 구도’에 주목하였다. ‘극적 상황’의 특징은 ‘천주교 반공주의’ 대 ‘공산주의’라는 설정을 통해 이념적 타자를 재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작가가 한국전쟁 시기 역사적 사실에주목하면서 매우 치밀하고 폭넓은 관찰을 행했음을 의미한다. 작가의 사실주의 극작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지점이다. ‘인물 설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이념 지형 내에서 양극단을 넘어서는 ‘균형자’들을 등장시킨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념적 타자를 양극단에서 다루지 않게 함으로써이념적 경직성을 벗어나려는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동시기 반공극과 대비되는부분이다. 나아가 이런 그의 ‘균형감’을 잃지 않으려는 태도는 이후 분단 문제에 주목한 90년대 극작품들에 인식적 모티브를 제공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이는 작가의 ‘이념적 타자를 다루는 방식’이 지닌 의의와 가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