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의 학교교육 현황: 교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김지수 ( Jis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4

        여행지리 수업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여행지리 수업 운영과정,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중점을 둔 과목의 정체성과 차별화 전략, 제약요인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여행지리 수업에 타 지리과목에서보다 다양한 수업방식을 더 많이 병용하고 있으며, 이때 영상자료, 교사용 지도서, 여행/지리 서적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에 있어서는 지필평가보다 수행평가의 비중을 늘리는 추세로, 특히 여행 계획서 작성과 진로여행 계획서 작성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형 수행평가를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수업개설 전후 모두 학생들이 여행지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는 절반을 조금 넘는 가운데, 본격적인 수업시작 이후 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 경우도 이에 버금가는 비중을 보였다. 절반에 가까운 교사들이 지리과목으로서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수업을 운영했으며, 주로 교과내용의 깊이를 얕게 설정하거나 다양한 학생활동 중심으로 시각자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전략을 통해 여행지리 수업을 타 지리과목과 차별화하였다. 여행지리 수업의 제약요인으로는 평가체계로 인한 어려움 및 문항 개발의 부담, 부족한 교수·학습자료, 과목의 목적·방향성과 학생의 기대 간 괴리, 수업난이도 조절의 어려움 등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ravel Geography, students’ reactions to the subject,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at teachers have focused, and constraints of the subject in 50 high schools. Teachers have used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than other geography classes, and actively utilized video materials, teacher guides, and travel/geography-related books. In the evaluation,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creasing than that of paper-based assessment. In particular, project-type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the theme of travel planning and career travel planning were most frequently conducted. A littl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ravel geography both before and after class opening, whi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lowered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after the class began was comparable. Nearly half of the teachers operated travel geography classes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s geography subject, and differentiated the classes from other geography classes by using strategies such as setting the curriculum depth shallow or actively using visual materials with various student activities. Constraining factors of the travel geography class were the difficulties due to the evaluation system, the burden of item development, insu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gap betwee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subject and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he class difficulty.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김해시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손민석,이진희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진로선택과목인 여행 지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여행지리 선택의 주된 이유로 ‘여행’이라는 소재에 매력을 느꼈다고 답했으며, 학습 분량과 내용 수준은 적절했다고 밝혔다. 여행지리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단원으로 여행의 목적과 방법, 기후 및 지형과 관련된 단원을 주로 선택했으며, 가장 어려웠던 단원으로도 기후 및 지형과 관련된 단원을 선택했다. 여행지리만의 차별성으로는 여행에 필요한 실제적인 정보의 제공으로 인한 유용성,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학습 내용으로 인한 학습의 수월성 등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공간정보기술과 야외조사활동의 도입과 활용,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거나 쓸모있는 학습 내용의 추가, 여행과 관련된 실제적인 활동의 도입, 여행과 관련된 진로탐색의 기회 보장, 시각 자료 활용의 확대 및 강화 등을 제안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여행지리와 관련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여행’의 의미에 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를 해소해야 할 필요성, 둘째, 여행지리 교수・학습 자료의 다양화 필요성, 셋째, 여행지리 학습의 풍부화를 위한 GIS의 도입 및 활성화의 필요성, 넷째, 지리와 관련된 진로 탐색 기회 확대의 필요성이다. This study examine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ravel geography, a high school career elective subject.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were attracted to the subject of ‘travel’ as main reason for choosing the travel geography, and the amount of study and the content level are appropriate. Units related to the purposes and methods of travel, climatology, and geomorphology were selected as the units that bes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vel geography. The units related to climatology and geomorphology were selected as the most difficult units. Students believe that the subject is useful and easy to learn. Students suggest several ways to improve the travel geography including utilization of geospatial technologies and fieldwork, practical activities related to travel, and more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Implications related to travel geography were derived. First, the need to resolv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meaning of ‘travel’. Second, develop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subject. Third, necessity of introducing GIS and its application to enrich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travel geography class. Fourth, more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related to geography.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강창숙(Kang, Chang-S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이다. 여행지리는 지리교과의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과목의 목표와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등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여행이라는 주제와 형식으로 교실 수업에서 지리교과의 유용성, 흥미, 공감능력 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양국의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을 토대로 여행지리와 관광지리 과목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비교, 분석 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우리나라 여행지리 교과서의 편찬과 성공적인 교실 수업 실행에 구체적인 시사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newly developed curriculum of Travel Geography as the career 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Tourism Geography in China. Travel Geography Curriculum comprises subject objectives,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reflect the core concept of geography. It utilizes travel as the topic and frame to raise the availability, interest and empathy in the geography classroom. The main research contents ar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subject character,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of the national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extbook compilation of the Travel Geography and its Practice classroom teaching-learning.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이경한(Yi, Kyeong Ha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으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을 분석하였다. 두 과목은 세계시민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다양성의 이해를 주요 학습 내용으로 담고 있다.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은 내용면에서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가지고서 세계시민교육의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반면 세계지리 과목은 지역 분쟁, 사막화에 따른 지역 문제, 지역 분리 운동, 자원의 정의로운 분배 등의 비판적 관점도 담고 있다. 세계시민교육의 비판적 관점은 세계지리에서 분쟁, 지역문제, 분리, 분배를 구조적 측면에서의 비판적인 이해를 강조하면서, 이의 해결방안으로 정의의 실현을 제시하고 있다. 여행지리에서는 여행의 불공정과 부정의도 살펴보도록 유도하고 여행자의 책무성, 공정과 대안을 강조하지만 여행의 특성상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과목의 다양성 이해는 학교 수업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지리과목은 타자의 입장에서 다양성을 관조하게 만들고 지나치게 객관화함으로써 다양한 경관, 문화, 환경, 지역문제, 여행 등에 대한 심적이고 구조적, 비판적 이해를 소홀히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지리과목이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어서 비판적 관점도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 지리교사는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을 균형 있게 가진 역량 있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교사는 비판적으로 지리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하고 지리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세계 다양성의 이해와 세계 쟁점에의 비판적 참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변혁적 학습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sed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through neo-liberal and critical viewpoi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hey have many contents about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which deals in GCED importantly. Two geography curriculums provide many contents of GCED with neo-liberal viewpoint. World geography includes critical viewpoint based on regional conflicts, desertification problems, regional separation movements, righteous distribution of resources etc. The critical viewpoint of GCED in world geography emphasizes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disputes, regional issues, distribution etc. with structural aspect, and guides the realization of justice with problems solutions of these. Travel geography guides students’ identification about unfairness and injustice of travel, and emphasizes travelers’ responsibility, fairness and alternatives. But this travel geography is in circle of neo-liberalism viewpoint mainly.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in two geographies provides important contents for GCED in schools. Geography make a understanding of diversity with other’s perspectives objectively, but it can neglect the critical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about diverse landscape, culture, environment, issues, and travel etc. So geography is necessary to deal critical viewpoint also, because geography has mainly neo-liberal viewpoint. Geography teachers should have the harmony of neo-liberal viewpoint and critical viewpoint to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 Geography teachers should critically re-conceptualize geography curriculum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extbook. And students is necessary to aim transformative learning to understand global diversity and critically participate with global issues in everyday life.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 실천과 학습자 인식 특성

        강창숙,이영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that examines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and learners’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subj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curriculum was planned with the goal of “classes that are helpful for students’ careers.” The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for thi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classes that help record student records, classes where geography can be used in daily life, classes that can form a positive sense of place, and classes aimed at travelers and activists with global citizenship.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travel geography classes appeared in five categori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o be an interesting class, a class to experience travel, a subject to learn practical travel knowledge, a subject to learn geography through travel, and a useful subject for careers. The four concepts of interest, travel, practicality, and geography showe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s key categories of an “interesting class,” but the frequency of career-related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silent and non-responsive”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also high. This disproves that many students did not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in travel geography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focused on “geography” the identity of the travel geography subject, but the learner focused on “trave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 특성을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 교육과정의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목표로 생활기록부 기록에 도움이되는 수업, 지리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긍정적인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는 수업, 세계시민의식을 가진 여행자와 활동가를지향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여행지리 수업에 대한 인식은 재미있는 수업, 여행을 체험하는 수업, 실용적인여행 지식을 학습하는 과목, 지리를 여행으로 학습하는 과목, 진로에 유용한 과목의 5개 범주로 나타났다. 재미, 여행, 실용성, 지리의4개 개념은 ‘재미있는 수업’을 핵심 범주로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진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밖에 설문지 응답에‘침묵하고 무응답’하는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당수 학생이 여행지리 수업 활동에서 유의미한 학습을 경험하지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교사는 여행지리 과목의 정체성을 ‘지리’에 두었지만, 학습자는 ‘여행’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 진로선택과목 「여행지리」의 개발과 관련 논의

        심승희 ( Seung Hee Shim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교 진로선택과목 중 지리과에서 개발한 「여행지리」의 개발 과정과 그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논의사항을 고찰하였다. 여행지리는 지리과의 핵심 개념을 반영할 수 있도록 내용 요소와 과목 목표, 성취기준을 진술하되, 여행이라는 주제와 틀로 유용성과 흥미,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진로선택과목중 하나로 신설된 만큼 미래사회의 변화와 진로탐색에 통찰력과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접근하였다. 여행지리의 개발 과정에서 제기된 주요 논의사항으로는 여행의 의미와 공간적 범위 설정, 한국지리 및 세계지리 등 타 지리과목과의 관계 설정 및 차별성, 성취기준의 내용 및 서술 방식, 진로선택과목으로서의 정체성 등이었다. 교육과정 개발의 특성상, 개발 과정에서 도출된 이 같은 주요 문제에 대해서는 잠정적이고 절충적이나마 선택과 결단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행지리 과목의 성공적인 정착과 지속적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이와 관련된 논의와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issu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Travel Geography`` as the career 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ravel Geography Curriculum comprises the contents elements, subject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reflect the core concept of Geography. It utilizes travel as the topic and frame to raise the availability, interest and empathy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geography concept. And Travel Geography newly established as one of the career elective subjects, is designed to provide insight and imagination in change and career exploration of the future society. The discussions and issues associated with Travel Geography Curriculum are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travel, the differentiation from Korea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the narrative form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identity as the career elective subject, etc..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mote successful and sustanable development of Travel Geography through the serious reviews of these discussions.

      •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융합선택과목 『여행지리』 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주요 내용

        전보애 ( Bo Ae Chun ),범영우 ( Yeongwoo Beo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 대한 맥락적인 이해를 돕고,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및 주안점, 주요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 방향은 첫째, 융합선택 과목의 특징에 맞게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성격 및 내용과의 연속성을 일부 유지하되, 영역과 성취기준을 고교학점제의 취지에 맞게 재구조화하고 학습량을 적정화하였다. 셋째, 총론에서 강조하는 범교과 학습주제 및 국가·사회적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은 (1) 학습자를 직접 혹은 간접 여행자로 상정, (2) ‘여행의 준비-여행의 과정-여행에 대한 성찰-일상으로 돌아와 다음 여행을 준비’하는 흐름으로 전개, (3) ‘자신만의 여행 포트폴리오 만들기’ 와 같은 학생 활동중심 수업을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및 평가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실제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 (4) 미래의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유도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행지리」 과목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여행의 양적, 질적 확장과 심화에 따른 학생의 관심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며, 학교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and to summarize the direction, focus, and main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e main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first, to desig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elective subject. Second, while maintaining some continuity with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2015 revise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the subject ar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restructured to fit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volume and level of learning was reconsidered. Third, the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to reflect the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emphasized in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nd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The key features of the curriculum include (1) assuming learners as direct or indirect travelers, (2) developing the flow of “preparing for a travel, traveling, reflecting on the travel, returning to daily life, and preparing for the next travel,” (3)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uthentic learning by actively engaging students on hands-on-activities such as “creating your own travel portfolio”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4) induc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digital environment. Finally, we discussed several issues to ensure that ‘Travel Geography’ is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reflecting students’ interests and social needs as travel expands and deepens in quantity and quality in the post-COVID-19 era.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 분석

        박진영,이보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er-order knowledg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ravel geograph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hich are cognitive domain,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highest and ‘procedural knowledge’ is the lowest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Seco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o analyze’, ‘remember’, and ‘understand’ appear high, but ‘to evaluate’, ‘create’, and ‘apply’ appear low. Third, the way of combin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combined in various ways, but the distribution style i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in either side. Educational consensus on achievement-based vocabulary and clear standards for educational verbs are require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여행지리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인지적 영역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의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 ‘메타인지지식’이 가장 높고, ‘절차적 지식’이 가장 낮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다’, ‘기억하다’, ‘이해하다’는 높게 나타나지만,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는 낮게 나타난다. 셋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분포양식은 하부 지식 차원이나 하부 인지과정 차원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성취기준 어휘의 교육적 합의와 교육적동사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금강산’에서 전승되는 아름다움의 장소신화

        신성희(Shin, Sung H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사회과학계에서 ‘산(山)’은 환경 및 생태와 주로 연관되어 사회와 문화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인 ‘자연’의 일부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진 한반도에서 산은 자연과 사회집단이 교류하면서 형성하 는 ‘사회적 자연’이며 이러한 산지들로의 여행은 한국인들에게 있어 자연의 사회화 및 문화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 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여러 명산들 가운데 왜 금강산은 유독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전승되어 왔으며 수많은 예술창작의 원천이 되어 왔는가? 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 금강산의 여행 지리를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인의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그리고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서 금강산이 지닌 장소신화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 다. 조선시대의 금강산 여정은 당시의 교통 여건에서 한계에 달하는 체력소모와 장기간의 불편 및 위험에의 끊임없는 노출을 감수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도착하여 극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금강산의 경관은 더욱 더 아름답고 신비롭게 기 억되었다. 금강산 여행을 필생의 소망으로 여기고 성취하려던 이유는, 선대 여행자들의 기록과 예술작품을 통해 금강 산은 당시 최고의 ‘여행 로망지’로 알려졌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토록 아름답다고 알려진 금강산을 직접 경험하는 것 이 순수한 동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망의 실천은 개인의 미적 향유와 즐거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연감상을 도 덕적 책무 및 학문적 이상을 실천하는 일과 동일시하는 유교적 자연관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한편, 금강산 여행 자들은 각종 기행문학과 회화 등 예술작품으로 금강산 여행을 재현하여 기억하였는데, 이 또한 개인적 차원의 문화예 술 행위를 넘어서서 가보지 못한 사람들과 후대인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즉 여행 경험의 적극적인 사회적 기록이 자 문화정치적 재현의 과정이었다. 이는 금강산 여정의 종료가 결코 여행의 끝이 아니었음을 의미하며, 여행의 기억과 재현을 통해 상상의 지리로 새롭게 재생산되어,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이 인정하는 금강산이 한반도에서 가장 아름다 운 산이라는 독보적인 장소신화를 형성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Conventional social science typically regards the idea of a ‘mountain’ as part of ‘nature’ and a physical environment existing separately from, or prior to, human society and culture. However, in Korea, which is 70% mountainous land, the ‘mountain’ is part of a unique ‘social nature’. This research develops the idea that in this context the mountain is a social nature and a cultural landscape which are tied heavily to the idea of travel. The article interrogates why the scenic beauties of Mt. Kumgang have been perceived and conveyed through multiple generations since the Chosun Dynasty period. Focusing on Mt. Kumgang, this article illustrates how strongly people have held dreams of mountain travel, for the whole life-time. Travel writings(or accounts of trips to the mountain) and artwork have playe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creating Mt. Kumgang’s reputation as the most beautiful mountain in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the access to the mountain was often a dangerous adventure, with many travelers facing hunger and extreme physical challenges. As portrayed in writings and artwork, the overall effect of these dynamics was the creation of a socionatural place of striking beauty that even seemed to have mystical or magical fantasy.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full appreciation of nature and its beauty was key to understanding the logics of the universe and to achieving a high moral standard, which contributed to decide to leave for the mountain as well. The essays, poems, and paintings of Mt. Kumgang since the Chosun Dynasty period that portrayed the mountain’s beauty collectively served to produce the mountain as a socionatural landscape engendered with potent place-myths,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and strong aesthetic associations. Thus, the travel to the mountain seemed never completed over until travelers had completed various artistic representations to record and to memorize what they’d done and seen in Mt. Kumgang, which had been performed for the strong purpose of social sharing of the real the mountain’s beauties and itine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