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연의 발전주의적 동원 - 지리산국립공원 생산 과정에 대한 역사지리적 연구 -

        김지영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첫 번째 국립공원인 지리산국립공원의 지정과정에서 나타난 ‘국가-자연’ 생산의 공간전략, 즉 국가가 자연을 근대적 언어로 재정립하고 국토 개발 담론을 통해 포섭해나간 과정을 밝힌다. 이를 위해 지리산은 자연을 국가자원으로 포섭하기 위한 박정희 정권의 통치술이 펼쳐진 공간이었음에 주목한다. ‘조국 근대화’와 경제발전을 국가적 목표로 내세운 박정희 정권에게 전쟁과 도벌 및 남획, 화전 등에 의해 벌거벗은 ‘붉은산’은 전문가에 의해 계획되어 ‘푸른산’ 으로 계몽되어야 할 ‘문명화’의 대상이었다. 지속적인 산림 도벌로 인해 합리적 ‘통치’와 ‘개발’의 대상이 된 지리산은 1963년 「지리산지역개발에관한종합보고서」의 발간에서 1967년 국립공원 지정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국가의 자원으로 틀지워졌다. 이 개발계획 안에서 김헌규와 같은 전문가는 지역민, 국가, 그리고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와 같은 국제적 네트워크를 연결하면서 국립공원 제도가 토지의 차등적 이용을 통해 자연을 보호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논리를 제시했다. 한편 박정희 정권기 들어 국립공원은 IUCN의 생태외교를 통한 외화 획득의 기회이자 반공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할 근대국가의 발전 표상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국립공원의 지정이 자연 보호를 위한 제도임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IUCN의 생태외교의 방향과는 다르게 국립공원 관할 부서 및 후보지를 문교부의 설악산, 한라산, 홍도가 아닌 건설부 산하의 지리산로 결정했고 나아가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일부로서 국립공원 제도를 검토하기도 했다. By examining the process of designating Mt. Jirisan as South Korea's first national park, this study reveals the spatial strategy of producing “state-nature” through which the state redefined nature in modern language and incorporated it into the discourse of nat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Mt. Jirisan as a space where the Park Chung-hee regime's governance strategies to subjugate nature as a national resource unfolded. For the Park regime, whose legitimacy was based on the goals of national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red mountain,” devastated by wars, illegal logging, and slash-and-burn agriculture, was an object of “civilizing process” to be transformed into the "green mountain" through rational planning by experts. Subjected to state governance and development due to continuous deforestation, Mt. Jirisan was framed as a national resource in a series of South Korean development plans, from the publication of the “Report on the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Chiri-Mountain Area” in 1963 to its designation as a national park in 1967. Within these development plans, experts such as Kim Heon-gyu linked local people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tor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establishing the logic that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was an alternative for nature conservation through differential land use.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national alternative for nature conservation through differential land use.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national parks were an opportunity to attract international funding through the IUCN's environmental diplomacy and a symbol of the modern state that could support anti-communist ideology. Th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stensibly claimed that the designation of national parks was for the “protection” of nature. However, contrary to the direction of IUCN's environmental diplomac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rather tha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was determined to be in charge of national parks, and Mt. Jirisan was selected over other sites such as Mt. Seoraksan, Mt. Hallasan, and Hongdo Island. Mt. Jirisan was also discussed as part of the First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 KCI등재후보

        지리산국립공원 및 인근지역에서의 야생동물 구조 원인 분석

        경의범(Eui-Beom Kyeong),양정진(Jeong-Jin Yang),유지상(Ji-Sang Yu),임승효(Seung Hyo Lim),김민(Min-Kim),허욱(Uk-Heo),정유진(Yu-jin Jeong),이다인(Da-in Lee),정동혁(Dong-hyu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지리산국립공원은 국립공원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지니고, 가장 많은 수의 생물종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300만 명의 탐방객의 방문과 국립공원의 개발 압력은 야생동물의 생존에 큰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국립공원 및 인근 행정구역에서 2014년 부터 2020년까지 7년간의 야생동물 구조 원인 및 구조 현황을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찾아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사람과 관련된 원인으로 인한 구조가 52.4%를 차지하는 만큼 국립공원공단과 지자체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Jirisan National Park is the most wide and have the most species of wildlife of Korea national parks. However, annual 3 million visitors and developments in national park are risk factors to survival of wildlifes.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and frequency of wildlife rescue for 7 years from 2014 to 2020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nearby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seeks to find the dangers of wild animals and help prevent accidents. As the rescues due to human-related causes accounts for 52.4%, it is nessasary that more efforts by the National Park Service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 및 야생동물의 종류(곰과 고라니)에 따른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 비교

        김상미,최솔아,김상오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식 및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의 종류 및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지역은 지리산국립공원이며 2014년 5-6월 중, 성삼재 휴게소와 노고단 대피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된 502명과 전남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된 173명의 표본으로부터 모의조작 사진(곰과 고라니)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으로 국립공원 내 서식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에 따른 장소 속성에 대한 지각(혼잡성, 자연성, 안전성) 및 휴양경험의 종류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반달곰의 존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지리산국립공원이 '야생' 또는 ‘자연경험’에 더 가까운 휴양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장소속성에 대한 지각과 응답자가 느끼는 휴양경험의 종류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 또는 고라니 노출 그룹이 컨트롤 그룹에 비해 ‘야생’에 더 가까운 휴양경험을 느꼈다.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의 존재는 응답자의 휴양경험의 질에 긍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응답자가 느끼는 휴양경험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국립공원 야생동물의 관리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ildlife or wildlife species on national park visitors' perception of place attributes and recreational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502 users of Seongsamjae Rest area and Nogodan Shelter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173 college students during May-June 2014 using survey questionnaire. Some simulated photographs of water deer and Asiatic black bears were used for the college student survey. Overall, awareness about wildlife inhabiting in Jirisan National Park (AW) was not related with one’s perception of place attributes (PPA) (i.e., crowdedness, naturalness, safety) and types of visitors' recreational experiences. Respondents with higher awareness about the presence of Asiatic black bear (AABB), however, tended to perceive Jirisan National Park as a place that provides 'wild' or 'natural' recreational opportunitie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AABB. Differences in PPA (i.e., crowdedness, naturalness, safety) and types of recreational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influenced by wildlife species. Respondents exposed to bear or water deer tended to perceive their recreational experiences as more 'wild'. Existence of wildlife in Jirisan National Par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visitors' recreational experiences. Different wildlife species showed different levels of effectiveness to quality enhancement of recreational experienc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rom a managerial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분변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반달가슴곰의 먹이원 분석을 위한 사전 연구

        한상현(Sang-Hyun Han),김태욱(Tae-wook Kim),김정진(Jeong-jin Kim),김낙원(Rak-Won Kim),김종백(Jong-baek Kim),김만우(Man-woo Kim),최주열(Ju-yeol Choi),박석호(Seok-ho Park),정동혁(Dong-hyuk Jeong),이사현(Sa-Hyun Lee),장정재(Jeong-Jae Jan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지리산국립공원과 인근 지역의 야생에서 활동 중인 반달가슴곰의 먹이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분변 DNA를 메타-바코딩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동물 먹이원 분석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서열, 식물 DNA 분석은 엽록체 DNA의 tRNA e-f 영역과 핵 DNA의 ITS 영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검출된 동물성 먹이원은 무척동물 5개 OTU와 무당개구리, 노루, 고라니, 너구리, 오소리 등 5개의 척추동물 등 총 10개 OTU가 검출되었다. 식물성 먹이원은 212종의 OTU들이 검출되었다. 연도별로 검출된 최상위 10 OTU들은 분변이 수집된 시기에 따라 서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봄철 분변 DNA에서는 초본류, 양치식물들이 많았고, 가을철 분변 DNA에서는 다래류, 뽕나무류, 참나무류가 많이 검출되었다. 연구결과, 반달가슴곰은 야생에서 매우 다양한 동물, 식물 먹이원을 이용하며, 이 중에서는 사람의 활동과 연관된 먹이원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먹이원 정보는 지리산국립공원과 인근 지역에서 야생 반달가슴곰의 섭식활동과 서식지 이용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고, 개체군 보호와 서식지 관리를 위한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preliminarily to identify the dietary resources using fecal DNA meta-barcoding in the Asiatic black bears inhabiting the Jirisan National Park and its surrounding areas. We used mtDNA COI gene sequences for detecting animals, and chloroplast DNA tRNA e-f and nuclear DNA ITS for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10 OTUs including 5 invertebrate OTUs and 5 vertebrate OTUs. A total of 212 plant OTUs were found, among those 81 OTUs in 2018, 57 OTUs in 2019, and 155 OTUs in 2020. The top 10 plant OTUs varied considerably in collection seasons. Grasses and ferns were abundantly found in spring, but wild kiwi fruits, mulberry, and acorns were mainly found in summer and autum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iatic black bears used various animals and plants for their food resources and some were related to human activitie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it may be valuable basic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ecological features of dietary behavior and habitat use as well as for making up a conservation strategy for protecting this restoring population and planning habitat management at the Jirisan National Park and its surrounding areas,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종주등산로의 횡단면 변화

        김태호(Tae Ho Kim),이승욱(Seung Wook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2

        지리산국립공원 종주등산로의 침식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고단~삼도봉 구간에서 등산로의 형태별 유형을 고려하여 16개 측량지점을 선정하고 2010년 1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18개월간 등산로의 횡단면을 측량하였다. 모든 지점에서 실질적인 침식이 발생하여 등산로 횡단면이 확대되었으나 토양침식량은 지점에 따라 차이가 커 54.9~908.8 ㎠, 일평균 침식속도로는 0.1~1.72㎠의 범위를 보인다. 유형별로는 평탄면형 172.4㎠, 얕은 우곡형 109.3㎠, 깊은 우곡형 493.9㎠, 외벽형은 573.2㎠, 양벽형 556.8㎠이다. 그러나 유형에 관계없이 등산로의 횡단면 변화는 노면보다는 측벽에서 크게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5월~10월의 침식량이 11월~4월보다 많았으며, 2011년 11월~2012년 4월에는 퇴적 량이 침식량보다 많아 등산로 횡단면이 줄어들었다. 조사구간에서는 3월과 4월에 등산로 측벽에 서릿발작용으로 토양 입자가 쌓이고 5월 이후 강수량이 많아지면서 우세로 제거되며 등산로 침식을 주도한다. 서릿발 발달에 유리하므로 북향 측벽의 침식량이 남향보다 크다. 4월에 관측되는 동결기의 작은 침식량과 등산로 횡단면의 축소는 동상과 서릿 발작용에 작은 강우량과 일시적인 답압 중단이 가세하여 만들어낸 계절적인 현상이다. 산악국립공원의 등산로 관리 측면에서 등산로의 침식량과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이 이루어지는 등산로 침식 모니터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order to examine the amount and rate of soil erosion on Ridge Traversing Trail in Jirisan National Park, a cross-sectional area of hiking trail were monitored at 16 sites in Nogodan - Samdobong section from November 2011 to April 2012. Although all sites demonstrates an enlarged cross-section of trail, the amount of soil erosion varies from site to site: 54.9 to 908.8 ㎠. It suggests that the erosional rate ranges from 0.1 ㎠/day to 1.72 ㎠/day. The erosional amount is also varied with a trail type: 109.3㎠ for a shallow gully-like trail to 573.2㎠ for a unilateral trail. However, the cross-sectional change is larger on a sidewall than a tread irrespective of a trail type. The erosional amounts of November to April are smaller than that of May to October. In particular, the erosional amount of November 2011 to April 2012 is smaller than the depositional amount, implying a reduced cross-section of trail. Pipkrake action puts loose soil particles on a sidewall on March and April, and then rainwash due to a heavy rainfall takes them away after May. It seems to be the most predominant erosional process in Ridge Traversing Trail. A sidewall facing north shows a larger amount of erosion than a sidewall facing south. It also implies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a pipkrake according to an aspect. The small amount of erosion and cross-sectional decrease, which is usually observed on April, results from the combined effect of frost heaving, pipkrake action, a small rainfall and a temporary suspension of trampl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onitoring system of trail erosion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hiking trail in a mountain national park.

      • KCI등재

        반달가슴곰 피해에 대한 보상 만족도 연구

        김보현 ( Bo Hyun Kim ),김용근 ( Young Geun Kim ),양두하 ( Doo Ha Yang ),( K. V. Skripova ),이경재 ( Kyong Jae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일원에 방사한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이 유발한 피해에 대한 보상 만족도를 살펴보고, 지역주민과의 갈등관리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반달가슴곰으로 인해 피해를 받고 보상을 받은 93명을 대상으로 2007년 6월~1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현재의 피해보상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상 평균 3.14±0.85점으로 보통수준이었다. 보상만족도는 소득수준, 복원사업 찬성 여부, 보상금액, 보상절차 등의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해보상심의위원회를 통한 보상방안에는 비교적 긍정적(평균 3.3±0.9점)이었으나, 다른 야생동물과 동일한 기준인 피해액의 80% 수준에서 보상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부정적(평균 2.6±1.11점)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the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the released Asiatic Black Bears into the whole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and to offer basic data for reasonable conflict management with local commun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 2007 to Dec. 2007 on 93 subjects who got their compensations for the bear damage from 2004 until 2007. The results stayed at a middl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oper damage indemnity program with as mean 3.14±0.85 points on the basis of 5 point scale. The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ctors, such as income levels, whether to agree to restoration project, compensation money and compensation procedures. The compensation plan through the Animal Damage Compensation Consultation Committee was accepted positively(mean: 3.3±0.9); however, to the compensation plan for the 80% compensation of actual amounts of bear damage, was acknowledged negatively(mean: 2.6±1.11).

      • 국립공원 탐방예약제 운영에 관한 탐방객 인식조사 연구 : 지리산 노고단 구간을 중심으로

        이주희,심규원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5 경제경영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예약제 운영에 관한 탐방객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탐방예약제 인식정도, 탐방예약제가 자연자원 보호에 미치는 영향 및 탐방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방예약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49.8%로 약 절반의 탐방객이 탐방예약제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방예약제 미시행 구간에 비해 42.1%가 자연자원 훼손이 적어 탐방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약 70%의 응답자가 탐방예약제 관련정보의 제공이 부족하거나 보통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탐방예약제에 대한 기초적인 평가와 탐방예약제와 탐방만족도, 탐방예약제의 자연자원 보호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