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語의 位相과 效率的 指導方案

        金敬煥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2 No.-

        이 논문은 우리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漢字語의 指導 段階와 模型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말은 漢字語와 고유어, 외래어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외래어와 달리 漢字語는 고유어와 구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 敎育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생기는 意味 把握의 어려움이 初等 學生 水準에서는 심각한 문제이다. 지금까지는 광범한 어휘의 비교, 대조, 유추와 긴 학습시간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였다. 的確한 指導를 통해 질 높은 언어 사용을 원하는 敎師의 입장에서는 語彙 意味의 명확하고 신속한 學習이 바탕이 되어 學生들의 文章과 글 사용 수준이 높아지기를 원한다. 이런 敎師의 바램을 가로막는 것이 漢字語에 대한 指導와 고유어 指導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점이 관심을 가지고 本 硏究가 이루어 진 이유이다. 이에 따라 硏究의 方向과 水準이 결정되었는데, 本 硏究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漢字語가 敎育的으로 가지는 意義에 대해 밝힌다. 문장 내에서 漢字語의 役割과 漢字語를 指導해야 하는 理論的 根據를 밝혔다. 讀解와 語集의 關聯性 및 讀解와 漢字語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讀解에 있어 漢字語가 어떤 役割을 하는지 밝힘으로써 漢字語 指導의 根據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漢字語 指導의 內容이 되는 敎科書 속의 漢字語의 樣相을 밝히고, 漢字語 指導 位階를 세운다. 敎科書에 收錄된 漢字語의 頻度를 조사하고, 初等學校 指導用 漢字를 바탕으로 敎科書 收錄 漢字語 中 指導 漢字語를 밝힌다. 여기서는 指導用 漢字 뿐만 아니라, 收錄 頻度, 收錄 時期, 指導의 適合性 등을 함께 考慮하였다. Ⅳ장에서는 敎科書 收錄 漢字語의 指導 方案을 摸索한다. 漢字 學習 側面에서의 漢字語의 指導 目的과 內容, 指導 方法을 밝힌다. 이것은 漢字에 대한 理解를 바탕으로 漢字語를 指導하기 위한 方法이다. 본 논문이 漢字諦를 보는 시각은 이와 다르므로, 國語 敎育 側面에서의 漢字語 指導 方法을 具案하였다. Ⅲ장에서 選定한 漢字語를 바당으로 漢字語를 접하는 學習者의 상태를 非認識 段階와 認織 段階로 크게 區分하였다. 각 段階別로 細部 段階의 位階的 學習 方法을 提示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敎授·學習 段階 模型과 課程案을 具案하여 指導한다. 그런 다음 指導 結果를 評價紙를 통해 分析하고 設間調査를 指導 前·後에 實施하여 漢字語 指導에 대한 效果와 學習者의 認識을 確認한다. 결론에서는 漢字語의 指導 給果를 明示한다. 硏究 內容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漢字語의 意味 指導 時 漢字의 表意性을 活用하면 語彙 意味의 把持 效果가 크다는 것이다. 한 두 語彙의 指導가 語彙 속 개별 글자의 分節을 통해 새로운 語彙의 意味를 類推할 수 있고 類推 活勳을 통해 語彙 造語力이 향상된다. 學習者가 語彙 造語力을 향상시키는 方法을 體得하고 나면 스스로 語彙의 意味를 구성해 간다. 즉, 本 硏究의 결과, 語彙 造語를 해 나가는 段階를 나누고, 指導 方法을 段階마다 水準別로 달리하면 語彙 意味에 대한 造語 方法이 學習者에게 길러진다고 확인되었다. 위의 指導 內用과 方法을 適用하며 語彙 意味를 指導하면, 구조적으로 조직된 語彙를 바탕으로 폭넓은 文章과 글 지도가 가능하다. 이 뿐만 아니라, 學習者의 자가 발전적 語彙 學習으로 인해 많은 학습 시간을 語彙 意味 解析에 보내지 않아 學習의 質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짧은 기간이지만, 이 學習 方法을 適用라는 것은 語彙 意味 把持力이라는 側面에서 有意味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學習者가 文章이나 새로운 意味를 처음 대할 때 느끼는 心理的 負擔感과 回避 意識을 떨치고 積極的으로 學習에 임하게 하는 自信感을 심어주는 效果가 크다. 그리고, 무엇보다 本 硏究는 敎師가 語彙 單位의 指導에 얽매이지 않고, 學習者의 文章, 글의 水準을 보다 세련되고 精練化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수 띤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and a phase of guidance in teaching the words from Chinese. The Korean language is composed of the words from Chinese, the proper Korean words and the words of foreign origin. Compared with the words of foreign origin, the words from Chinese are frequently used and taught without being distinguished from Korean words. So many elementary students who didn't study Chinese characters yet have seriou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not a few Korean words from Chinese characters. This is a very big problem for them. Until now, they have tried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comparing, contrasting and guessing the meanings of the words that they didn't understand. The teachers want them to get the meanings of the words from Chinese through the proper teaching and leaning. The teaching methods of the proper Korean words and the words from Chinese are not same , but they are taught in same ways. The teachers hav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iv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like that. This study is started and the direction and the level are decided for that reas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followed. In chapter Ⅱ,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value of the words written in is explained. I tried to prove the role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sentences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I tries to search the relationship of comprehension & vocabulary, comprehension &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 want to prove why we should teach a word written in Chinese. So I suggested the ground of a guiding principles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chapter Ⅲ, I observe the content and the order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o be taught. The frequency of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recorded in the textbook was investigated. I make clear the words o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taught based on th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cept the words to be taught, It is considered that the period, the frequency and the reason of the teaching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chapter Ⅳ, I tried to search the method of the guidance of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recorded in the textbook. In terms of the learning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 suggested the purpose, the content and the methods of the teaching the words written chinese character. This is the way to teach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ell in the basis of them. I have 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this, so I try to search the methods of the words written in character with the eye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chosen in chapter 3, the students' situations are discriminated with cognition and uncognition phase. In each phase I present the hierachy of the teaching methods in details. Through this I designed the procedure model and the pla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 And then I analysis the results of the teaching through test papers and check student's understanding by a question investigation before and after the class. Now to conclude, It reveals the guidance result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e research leads the conclusion like that. When teaching the meaning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you'd better use the ideographic characteristic of Chinese character. It gives transfering effect in meaning guidance. One or two vocabularies are taught and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guess meaning of the vocabulary. Through the guessing like that They can guess new words, too. This guessing activity improve the ability of making words. After the learners get to know the way of improving the ability of making words. They can make themselves understood in meaning acquis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learners can acuire the way of making words for themselves through the different level and the methods. It is possible teach from the ground of sentence and writing that a word structure and position in basic. And moreover, The student's independent study of vocabulary make raising the quality level of study . Brief period, This study method is affirmative conclusion which transfer in meaning of vocabular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leaners feels the confidence through this methods. Say what you will, This guidance is able to invest a many hour refined a studying sentence or a writing level and a strong point the place.

      • KCI등재

        초등「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지도 자료 및 지도 기능 학습의 특성과 문제점 분석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논문은 초등 사회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도 학습에 대하여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본격적인 연구에 앞선 문제 제기 성격의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현행 초등「사회」교과서에 나타나고 있는 지도 자료 및 지도 기능 학습의 특성과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 시론적(始論的)인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3∼6학년「사회」교과서에 등장하는 모든 ``지도 자료``와 ``지도 기능`` 학습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지도 자료의 경우, 색상과 디자인의 일관성, 정보의 질과 양, 축척의 선택, 지도 관련 개념의 활용, 그리고 지도 제시 방식 등의 측면에서 학습 주제와 조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지도 기능 학습의 경우,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의 측면에서 개인적·사회적 및 학문적 적합성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수치 지도 학습, 조망 학습, 좌표식 위치 학습, 그리고 주제도 작성 학습 등을 강화하는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비추어 볼 때, 지도를 주로 이해의 대상으로 여기는 기존의 학습관에서 벗어나 정보 저장과 전달의 적극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응용중심의 지도 학습관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p learning activities`` in current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alternative ways to solve the problems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of the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map materials and map skills in social studies texts (grade 3-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map materials of texts do not coincide with the learning subjects of texts; its have no consistence in aspect of colour and design, have no coherence in aspect of quality and quantity of map contents. And its have a many problems in terms of scale choosing, concept using, and map presenting. The map activitie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do not reflect personal, social and disciplinary needs in terms of scope and sequence of map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roposed that introduce the concepts of digital map, perspective, grid reference system, and thematic map making to map learning in social studies of new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ap-applying learning.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최종진,박균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a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TL)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learning organization(LO).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PTL),learning organization(LO),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nd second, what is the organization’s full effec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that has certain impact on PTL, LO, SOE? The research concludes that first, PTL does have an impa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SOE, PTL on SOE. And second, PTL has direct effe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T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001).And PTL has indirect effect of .342 on LO, but it’s full effect on SOE using LO as a mediacy is of .991 showing its certain influence. In conclusion, PTL has effe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SOE , PTL on SOE. The effect PTL has on SOE is greater than that of LO on SOE. However if the principal exhibi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motes the LO ,then SOE goes by far greater. PTL not only has direct effect on SOE, but also has indirect effect on it by LO. Therefore if principal wants the SOE elevated, he/she has to exhibit cert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le applying LO on school. To suggest couple of things in order to improve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 on field based on this result is to, first, it is easier to collect objective data if the follow up study covers the extended region. Second, we urge the follow-up research with the extension of the model including emotional leadership that has been currently studied as leadership theory and morale leadership includ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ird, the theoriz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done more faith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학습조직화,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인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학습조직화, 학교 조직효과성에미치는 집단 간 전체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학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342이었으나, 학습조직화를 매개로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전체효 과는 .991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867),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394) 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649)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 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영향보다 더 크 다. 그러나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서 학습조직화를 도모한다면 학교 조직의 효과성이 훨 씬 더 커진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습조직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학교장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을 높이 려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학교를 학습조직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학습조직화의 한 유형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어 학교조직 효과성을 향상시키도록 관 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와 교육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하면 첫째, 후속 연구에서 는 다른 지역까지 확대 적용하면 더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감성적 지도성, 도덕 적 지도성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매개변인과 종속변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확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 하다. 셋째, 직접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변인으로 삼아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학습조직화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더욱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일 비교의 관점에 근거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도학습의 특징

        양병일(梁炳逸)(Byung-Il Ya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비교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본의 2017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과 우리나라의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내용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양국 모두 지도학습의 지역적 범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학습자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환경확대법이 탄력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두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우리나라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학습이 약화 되었다. 세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은 객관성과 주관성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네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디지털 영상 지도와 디지털 영상 지구본과 같은 디지털 공간 영상 정보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本研究の目的は、韓日比較の観点から韓国の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研究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本研究は日本の2017改訂小学校社会科学習指導要領と韓国の2022改訂初等学校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内容を比較及び分析した。分析結果は次の4つ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る。まず、両国とも地図学習の地域的範囲を弾力的に運営しているが、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学習者の生活圏を中心に環境拡大法が弾力的に適用されている。第二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過程には、韓国の領域を対象とする地図学習が弱まった。第三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は、客観性と主観性が同時に考慮された。第4に、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デジタル映像地図とデジタル映像地球儀のようなデジタル空間映像情報の活用が強調されている。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ap learning in Korea's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Japan comparis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map learning presented in Japan's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guidelines and Korea's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although both countries operate with flexible regional scopes for map learning, the expanding environments approach is flexibly applied to map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learners' living areas. Second, map learning targeting Korean territory has been weaken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ird,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were consider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urth, the use of digital spatial image information such as digital image maps and digital image globe models is emphasiz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KCI등재

        분산과 통합의 관점에서 본 일본의 2017년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양병일(Yang Byung-il, 梁炳逸)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과 통합의 관점을 바탕으로 일본의 2017년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의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분석의 결과로써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신학습지도요령의 내용 제시 구조를 보면 설명 대상의 내용들이 분산적으로 제시됨으로써 신학습지도요령의 내용은 추상성에서 구체성을 띠는 방향으로 구조화 되고 있다. 두 번째로 ‘살아가는 힘(生きる力)’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통합해 신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된 각 교과의 자질․능력으로 분산시켜 주는 분산과 통합의 성격을 아울러 가지는 매개적 개념이다. 세 번째로 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되어 온 자질의 개념이 신학습지도요령에서 자질․능력으로 분산됨으로써 탈(脫)여유교육과 수업 개선의 맥락에서 가치․태도 영역을 강조하는 신학습지도요령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네 번째로 이전의 학습지도요령에 비해 분산적 성격을 가진 신학습지도요령 총론의 자질․능력은 신학습지도요령 사회과에 이르러 사회과의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구체화됨에 따라 분산적 성격이 심화되었다. 다섯 번째로 신학습지도요령 총론과 사회과를 통해 분산적 성격이 심화된 자질․능력을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통합하기 위해 문제해결학습, 사회과 3영역의 통합적 주제, ‘사회적으로 보는 법과 생각하는 법(社会的な見方․考え方)’이 활용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2017 revised Japanese elementary national curriculum(2017 curriculum) based on perspectives of integration and dispersion. In results, the sixth things have been revealed like below. Firstly, descriptive structure of 2017 curriculum was built on the deeping of concreteness through dispersion of curriculum contents. Secondly, a concept of a zest for life has the meaning of integration and dispers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nnect objectives of school education and specific abilities in diverse subjects. Thirdly, a concept of qualification has dispersed to abilities and values in order to show new tendency of 2017 curriculum. Fourthly, a concept of qualification has dispersed further more in the leve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ifthly, ‘problem based learning’, ‘integrated issues of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and ‘how to see and think in social studies edu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to integrate dispersed qualification in 2017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일본 초·중·고 개정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과 독도 관련 기술의 문제점

        홍성근,서종진 동북아역사재단 2018 영토해양연구 Vol.16 No.-

        Japan’s Government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Guideline(學習指導要領) and its Commentary(學習指導要領解說) on March 30th and July 17th of 2018,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ir Commentarie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2017. Until now, the Curriculum Guideline which has a legally binding nature has suggested the standard of curriculum and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s by the Commentary. However, this revised version clearly repeats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describes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in details; thus, it increases the amount of tex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lies an intent to ‘control’ the overall educ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commentaries. This revision decide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textbooks as well as the teaching in the class. In 2006, during the first term of Prime Minister Shinzo Abe, the Basic Law of Education, perceived as the Constitution of Education, was revised in more than 60 years. In this revision, promotion of patriotism was set as one of the educational goals. Under the name of ‘reformation’, the opinions of conservative right wing parties wer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it resulted in the revis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guidelines and commentarie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these revised guidelines reinforce the territorial issues related education in line with the ‘patriotic’ education emphasized by the current Abe government. It is also a problem that Dokdo, the territory of Korea, is specified in the Guideline as ‘the territory of Japan’.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ould be considerable chang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due to the new guideline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y and intention. The revised guidelines will be sequentially appli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from 2020. Under the Abe regime, reinforcement of territorial education will be gradually institutionalized, and the Dokdo-related narrative in textbooks will increase in quantity and deteriorate in quality. The Dokdo related education in Japan will steadily and systematically become more concrete as it goes to higher grade schools based on Dokdo rel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e territorial issues related education of Japan, it is also a problem to teach the position of the home country alone without teach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countries. Moreover, it becomes more problematic when the content of territorial issues related education is distorted. As Korea’s domestic countermeasure against these issues,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Dokdo related education in practical terms. 일본 문부과학성은 2017년 초・중학교 학습지도요령(學習指導要領)과 해설(解說) 개정에 이어, 2018년 3월 30일과 7월 17일에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을 각각 개정, 발표하였다. 이전까지 학습지도요령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대강(大綱)적인 교육과정 기준을 제시하고, 학습지도요령 해설은학습지도요령의 내용을 교과목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번 개정 내용은 교육 목표를 반복하여 명시하고 세세한 학습 내용과 방 법등을 기술하고 있어서 기술 내용이 대폭 증가하였다. 개정 학습지도요령 과해설을 통하여 교육 전반에 대해서 ‘통제’하며, 교과서 편집과 집필은 물 론수업 내용과 방향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6년 아베 총리의 1기 집권 때에 교육의 헌법이라는 교육기본법을 60여년 만에 개정하여 애국심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한 이후 ‘개혁’이라는 미명 하에 보수우익세력의 주장을 교육 현장에 반영한 결과가 ・초중・고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의 개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번 개정 학습지도요령과해설에서는 현 아베 정부에서 강조해 온 ‘애국심’ 교육과 함께 영토교육을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의 영토인 독도를‘일본의 고유영토’라는 내용으로 학습지도요령에 명기하였다는 점은 문제이다. 향후 정부 방침과 의지를 반영하여 개정된 새로운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에 의해서 초・중・고 교과서 기술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초・중・고 개정 학습지도요령은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초·중·고 학교교육에 적용될 것이다. 아베 정권하에서 영토교육 강화가 단계적으로 제도화되고 교과서 기술에서는 독도 관련 기술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으로 악화될 것이다. 일본의 독도 교육은 초등학교에서의 독도 교육을 기초로일관되고 체계적으로, 그리고 상급 학교로 갈수록 점차 그 내용이 구체화되어 갈 것이다. 그런데 일본의 영토교육에서는 상대국의 입장을 가르치지 않고 자국의 입장만을 가르치는 것도 문제인데 영토교육의 내용이 왜곡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문제이다. 이에 대한 국내적 대응 방안으로 독도 교육의 내실화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고재천(Ko Jae 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지 각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급담임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교사-학생과 지도- 지원의 두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학부모의 관심 저조, 교사의 열의 부족 및 지도여건 미비,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이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4개 군집별 중요도 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교사의 열의 부족과 지도여건의 미비 요인과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 요인보다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요인과 학부모의 관심 저조 요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학습부진학생 자신인 학 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 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보다는 학습자 요인과 학부모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이 연구가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 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학습부진학생 지도 관련 이론의 정립과 이와 관련된 정 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re and what importance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d data taken from interviews with 15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in tw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45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m.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and categorize the dimensions and factors of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is difficulties as ‘teacher-student dimension and ’instruction-support dimension. Secon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recognized in four clusters: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poor attention of parents, lack of teacher’s pass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lack of support systems in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of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and ‘poor attention of parent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four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related with factor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more highly important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arents factors than other factors of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 KCI등재

        드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지도학습의 재구성 방안

        박지수(Ji-Su Park),황홍섭(Hong-Seop Hw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4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지도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하고 있지만, 초등 사회과 지도학습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근원적 이유 중 하나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대표되는 드론, 지리정보체계 등을 강조는 하면서도 이를 교과와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학교 수업에 적용하는 연구가 드물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드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지도학습의 재구성 방안을 모색하고, 그 타당성을 효과성과 만족도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드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지도학습의 재구성방안을 탐색한다. 둘째, 드론을 활용한 지도학습 재구성 방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한다. 셋째, 드론을 활용한 지도학습에 대한 효과성과 만족도를 검증한다. 학교 수업 적용과 타당성 검증 대상은 본격적인 지도학습이 이루어지는 4학년 학생들(N=83)과 해당 학교 교사들(N=11)이다. 학생들은 총 5차시로 구성된 수업에 참여한 후 자기평가를 하였으며, 교사는 수업을 관찰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관찰평가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드론을 활용한 지도학습은 기존의 교과서를 통한 지도학습에서 난관으로 제기되는 방위와 축척에 대한 개념적 오류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함으로서 학습자들의 효과성 및 만족도를 높이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led to a Copernicus revolution regarding maps used in daily life. However, map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ailed to actively cope with these chang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schools emphasize drone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which are represented by technologies belong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few studies have applied these advances to the promotion of actual school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organization plan using drones for map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Drones represent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ir validity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a reconstruction plan for map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sing drones was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and trend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map learning using drones was reconstructed and applied in the actual classroom. Third,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map learning using drones was verified. The test subjects included four 4th grade students and teachers engaged in map learning using drone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organized class for a total of five sessions, and the teacher observed and analyzed the students" self-evaluation using a questionnaire. In conclusion, map learning using drones reduces conceptual errors related to orientation and scale, which are a challenge limiting map learning using existing textbooks. It also improved learners’ interest and satisfaction.

      • KCI등재

        교양외국어 수업에서의 개인별 학습지도 방안 고찰 - 중국어교육과 일본어교육에서의 SNS의 활용 -

        이선희,권정,조선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 논문은 교양외국어 과목 중 기초중국어와 기초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SNS 중 카카오톡을 활용하여 개인별 학습지도를 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해 본 것이다. 기초중국어와 일본어는 학습자의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개인별 학습지도가 특히 필요하고, 한편 카카오톡은 학습자의 접근성에있어서 우수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활용해보고자 한 것이다. 중국어교육과 일본어교육에서 발음학습과 문자학습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개인별 학습지도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먼저 수업의 목표에 기준하여 개인별 학습지도항목을 한정하여야 하며 학습지도 형태도 다양한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 후 사전 고안을 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수자의 피드백이지만 이는 교수자의 부담으로 직결되므로 보다 지속적으로 개인별 학습지도를 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부담경감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상세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피드백의 즉각성 및 과제제출 형태의 제한은 반드시 필요하며 카카오톡의 PC판 활용도 제안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of teaching individual learning by using KakaoTalk in basic Chinese and basic Japanese language education. Since basic Chinese and Japanese are especially important for individual learning becaus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learners, KakaoTalk is considered to be excellent in terms of accessibility of learners. In the Chinese education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 case study of the pronunciation learning and character learning were analyzed, and more efficient individual learning guidance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limit individual learning instruction items based on the goals of the clas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feedback of the instructor, but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burden of the instru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burden of the instructor in order to provide more individual instruction. Particularly, some idea about immediate feedback and restriction of the submission type is absolutely necessary and the use of PC version of KakaoTalk is suggested.

      • KCI등재

        일본 음악교육의 변화-2017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권혜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Th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f Japan were announced on February 14, 2017. The new guidelines include many changes in their format and conten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8th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new on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oal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particularly as for music education, are characterized by a distinct and concrete content which has finally changed after 40 years of time. Secondly, the three goals of the music curriculum guidelines have an organic relation with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overall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These propose a content directly related to each category of the goals of the music curriculum guidelines. Thirdly, a word ‘cooperation’ first appears in the goal of the new music curriculum. It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education in Japan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Fourthly, a phrase of “to instruct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is presented in the content of the new music guidelines. It is believed that this teaching method encourages teachers to help students fully understand and become proficient. Fifthly,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he new music guidelines is made by moving to another provision, not reducing and eliminating the existing content. What used to be described in a simple way is presented in detail under new subordinate-concepts. The change of the new paradigm in the curricula of the countries over the world is also found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f Japan. The focus shifted from ‘knowledge transfer’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lso show the aspects of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o nurture young talents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requirements of the 21 century. Just like Korea, Japan seems to be putting much effort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alternative for future education, with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deep introspection on social changes. 일본의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은 2017년 2월 14일에 고시되었고, 그 구성과 내용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8차 학습지도요령과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목표는 40여년 만에 변화로 확실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둘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목표 3가지는 전체 학습지도요령의 총칙과 유기적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음악 편 목표의 각 항목과 직결하여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목표에는 ‘협동’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다. 이것은 일본의 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내용에는 ‘몸에 익히도록 지도한다.’라는 제시가 있다. 이 지도법은 학생이 이해하고, 충분히 능숙하게 하도록 지도를 권장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내용의 변화에는 현행에 있던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외된 것이 아니라 다른 항목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현행은 간단하게 서술되어 있던 것이 신규에서는 하위개념을 두고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 각 국 교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본의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에서도 엿볼 수 있었는데, 이는 그동안의 ‘지식 전수 중심의 교육’에서 ‘역량교육’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에서도 21C가 요구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가진 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모습이 나타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사회 변화에 거시적인 관점을 가지고 깊은 성찰로 미래 교육의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려는 노력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