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화시설의 통합운영 방안

        임두현 ( Du-hyun Yim ),박정우 ( Jeong-woo Park ),남광우 ( Kwang-woo Na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1

        U-City 기반시설의 구성요소는 지능화된 시설, 정보통신망, 통합운영센터로 구분되며, 기존 연구에서의 U-City기반시설은 효율적인 운영·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 법에서 정의하는 내용과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가 지능화된 시설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국내 지능화시설 관련 법제도 및 운영관리의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능화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통합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법제도와 실무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지능화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능화 시설에서 생성된 도시정보 및 설치위치를 모두 포함한 통합 활용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현재 정부부처 및 지자체는 ICT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U-City법에서는 통합적 관리·운영을 명시하고 있으나, 시설 운영주체에 대한 구체적인 책임과 권한에 관한 정의는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설치된 장비와 여기서 생성된 도시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수 있는 관련 부서 간 원활한 조정이 가능한 추진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능화시설의 관련법 및 법규들에 대한 논리적 연계의 관계를 정립하여 효율적인 지능화시설 설치 및 관리를 위해 일원화된 법적 시스템의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능화시설의 통합연계 및 활용을 위한 관리체계의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City law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laws, information superhighway laws, and integrated operation center law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fficient infrastructure operation and management is necessary in Ubiquitous-City (U-City). However, infrastructure is often interpreted differently by different la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lan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law system of domestic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nd problems in oper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this critical mind. For this,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were found through interviews with people who are in charge of the law system and other practitioner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use, including city information generated from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nd installment locations, has been demonstrated. Government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various information systems using ICT and U-City laws that specify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but do not clearly specify definitions for the specific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for main agents participating in facility operation. A system is needed to smoothly mediate the relevant divisions so that they can use installed equipment simultaneously for efficient operation in generating city information.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unitary law system for efficient installment and management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by establishing a logically linked relationship among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i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management system that has an integrated linkage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 KCI등재

        지능화시설의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정의 및 구분에 관한 연구

        박정우 ( Jeong-woo Park ),임두현 ( Du-hyun Yim ),남광우 ( Kwang-woo Nam ),김진영 ( Jin-young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4

        스마트시티는 날로 복잡해지는 도시문제 해결 및 시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도시차원의 방법론이자 미래 도시의 청사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2008년 이후 한국 정부는「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유시티법, 현재 스마트시티로 명칭 변경 및 법 개정 중)을 제정하여 스마트시티의 건설 및 관리에 관한 내용과 정부지원방안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장관은 스마트시티의 효율적인 건설을 위하여 유시티법에서 정한 사항을 고려하여 법에 따라“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에 관한 개념은 정보화계획 측면과 도시계획 측면의 혼재로 인하여 통합관리 측면의 어려움은 물론 법규 정립의 미흡함으로 인해 실무단계에서도 다부처간의 협력적 계획의 설정 및 구현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시티의 지능화시설은 다양한 정보 수집 및 표출 장비가 포함되어 있고 기술의 빠른 변화로 인해 정의 및 분류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화시설의 통합관리운영 측면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의 법적 정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지능화시설의 법적 정의의 미흡함을 파악하기 위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상위 법 및 지자체들의 관련 조례를 분석 하였다. 또한, 스마트시티 관련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실무적 차원의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실행적 차원의 문제점 및 법적 분류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활용도 측면을 고려한 지능화시설의 분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차후 각 도시들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유비쿼터스 도시계획을 수립 시 명확한 개념의 제공을 통해 다 부서간의 통합 활용을 위한 기반구축 등 관리 효율성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 Smart City is urban development for complex problem solving that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for citizens, and it is a blueprint for future cities. In 2008, the Korean government defined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government support of U-Cities in the legislation, Act on the Construction, Etc. of Ubiquitous Cities (Ubiquitous City Act), which included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the act. In addition,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established a “ubiquitous city master plan” considering this legislation. The concept of U-Cities is complex, due to the mix of informatization and urban planning. Because of this complexity, the found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is inadequate, which is impeding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ractical plans. Smart City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re not easy to define and classify, because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and includes various devices for gather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the legal definition of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which is necessary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n U-City were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s to identify insufficient legal definitions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Using data gathered from interviews with officials responsible for constructing U-Citie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generated by implementing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t the field level. This strateg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d efficiency management, the foundation for building integrated utilization between departments. Efficiencies include providing a clear concept for establishing five-year renewable plans for U-Cities.

      • KCI등재

        U-City계획 고도화를 위한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 방안: CCTV 사례를 중심으로

        박준호 ( Jun Ho Park ),박정우 ( Jeong Woo Park ),남광우 ( Kwang Woo Na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U-City 공간의 고도화된 설계 및 계획 활동 지원을 위해 필수정보인 지능화시설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계획가나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레퍼런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레퍼런스 모델의 핵심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계획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에 대한 정보의 포괄성(comprehensiveness)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련정보의 최신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방대한 지능화 시설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조달청 물품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을 위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용사례로서 CCTV의 적정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진단하였다. 현재로서 U-City계획 패러다임은 IT 기술중심에서 스마트 공간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U-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배치 등에 관한 기준이나 정보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법제도 및 지침의 부재로 인해 지능화시설의 적정 배치 선정과 같은 계획활동은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U-City 계획 및 설계자에게 제공 가능한 IT기술 및 지능화 시설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서비스 수준과 예산 등을 고려한 최적 계획 수립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달청은 약 26만 건의 산업관련 DB를 기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고 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U-City 산업의 핵심인 지능화시설과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처로서 매우 유익한 정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정보가 활용측면에서 내용적으로 다소 부족하고 정보 공개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활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U-City계획의 고도화 및 조달청 물품정보의 다부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 reference model is constructed that provides architects or designers with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that is essential for U-City space configuration, and for the support of enhanced design, as well as for planning activities. At the core of the reference model i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that plans the content of services, and the latest related information that is regularly updated. A plan is presented to take advantage of the database of list information systems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that handles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We suggest a number of improvement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and issues with, the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by conducting a simulation for the proper placement of CCTV. As the design of U-City plan has evolved from IT technology-based to smart space-based, reviews of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standards,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and the placement of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that provides U-service have been carried out. Due to the absence of relevant legislation and guidelines, however, planning activities, such as the appropriate placement of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are difficult when considering efficient service provision. In addition, with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IT technology and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that can be provided to U-City planners and designers, there are a number of difficulties when establishing an optimal plan with respect to service level and budget.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esents a plan in conjunction with the goods information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as already built an industry-related database of around 260,000 cases, which has been continually updated. It can be a very useful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intelligent service facility, the ever-changing U-City industry``s core, and the relevant technologies. However, since providing this information is insufficient in the application process and, due to the constraints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process, there have been some issues in its app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by presenting an improvement plan for the linkage and application of the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has significance for the provision of the basic framework for future U-City enhancement plans, and multi-departments’ common utilization of the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 KCI등재

        U-City 기반시설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 방향

        김병선(Kim Byeong Sun),이재석(Lee Jae Suk),신동빈(Shin Dong B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도의 정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 기반시설보호체계와 국내의 U-City법을 비롯한 관련 법제도에 대해 분석하고, 산ㆍ학ㆍ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U-City기반시설보호와 관련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관련 지침 제정, U-City기반시설보호 의무화,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전담조직 구성, 지능화된 시설 보호를 위한 관련 법제도 개정 및 U-City기반시설보호 보호시스템 구축 등의 U-City기반시설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rovement directions of related laws system to protect U-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this, the study analyzes oversea infrastructure protection systems and domestic U-City laws system. Then, this indicates problems considering U-City infrastructure protection through Industrial-University-Institute experts’ survey. Based on this survey,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guideline of laws system to protect U-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including enactment the Guideline of U-City Infrastructure Protection, obligation of U-City Infrastructure Protection, revision method of related laws system for protecting intelligent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 of U-C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