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학과 동아시아학의 만남 : 행복한 결합일 수 있는가?

        윤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9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3

        본 연구는 문화 간 전이 및 비교사에 대해 오늘날 심화되고 있는 관심을 해부하는 가운데, 중세학의 시야와 범위를 확장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중세학의 내외에서 기존 서구의 전통적 공간관에 대해 가해지고 있는 비판에 주목한다. 그러한 고찰에 이어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와의 비교사적 연구를 통해 중세학의 외연을 넓히는 한편 이를 통해 기존의 유럽 중심주의를 극복할 필요를 제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서구중세사회와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 간에 보이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함으로써 중세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세계사 내지 지구사적 연구흐름에도 중세학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세학과 전근대 동아시아학과의 비교연구의 한 예로서 중세정치사상과 전근대기 동아시아 정치사상의 비교고찰을 스케치함으로써 끝을 맺는다. This essa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medieval studies by an in-depth analysis of the new research interests in cultural transfer studies and comparative history. It begins with considering the rising demand inside and outside the medieval studies to revise the traditional spatial concept of the West that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Eurocentric. On the basis,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pre-modern East Asian studies and a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which will be sensitive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estern medieval and the pre-modern East Asian societies, affirming the need to continue the endeavor in the field of cultural transfer studies. Such a comparative approach may eventually vitalize medieval studies 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and insigh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y of world/global history. This essay ends with sketching a comparative stud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and the pre-modern East Asian political thought as an example of such a comparative endeavor.

      • KCI등재

        화면 위에 쓴 새로운 중세 : 「장미의 이름」(1986)에 재현된 장미의 상징성과 상징문화를 중심으로

        최용찬(Choi, Yong-Chan)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9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원작으로 한 장-자크 아노 감독의 영화 「장미의 이름」은 14세기 중세 시대의 수도원 문화가 지녔던 상징성을 두텁게 묘사한 작품 중에서 단연코 으뜸이다. 단 한 송이의 장미꽃도 제시하지 않고서도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이 제각기 전유한 장미의 상징적 의미를 포착하고 중세 시대의 상징 문화의 두터운 층위를 영화미학적으로 재현해내는 솜씨가 그야말로 일품이다. 특히 중세 시대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재조명, 다양한 인간에 대한 재발견, 다양한 사랑에 대한 재구성 측면에서 영화가 재현해낸 다양한 중세의 문화는 암흑기 중세 담론을 넘어 새로운 중세를 탐사하는 데 유익한 길라잡이의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이처럼 영화가 재현한 중세의 이미지를 따라가 본 결과, 빛과 어둠이 절묘하게 또는 불편하게 어우러져 중세 기독교 문화를 다양하게 변주시켰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역사영화 「장미의 이름」은 새로운 중세적 과거를 독특한 방식으로 재현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화면 위에 쓴 중세사 연구로서의 의미가 충분하다고 판단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중세의 마리아에 관한 문화사적 연구를 위한 중요한 모티프까지 제공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사학사적인 검토가 될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The historical film The Name of the Rose was made in 1986 by the famous French filmdirector Jean-Jaque Annaud on the base of the outstanding historical novel written by the famous Umberto Eco, who had successfully described the cultural landscapes of the monastery in the 14th century of the European Middle Age through the filmic symbols. Although he did not show even one leaf of the rose, he could dramatically succeed in representing the deep status of the symbolic culture in the Middle Age in which the monks in those times could appropriate the meaning of the rose respectively. To put it birefly, this film can be highly appreciated especially in the three main aspects, the reillumination of the different spaces, the rediscovery of the human beings, the reconstruction of the vaious loves in the Middle Age. in this meaning the film can give a new light on the way of finding out a new Middle Age beyond the dark Middle Age. in the new cultural landscapes which were repesented in the film, we can find out the new interesting fact that the light and the darkness intertwisted each other and changed Christian cultures of the Middle Age especially relating to the Maria cult. So it can be valuable to consider that the historical film can sucessfully represent the new histories of the Middle Age on the screen and give the important motif for the new cultural research into the Middle Age. Therefore this historical film deserves to be reappraised historiogaphically i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Maria cult in the Middle Age.

      • KCI등재

        중세 판타지 게임의 세계관 연구

        서성은(Seong-Eun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9

        우리나라 온라인게임중 약 73%가 중세배경의 세계관을 갖고 있다. 역사에서 암흑과 야만의 시기로 종종 폄하되었던 중세 천년이 디지털 가상세계에서 새롭게 부활하고 있는 것이다. 첨단 테크놀로지로 시현되는 온라인게임에서 ‘중세’라는 전근대적인 세계가 빈번하게 등장하는 현상은 역설적이며 의미심장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해 온라인게임에서 중세 세계관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구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중세 판타지 게임의 등장은 현대인들의 전근대에 대한 탈출과 동경 때문이며, 이러한 중세 판타지 세계관은 게임 스토리텔링의 기반 서사와 퀘스트 스토리, 캐릭터 설정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연과 초자연의 공존이라는 이중 구조는 중세 판타지 게임의 기반 서사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목표설정-모험과 투쟁-목표달성”이라는 3단계의 추구서사(quest narrative)를 가진 중세 로망스문학은 중세 판타지 게임에 이르러 퀘스트 스토리에 반영되고 있다. 봉건제로 대표되는 중세의 엄격한 피라미드적 위계질서는 캐릭터 디자인에 의미 있는 메타포를 형성하고 있으며,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수직적 구조 속에서 동시에 수평적 연대의식을 통해 온라인게임의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73 percent of online games in Korea hold perspectives of medieval times in them. So far in history, about a millennium in medieval times is said to be a period of darkness and savagery, but it is newly revived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Such phenomenon is paradoxical and meaningful to often bring out ‘medieval times’ as a theme for online games, which are revealed by up-to-date technologies in present days. This research examines the background of views of medieval times appeared in online games and how they are realized. Medieval fantasy games have appeared because people dream about escaping from pre-modern times and have fantasy about medieval times. Moreover, perspectives of medieval times have enormously influenced background epics, quest stories, creation of characters in a game scenario. The dual structure having coexistence of nature and super naturalness acts an important role to set up the epic for medieval fantasy games. And medieval romance literature, which has a three-step quest narrative of 'targeting?adventure and fight?achievement' is reflected in a quest story of medieval fantasy games. The strict pyramid system represented by feudalism forms a meaningful metaphor for designing characters, and players organize communities for online games through horizontal collective consciousness in such vertical system of histor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한국 중세고고학 연구와 문헌사료의 활용

        김광철(Kim, Gwangcheol)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중세고고학이라는 용어와 그에 대한 이해도 이제 한국 고고학계와 역사학계에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진 것 같다. 그동안 중세고고학이라는 이름으로 그 연구의 필요성, 중세사학과 고고학의 소통과 융합을 강조해온 결과이다. 더욱이 한국 중세고고학 기초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한 『한국 중세고고학 자료집성』이 간행됨으로써 중세고고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분묘유적, 성곽유적, 사원유적, 도자 연구 중심으로 고고학적 연구에서 문헌사료 활용의 양상을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문헌 사료 활용의 빈도가 높지만, 성곽유적 연구에서 사료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고, 분묘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물론 연구 분야에 따라 문헌사료 확보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사료의 활용방법은 사료를 먼저 제시하고 유적, 유물의 분석에 들어가는 유형과 분석과 해석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사료를 제시하는 유형이 있다. 문헌사료의 활용은 고고학 연구 분야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르겠지만, 현황과 배경 서술에서 많이 활용되고, 해석의 단계에 해당하는 성격과 특징, 그리고 변화상을 조명하는 데에 관련 사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 사료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역사학과 서로 소통하고 융합하는 것은 연구 성과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활용과 중세사학과의 통섭이 본래의 고고학적 연구방법에서 벗어나거나 왜곡하는 것으로 되어서는 안 된다. 문헌사료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 하더라도, 문헌사료의 입을 빌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적 유물 등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문헌사료의 역할은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조언하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The term and understanding of medieval archeology is now somewhat familiar to Korean archaeologists and historians. It is the result of the emphasis on medieval archeology, the necessity of its research, mediation of medieval history and archeology, and its convergence. Furthermore, the Korean medieval archaeological data collection has been published and the results of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thu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o be revitalized. The number of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in Korea is 1,095 by 2011, and the number of research results for 6 years from 2012 to 2017 is 596.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medieval archeology seems to be led by the study of porcelain only by quantity. The next active area of research is the study of tombs. In the archaeological study, the utilization of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was examined in the research of tombs, castle ruins, temple ruins, and ceramics. Although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as a whole is high, the study of castle ruins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n the study of Grave Relies is relatively low.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re often used to describe current status and background, and are actively using related diets to analyz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order to utiliz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effectively, it is first required to secure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oryeo period, and to classify and sort them by field. Next, when using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iticize the historical materials. In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s very important, and communicating and converging with history is a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earch results. However, the use of medieval texts and the mediation of medieval studies should not be deviated from or distorted from the original archaeological methods. Medieval archeology is not a medieval history but an archeology,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s archeology must always be maintained. Even if it is desirable to utilize a wide rang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t should be possible to talk about material artifacts of the relics, not the mouths of documents. The rol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abandoned in a line that guides and advises the material data on its own.

      • KCI등재

        근대기 일본 “중세(中世)문학”의 형상 창출 연구 -“일본문학사”와 “일본사”의 대조를 통해-

        엄인경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중세’나 ‘중세문학’을 둘러싸고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부터 제국주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암흑’의 시대에서 ‘풍윤’의 시대로 가치가 전도되는 현상을 고찰한 것이다. 다시 말해 중세라는 시대나 중세문학에 대한 이미지 변화 사이에 내재된 문학사적, 시대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찾아 이러한 논리 파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일본문학사 기술과 일본문학의 정전(正典) 연구와 관련이 깊지만 이러한 연구는 문학사의 총론을 근대국민국가 비판이라는 문맥에 환원시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논의의 시기도 1890년에서 1900년대 초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각론의 경우에는 현재 일반화된 일본 고전의 대표작들을 근대의 시대적 문맥 속에서 정전으로 인식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본문학사’나 ‘정전’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 시대적 편중 현상을 뛰어 넘어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서 패전에 이르기까지 대량으로 간행되었던 ‘일본문학사’와 ‘일본사’를 통해 ‘중세’와 ‘중세문학’의 형상이 어떻게 창출되고 변용되었는지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중세’및 ‘중세문학’ 이미지가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 부정적이고 가치폄하적인 평가에서 1930,40년대 긍정적 인 입장으로 전환된 논리를 시대적 콘텍스트 속에서 도출함으로써 일본문학사의 논리 파탄과 그 요인을 규명해 보았다. ‘중세’, ‘중세문학’의 이미지의 변용에는 문학성 자체의 문제 보다는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국민국가 형성기의 천황제 가족주의국가와 연동된 근대국민국가 이데올로기에서 오히려 일본이 동양의 전통문화의 계승자로서 일본문학의 연속성을 강조해야 하는 제국일본 문학의 재구축이라는 시대적 요청 때문이었고, 이로 인해 ‘일본문학사’가 가지고 있는 논리의 파탄과 근대국민국가의 모순을 내재한 일본의 중세문학사를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e west, where the modern academic studies began, ``The Middle Ages`` has the opposite images of the brilliant and positive images. The Middle Ages, between the glorious ancient civilization and the Renaissance, has the images of the darkness, so the Middle Ages could be called the Dark Ages, and it could be also ``the Death`` Ages because the Renaissance means a revival. Under the influence of this western perception, the early publications of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briskly since the 1890s in Japan, shows that the Japanese middle ages also has the negative images as the Dark Ages in the history, academy, and literature. This negative and self-depreciativ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built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ation-state, however, are not consistent up to now. The shift of the perception of the Middle Ages was made not after war (after 1945) but from 1930s to 1940s when Japan`s militarism reached its climax and Japan was at the 15-year war. By this time,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was changed to the fairly positive viewpoint. In this thesis, to go over the existing disproportionate studi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Armistice``, I grasped how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had created and changed through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Japanese History`` published from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ation-state to the defeat, and through this study, by understanding the logic of shifting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in the periodical context, I grasped how the logic of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ent into the rupture and what the causes were.

      • KCI등재

        영문 한국 중세사 교재 개발의 과제와 전망

        이정일(Lee, Jeong-Il)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미국 대학 한국사 교과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검토는 한국사의 국제화를 추진함에 있어 핵심 과정이다. 전근대 시기 관련 영문 일반개설서, 심화개설서, 공동연구서, 원사료 선역집, 자료 전산화 등 대학용 교재 개발도 보다 활발하게 논의돼야 한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영미권 학자들에 의해 저술된 두 권의 영문 한국사 개론서 속 조선 후기를 중심으로 최근 미국에서 출간된 한국사 관련 일반개설서들의 장단점과 새로운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본고에서는 한국 중세사의 當代的문맥과 통시적 관점의 啓發을 바탕으로 하는 콘텐츠 개발이 한국 중세의 다양성, 개방성, 상호작용성을 들어냄과 동시에 탈중심주의적 사고력을 확장시킴으로써 이전의 영문 개설서들과 다른 내용 구성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상기 개설서들에서 한국 학계의 민족주의적 서술과 차별성을 갖는 탈 반민족주의적 서술을 추구되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지만 동시에 그로 인한 과민반응으로 서구중심주의와 중국중심주의의 위험성은 여전히 간과되는 측면이 있다. 바꿔 말하면, 서구?중국중심주의의 온존이 바로 한국 중세의 다양성, 개방성, 상호작용성을 새롭게 조명하는 데 저애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필자는 미국의 한국 중세사 학계가 조선 후기의 제 현상들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심화시켜가고 있는 한국 학계의 중세사 연구 성과를 탄력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동시에 현지 동아시아 중세사 및 역사교육 연구자들과의 보다 긴밀한 소통을 통해서 새로운 영문 한국 중세사 교재 개발을 모색할 필요성도 제시한다. 한국의 한국 중세사 학계와 미국의 동아시아 중세사 학계와의 협력은 미국 대학의 역사학 교과에서도 환영받을 것이며 이와 같은 학적 연대는 궁극적으로 한국사의 국제화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article, I have presented a new college-level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specific issues in two general history textbooks on Korea, respectively written by Michael J. Seth and Keith Pratt, I examine their strengths and shortfalls, while drawing out areas for improvement. The period treated through this article concerns late Chos?n, from the seven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two textbooks assume that late Chos?n formed an independent politico-cultural community or civilization, bearing similarities to imperial China. I argue that such a claim reflects the Sinocentrism in current American scholarship toward East Asian history, and perhaps with Western-centrism at its root. More generally speaking, seen from these two textbooks, Korea historians in the West have constant difficulty in moving beyond the conventional framework of Eurocentrism and Sinocentrism. At the same time, what we learn from pre-modern Chinese history, as in the case of Valerie Hansen’s textbook, is that ongoing improvement in disciplinary fields related to pre-modern China has contributed to the enrichment of Chinese history education, thereby exemplifying the importance of a proper balance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in East Asian history. What, then, is to be done? Considering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specialists in American academia, the promotion of pre-modern Korean history can be undertaken in cooperation with Korean historians specializing in pre-modern Korea who have recently demonstrated scholarly competence. Along this line, developing textbooks, source books, selective translations of primary sources, and other teaching materials with the aid of audio-visual and digital technologies will be able to lay a seminal foundation for productive forms of Korean-American collaboration that enhances the infrastructure for better education of pre-modern Korean history. The aforementioned constructive process of engagement, challenge, and collaboration will help Korean history, including pre-modern times, to further grow as a more competitive academic and educational discipline in North America.

      • KCI등재

        중세 여성 종교운동에 대한 페미니즘 철학적 연구: 젠더화된 공간 개념의 관점에서

        양정호 ( Yang Jeong-ho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중세의 여성 종교 운동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는데, 종교 운동의 일부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도 있고, 또 여성과 중세 기독교라는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허버트 그룬트만이 중세 종교 운동을 연구하면서 제도로서의 교회나 교리로서의 기독교를 다룬 것이 아니라 종교문화로서 접근한 까닭에 후대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관점은 중세 여성 종교 운동을 이단 운동의 일부라는 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가부장적 가톨릭 역사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자신의 관점 혹은 융복합 방법론으로 중세 여성 종교운동을 접근함으로써 그룬트만의 관점에서 벗어나서 여성 종교 운동을 중세종교개혁의 일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적 - 사적 공간 이데올로기라는 개념과 젠더화된 공간이라는 개념을 결합할 때, 여성 종교 운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그것은 젠더화라는 관점에서 중세 여성 종교운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젠더화라는 개념은 중세 여성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방법론의 하나로서 젠더링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중세 여성 종교 운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페미니즘 철학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여성의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젠더라는 관점에서 융복합 방법론을 사용하여 중세의 종교운동을 바라볼 때, 중세의 모든 여성 종교운동들은 가톨릭의 기존 질서를 부정하는 것이라기보다 주체성과 영성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Women’s religious movements in the Middle Ages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not only as a part of religious movements but also as a part of feminism and medieval Christianity. Even if Grundmann’s work focuses on religious culture, instead of institution and doctrines, his view seems to represent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lerical historians: regarding women’s religious movements as a part of heretical movement. Therefore, we need to reconstruct women’s religious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philosophy of religion in terms of feminist philosophy with women’s own eyes. This approach leads women’s religious movement to be interpreted as a self-expression of women’s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When we use the notion of gendered space, a new approach to women’s religious movement can be suggested; namely, feminist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women’s religious movement in the Middle Ages in terms of gendering. Gendering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women’s role and functions in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ing women’s religious movements in the Middle Ages, all the significant movements of the Middle Ages can share their commitment to the aim of improving souls, in terms of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 KCI등재후보

        대학의 유형별 기원에 관한 고찰

        김영희(Kim, Young-Hee) 한국법사학회 2007 法史學硏究 Vol.36 No.-

        현존하는 서구식 대학교육의 기원은 중세 유럽에 있다. 그 이전 시대에도 상대적 의미의 고등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은 존재했지만 중세 유럽의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자치단체로서 사회 세력화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중세의 대학들은 중세의 양대 권원이라고 할 교황과 신성로마황제로부터 특권적 지위를 보장받는 방법을 통하여 실세화하였다. 교황과 황제의 입장에서 볼 때 대학은 자신의 권위를 정당화시켜줄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하고, 자신의 세력을 유지시켜주는 인적 자원을 배출하는 곳이었다. 그런 까닭에 교황과 황제는 대학을 자신의 편으로 두기 위해 경쟁적으로 특권을 부여하였으며, 대학은 그와 같은 세력구도를 이용하여 자치권을 지켜나갈 수 있었다. 그런 한편, 중세의 대학에서 교육된 학문 분야 중에 대학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법학이었다. 대학이 등장하던 중세 성기에 유럽은 종교적으로 범 기독교 사회를 이루고 있었고, 경제적으로는 발전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에 맞추어 교회법과 로마법 법률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그에 비례해 부와 권력으로 접근하는 통로가 되는 교회법과 로마법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중세 최초의 대학이라고 하는 볼로냐 대학도 이와 같은 상황에서 법학교가 확대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중세의 대학은 순수하게 학문을 추구하는 곳만은 아니었다고 볼 수 있다. 중세의 대학은 법학뿐만 아니라 신학이나 의학 등 중세의 고급 직업과 관련된 실용적인 학문을 교육하는 곳이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고, 후대로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이다. Modern universities are originated in the Middle Ages. The medieval universities had formed independent organizations and been self-governed. They became a big social power during the Middle Ages. The medieval universities were different from other age"s higher education systems on that point. The Popes and the Holy Roman Emperors had tried to get on universities good side by giving privileges. The reason was that the universities were the places where theoretical rationalization or authorization of medieval society could be yielded. The typical two of medieval universities are the University of Bologna and the University of Paris. The University of Bologna was pro students, but the University of Paris was pro professors. The difference was no wonder, when thinking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University of Bologna was secular, and the University of Paris was clerical. People used to hire a teacher with secular purpose for a long time. Like that,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of Bologna would have thought that they had power to hire and control the professors. Compare to these,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of Paris were in the clerical structure. So, they would have thought that they should have to obey the professors. In addition, the University of Bologna had concentrated on the Roman Law education, and the University of Paris on the theology and the canon law education. The universities had undoubtedly offered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however, had more its meaning as a requirement to who want to fly on the school of law or the school of theology. It shows that the legal education was quite popular during the Middle Ages, and the universities were not so purely academic places.

      • KCI등재

        琉球 오모로사우시의 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성

        허남춘(Heo Nam-choon)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지금 일본에 속해 있는 오키나와는 중세에는 유구(琉球)라는 왕국이었다. 그곳은 일본의 주변부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과거에는 중세 영웅서사시를 꽃피웠던 곳이고, 지금도 많은 신화가 전해오고 있다. 그 신화로부터 새로운 정보를 흡수한다면 우리 신화 해석의 단서를 마련할 수도 있고, 보편 신화의 원리를 파악하는 데 더없이 유용할 것이다. 그런데 우선은 우리의 시각으로 그들 신화를 보려 한다. 우리 신화를 일차적인 논거로 삼아 이룩한 신화의 일반이론을 유구신화에 적용해 검증하면, 그쪽에서는 하지 못한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그래서 중심부 한국신화와 주변부 제주신화를 대비하여 얻은 성과를 중심부 일본과 주변부 오키나와 신화 연구에 적용하려 한다. 제주와 오키나와는 여러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본토와 다른 독특한 민속이 있다는 점도 같고, 본토의 폭력 때문에 큰 희생을 겪었던 점도 같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목을 요하는 것은 무속과 신화(구비서사시)와 의례가 살아 있다는 점일 것이다. 본토에서는 유교와 불교 같은 중세 이념에 의해 거의 사라진 고대적 사유와 의례와 문학이 변방 섬에 온전하게 전한다는 것은 큰 공통점이다. 본고는 무속적 전통에 주목했고, 구비전승을 중시하는 태도를 취했다. 유구의 창세신화인 아만츄 이야기는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 비슷하게 하늘과 땅을 만든 내력이 적혀 있다. 또한 섬을 만들고 사람이 살도록 해주었던 삽화는 설문대할망 설화와 유사한 일면도 있다. 이것이 원시 서사시적 흔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아만츄 혹은 아마미쿄 이야기는 후에 중세서사시를 집대성한 ‘오모로사우시’ 속에 편입되고 만다. 철을 사서 농기구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공급했다는 사츠토의 이야기는 철기문명과 연관된 고대 서사시의 흔적이라 하겠다. 유구 초기 지배자들은 천상계에서 하강한 신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천상계의 권위를 빌려 지상을 통치하려는 고대 영웅서사시의 전형이라 하겠다. ‘오모로사우시’는 고대 영웅서사시를 모방한 중세 영웅서사시다. 고대 서사시와 다른 점은 백성과 농업과 평화를 강조하고, 왕과 왕실에 대한 찬탄과 찬미의 주제가 주류을 이루게 바뀌었다는 점이다. 그것들은 중세예악의 질서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오모로사우시는 고대 서사시(신화)를 본떠 지배자의 가계를 신성하게 만든 조선의 <용비어천가>와 같은 사유를 담는다. 유교와 불교로 대표되는 중세 질서에 의해 지배되는 상황 속에서도, 지배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에게 익숙한 고대 영웅서사시를 복원하여 그 속에 녹여 놓았다. 유구에 오래 전부터 존재하던 원시, 고대 서사시가 ‘오모로사우시’에 남게 된 이유다. 강력한 중세 지배자의 역사 논리 속에도 고대적 사유의 흔적이 남게 마련이다. 어디에서 가져왔든 유구에도 원시적, 고대적 사유를 담은 서사시가 존재했고 그것들은 작은 폴리스 정도의 국가 형태였을 것으로 본다. 그 후 중세 질서에 의해 위압당하고, 17세기 일본의 영향 하에 놓인 뒤 19세기 말 완전히 편입되면서 유구의 전통은 말살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중심부에 의해 주변부가 억압당했던 역사는 바뀌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신화의 연구에 있어서도 주변부라 칭해지던 곳의 독자성과 지역 주권이 인정되는 쪽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In Ancient times Giant Amantsu(아만추) lived in Okinawa. It was said that meaned ‘a heavenly person’. The sky was low and the human being lived like a frog, so the Gient Amantsu(あまんちゅ) thought people miserably, and lifted the sky by the power of both arms and both legs. In addition, the sun and the moon have left this location carrying pole. There is the record that this God gave a letter, and there is the meaning as the culture hero as a giant. According to another view, the etymology has an Amami-shoto Islands person who came from Kyushu. Visiting of God from the sea coming down from Heaven ware put together. You must pay attention to the specialty as the myth in the origin had conjunction with nature separation. The founder of Miyako came out of the earth, but God and Goddess named Kisou and Husasou is the origin of the human. In addition, as for the representative Creation myth of Miyako, the Goddess who went down from the sky made Miyako-jima Island and married with the terrestrial living thing, and having made human being prosper. However, ancient myths of Okinawa are condensed in Omorosausi(오모로사우시). The reason why Shamanism courtesy of Jeju Island and Okinawa is important inherits the thing which has disappeared magnificently in the different area while just maintaining cultural inception characteristics, and it is a point to continue having a feeling of throbbing pulse. When it is destroyed for the first by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destroyed for the second thoroughly by modern civilization, it may be said that it is big value to keep elements of the ancient times well. It may not have the big meaning to be unique with the thing which Okinawa has. However, Okinawa preserve universal human`s inheritance for several thousand years before the past, so these are important value that remain the universal speculation and courtesy and literature. The reference about a north direction, a continent, and visiting God has a plan to admit into the universality of Japanese myth.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e propaga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under pretense of universalism. We have to escape from the nationalism which denies originality that emphasizes a state instead of rural areas, and emphasizes Okinawa instead of Ryukyu Kingdom. Now, We have to begin to follow in the direction which accepts the originality of the ethnic minority alienated from a big framework called a race in response to oppression and exclusion. It is necessary to widen interest from the third world(nationalism) to the fourth world(a minority race). True modernization is completed just by conquering class inconsistency and race inconsistency simultaneously. When you consider a myth, it is necessary to classify a ancient-times nature and medieval times. Hashi Shou was sovereignty of the Middle Ages. In order to make rule steadfast, the myth loved by the public is operated and it was begun to make a new ruler’s authority. Therefore, the ancient heroic epic is included in Omorosausi.

      • KCI등재

        중세 대학의 설립과 발전 -학문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보루-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6

        현대 대학들은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연구결과물의 양산과 취업률의 제고에만 온 정신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비판적 지성인들은 ‘폐허의 대학’ 또는 ‘대학의 기업화’라고 부르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학의 몰락을 이겨내기 위한 새로운 대안과 방향성은 어떻게 발견될 수 있을까? 여러 학자는 대학의 오랜 역사, 특히 중세 대학의 설립과정에서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그렇지만 일부 학자는 중세 대학에서는 아예 학문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중세 대학의 발생 배경과 유형들, 그리고 구조 등을 통해 발전 과정(1장)을 살펴보겠다. 이어서 중세 대학이 정치적 억압으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는 과정과 교회 권력의 통제에 대해 저항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외부권력‘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는 과정을 탐구할 것이다.(제2장) 이를 토대로 과연 중세 대학이 지키려 했던 소중한 가치가 진리를 추구하려는 학문에 대한 사랑(amor scientiae)이며 이를 위해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이 이루어졌음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소중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 중세의 대학은 동맹 휴학이나 철수를 포함한 참으로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고, 필요에 따라서 교황과 왕이나 귀족을 자신의 보호자로 삼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의 금지령이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에서 중세 대학의 자율성은 잘 드러난다.(제3장) 중세의 대학이 추구했던 가치를 통해서 위기를 겪고 있는 현대의 대학인들은 다양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하고 교묘한 형태로 나타나는 현대 대학에 대한 통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학인들이 단지 눈앞에 작은 이익에만 매몰되는 일 없이, 자신이 추구하고 있는 학문적인 이상을 뚜렷이 자각해야 한다. 효율적인 기술자 양성에 적합한 방법을 모든 기초 학문에도 적용하려는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세 대학의 인문학부에서 이루어진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주목해야 한다. 상위학부를 위한 기초과정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던 ‘인문학부’처럼 변화하는 개별적인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편적인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또한 중세 대학에서 추구했던 평등의 원리에 따라 대학의 주체인 구성원들이 모두 ‘함께 지배하기’(shared governance)에 참여함으로서 이미 심하게 손상된 대학의 공동체 정신을 회복해야 한다. 우리가 가르치는 학생들과 동료들을 진정한 가족으로 바라 볼 때, 우리의 대학들은 경쟁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지혜의 집’이 주는 아늑함과 형제애를 느끼는 장소가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contemporary universities concentrate only on mass production of results and a rise in the employment rate. Critical intellectuals have called this phenomenon the “university in ruins” and the “corporatization of the university” and strongly disapprove. How can we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ollapse of the university? Many scholars are seeking an answer in the long history of the university, especially in the rise of medieval universities. However, other scholars insist that there was no academic freedom in medieval universitie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the types and the structure of the medieval universities and their process of development (ch. 1). It considers the process of seeking independence from political repression and resisting the control of the ecclesiastic power (ch.2).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paper then determines that the precious value that medieval universities tried to protect was “amor scientiae,” or the pursuit of truth. For this purpose, a university was founded as a “guild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 protect this value, the medieval universities used various methods including unified strikes and evacuations and made popes, kings and aristocrats their protectors. The autonomy of medieval universities was revealed in the failure of an order in the thirteen century that prohibited lecturing on Aristotle (ch.3). Professors and students of modern universities can learn lessons from the value that medieval universities pursued. Going gainst the control of contemporary universities in Korea,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a different and covert way, they should realize the ideals of the science they are pursuing without being buried in the profit motive. To overcome the tendency to apply adequate methods to efficiently train technicians in all foundation sciences, they must recall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faculty of liberal arts” of medieval universities. They should tend to a universal education that can actively cope with changing individual circumstances in the same way as the “faculty of liberal arts” diligently created the basic education process for the higher facult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pursued by medieval universities, all members of universities should take part in shared governance and the universities should recover the now badly damaged spirit of community. When we consider our students and colleagues as a family, our universities will become places of belonging and brotherhood, “house of wisdom”, in which one escapes the fear of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