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계의 일본불교연구 동향

        원영상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modern trend ofJapanese Buddhism research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 First ofall,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result on the Japanese Buddhism inKorea for nearly a century are just the beginning. The JapaneseBuddhism did not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until a recent date,although many of the researchers feel superiority to the JapaneseBuddhism because Buddhism was spread to Japan from the KoreanPeninsula by Koreans in ancient era. Nevertheless, it is encouraging thatresearches in various fields of the Japanese Buddhism are proceedingbriskly. Thus, the trend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divided into 7 parts. The first, it is a field of study on the history of communicationin Buddhism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field which continues tobe study recently, is researched on ancient Buddhism based on thehistorical fac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Japan from theBaekje Kingdom. The Second, the fields of study on the ancient,medieval, and modern Buddhism which had its beginning at the startof the 80`s, are the studies of Japanese Buddhism itself. The third, itis studies on the Buddhism in modern and present age. Many researchresults of this field sparked by studies on modern history in theacademic circles of history, are being achieved from the early 2000s. The fourth, it is the fields of comparative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Researchers in this field view the Japanese Buddhism objectively. Thesefields are set in a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like in Korea. Thefive, it is the study on Buddhist literature which is focused o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in Japan. The six, it is the studies of Buddhist artand Buddhism culture. The seven, it is the studies on life and death,funeral, and other related fields in Japanese Buddhism which is calledFuneral Buddhism. Lastly, it is the forecast and task on the study of JapaneseBuddhism. This part is treated with holistic assessment of 7 parts inwhich was divided by the volume of research. We need to studyJapanese Buddhism from objective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shouldb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between Japan and Korea. The bibliography of last part is a list of research papers and booksquot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근ㆍ현대 한국학계에서 행해진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동향을 총괄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먼저 한 세기 동안의 일본불교에 대한 한국학계의 연구 성과는 걸음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본열도에 대한 불교전파자로서의 우월감은 있으나 일본불교사연구소와 같은 일본불교의 전문 연구기관을 제외한다면 일본불교에 대한 본격적인 학계의 조명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일본불교에 대한 각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동향을 7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한일 불교교류사 연구로써 백제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역사적 사실을 기점으로 고대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로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본격적인 일본불교연구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고대ㆍ중세ㆍ근세불교에 대한 연구 분야로 80년대부터 태동되었다. 셋째, 일본 근ㆍ현대불교의 연구로써 최근 역사학계의 근대사 연구에 의해 촉발되어 2000년대부터 왕성한 연구 활동을 보이고 있다. 넷째, 한일불교 비교 및 문헌연구로 전자와 같은 연구 선상에서 한자문화권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일본불교를 객관적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일본 불교문학연구로써 풍부한 일본불교의 고전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여섯째의 일본 불교미술 및 기타 문화연구와 더불어 불교에서 파생된 다양한 문화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생사ㆍ장례 및 기타분야 연구는 소위 장례불교로 일컬어지는 일본불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분야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기타 분야의 연구 현황을 다루었다. 그리고 일본불교연구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연구동향을 양적으로 나눈 일곱 분야의 연구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를 다루었다. 일본불교 연구는 토착화된 지역불교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 시야를 확보해야 함은 물론 상호 호혜적인 입장에 입각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은 본 논문에 인용된 논문과 저술의 전체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 KCI등재

        일본 불교 물질문화의 정신적 배경 : 불교의 물질관과 중세 일본 불교의 물질을 둘러싼 담론

        박연주 ( Park¸ Yeon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동방학 Vol.0 No.44

        이 글은 불교 물질문화 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동아시아를 비롯 불교가 성행했던 문화권에서 불교 특유의 물질문화가 번영하게 된 배경을 고찰하며 특히 불교의 물질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주목한다. 먼저 역사적으로 불교 물질문화의 번영에도 불구하고 물질문화 전반이나 그 안에서 사용된 불교 관련 사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함을 지적하고, 그 원인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종교학계에 만연한 편견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며 불교 물질문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중국의 불교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불교의 물질에 대한 태도와 그 변화를 살펴본 후, 일본 불교에서의 물질관과 그 논의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세 일본의 밀교, 그 중에서도 중세 천태 불교의 교학적 논의의 성숙과 발전에 따라 활발히 전개된 초목성불의 담론이 일본 불교의 물질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 결과적으로 불교 측의 물질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이끄는데 그 정신적 토대가 되었음을 확인한다. This essay, as a first step for the stud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explores the ground of the prosperous material culture in East Asia, focusing on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dentifying the lack of material studies in the field of Buddhism, the essay criticizes common biases about the study of material entities, spread among scholars of religion across the world. After a brief illustration of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n China, the essay specifically examines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t thought regarding materials and material culture. In particular, this essay explores how the medieval Tendai discussion about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by grass and trees was developed, as the Tendai doctrine of original enlightenment matured in medieval Japan. Moreover, the essay investigates the manner in which these discourses transformed Japanese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n general, and concludes that these materials provided the spiritual ground for the developed prosperit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throughout Japanese history.

      • KCI등재

        진속(眞俗)의 경계와 생활불교: 근·현대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을 중심으로

        원영상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3 불교학 리뷰 Vol.33 No.-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living a Buddhist life through analysing the Japanese Buddhist Layman Movement in modern times. The diversity and dynamism of Japanese Buddhism is already well known. And the phenomenon of layman Buddhism, which errupt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modern era, in particular, shows a spirit of reform in Mahayana Buddhism. In this sense, Japanese Buddhist history can be seen as a process of identifying Buddhist indigeneity by making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 legitimate path for laymen to follow. Phase 1 was utiliz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for educating the people, by Prince Shōtoku (聖德太子), Phase 2 was establishment of the Complete Precepts by efforts, by Saichō (最澄), and Japanese monks in Tendai Buddhism (天台佛敎), and Phase3 was the appearance of medieval New-Buddhism. Since then, Haibutsu kisyaku (廢佛毁釋), which aros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ation, caused Buddhism to awaken. Accordingly, Buddhist education and academic development formed the basis for the Layman Buddhist Movement. The occurrences of layman Buddhism, in the modern era, are as follows: First, laymen like Ōuchi Seiran (大內靑巒) with thoughts of intermediate or holistic teaching (通佛敎) activities, appeared. Second, new religious bodies emerged, like those of renunciant practitioners that broke away from existing religious bodies, such as Tanaka Chigaku (田中智學)’s Society of Risshō Ankoku (立正安國會). Third, social movement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formed in response to changing society, such as Girō Senoo (妹尾義郞)’s new Buddhism Youth Union. Issues revealed through the activities of layman Buddhism are as follows: First, how do the laymen’s interpretation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ir social practice correlate with those of traditional renunciants (those renouncing secular life to become a monk) or the religious bodies of renunciant practitioners. Second comes the question of how far it is possible for layman Buddhists to participate in politics? In what way can laymen’s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reveal the possibilities for living a Buddhist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of Engaged Buddhism, by Japanese layman Buddhists, are based on traditional religious bodies’ Buddhicization of laymen, various social countermeasures by the religious bodies of laymen, and the Mahayana Buddhism’s spirit of actual timing (時機相應). The Japanese Buddhist Layman Movement that arose during a period of social confusion is thought to offer great hope for present and future Buddhism. 본 연구는 근현대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을 통해 생활불교의 가능성을 살펴본 것 이다. 일본불교의 다양성과 역동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특히 근대기에 활화산 처럼 발생한 재가불교의 현상은 사회를 향한 대승불교의 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불교의 역사는 재가의 불법을 통로로 한 불교 토착화의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1단계는 고대 전반기 쇼토쿠 태자(聖德太子)에 의한 백성교화를 향한 불법의 활용, 2단계는 일본 천태조사 사이초(最澄)의 노력에 의한 대승계단의 성립, 3단계는 중세 신불교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근대국가의 수립과 함께 일어난 폐불훼석(廢佛毁釋)은 불교를 각성시켰고, 이에 따른 불교 교육과 학문의 발전은 재가불교운동의 기초가 되었다. 근대기 재가불교의 발생은 첫째, 오우치 세이란(大內靑巒)의 할동처럼 통불교(通佛敎)적인 사상을 지닌 재가자의 출현이다. 둘째,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의 입정안국회(立正安國會)와 같이 기성교단에서 탈피한, 출가교단과 같은 새로운 재가교단의 성립이다. 셋째, 세노오 기로(妹尾義郞)의 신흥불교청년동맹처럼 변하는 사회에 대응하여 불법에 의거한 사회운동을 일으킨 경우다. 이러한 재가불교의 활약에서 드러나는 쟁점은 첫째, 재가자에 의한 불법의 해석과 사회적 실천이 과연 전통적인 출가 혹은 출가교단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가라는 점이다. 둘째는 재가불교의 정치참여는 어디까지 가능한가인가라는 물음이다. 불법에 기반한 재가자들의 사회활동은 과연 생활불교의 가능성을 얼마나 보여줄 수 있는가라는 점이다. 일본 재가불교의 특징은 전통 교단의 재가불교화, 재가교단에 의한 다양한 사회적 대응, 대승불교의 시기상응(時機相應) 정신에 입각한 참여불교적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혼란기에 일어난 일본의 재가불교 운동은 불교의 현재와 미래에 큰 희망이 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沙石集』에 나타난 無住道曉 불교가론 - 卷五를 중심으로 -

        최정선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중세 일본의 대표적인 불교설화집 『沙石集』의 권 5는 설화와 和歌 그리고 불교와 와카와의 관계를 논하는 歌論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와카와 불교의 결합을 논리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되었다. 와카를 중심부에 배치하고 각각 神, 佛, 法, 僧, 陀羅尼 와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沙石集』 전체 구조를 권 5 안에서 응축하여 불법의 소우주를 형성하였으며 와카의 기능과 역할을 불법과 관련하여 강조하는 논증의 효과를 성취하였다. 와카의 불교적 의미 발견은 언어관의 변화와 노래의 역할에 대한 인식전환에서 비롯되었다. 와카가 불교와 통하는 근거는 짧은 형식 안에 담긴 무한의 의미 창출, 일상어의 중의적 사용 등이다. 와카의 언어는 무상과 제법실상의 도리를 체득하게 하고 감정을 관조함으로써 마음의 평정을 소환한다. 와카가 곧 다라니인 근거이다. 또한 노래는 신과 인간을 감동시켜 현세적 이익을 가능하게 하는 역동성이 있다. 자국어로 부른 노래가 부처에게도 통한다는 자의식의 강화는 와카의 실용성과 결합하여 강력한 영향력을 형성하였다. 와카의 언어와 형식을 불교사유 안에서 해석하고 와카의 매력을 현실 문제 해결력으로 파악한 무주의 문학관을 반영한다. 중세 일본이 처한 혼란과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종교와 문학의 융합을 고안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대립을 완화하는 방편을 문학에서 구하였다. 특히 와카를 방편삼았다. 이는 문학적 토양이 풍부하여 자국어 문학의 생산 능력이 무르익었던 당대 문학 환경과 관련된다. 또한 문학을 포용할 수 있을정도로 불교가 사상적으로 다양화되었으며 서민불교로 대중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라고 하겠다. 이러한 당대 환경은 무주의 불교와카관에 반영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서정성과 표현력을 불교적 틀에 자의적으로 맞춤으로써 결국 문학을 제한하게 된 것은 중세불교문학의 한계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Volume 5 of ‘shasekishu’,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lktale books of medieval Japan’s Buddhism,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hind the Buddhist interpretation of Waka, and the Buddhist interpretation projected in Waka's interpret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the volume 5 of ‘shasekishu’ is that it is the key to connecting the Buddhism, on which ‘shasekishu’ was based, and Waka. The Volume 5 consists of two parts, folktale and Waka. The first part of the Buddhist folktale explains the mistakes that could be made and the virtues that must be observed in Buddhist practice. As a medium for introducing Waka, the Buddhist monk’s motivation to compose Waka is placed in the introduction part. The latter part laid a logical and ideological foundation by explaining the reason why Waka is Darani. In addition, it explains Waka's usefulness and functions as exemplified by the works of Waka that were enjoyed by various classes of people, starting with the works of Manyo and Saikyo. Lastly, it re-emphasizes Waka as an instrument of the Buddhism by listing the life stories of Waka's Kyogi Bodhisattva.Its ideological background is wakatarani and everything has it own nature, which are deeply related to Esoteric Buddhism. It chose literature as a way to alleviat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used the methodology of Esoteric Buddhism as a medium of combining literature and Buddhism. The works of Waka utilize various themes and materials. This article focuses on theme of nature, life and love. By analyzing the manner in which nature, human and feeling are expressed, it is shown that Waka has contributed to the profound meaning creation by embracing Buddhism as a means of interpretation. It is noteworthy that a combination of religion and literature was devised as a way to overcome the chaos of medieval Japan. Harmonized broad-mindedness that neither discriminates nor makes a difference resolved human conflicts, and promoted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classes. Nonetheless, restricting literature’s own lyricism and expressiveness by arbitrary adaptation to the Buddhist framework is a limitation of medieval Buddhist literature.

      • KCI등재

        불전(佛典)의 유통(流通)을 통해 본 고려시대(高麗時代)의 한(韓)·일관계(日關係)

        ( Dong Ik Cha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이 논문은 11세기 후반 이래 高麗에서 刊行된 佛敎經典이 日本에 전해져 筆寫될 때, 기록된 題記를 분석하여 韓·日兩國의 關係를 살펴보려고 한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高麗時代는 한반도의 역사상 異民族과의 接觸이 가장 많았던 시기에 해당하지만 日本과의 關係는 公式的인 外交關係가 樹立되지 못하였다. 이는 9세기 후반 이래 日本政府가 自國의 經濟的인 形便을 考慮하여 大陸과의 交涉을 抛棄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東北아시아 三國은 地域的인 近接性으로 인해 漂流民의 刷還, 商人과 求法僧의 往來, 그리고 倭寇 등과 관련하여 일정한 接觸이 없지는 않았다. 이러한 접촉을 계기로 韓·日兩國의 交流가 어느 정도 進展되어 12세기말부터 약 1세기에 걸쳐 韓半島와 日本列島의 隣接한 두 地域의 地方官府 사이에 政治的인 臣屬을 前提로 한 進奉貿易이 展開되었다. 이 時期 前後의 事情은 자료의 부족으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當時 일본에서 이루어진 佛敎經典의 題記를 통해 대체적인 형편은 유추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11세기 후반 이래 고려에서 간행된 續藏經이 商人 또는 僧侶를 통해 中國과 日本에 流布되었고, 그곳에서 刊行 또는 筆寫되었다. 이는 閉鎖的인 外交政策을 취하고 있던 일본에서도 고려↔일본, 고려↔宋↔日本 등의 方式으로 동북아시아 3국 사이에 文物의 交流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고려시대의 韓·日關係는 戰爭時期의 敵對的인 關係와 거의 유사한 상태였기에 高麗前期 兩國의 接觸은 貿易商人을 통해 이루어 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12세기 후반이후 약 1세기에 걸쳐 大宰府와 進奉貿易을 行할 때 倭寇의 禁止를 위한 使臣派遣이 일시 있었지만 극히 한정적이었다. 13세기 후반 大元蒙古國의 登場으로 인해 동북아시아 3國은 準戰時體制와 같았기에 韓·中·日 三國人의 접촉과 교류는 거의 단절된 상태였다. 그렇지만 당시에도 僧侶들은 人間에 의해 區分지어진 地域과 境界를 넘나들 수 있었던 것 같고, 이들의 왕래에 따른 三國人의 接觸과 交流는 있었다. 또 佛典의 流布를 통해 얼어붙은 國家間의 情報와 文物을 접할 수 있게 되었던 것 같고, 이를 통해 高麗末期 韓·日兩國 政府의 接觸과 같은 通交의 準備段階가 構築되기도 하였던 것 같다. This essay is a research to the rel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Jegi(題記) in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at made in Koryo and was transmitted to Japan from Koryo after the late 11thcentury. Tosumup, theresultisasfollows. Koryo was the period that was in contact with many ethnic groups. Nonetheless, Koryo had no official diplomatic ties with Japan.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abandoned connection with the continent for their economic conditions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9thcentury. But there was a series of connection with three kingdoms in Northeast Asia because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For these connections, the exchange between Japan and Koryo was made some progress. As a result, a tributary trade was started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of Japan and Koryo during a century from the end of 12thcentury. We don`t know specifically to the circumstance of this period because of alack of data. But it can be in ferred from Jegi of Buddhist Scriptures at that time in Japan. Accordingly, Sokjanggyeong(續藏經) that was published in Koryo circulated through Japan by merchants and monks, and the Japanese published and copied it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1th century. It showed that the exchange of culture and good existed in Japan that retreated intoi solation. The relation between Japan and Koryo was similar with relation between two opposing countries in the Koryo period, for this reason, the contact with two kingdoms accomplished by trade merchants. Surely,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12thcentury, there was dispatch of envoys during a century, but it was very limited. After the latter half of 13thcentury, the contact with three kingdoms was severed, because the reation between three kingdoms in Northeast Asia was similar in a quasi state of war. Of course, Of course there were exceptional cases such a smonks. Also, thecircu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ad greatly influenced the exchange between Japanand Koryo. As a result, two kingdoms were in the stages of preparation of the exchange.

      • KCI등재

        佛典의 流通을 통해 본 高麗時代의 韓·日關係

        장동익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This essay is a research to the rel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Jegi(題記) in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at made in Koryo and was transmitted to Japan from Koryo after the late 11thcentury. Tosumup, theresultisasfollows. Koryo was the period that was in contact with many ethnic groups. Nonetheless, Koryo had no official diplomatic ties with Japan.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abandoned connection with the continent for their economic conditions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9thcentury. But there was a series of connection with three kingdoms in Northeast Asia because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For these connections, the exchange between Japan and Koryo was made some progress. As a result, a tributary trade was started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of Japan and Koryo during a century from the end of 12thcentury. We don’t know specifically to the circumstance of this period because of alack of data. But it can be in ferred from Jegi of Buddhist Scriptures at that time in Japan. Accordingly, Sokjanggyeong(續藏經) that was published in Koryo circulated through Japan by merchants and monks, and the Japanese published and copied it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1th century. It showed that the exchange of culture and good existed in Japan that retreated intoi solation. The relation between Japan and Koryo was similar with relation between two opposing countries in the Koryo period, for this reason, the contact with two kingdoms accomplished by trade merchants. Surely,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12thcentury, there was dispatch of envoys during a century, but it was very limited. After the latter half of 13thcentury, the contact with three kingdoms was severed, because the reation between three kingdoms in Northeast Asia was similar in a quasi state of war. Of course, Of course there were exceptional cases such a smonks. Also, thecircu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ad greatly influenced the exchange between Japanand Koryo. As a result, two kingdoms were in the stages of preparation of the exchange. 이 논문은 11세기 후반 이래 高麗에서 刊行된 佛敎經典이 日本에 전해져 筆寫될 때, 기록된 題記를 분석하여 韓·日兩國의 關係를 살펴보려고 한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高麗時代는 한반도의 역사상 異民族과의 接觸이 가장 많았던 시기에 해당하지만 日本과의 關係는 公式的인 外交關係가 樹立되지 못하였다. 이는 9세기 후반 이래 日本政府가 自國의 經濟的인 形便을 考慮하여 大陸과의 交涉을 抛棄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東北아시아 三國은 地域的인 近接性으로 인해 漂流民의 刷還, 商人과 求法僧의 往來, 그리고 倭寇 등과 관련하여 일정한 接觸이 없지는 않았다. 이러한 접촉을 계기로 韓·日兩國의 交流가 어느 정도 進展되어 12세기말부터 약 1세기에 걸쳐 韓半島와 日本列島의 隣接한 두 地域의 地方官府 사이에 政治的인 臣屬을 前提로 한 進奉貿易이 展開되었다. 이 時期 前後의 事情은 자료의 부족으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當時 일본에서 이루어진 佛敎經典의 題記를 통해 대체적인 형편은 유추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11세기 후반 이래 고려에서 간행된 續藏經이 商人 또는 僧侶를 통해 中國과 日本에 流布되었고, 그곳에서 刊行 또는 筆寫되었다. 이는 閉鎖的인 外交政策을 취하고 있던 일본에서도 고려↔일본, 고려↔宋↔日本 등의 方式으로 동북아시아 3국 사이에 文物의 交流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고려시대의 韓․日關係는 戰爭時期의 敵對的인 關係와 거의 유사한 상태였기에 高麗前期 兩國의 接觸은 貿易商人을 통해 이루어 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12세기 후반이후 약 1세기에 걸쳐 大宰府와 進奉貿易을 行할 때 倭寇의 禁止를 위한 使臣派遣이 일시 있었지만 극히 한정적이었다. 13세기 후반 大元蒙古國의 登場으로 인해 동북아시아 3國은 準戰時體制와 같았기에 韓·中·日 三國人의 접촉과 교류는 거의 단절된 상태였다. 그렇지만 당시에도 僧侶들은 人間에 의해 區分지어진 地域과 境界를 넘나들 수 있었던 것 같고, 이들의 왕래에 따른 三國人의 接觸과 交流는 있었다. 또 佛典의 流布를 통해 얼어붙은 國家間의 情報와 文物을 접할 수 있게 되었던 것 같고, 이를 통해 高麗末期 韓·日兩國 政府의 接觸과 같은 通交의 準備段階가 構築되기도 하였던 것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