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on Measures for Establishment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Tae-Myung Kim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7 專門經營人硏究 Vol.20 No.3

        준법지원인제도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외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된 지 오래고, 마이크로소프트, GE 등 세계적인 기업에서 필수적인 제도로 정착되어 있다. 미국의 상장회사들은 기업공시 자료에 준법지원인(compliance officer)의 서명이 없으면 공시 자체가 어렵다. 또한 법위반 행위로 벌금형을 부과받을 때도 효과적인 준법지원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회사는 법정형의 60%까지 감경받고 있다. 무엇보다 기업윤리를 중시하는 사회분위기 덕분에 기업들은 앞다투어 준법지원인제도를 도입하여 기업 이미지 제고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금융감독원의 2016년 6월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준법지원인 선임 대상 311개 상장사 중 58.8%인 183개 회사만이 준법지원인을 두고 있으며, 41.2%에 해당하는 128개 회사는 아직까지 준법지원인을 선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법지원인제도를 올바르게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준법지원인제도 도입 대상 회사를 단계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갑작스레 적용 대상 회사를 확대하는 것은 어렵더라도 단계적으로 준법지원인 선임 대상 회사를 늘려 나가야 한다. 둘째, 상장회사와 더불어 공공성이 큰 공기업도 준법지원인제 도입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준법지원인의 지위를 명확히 하고, 그 자격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준법 지원인과 감사(감사위원회)의 업무범위가 중복되고 있다. 또한 자격을 반드시 특정 직역(변호사)에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넷째, 준법지원인 미선임기업에 대한 제재가 필요하다. 상장회사들이 이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 제재를 가하는 처벌 규정이 없는 상태이다. 준법지원인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제재와 같은 의무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준법지원인 선임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하다. 준법지원인 도입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형사처벌 감면, 과징금 감면 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여섯째, 준법지원인의 업무 대부분을 전산화 한다면, 준법지원인은 본질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통하여 전략적 준법지원업무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상법상 준법지원인제도와 금융관련법상 준법감시인제도를 단일법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내부통제업무와 관련하여 직무가 명확히 구분되고 업무의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준법지원인제도의 효율적인 정착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증적 분석은 제외하였다.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Germany, and Japan. Moreover, it is widely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the management in globally renowned companies such as Microsoft and GE. For instance, no listed company in the US shall make a public disclosure until its corporate disclosure materials are not signed by the compliance officer. In addition, companies with efficient compliance officer systems can get up to 60% relief on legal penalties even in case they are sentenced with fines from violation of relevant laws. Above all, due to the strong social emphasis on business ethics, companies in advanced countries are actively introducing compliance officer systems to promote their corporate image. However, according to the business report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ssued in June 2016, only 183 companies out of 311 listed companies in Korea that are required to appoint compliance officers hav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place, which is only 58.8% of companies supposed to have the system. The rest 41.2% of companies haven't appointed their compliance officers yet.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take the following measures. Firstly,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are required to introduce the system should be increased in phases. Practically, it would be difficult to expand the cover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number of companies mandated to have the system in place must be increased gradually. Secondly, not only listed private companies but also public companies that have public influence or concerned to public interest should also be required to adopt the system. Next, the status of compliance officer must be secured and their qualification criteria need to be eased. Currently the work scope of compliance officers is redundant with that of auditors (Audit Committee). Moreover, the qualification doesn't need to be limited to those from certain vocational background, for instance lawyers. Also, there should be sanctions against companies that haven't appointed compliance officers yet. There is no statutory penalty to impose sanctions in case listed companies don't have a proper compliance officer system. To help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take root in Korea, it is essential to have more practical and legally binding measures such as sanctions. The fifth measure is giving incentives to companies that appoint compliance officers. Measures including tax benefits, exemption or reduction of criminal punishment and fines shall be considered. The sixth is computerization of most compliance officer tasks. That will enable compliance officers to focus on their core tasks, helping them to perform their work with higher efficiency in a more strategic manner. Sevent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stated in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system in specified in other finance related laws shall be integrated into one to ensure consistency. Finally, the role and work scope pertaining to internal controls shall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work independence must be guaranteed. As this research places a strong focus on suggesting efficient measures to establish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Korea, empirical analysis is not included herein.

      • KCI등재

        준법지원인의 선임에 관한 규제와 그 개선방안

        정준우(Joon-Woo Chung)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3

        2011년 개정상법은 국민경제에 대한 영향력이 큰 상장회사의 법률적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회사 내부에 준법경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준법지원인제도를 새롭게 도입하였다. 그동안 각종 기업비리에 따른 경제적 출혈이 종국적으로 국민경제의 부담으로 전가되는 실례를 경험하면서 사후적인 피해구제나 책임추궁보다는 사전적인 위험의 점검과 관리가 더 중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자산총액 5천억 원 이상인 상장회사는 준법통제기준을 마련하고 임직원의 준법통제기준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는 준법지원인을 두어야 한다. 그런데 유관기관의 2014년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의무선임 대상회사의 약 50%가 여전히 준법지원인을 두고 있지 않았고 다양한 미선임사유들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임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회사들에 대한 제재조치를 명확히 해야 하고, 준법지원인의 미선임사유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산총액의 선임의무 적용기준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만큼 자본금 · 부채 · 종업원수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적용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상법상 준법지원인은 변호사와 법학교수 및 기타 법률적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한 사람만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격요건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합리적인 해석과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먼저 변호사의 경우에는 일정한 요건을 구비한 외국변호사에게도 자격을 부여하되, 모든 변호사는 일정기간(3년 내지 5년) 이상 기업실무에서 관련업무에 종사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 그리고 법학석사학위 이상의 학위소지자로서 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연구원 또는 전임강사 이상의 합산근무경력이 5년 이상인 사람에게도 준법지원인의 자격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장회사에서 감사 등의 직위 또는 그에 관련된 법무부서에서의 합산경력이 10년 이상 또는 법학석사학위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5년 이상이라고 하여 법률적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다고 인정할 수는 없으므로 실제적으로 준법지원업무나 그에 준하는 업무를 수행한 경우에만 준법지원인의 자격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준법지원인의 적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요건과 함께 결격사유도 규정해야 하고, 준법지원인의 법적지위를 확고히 하기 위하여 해임요건을 감사위원에 준하는 수준으로 가중해야 한다. The transparency in the corporate management and ethics has been strengthened according to global trends. As a result of enhancing the compliance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expected to improve by introducing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Accordingly, the Commercial Act amended 2011 has adapted compliance officer system for the compliance management. Under the Commercial Act amended 2011, to put it concretely, a listed company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in light of the scale of assets, etc. shall establish guidelines and procedures that their employees and directors must observe in order to abide by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and make their management appropriate when the employees and directors perform their du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liance guidelines”)(§542-13(1)). A listed company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in light of the scale of assets, etc. shall have one or more persons responsible for the work on abiding by the compliance guide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liance officer”) (§542-13(2)). In order to appoint and remove a compliance officer, meanwhile, a listed company under paragraph (1) shall obtain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542-13(4)). A compliance officer shall be appointed from among the following persons: 1) A person qualified as an attorney at law; 2) A person who is or was in a position of an assistant professor or higher teaching law at a school as provided for in Article 2 of the Higher Education Act; 3) Other persons with considerabl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law, who are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542-13(5)). And the term of a compliance officer shall be three years, and he/she shall work full time(§542-13(6)). A compliance officer shall check whether the compliance guidelines are complied with and shall report the outcomes thereof to the board of directors (§542-13(3)), and shall perform his/her duties with the due care of a good manager(§542-13(7)). There, however, are many legal problems in the provisions relating to employment duty, eligibility conditions and appointment requirements of a compliance officer. In this paper, thus, I have investigated the legal problems implicated these provisions relating to employment duty, eligibility conditions and appointment requirements of a compliance officer, and I have proposed the reform measures for settlement of such legal problems relating to appointment of a compliance officer.

      • KCI등재

        기업범죄 관련 준법지원인의 역할과 형사책임

        이진국 사법발전재단 2013 사법 Vol.1 No.24

        Compliance kann als die Gesamtheit organisatorischer Massnahmen und Vorkehrungen, die gewährleisten sollen, dass sich die Gesellschaft und die für sie handelnden Personen rechtsmässig verhalten, definiert werden. Dem Compliance-Officer kommen grundsätzlich außerhalb seiner Abteilung keine innerbetrieblichen Kompetenzen, wie z.B. Entscheidungs- oder Weisungsbefugnisse, zu. Mangels Organstellung hat der Compliance-Officer keine originären Schutzpflichten gegenüber den Rechtsgütern des eigenen Unternehmens. Es handelt sich bei der Garantenpflicht des Compliance-Beauftragten nur um eine aus den Pflichten der Geschäftsleitung abgeleitete Garantenpflicht. Auf allen Hierarchieebenen kommt jedoch eine auf Vertrag gegründete Garantenpflicht des Compliance-Beauftragten in Betracht, die sowohl Überwachungs- als auch Schutzpflichten auslösen kann. Auf der anderen Seite geht es um die täterschaftliche Strafbarkeit wegen Unterlassens des Compliance-Beauftragten. Nach Pflichtdeliktslehre wird der Garant, der die Tatbestandsverwirklichung durch einen Dritten zulässt, grundsätzlich als Täter eines Unterlassungsdelikts betrachtet. Die Strafbarkeit der Beihilfe soll nach Pflichtdeliktslehre nur dann angenommen werden, wenn dem Garanten(also, dem Compliance-Beauftragten) die persönlichen Voraussetzungen oder subjektiven Elemente fehlen, die jeweiligen Tatbestand für Täterschaft voraussetzt. Deshalb besteht beim Compliance-Beauftragten nur eine Beihilfe, soweit er als Unterlassende ohne Zueignungsabsicht die Vermögendssraftaten des Betriebsabgehörigen nicht verhindert. 준법감시(Compliance)란 기업과 기업을 위하여 활동하는 사람들이 적법하게 행위하는 것(즉, 기업과 관련하여 요구 및 금지를 근거지우는 모든 법령의 준수)을 보장하기 위한 조직상의 조치와 대처의 총체로 이해된다. 상법 제542조의13은 일정한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로 하여금 준법통제기준을 마련하고 준법통제기준의 준수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1명 이상 두도록 명시하고 있다. 여기서 준법통제기준의 준수에 관한 업무담당자를 준법지원인(Compliance Officer)이라 한다. 준법지원인의 형사책임은 기업 내에서 준법지원인이 임직원의 위법행위를 발견하고도 이사회나 최고경영진에 보고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 준법지원인에게 부작위범을 인정할 수 있는지와 관련되어 있다. 준법지원인의 보증인의무와 관련하여, 상법 제542조의13 제2항에 명시된 준법지원인의 기업 임직원의 준법통제기준의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의무와 그 점검 결과의 이사회에 대한 보고의무는 준법지원인의 작위의무를 인정할 필요조건에 불과하다. 기업 내에서 준법감시를 수행해야 할 일차적인 책임은 기업의 최고경영진에게 있기 때문에 준법지원인은 기업의 법익에 대한 진정한 보호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그러나 준법지원인이 당해 기업과의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그 계약상의 의무를 실제로 인수한 경우에는 당해 근로계약은 법적인 보증인의무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준법지원인에게는 각각의 계약의 내용(준법지원인의 직책과 직무 등)에 따라 보호의무 또는 감독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준법지원인에게 보증인의무를 인정하는 경우에도 보증인의무의 범위는 근로계약상의 채무를 부담한 행위 또는 법적으로 명시된 행위에 국한된다. 따라서 준법지원인이 근로계약에 따라 주식회사의 이사회에 대한 보고의무만 명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준법지원인이 임직원의 형법위반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도 그 위반행위를 이사회에 보고만 함으로써 형사처벌을 면하게 된다. 준법지원인의 부작위 정범성에 관해서는 의무범론에 따른 판단이 이론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의무범론에 따르면 보증인의무가 존재하는 이상 부작위에 의한 참가는 원칙적으로 정범에 해당하고, 다만 자수범인 경우, 구성요건에서 요구하는 추가적인 주관적 요소가 흠결된 경우 또는 정범적격이 요구되는 구성요건의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방조범이 성립할 수 있다. 따라서 임직원의 재산범죄를 알면서도 이사회에 보고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준법지원인에게 불법영득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임직원의 당해 재산범죄의 정범(공동정범 또는 동시범)이 성립하지만, 불법영득의사가 없는 경우에는 작위정범인 임직원의 재산범죄에 대한 방조범이 성립할 뿐이다.

      • KCI등재

        준법지원인과 ESG 경영 간의 관련성 -준법지원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오슬기,이호영,성주명,이학현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4

        The general counsel manages and supervises compliance activities within the company so that the company can conduct ethical management. As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has grown, compliance management has become essential for transparent and effective governance. However, there are many firms that have not properly implemented general counsel system, despite the fact that listed firms with assets of more than 500 billion won have to implement it. 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are no penalty for firms that do not have general counsels within firm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re can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SG performance between companies that have general counsels and companies that have not. Based on thi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existence of general counsels affect the ESG activities of KOSPI and KOSDAQ-listed companies with assets of more than 500 billion won that are mandatory to have general counsels using the disclosure data of annual reports. In addition,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counsels are including expertise and supporting functions can affect ESG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when there is a general counsel in a firm, it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ESG grade. This implies that in order for a company to perform effective ESG management, the general counsel system must be preceded. This finding is consistent even after controlling possible endogeneity problem through conducting lagged independent variables method, 2SLS(Two-stage least squres), and so on. Furthermore, the expertise of general counsels measured by career and education background positively affects ESG performance, and supporting function of general counsels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SG grade of compan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stem of general counsels must be sophisticatedly established for more effective ESG management. Despite the short disclosure period for general counsel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 contribution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ounsels and ESG activities that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to our knowledge. Also, this paper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general counsels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effective ESG activities. Finally, in terms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regarding the general counsel system, this study can be an informative reference material.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general counsels. 준법지원인(General Counsel)은 기업이 윤리적인 경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 내의 준법활동을 관리・감독한다. 최근 ESG 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준법경영이 선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준법지원인을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기업이 이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준법지원인의 공시자료를 이용하여 준법지원인을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자산 5천억원 이상인 코스피 및 코스닥 상장사를 대상으로 준법지원인의 존재여부가 기업의 ESG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준법지원인의 존재여부 뿐만 아니라 준법지원인의 특성을 전문성과 준법지원조직으로 구분하여 기업의 ESG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 내의 준법지원인이 도입된 경우, 기업의 ESG 등급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업이 효과적인 ESG 경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준법지원인 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2SLS(2단계 회귀분석)등을 통해 내생성을 통제한후에도 일관되었다. 또한, 준법지원인의 전문성을 출신, 학력 및 직책으로 측정한 결과, 출신 및 학력이 ESG 등급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준법지원조직도 기업의 ESG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준법지원인의 도입 뿐만 아니라준법지원인이라는 제도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기업의 ESG 경영에 있어 더욱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준법지원인과 ESG 활동 간의 관련성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며, 기업이 효과적인 ESG 활동 수행에 있어 준법지원인이 하나의 중요한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시사한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상법상 준법지원인제도의 문제와 해결

        주기종(Ju, Gi-Jong)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8 No.-

        준법지원인제도는 2011년 4월에 개정되어 2012년 4월부터 시행되어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는 준법지원인을 의무적으로 두어야 한다. 준법지원인제도를 도입하면서 준법지원인의 활동에 대한 독립성 및 실효성의 확보의 필요성, 책임부분의 미흡, 준법감시제도 등 다른 내부통제제도와의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 제기 등 제도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상법상의 준법지원인제도의 내용을 살피면서 그 실효성을 제고하고 위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준법지원인의 법적지위와 관련하여 자격요건의 강화 및 변호사인 준법지원인에 대한 재교육을 통한 질 향상의 필요성, 준법지원인의 해임에 따른 손해배상청구제도 마련, 준법지원인의 임기 및 겸직제한, 준법지원인제도의 임의적인 선택제로의 전환, 준법지원인제도와 준법감시인제도와의 기능적 중복 관계, 준법지원인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의 확대 및 제도적 보완책, 준법지원인의 독립성 확보 방안 등 개선할 점을 제시하였으며, 상법개정을 대비하여 더욱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준법지원인제도에 관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논하였다. Compliance officer system was revised on April 2011 and has been enforced since April 2012. And under this system, sizable listed companies should have compliance officers obligatorily. As introducing compliance officer system, the needs to supplement the system such as the necessity securing independence and effectiveness to the activities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insufficiency of charging parts, problem suggestion due to the imbalance with other internal control system including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have been sugges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to be improved for raising effectiveness by searching compliance officer system in commercial law and to search the solution to this. We have suggested the improvements such as the necessity of quality improvement through reinforcing of qualification in relevant with legal position of compliance officer and re-training to compliance officer (lawyer), the preparation of compensation claim system against the dismissal of compliance officer, the restriction of tenure and additional job of compliance officer, the transition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into voluntary selection system, and the functional repetitive relation between compliance officer system and compliance monitoring officer system, the extended incentive and systematic supplements for vitalization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and the plan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compliance officer. We also discussed that the continuous study is needed to minimize the problems about compliance officer system through more close review by preparing to the revision of commercial law.

      • KCI등재

        기업범죄예방을 위한준법지원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재윤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圓光法學 Vol.35 No.4

        전 세계적으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가 기업경영에 있어 하나의 시대적 화두가 되고 있다. 이때 컴플라이언스는 모든 기업과 기업의 임직원이 업무수행과 관련된 법규범, 회사규범, 기업윤리 등을 ‘준수’하도록 사전에 상시적으로 통제하고 감독하는 제도로 정의된다. 컴플라이언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핵심적 요소는 본질적으로 예방, 교육 및 억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기업범죄의 사전적 예방을 그 핵심적 기능으로 언급할 수 있다. 컴플라이언스와 관련하여 여전히 국내 기업에서는 뇌물공여, 비자금 조성, 주가조작, 세금탈루 등 각종 기업범죄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방지하고 기업의 준법·윤리경영을 제고하기 위해 이미 2011년 상법을 개정하여 준법지원인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처럼 상법이 준법지원인제도를 전격적으로 채택하게 된 것은 기업의 준법·윤리경영이 강조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기업의 준법·윤리경영이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가 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기업이 이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어 어느 정도는 법적인 강제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업의 준법·윤리경영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한 준법지원인제도는 대다수의 기업에 의해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2016년 상반기 기준으로 41.2%인 128개 회사가 준법지원인을 선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법지원인을 의무적으로 선임해야 하는 대상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준법지원인을 선임하지 않은 이유로 실효성에 대한 의문, 준법지원인의 보수 등의 추가적 비용 지불, 형사제재의 감면이나 세금감면 등과 같은 인센티브의 부재 등이 언급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행 상법상 준법지원인제도의 문제점으로 준법지원인 선임을 법에 의해 의무화시킨 점, 변호사로 준법지원인의 자격을 제한하고 있다는 점, 준법지원인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형사법적 인센티브가 미흡하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향후 준법지원인제도가 활성화됨으로써 준법·윤리경영을 통해 기업범죄 예방이라는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준법지원인 업무의 독립성 확보, 준법지원인과 법무부서 등 타 부서와의 상호협력 관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했을 경우 기업의 형사책임과 관련하여 사업주 내지 이사 개인의 형사책임의 면제 또는 감경, 소추면제 등 일정 부분 형사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만 재벌체제라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기업지배구조, 기업범죄에 대한 관대한 처벌 등을 고려할 때 현 단계에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상법상 준법지원인제도에 관한 소고 - 주요 쟁점과 법제 개선방안 -

        최수정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7 法과 政策 Vol.23 No.3

        This paper explores Compliance Guidelines and Compliance Officers as internal control systems in the Korea Commercial Act. In 2011, the Korea Commercial Act introduced internal control systems in listed companies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Under the Article 542-13, a listed company is required to establish compliance guidelines and to have one or one more compliance officers responsible for duties related to abiding by the compliance guidelines. There was a lot of controversy regarding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the total amount of KRW 500 billion, which is subject to the compliance guidelines and compliance officer system, at the time of revision of the Presidential Decree of the Commercial Act. Recent discussions on Compliance guidelines and compliance officers can be narrowed down to: (1) expanding companies subject to legal obligations; (2)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iance systems. It is a policy decision to decide where to set the standard for compulsory support system. However, in practice many listed companies with total assets of more than KW500 billion at the end of the last fiscal year, is not yet in line with the legal compliance system. The Commercial Act does not provide sanctions for cases where the obligations of the compliance system are not fulfilled. On the contrary, a fine of up to KRW 5 million shall be imposed if the obligation related to the appointment of directors or auditors has not been properly implemented pursuant to Article 635 (1) 8. Moreover, if a listed company does not fulfill the duties to appoint an outside director or audit committee, a fine of up to KRW 50 million will be imposed. Considering thes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in the legal system to introduce fines if the compliance duty is not properly implemented. However, there are some considerations to review for it.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iance system.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for courts to actively provide incentives for damages related to director’s duty of oversight. 상법상 준법지원인제도는 상장회사의 준법경영을 담보하기 위하여 2011년 상법개정을 통하여 도입되었으며, 2012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상법상 준법지원인 도입과 관련하여 상법 시행령 개정 당시에도 준법지원인제도의 적용을 받는 자산총액 5천억원이라는 도입대상 적용범위 기준설정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 준법지원인제도 관련 최근 논의는 ① 준법지원인 의무적 선임대상 기업의 확대, ② 준법지원인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및 준법지원인 선임의무를 위반한 경우 그 제재규정 신설로 압축될 수 있다. 준법지원인제도를 법이 강제하는 기준 범위를 어디로 정해야 할지는 정책적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기준인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규모 5천억원 이상 상장회사에서 조차 준법지원인제도가 제대로 착근되지 않는 현 시점에서 제도적용범위 확대를 아직은 시기 상조라고 생각된다. 현행 상법은 준법지원인제도 관련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제재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현행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에 따라 이사 또는 감사 선임 관련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는 5백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된다. 또한 소정의 상장회사가 사외이사 선임 또는 감사위원회 설치의무를 이해하지 아니한 경우 5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러한 현행 상법의 태도를 고려할 때 준법지원인 관련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과태료를 도입하는 것은 법 체제상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다만, 준법지원인제도 관련 의무 위반시 과태료를 도입할 경우 준법지원인은 상법상 기관성을 인정하기에는 법규정상 부족하고 또한 이사회가 내부통제체제의 궁극적 책임주체라는 점, 과연 준법지원인 관련 의무가 상장회사의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또는 비상장회사의 이사 또는 감사선임의무와 동일시 할 수 있는지, 다른 기관 선임의무 위반시 과태료와 비교할 때 형평성 있는 과태료 금액 산정 문제 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준법지원인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하여 인센티브제도 도입을 분명히 필요하다. 다만, 현 시점에서 이사의 감시의무 관련 손해배상감면이라는 인센티브를 법원에서 적극 활용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준법지원인제도의 현재와 미래

        권성연(Kwon, Sung-Yeon) 한국법학원 2011 저스티스 Vol.- No.127

        2011. 4. 14. 개정된 상법에는 기업경영의 투명성 강화와 더불어 윤리경영이 강화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자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장회사는 준법통제기준의 준수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준법지원인을 1인 이상 두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준법지원인 제도가 도입됨으로써 기업의 준법경영과 사회적 책임이 보다 강화되고 이로 인한 한국기업의 국제적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아직 위와 같은 준법지원인을 두어야 하는 상장회사에 대한 기준을 규정할 대통령령이 확정되지 아니하였을 뿐 아니라, 이 준법지원인이 회사의 존재가치로 승화되고 있는 세계적 추세를 체득하기 위한 움직임은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하여 준법지원인 제도에 대한 외국의 연혁과 개정 상법상 준법지원인 법규정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바람직한 준법지원인 제도의 미래상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Transparency in the management of corporate and ethics has been strengthened according to global trends. Listed companies must therefore hire more than one Compliance Assistant who is responsible for abiding with control standards of complying with the law by consideration of assets scales, etc. by Presidential Decree in The Revised Commercial Law on April 14, 2011. As a result of enhancing the compliance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expected to improve by introducing the Compliance Assistant System. However, the Presidential Decree that regulates the standard for the listed companies in question is not yet confirmed. Moreover, the movement for learning global trends that will make Compliance Assistant essential to the existence of the company is still stay at an early stage. Therefore, I would like to research on the vision of desirable Compliance Assistant with a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regarding the Regulations of Compliance Assistant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Law and the history of foreign countries regarding Compliance Assistant.

      • KCI등재

        준법지원인의 회사내 독립성과 그 역할 분석

        가정준(Ka Jung-Joo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2

        준법지원인 제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회는 2011년 4월 상법개정을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는 준법지원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입법화하였다. 대부분의 여론이 이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개진하면서 그 반대 이유로 변호사와 법학교수들만을 중심으로 준법지원인 제도를 운영하는 폐쇄성과 집단 이기주의를 지적하였다. 2011년 6월 이후 부산저축은행사태가 본격화 되면서 준법지원인 제도에 대한 논란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보였다. 본 논문은 법조인을 중심으로 한 준법지원인 제도를 반대한다면 이에 대한 책임있는 대안을 제시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와 토론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더불어 본 논문은 이러한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법조인을 중심으로 준법지원인 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는 이유를 법조인의 전문성, 독립성, 그리고 사회적 통제가능성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을 통해 왜 준법지원인 제도가 법조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그 논거를 밝혔다. 무엇보다도 법조인들이 국민으로부터 사랑과 신뢰를 받지 못해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여론보다는 사회적 감정을 표출하는 여론을 많은 국민들이 동조하는 것은 법조인을 교육하고 양성하고 있는 입장에서 매우 슬픈 현실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대중매체와 사회지도자들은 항상 마지막에 자기 자신을 깎는 고통이 수반하여야 국민들의 사랑과 신뢰를 다시 되찾을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지만 어떻게 하는 것이 자신 자신을 깎는 고통인지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변호사협회와 법무부는 불법행위와 비윤리적인 행위를 저지른 법조인들의 자격을 어렵지 않게 제한하거나 박탈하는 방법을 통해 자기 자신을 깎는 고통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 자신을 깎는 고통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준법지원이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은 예상하기 어렵다.

      • KCI등재

        기업범죄의 통제방안으로서 준법지원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병수 한국부패학회 2019 한국부패학회보 Vol.24 No.2

        In the wake of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many systems were introduced to enhance transparency in corporate management and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but still the criminal behavior of companies continued. Thus, in order to control corporate crimes, the 2011 Commercial Act introduced compliance standards and compliance officers modeled on the compliance of the United States. Such compliance applicants are to prevent corporate crimes by monitoring that the entity complies with the statutes and with the compliance with the law control standards that executives and employees must follow when they comply with their duties. Only when introduced, it was expected that the law support personnel system would enhance corporate compliance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since the system was implemented, various illegal activities such as raising slush funds, illegal internal transactions,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and tax evasion have continued. As the law-abiding personnel system fails to properly support companies' compliance management, it is leading to illegal management and corporate crimes. For that reason, there is no prestigious regulation under the Commercial Act on the responsibilities of law applicants. In addition, there are no regulations for imposing sanctions on the entity for failing to perform its obligations in compliance with the legal aid-for-disclosure system, or any incentive provisions for the entity to reduce fines if it has fulfilled its obligations. The most decisive cause is the lack of proper punishment for corporate crimes due to the refusal of a corporation's ability to commit crimes.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provision for the responsibilities of law applicants and a new regulation for sanctions if the company fails to fulfill its obligations to the law-abiding party. And effective compliance control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he legal entity shall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criminal responsibilit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theory that only natural persons are subject to the penal code.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여전히 기업의 범죄행위는 끊이지 않았다. 그래서 기업범죄를 통제하기 위하여 2011년 상법에서는 미국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을 모델로 하는 준법통제기준과 준법지원인(Compliance Officer)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준법지원인은 기업이 법령을 준수하고 임직원이 직무를 준수할 때 따라야 할 준법통제기준을 잘 지키는지를 감시하여 기업범죄를 예방하는 것이다. 도입될 때만 하더라도 준법지원인제도가 기업의 준법경영과 사회적 책임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제도 시행 후 지금까지 대주주나 경영진에 의한 비자금 조성, 부당내부거래, 횡령·배임, 조세포탈 등 각종 위·탈법행위들이 끊이질 않고 있다. 준법지원인제도가 기업의 준법경영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어 불법경영과 기업범죄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상법상 준법지원인의 책임에 대한 명문규정이 없다. 또한 준법지원인제도 관련 의무를 기업이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제재 규정이나 이행하였을 경우 벌금감경과 같은 인센티브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법인의 범죄능력 불인정으로 인하여 기업범죄에 대한 제대로 된 처벌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준법지원인의 책임에 대한 규정을 신설하여야 하고 기업의 준법지원인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제재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그리고 효과적인 준법통제기준을 제정하여야 한다. 자연인만을 형벌법규의 대상으로 한정한 기존의 이론에서 벗어나 형사책임의 주체로서 법인을 인정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