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낯선 타인의 죽음 이미지 앞에서 : 주형일의 《사진과 죽음》에 대한 비평적 독해

        김병선(Byoungsu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2

        이 글에서는 ‘죽음 사진’이라는 주제로 “죽음의 재현” 문제와 사진이 요청하는“타인의 고통과 죽음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사유하는 주형일의 《사진과 죽음》 (2019)을 비평적으로 독해한다. 《사진과 죽음》의 저자는 사진적 재현의 기호학적 속성에서 출발하여 영정 사진, 심령사진, 사회적 죽음 사진에 대한 논의를 거쳐, 대규모 사회적 죽음이라는 재앙의 재현 불가능성과 타인의 죽음 사진을 대하는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죽음 사진’이라는 사진적 재현을 통한 기억과 윤리적 사유의 필요성에 대한 주형일의 주요 논의를, 벤야민의 체험(Erlebenis)과 경험(Erfahrung) 개념 및 베르그손의 기억 개념, 디디ᐨ위베르만의 이미지 개념 등을 바탕으로 다시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죽음 사진을 저자의 입장처럼 “죽음의 재현”이 아니라 흔적으로나마 남은 “삶의 재현”으로 이해해야만, 충격 체험을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경험으로 번역할 수 있다는 사실을 논의하고자 한다. 그래야만 이미지를 통해 과거 전체를 무의지적으로 기억(Gedächtnis)해 낼 기회를 겨우 가질 수 있다. 죽음을 둘러싼 사진을 통해 우리가 사유할 수 있는 것은 결국 불현듯 떠오르는 ‘나의 죽음’이라는 체험 불가능한 경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는 의도치 않게 이를 촉발시킬 수 있을지는 몰라도 결코 의도적으로 강요할 수는 없다. This article criticizes Joo Hyungil"s <Photography and Death>(2019) on “the representation of death” and “the ethical problems of seeing others" pain and death” that photography request. Starting from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representation, the author of <Photography and Death> discusses a portrait photograph of the deceased, a psychic photography, and the photography of social death, then continues to the non-representability of catastrophe and the ethical problems dealing with others’ death. I reconsider here the main discussion of Joo Hyung-il"s need for memory and ethical thinking through a photographic representation of “death photography”, based on concepts of Benjamin"s Erlebenis and Erfahrung, Bergson"s mémoire, and Didi-Huberman’s image.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discuss the fact that the impact experience (Erlebenis) can be translated into a communicable experience (Erfahrung) only if the “death photography” is understood as a “representation of life” rather than as a “representation of death” which is the author"s point of view. Only then can we have a chance to involuntarily remember (Gedächtnis) all of the past through images. What we can think through the photography surrounding death is “an unexperienced experience (unerleben Erfahrung)” called “my death” which suddenly comes to mind. Nevertheless, images may involuntarily trigger it but it can never be intentionally forced it.

      • KCI등재

        Death in Don DeLillo’s White Noise: from the Catastrophe of Thoughts to the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Community

        이동신(Yi, Dong-sh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8

        현대 사회에서 죽음이 과도하게 재현되면서 그 결과 간접적으로만 경험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본 글은 돈 드릴로(Don DeLillo) 의 White Noise에 나타난 재현 불가능한 죽음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한다. 소설 내에서 대중 매체 위주로 이루어지는 죽음의 재현과정은 즉각적이며 동시에 보편적이다. 그 결과 소설 내 인물들은 죽음을 직접 경험하고 그 독특한 무의미의 중요성을 깊게 생각해보지 못하고, 대신 다양한 방식과 의미로 재현된 죽음을 소비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드릴로의 소설은 순간순간 죽음의 재현과정을 멈추면서, 죽음이 단순히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 누구도 이해할 수 없고, 재현할 수 없는 현실임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순간에 초점을 맞추면서, 본 논문은 모리스 블랑쇼(Maurice Blanchot)의 이론을 바탕으로 재현이 불가능한 죽음에서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찾아내고자 한다. 즉 재현 불가능하고 무의미한 현실로서의 죽음은 결국 남의 죽음을 통해서만 경험이 가능하기에, 이는 나와 남과의 부인할 수 없는 관계를 입증하는 순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블랑쇼가 제시하는 공동체는 죽음의 순간에만 가능하기에, 진정한 의미 에서 공동체라고 하기는 힘들다. 반면 드릴로의 소설은 죽음의 순간을 통해 주인공이 공동체 의식을 느끼는 장면을 보여주는 한편, 환경 재난으로 죽어가고 있는 자연을 대변하는 일몰 장면에서 그러한 공동체 의식이 공유되고 유지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인간의 죽음만을 인정하는 블랑쇼의 공동체와는 달리, 드릴로의 소설이 제시하는 공동체는 죽음과 자연이 공통적으로 재현 불가능한 존재라는 사실에 기초한다. 본 논문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기존의 이해나 재현이 아닌 죽음과 삶을 공유하는데서 시작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소설에서 환경적 공동체의 가능성을 찾아내고 있다. Taking issue with the fact that contemporary society deals with death― mainly, by mean of the mass media―through representations of it and, consequently, is unable to face death as such, this paper examines Don DeLillo’s White Noise to find a non-representational, alternative way to deal with death. Overburdened with the incessant influx of representations, each of which turns death into something thinkable, characters in the novel suffer from the catastrophe of thoughts, where one thinks too much about death yet is never able to think it through. Yet DeLillo’s novel stops the flow of representations momentarily so as to illustrate that death as such, which one can experience only by thinking of it as belonging to someone else, confirms one’s indelible relationship with others. By emphasizing a sense of community that death brings up, thus, the paper finds in the novel the presence of Maurice Blanchot’s “Unavowable Community” that is based on death as the impossible―impossible to comprehend and, therefore, represent. But the paper also points out the impossibility of sustaining such a community in that it only lasts as long as “the instant of death.” Suggesting that the penultimate scene of DeLillo’s novel emphasizes the ability of nature as the impossible to sustain that sense of community, the paper argues that death gives rise to the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community, to which both humans and nature belong.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메멘토 모리

        김정배 ( Jeong Bae Kim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죽음의 시적 가능성을 점검하고 그 구현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죽음의 개념인 메멘토 모리와 바니타스의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 현대시에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현대시에 구현되고 있는 죽음은 시인의 미적 자의식과 기호, 취미 등이 함께 혼재된 형태로 나타난다. 그 과정에서 죽음은 기존의 의미를 상실한 채 범속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죽음의 공포는 현대라는 일상과 뒤섞여 무감각하게 인식되거나 하나의 시적 도구로써 전략적으로 사유된다. 그래서 시인은 죽음에 대항하고 초월하려는 의지 혹은 실존적 삶에 대한 성찰보다는 삶의 순간순간 발현되는 죽음에 대한 기억과 이미지에 더 집중한다. 다시 말해 메멘토 모리의 발현에 더 매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죽음은 재현할 수 없는 상태로 놓인다. 시인은 죽음의 재현 불가능성을 인지함으로써 타자의 존재를 통해 부재하는 자기 죽음을 재현한다. 그 재현의 장소는 몸이나 얼굴이다. 특히 얼굴은 인간의 감각이 모두 모인 장소로서 죽음의 이미지가 중첩되거나 재현되기에 적합한 시적 도구로써 형상화된다. 죽음의 범속화 과정에도 모든 인간의 죽음은 개별적으로 인식된다.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과정 속에서도 죽음은 여전히 개별적이다. 죽음의 범속화 과정이 죽음의 개별성을 소외시킨 듯 보이지만, 결국 시적으로 구현되는 죽음 또한 개별적인 사건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시인은 일상 곳곳에서 목도되는 메멘토 모리의 지점에 자신을 투사해 놓음으로써 경험할 수 없는 자기 죽음을 경험한다. 또, 그 속에서 자신을 위안할 수 있는 시적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죽음에 대한 투사란 지금 내 앞에 없는 것을 시적인 상상을 통해 그려봄으로써 인간 존재의 종말로써의 죽음을 미적으로 재편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그 과정은 시적 화자에게 자신을 배려하는 방식으로 전이되어 나타난다. 실제적인 죽음의 공포와 두려움이 시적인 형상화를 통해 긍정적으로 승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메멘토 모리라는 죽음의 관념이 시인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poetic possibility of memento mori and to consider its realization aspec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memento mori and vanitas, as conceptions of death, are accepted by Korean modern poetry. Death in modern poems of today is expressed by being mixed with aesthetic self-consciousness, taste and hobby of a poet. In this process, death becomes ordinary losing its original meaning. Fear of death is insensitively recognized being mixed up with daily life in modern times, or is strategically thought as a poetic tool. Therefore, poets concentrate on memory and image of death more which is revealed each moment in life, rather than a will to fight against and transcend death, or a reflection about an existential life. In other words, they are more fascinated by revelation of memento mori. However, death is placed under the state which cannot reappear. Poets reproduce their absent death through the existence of others by perceiving that it is impossible to reproduce it. The place of its reappearance is a body or a face. In particular, as a spot where all of human senses are concentrated in, face is embodied into a poetic tool appropriate for superimposition or reappearance of a death image. Death of all humans is individually recognized, in spite of the exotericism process of death. Death is still an individual thing, even during the rapid changes of modern society. Though it seems the exotericism process of death alienates individuality of death from it, the poetically realized death is also perceived as an individual event, in the end. Accordingly, poets experience their death that they cannot experience, by projecting themselves onto the spots of memento mori which are witnessed here and there in ordinary lives. Furthermore, they master poetic methods to comfort themselves. As a result, projection of death serves as an opportunity to aesthetically reproduce death which means an end of existence by describing something that isn`t in front of you through poetic imagination. That process is displayed using a way that a poetic narrator considers him or herself. That is to say, fear of actual death is sublimated in a positive way by the medium of poetic realization. This shows well how the conception of death, memento mori affects a poet.

      • KCI등재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미학

        왕형우,김현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This researcher has sorted 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death aesthetics contained in human art through advanced research.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f related research, which studies the aesthetic meaning of death in Alexander McQueen's fashion works. This study first classifi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eath, and then analyzes and sorts out the aesthetics of death in Alexander McQueen's clothing work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esthetic manifestations of death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reproducibility, symbolic and religious. Among them, the representation of reproducibility includes the representation of real objects and the representation of virtual objects, and the symbolic performance includes two types of external performance and internal performance. Second, in Alexander McQueen's works, the reproducibility of death was mainly reflected by virtual stage scenes and costumes. Thirdly, the symbolic death is not only reflected in the skeletons and blood etc. directly related to the death of the body, but also in the various emotions and psychological states caused by the death. Fourth, the religious nature of death was represented in Alexander McQueen's works through such representative things as crosses and religious stories. 본 연구자는 선행 연구를 통해 태초부터 전개된 인류의 예술에 내포된 죽음의 미학의 전개 과정을 정리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해당 연구를 심화시킨 후속 연구로,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작품에 담긴 죽음의 미학적 의미를 연구하였는데, 먼저 죽음의 미학적 특성을 분류하고, 이를 근거로 알렉산더 맥퀸의 의상 작품에서의 죽음의 미학적 특성을 분석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의 미학적 표현은 죽음의 재현성, 상징성, 및 종교성의 세 가지로 나뉜다. 재현성 표현은 실질적 대상 재현과 상상의 대상 재현을 포함하며. 상징적 표현은 외면적 표현과 내면적 표현 두 가지를 포함한다. 둘째, 알렉산더 맥퀸의 작품에서 죽음의 재현성은 주로 가상의 무대 장면과 복장을 통해 구현하였다. 셋째, 죽음의 상징성은 육체적인 죽음과 직결된 해골, 혈액 등뿐만 아니라 죽음에 따른 다양한 정서와 심리상태도 보여준다. 넷째, 죽음의 종교성은 알렉산더 맥퀸의 작품에서 십자가 등의 모티브로 종교적 내용을 재현한 것으로 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

        박영택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시민인문학 Vol.23 No.-

        죽음은 인간의 중대 관심사이며, 학문의 중요 과제이다. 당연히 미술에서도 중요한 문제 다. 더불어 죽음은 삶을 바라볼 수 있는, 성찰할 수 있는 거울이다. 보다 인간적인 삶이 무 엇인가를 질문하는데 있어 죽음은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된다. 죽음은 누구나 말하기 싫어 하는 금기이다. 그럼에도 이를 피하거나 외면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간 한국현대미술사에서 죽음을 다룬 이미지는 많지 않다. 오랫동안 미술은 죽 음과 무관한 것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80년대 광주에서의 죽음을 계기로 많은 작가들 이 그 죽음을 애도하는 한편 이후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죽음을 어떻게 볼 것인가 를 형상화하려는 여러 시도가 전개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 작가들이 죽음 을 다룬 현대미술은 무엇보다도 한국인들이 지니고 있는 전통적인 생사관(특히 무속적인 생사관)에 입각해 죽음을 다룬 시각이 많았다. 그 다음은 가족의 죽음이라는 치명적 상흔 을 형상화하는 작업, 그리고는 정치적인 죽음을 고발하고 이를 위무하는 차원의 작업이 뒤 를 이었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여러 죽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드문 편이다. 죽음은 인간의 삶에서 가장 충격적이고 극적인 사건이다. 죽음에 대한 경험은 작가의 삶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그것은 미술 속에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반영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 현대미술은 아직 이 부분에서 취약한 형편이다. 여전히 미술은 죽음과는 별개의 것으로 아름다움이나 미술내적인 문제를 해명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믿음 들이 있다. 개별적으로는 삶과 죽음에 대해 매일 생각할 것이고 더불어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 죽음과 맞닥뜨리면서도 정작 그 문제에 대해 미술은 오랫동안 침묵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그 죽음에 대한 여러 다양한 발언들이 나오고 있다. 이는 우리 삶이 그만큼 불안하고 공포스럽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동시에 미술이 그런 문제와 결코 무관할 수 없다 는 인식에 기인하는 것 같다. 현재 우리세계가 주음을 전적인 타자로서만 만나고 있다고 보여지는데 이를 통해 죽음의 공포가 만연하고 있다. 오늘날은 오로지 삶에만, 살아있는 몸 에만 관심을 갖고 있고 영혼에는 관심이 없다. 지금 우리에게 죽음은 시간적으로든 공간적 으로든 철저하게 타자화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삶 속에서 부단히 직접적으로 죽음 과 마주치는 훈련이 필요하다고들 한다. 미술 속에서 재현된 죽음은 그런 의미 있는 훈련 이기도 하다. 우리는 늘상 지속적으로 죽음이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을 던져야 한다. 그것이 삶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일이자 의미 있는 삶의 추구일 것이다. This essay begins from the question about how contemporary Korean art represents death. As mentioned above, art and imagery of previous ages showed icons associated with death. Myths and religions were ideologies elucidating a view of life and death, and a world after death. Such images were thus iconographic, shamanistic, intimating such ideologies. Typical ancient tomb art is a visualization of a world after death and a promise of immortality as in images making solemn space for the dead. Folk painting portrays icons dreaming of health and longevity, and figure and landscape painting is imbued with a longing for eternity. The icons are filled with a strong aspiration for immortality. These genres all present an attempt to overcome death: traditional images are all associated with death.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however, such images are rarely addressed.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ists believe something dark and horrible like death had to be excluded. They are often dominated by the idea art deals with only the beautiful and sensuous. Lively nudes, fresh fruit, and flowers are thus repetitively depicted, and only things with life are admired. The gloomy and dead are ousted from the arena of art. Contemporary Korean art addressing visual beauty and issues within art formally have gradually grown away from fundamental human values and existence and a reflection of social and practical problems. Artists are more alienated from the problem of existence as art extended its sphere across the fundamental ground of ‘concept’. There are almost no attempts to deal with essential themes like death in contemporary Korean art, forced to accept figuration representing the external world aesthetically and embrace and adapt to Western modernism. Although Korean society underwent great death, violence, and sacrifice through upheavals in it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uch as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War, national division, April 19 Revolution, May 16 Military Coup,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1970s and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almost no ima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address death ironically. It is not until the late 1980s work dealing with private experience and death became possible. Death is the end of life and point when thinking stops. It is the most critical event in life along with birth. A man’s life begins from birth, but it is a journey toward death. Death is beginning another life in an extension of the present realistic life. The back of life is death, and the front of death is life. Death is the most shocking, dramatic incident in human life. The experience of death makes a considerable effect on an artist’s life, and is reflected in various aspects in contemporary Korean art.

      • KCI등재

        한국만화 속 죽음에 관한 서사표현 연구

        김종옥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8

        Everyone dies. But the inevitability of death does not frustrate us or deny life. The fact that my life is finite and there is a final is an existential problem that makes me worry about the value of life. Death is a philosophical theme that has been studied by numerous researchers, and has been included in the art as a fascinating subject to reflect on life. To live a life worthy of ourselves and without regrets, we must talk openly about the topic of ‘death’. A cartoon about death also stimulates public discussion about life and death. To this e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ression and meaning of death represented in the cartoon (Webtoon) with the motif of death, an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view of death.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divided the comics into two main types that captured the view of death. The first type is death for the dignity of life, a new 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life after death from physical illness. <Amanza>(2016), <My Way Bucket List >(2017), and <Goodbye Project>(2018) present questions about life with dignity and death with dignity as the subject of life. The second type is the world after death, death reflecting on life. Works <Along with The Gods>(2010) and <About Death>(2012) raise the question of 'living (life)' by recreating virtual spaces with the imagination of the soul and the afterlife. At present,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attempted to expand the philosophical perception of death in Korea. The reasons for death included in the cartoon text will provide readers with a meaningful opportunity to think about death, which will lead to a search for life and give them a chance to retrace their valuable live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pand the diversity of cartoon creation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newly examine the aesthetic value of comics.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그러나 죽음의 불가피성이 우리를 좌절하게 하거나 삶을 부정하게 하지는 않는다. 나의 삶이 유한하고 마지막이 있다는 사실은 인생의 가치를 고민하게 하는 실존적 문제이다. ‘죽음’은 실존을 담은 철학적 주제로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삶을 반추하는 매혹적 소재로 예술에 담겨져 왔다. 자신에게 가치 있고, 후회 없는 삶을 살기위해서 우리는 ‘죽음’이라는 화두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해야 한다. 죽음을 소재로 한 만화 또한 ‘삶과 죽음’에 대한 대중적 논의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죽음을 모티브로 한 만화 속에 재현된 죽음의 표현방식과 그 의미를 고찰하여, 죽음에 대한 시선을 유형화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죽음에 관한 시선을 담아낸 만화 작품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첫 번째 유형은 삶의 존엄을 위한 죽음으로, 육체적 질병으로 인한 죽음을 계기로 삶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다. <아만자>(2016), <마이웨이 버킷리스트>(2017), <굿바이 프로젝트>(2018) 등의 작품은 삶의 주체로서 존엄한 죽음·존엄한 삶에 대한 문제제기를 담고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죽음 이후의 세계, 삶을 반추하는 죽음이다. <신과 함께>(2010), <죽음에 관하여>(2012) 등의 작품은 영혼·사후세계라는 상상력으로 가상공간을 재현하여 ‘살아가는 것(인생)’에 대한 문제제기를 던지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는 죽음에 대한 철학적 인식을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 되고 있다. 만화 텍스트에 담겨진 죽음에 대한 사유는 독자들에게 죽음에 관해 생각하게 하는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이는 인생에 대한 탐구로 이어져 가치 있는 삶을 되짚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만화창작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만화의 미학적 가치를 새롭게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자기록』, 삶과 죽음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

        김보현(Kim Bo Hy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자기록>은 죽음을 대하는 삶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록>은 대부분 모친과 남편의 죽음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자기록>은 모친과 남편의 죽음이 마땅하지 않은 이유를 기술함으로써, 이를 통해 자신의 죽음이 마땅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자기록>에 기술된 조씨가 만나는 일상은 유교적 이념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비해, 조씨가 만나는 죽음은 현실적인 문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이념적 근거와 현실적인 문제는 <자기록>을 통해 서로 충돌 혹은 대화하면서, 조씨로 하여금 일상을 회복하도록 만든다. 화자는 <자기록>에서 죽음에 대해 반복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죽어서는 안 되는 죽음을 되새긴다. 이는 죽어서는 안 되는 화자의 죽음과 동일시되는 죽음을 다시 말하는 것이다. 즉, 두 사람의 죽음을 되새기고 애도함으로써, 화자 자신이 죽을 수 없는 이유를 찾아내고,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힘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록>은 일상에 대한 기술이 아니라, 일상의 회복을 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살아있으므로 살아가는 것이 당연한데, 실제 세계는 살아있어도 죽는 것이 마땅한 세계이다. 화자는 이러한 모순을 글쓰기를 통해 확인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자신이 욕망하는 현실이 기존의 세계와는 대항적임을 확인하고, 규범을 대체함으로써 충돌하는 두 세계를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 체계를 구축한다. Jagirok is a record of a life confronting death. The most part of Jagirok is described of the deaths of the narrator"s mother and her husband. Lady Cho, the narrator confirms that her own death is improper for her by describing why their deaths are improper for them. The deaths which she encounters contain practical problems, whereas her dailiness is based on the Confucian ideals. Those ideological basis and realistic problems, which conflicting or conversing with each other in Jagirok help her restore her dailiness. By describing deaths in Jagirok repeatedly she reminds herself of deaths which should not happen. It suggests again the deaths identified with her death which she does not want. In other words, as remembering and mourning their deaths, she finds out the reasons she ought not to die and obtains vigor to return to her everyday life. Therefore Jagirok is not a description on one"s daily life, but a description for restoration to dailiness. It is natural for you to live since you are alive, but the real world she lives in forces her into dying even though she is alive. The narrator tries to realize and overcome that contradiction with writing. She recognizes that the world she desires is against the world where she belongs and constructs a new value system which can integrate the two worlds by substituting the norms.

      • KCI우수등재

        대통령 죽음의 재현방식

        이완수,유재웅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2

        이 연구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의 죽음에 대해 온라인 추모 글이 신화, 기억, 가치, 언어적 관점에서 서로 어떤 차이로 재현하는 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두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추모방식은 공통적으로 성과적 신화, 외향적 정서, 이상적 가치, 그리고 인지적 언어로 재현되었다. 그러나 대통령 죽음에 대한 국민들의 이런 재현 방식이 두 대통령 모두에게 같은 비중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노무현 대통령은 태생적 신화, 사회적 약자, 내향적 감정구조, 현실적 가치, 정서적 언어로 추모된 반면, 김대중 대통령은 성과적 신화, 사회적 강자, 외향적 감정구조, 이상적 가치, 인지적 언어로 대비돼 추모되었다. 대통령 죽음에 대한 공적 기억과 사적 슬픔이 어떤 상징구조와 의미로 재현되는 지를 중심으로 토론했다.

      • KCI등재

        단두대, 죽음의 순간, 문학적 재현 : 『적과 흑』을 중심으로

        조성웅 ( Seong Woong Cho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7 No.-

        According to Antonio Dominguez Leiva, after the last convulsions of butchers of the senequeen theater and the Caravaggio`s paintings, a long occultation of a century and a half removed the motif of the decapitation. However, this theme, without disappearing forever in the field of representation and imagination, reappears with the romanticism accompanied by the appearance of the guillotine which then becomes, with the beheading of the king and the queen, the symbol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Terror. The guillotine carries the revolutionary spirit : ≪ Anyone sentenced to death shall be beheaded. ≫ Art represents the reality of the time. The guillotine will become an obsession for romantic writers. But the representation of the guillotine is problematic, because we only see what precedes the fatal moment or after the execution. Every writer has their own way of representing the historical evenement. For example, telling the time of Madame Roland`s beheading, Saint-Marc Girardin exaggerates so much the moment of his death that his death ends up becoming something exceptional and extraorinaire. On the contrary, Victor Hugo, in Le Dernier Jour d`un condamne, gives an extende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ecution of a condemned man. The condemned suffers long between life and death. The affair is so atrocious. In Stendhal is concerned the same theme. We note especially his originality in the treatment of the subject. In Le Rouge et le Noir, the symbol of the guillotine and the characters decapitated around Julien and Mathild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the century when all energy is dead, Mathilde considers the death sentence as the only value that cannot be bought, and Julien will answer. However, in the last pages of the novel, Stendhal exempts all the extension of the description of Julien`s decapition. He gives us only the result. ≪ Everything just went, simply, appropriately, without affectation. ≫ But by the necrophiliac kiss and the burial of the beheaded by Mathilde, the novel becomes a sublime poem. 프랑스 대혁명은 자유·평등·박애의 정신을 외치면서도 혁명의 희생자들을 단호하게 처형해야만 했다. 참수형을 당해야만 하는 자에 대한 휴머니즘적인 배려로 의학박사들에 의해서 고안되어 세상에 드러나 한 시대를 장식했던 단두대는 국왕과 왕비조차 제물로 삼으며, 평등이라는 대혁명의 가치를 가장 극적으로 구현하는 도구가 되었다. 19세기의 소설가는 ‘잘려져 죽어가는 머리’라는 환상적인 주제를 문학적으로 재현해야만 하는 소명에 매료되지만, 단두대와 죽음의 순간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단두대의 검이 내려치는 순간, 즉 삶이 죽음으로 바뀌는 순간은 존재하지만, 지속되지는 않는다. 단두대의 순간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문제는 바로 이 점에 있다. 작가의 상상적 작업과 세계관만이 요구될 뿐이다. 역사적 진실을 마주한 작가는 죽음의 순간을 과장해서 재현함으로 죽음을 비범한 것으로 격상시키기도 하고, 단두대의 순간을 장황하게 늘여 묘사하면서 본질적인 ‘진리의 순간’에 쉽사리 접근하지 못하기도 한다. 스탕달에 있어서, 권태와 무료함이 지배하는 19세기 초에 유일한 위대함의 상징은 참수형에 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권이 귀족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위험을 무릅쓰는 용기와 명예가 귀족다움을 만드는 것이다. 소설 『적과 흑』은 참수형을 통해서 줄리앙이 고귀함을 성취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마틸드는 현실에서의 줄리앙이 아니라 참수형 당한 줄리앙의 머리를 사랑하고, 줄리앙은 죽음의 순간에서야 죽음 앞에서 약해지지 않고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발산하게 된다. 참수형을 당하는 순간에야 줄리앙은 역사의 위대했던 영웅들과 교신을 하고, 영웅적 운명을 같이 하게 된다. 스탕달이 묘사하는 단두대의 순간과 죽음의 순간은 극도로 시적이다. 스탕달은 난폭하고 잔인했던 역사적 사건을 예술을 통해서 시적으로 승화시키며 가치부여를 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