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체문예론 연구(2) -‘주체문예리론체계’의 공시적 분석

        김성수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erform a synchronous analysis of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North Korea’s Juche Literary Theory. North Korea established the Juche Literary Theory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art as a part of “Systematizing the One Ideology of the Juche Idea” (1967) and set it as a unique theory. The ideologues of the Juche literary theory first discovered and recorded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 Art’ of Kim Il-sung made them into literary & art’ history traditions. Under the guidance of Kim Jong-il, they wrote Theory of Film Art , Theory of Literature Based on Juche Thought , and Theory of Juche Literary . According to the blueprint, Juche Literary Thought , Juche Literary Theory Study , Juche Music Series , Juche Art Series , Juche Film Theory Series , and Juche Literature Series were completed. Along with this, Kim Jong-il’s literary theory was reviewed in Literary and Art Gifted , Comrade Kim Jong Il’s Literary Theory Series , Comrade Kim Jong Il’s Literary Lead History , Comrade Kim Jong Il’s Theory of Thought: Literature and Arts , Comrade Kim Jong Il’s Literary and Art Achievements , was published as a series of Literary Revival in the 20th Century and Kim Jong Il . In the early 2000s, the theory of ‘military first literature’, which reflected the ‘military-first rule, military-first ideology’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system, emerged rapidly in the early 2000s. However, it was only a temporary transformation of the Juche literary theory, and it was not systematized as a separate independent theory. There were no theoretical books published other than Military First Revolution Literature and Art and Kim Jong Il . In the system of Juche literary theory, the essence of literature changed from ‘communist anthropology’ to Juche’s anthropology. The ideology of literature changed from Marxism-Leninism through the Juche idea to ‘Kim Il-sung Kim Jong-ilism’. The creative method and aesthetics have changed from socialist realism to ‘Juche realism’.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socialist realist aesthetics also went through ‘partisanship, proletarian class character, people’ in the ‘popularity, class character, partisanship’ category, and ‘fidelity to the leader’ element was added in the Juche realist aesthetic. The status of the creative method has changed from the principle of realistic typology to creative guidelines such as ‘seed theory’ and ‘speed war’. The literary tradition changed from KAPF’s theory of success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to the theory of monolithic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and art, and then to the dualism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and artistic ‘tradition’ and progressive literature’s ‘legacy’. The typical figures representing each era are also positive protagonists, heroes-warriors, rider of the Chollima Movement under the socialist system, etc. symbolizing each era under the Juche ideological system, Juche’s human, 3 revolutionaries, ‘hidden heroes,’ military first fighters, ‘rider of the Mallima’ was created as a new humanoid. 이 글은 북한 주체문예론의 이론구도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은 ‘주사상의 유일사상 체계화’(1967)의 일환으로 문학예술분야에서 주체문예론을 만들어 유일무이한 이론으로 정했다. ‘항일혁명문학예술’을 문학예술사적 전통으로 격상하고, 김정일의 지도를 받아 영화예술론 ,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 , 주체문학론 의 설계도에 따라 문예리론총서 주체적문예사상 , 주체적문예리론연구 , 주체음악총서 , 주체미술총서 , 주체영화리론총서 , 주체문학전서 등의 방대한 이론체계를 집대성하였다. 이와 함께 김일성, 김정일 저작의 문예이론과 지도지침을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문학 령도사 문학예술의 영재 ,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예리론총서 ,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 문학령도사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의 사상리론 문예학 ,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문학예술업적 , 20세기문예부흥과 김정일 시리즈로 출간, 보급하였다. ‘고난의 행군’기로 불리는 체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선군(先軍)통치, 선군사상’을 반영한 ‘선군(혁명)문학’ 담론이 2000년대 초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주체문예론의 일시적 변형일 뿐 별도의 독자적 이론으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선군혁명문학예술과 김정일 외에는 문예이론서가 나오지 않았다. 주체문예론의 체계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면, 문학의 본질을 전에는 막연하게 ‘인간학’으로 규정했는데 ‘주체의 문예관’에 의해 ‘자주시대의 문학은 주체의 인간학’이라고 재규정되었다. 문학의 이념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주체사상을 거쳐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미학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 변모하였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특징적 구성요소도 ‘인민성, 계급성, 당파성’ 범주에서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거쳐, 주체사실주의 미학에선 ‘수령에의 충실성’ 요소가 추가되었다. 창작방법은 사실주의적 전형화 원리에서 ‘종자론’ ‘속도전’ 같은 창작지침으로 위상이 달라졌다. 문학사적 전통은 카프의 프로문학 계승론에서 항일혁명문학예술 유일 전통론을 거쳐 항일혁명문학예술 ‘전통’과 진보적 문학 ‘유산’의 이원론으로 바뀌었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전형적 형상도 사회주의체제 하의 ‘긍정적 주인공, 영웅—전사, 천리마 기수’ 등에서 주체사상체제 하의 각 시대를 상징하는 ‘주체적 인간, 3대혁명소조원, 숨은 영웅, 선군투사, 만리마 기수’ 등이 새로운 인간형으로 창조되었다.

      • 『주체문학론』의 이념과 창작방법

        임옥규 남북문화예술학회 2011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8

        북한 문예창작의 방법론과 이론체계는 많은 변천을 겪어왔으며 『주체문학론』에 이르러 주체의 문예관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이 이론서는 새 시대에 맞는 문예관을 표방하고 있다. 여기에는 1990년대 전후로 세계적인 사회주의 체제 위기 속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모색한 결과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시대적 위기 속에서 체제 유지를 위해 민족주의를 강조하게 되고 북한 내부의 결속과 통합을 유지하기 위해 수령형상창조론을 정립하고 민족유산에 대한 재평가와 계승을 논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 문학예술에서는 수령 통치 체제를 공고히 하는 방법론이 강조되었고 한편으로는 문학사 해석에 있어 이전보다 유연성을 발휘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북한 문학예술의 변모를 추동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고는 『주체문학론』의 분석을 통해 이 이론서가 주체의 문예관과 인간학을 기초로 하여 민족성과 주체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밝히고 있는 주체적 미관은 조선민족제일주의, 주체사실주의 형태로 발현되고 있다. 그 내용 중 사회정치적 생명체와 문학에서는 수령형상 창조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후계자 김정일에 대한 형상을 중시하고 있다. 이는 수령형상문학이 후계자 형상으로 확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령형상 창조론과 종자론을 중심으로 한 창작방법론은 다양한 형태별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주체문학론』의 이론은 독창적이고 과학적이라기보다는 이전의 문예이론들을 정리하고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시대적 위기 속에서 북한의 자구책을 문예적인 실천 강령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민족제일주의나 주체사실주의는 배타적인 자민족 중심주의와 애국주의의 산물로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이 이론서가 근대문학사와 고전에 대한 폭넓은 재평가를 하여 남북 통합 문학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주체문예론 연구(1) ― ‘주체문예리론체계’의 통시적 분석

        김성수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1

        이 글은 북한 주체문예론의 이론사적 전개와 유일체계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남북 통합 문학사 서술을 위한 북한문학비 평사(1945~2019) 기획 연구의 일환이다. 북한은 ‘주체사상의 유일사상 체계 화’(1967)에 따라 주체문예 담론을 창안하여 창작과 비평의 절대적 기준으로 삼고 있다. 주체문예론의 이데올로그들은 먼저 김일성의 ‘항일혁명문학예술’과 김 형직, 강반석 등 ‘혁명 가정(가계)’의 계몽적인 문학예술을 발굴, 기록하여 문학 사적 전통으로 삼았다. 그들은 김정일의 지도를 받아 『영화예술론』(1973)에서 처음 선보인 새로운 이론을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1975)을 통해 문학 예술 전 장르로 확대, 일반화하였다. 그것을 기초로 『문예리론총서 주체적문예사 상』(1982), 『김정일 문예리론총서』(1982~87), 『주체적문예리론연구』(1989~2007), 『주체문학전서』(2000~) 등 방대한 ‘주체문예리론체계’로 집대성되어 유일이론 으로 군림하였다. 주체문예론의 전개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니, 전일적인 유 일사상으로 체계화됨에 따라 이론 체계 밖의 다른 반증을 전혀 용납하지 않는 자기완결적 논리가 동어반복됨을 알 수 있다. 문학예술에 대한 지도자의 교시와 당 정책이 명제화되면, 비판적 논쟁 없이 위계화된 해석과 해설만 경전처럼 작 동되는 것이다. 주체의 환상에 빠진 마리오네트가 수령과 당의 뜻대로 창작과 비평을 수행하는 문화정치적 기능이 전일적으로 수행되는 셈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unique system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s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This is part of a planning study o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Criticism History(1945-2019) for the description of the integrated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North Korea has created the discourse of Juche lit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ization of the Only Ideology of Juche Thought” (1967) and uses it as an absolute standard for creation and criticism. The ideologues of the Juche literary theory first discovered and recorded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 Art’ of Kim Il-sung and the enlightening literary arts of the ‘revolutionary family’ such as Kim Hyeong-jik and Kang Ban-seok, and made them into literary history traditions. Under the guidance of Kim Jong-il, they expanded and generalized the new theory first presented in Theory of Film Art(1973) to the entire genres of literature and art through Theory of Literature Based on the Juche Idea(1975). Based on it, A Series of Theories on Juche’s Literary and Artistic Thought (1982), A Series of Studies on Juche’s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1989~), Juche Literary Theory (1992), Juche Literary Encyclopedia (2000~), etc. They created a vast system and made it a unique theory.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reveals that the self-contained logic that does not tolerate any other falsification outside the theoretical system is repeated synchronously as it is systematized as a unique ideology. When Supreme Leader’s comments on literature and art and the party’s policy come out, only hierarchical explanations follow as if they were scriptural interpretations without any critical debate. The cultural and political function of Marionette, who has fallen into the illusion that she is a Juche and performs creation and criticism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Supreme Leader and the party, is fully performed.

      • KCI등재

        김정일 문예론 연구 서설

        김성수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6

        북한의 주체문예론은 김정일의 『영화예술론』(1973)에서 이론적 단초를 보였다. 그가 주도한 ‘문학예술혁명’을 통해 특유의 이론체계를 갖추었다. 즉 ‘문예리론총서 주체적문예사상,’ ‘김정일의 문예리론총서,’ ‘주체적문예리론연구총서,’ ‘주체음악총서, 주체미술총서, 주체영화리론총서, 주체문학전서’ 등이 100여 권 간행되어 ‘주체문예리론체계’로 정립되었다. 동시에 김정일의 문학예술부문 이론과 실무지도를 정리, 연구한 총서도 간행되었다. 그의 문예론은, (1)‘영화예술론’등 8대 장르론(8권, 1973~92), (2)‘문학예술의 영재’(20권, 1985~2005), (3)‘김정일의 문예리론총서’(40권, 1982~87), (4)‘주체문학예술에 대하여’(5권, 1989~1990), (5)‘김정일의 문학예술 지도업적’(12권, 1990~95), (6)‘20세기문예부흥과 김정일’(13권, 2002), (7)‘선군혁명문학예술과 김정일’(5권, 2005) 등이 나와 방대한 ‘유일이론체계’가 확립되었다. 김정일의 문예론‘체계’는, 개념과 본성, 역사적 전통, 장르별 이론, 사업과 조직론 등 4개 패러다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혁명적/김일성주의/주체적/주체’라는 새로운 문학예술의 개념과 건설원칙,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전통, ‘문학, 영화, 가극, 연극, 음악, 미술, 무용, 교예’ 순서의 장르별 이론, ‘종자론, 속도전’ 등 문예 창작방법과 조직사업 지침 등의 논리구조로 되어 있다. 그의 문예론과 실무지도는 주체문학예술의 이론과 창작을 전일적으로 지배하였다. 유일 이념인 주체사상체계로 북한 문학예술 전체를 꿰뚫는 일관된 논리와 수령의 절대적 영도력을 관철시켰다. 김정일이 이론과 실무를 주도한 ‘주체문예리론체계’는 문학예술을 전일적으로 지배하는 사상, 이론, 방법의 백과전서 집대성이다. 동시에 최고지도자의 명령이 예술적 상상을 규율하는 절대 규범이자 지침서로 작동된다. ‘혁명, 주체, 수령’이라는 마법의 레토릭으로 최고의 문학예술을 창조할 수 있다고 자화자찬하지만, 타자의 시선에서 볼 때 자기완결적 주장만 무한반복하는 폐쇄적 논리에 갇혀 있다. North Korea’s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show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Kim Jong-il’s Theory of Film Art(1973). Through the ‘Revolution of Literature and Art’, which he led, a unique theoretical system was established. In other words, “A series of theories on Juche’s literary and artistic thought,” “A series of Kim Jong-il’s Theory Book of Literature and Art,” “Juche Music Series, Juche Film Theory Series, and Juche Literature Series” were published and established as ‘Juche Litratary and Artistic theory system’. At the same time, a a series of book was published that summarized Kim Jong-il’s theory and practical guidance on literature and art. (1) Eight kinds of genres, including Theory of Film Art(1973-92), (2) ‘Genius of Literature and Art’(20 volumes, 1985~2005), (3) ‘A series of Kim Jong-il’s Theory Book of Literature and Art’(40 volumes, 1982~87), (4)‘On the Juche Literature and Art’(5 volumes, 1989~1990), (5)‘Kim Jong-il’s guiding achievements on literature and art’(12 vols, 1990~95), (6)‘20th Century Literary Revival and Kim Jong-il’ (13 vols, 2002), (7)‘Military-first literary Art and Kim Jong-il’ (5 vols, 2005) and so on, a vast amount of ‘unique theoretical system’ was established. Kim Jong-il’s Literatary and Artistic theory ‘system’ consists of four paradigms: concept and essence, historical tradition, genre theory, and creative business and organization theory. In other words, (1) the concept and construction principles of new literature and art called ‘Revolutionary/Kim Il-sungism/Juche’s/Juche’, (2) the tradition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 Art’, (3) ‘Literature, film, opera, theater, music, fine art, dance and circus’ genre theory, (4)the “Seed Theory, Speed ​​Battle Campaign”, such as creative method and organization theory, etc. are 4 paradigms. His literary theory and practical guidance dominated Juche Literature and Art’s theory and creation entirely. In other words, with North Korea’s only idea, the Juche Ideology, it carried out a consistent logic that penetrated the entire literature and art and the absolute leadership of Suryong(supreme leader). ‘Juche Litratary and Artistic theory system’ led by Kim Jong-il in theory and practice is an encyclopedic compilation of ideas, theories, and methods that dominate literature and art. At the same time, the orders of Suryong(supreme leader) act as absolute norms and guidelines that govern artistic imagination. The ideologues of the Juche literary theories claim to themselves that the best literature and art can be created with the magical rhetoric of ‘Revolution, Juche, Suryong’. However, from the other’s point of view, he is trapped in a closed logic that repeats only self-completed arguments.

      • KCI등재

        1970~90년대 민족문학론의 근대성 비판

        강정구 ( Kang Jeong-gu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이 논문은 1970~90년대 민족문학론의 시대적인 가치와 의미를 인정하면서도, 근대를 억압과 저항의 시대로 바라본 민족문학론의 인식을 문제 삼는다. 이런 인식이 근대를 이항대립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탈식민주의의 논리를 참조해서 근대를 혼성과 모방의 시대로 규정하고, 이런 관점에서 민족문학론의 근대성 논의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억압과 피억압 또는 억압과 저항의 논리를, 구체적으로는 근대 주체론, 근대문학 기점론, 근대 극복론을 비판·해체한다. 먼저, 민족문학론의 근대 주체론은 선도·대변의 대상이었던 `대다수의 사람들`을 민중으로 명명하고 억압적인 현실을 극복해 나아가는 저항의 주체로 전유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지적된다. 민중을 피억압·피지배 계층(김지하의 경우)으로, 그리고 진보사관에 근거한 변혁주체(백낙청의 경우)로 보는 것은, 지배권력과 민중 사이의 혼성적인 관계성을 무시한 태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민족문학론은 마샬 버먼의 “근대성의 경험”을 “일반적인 기준”으로 삼아서 1894년 동학농민운동說(백낙청의 경우) 혹은 1905년 애국계몽기說(최원식의 경우)을 근대기점으로 설정하는데, 이 때 문제는 그 “일반적인 기준”이 일면적인 시각으로 논의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근대적 경험과 근대문학의 다양하고 주목할 만한 측면들이 논의에서 제외되는 문제점이 있다. 끝으로, 민족문학론의 근대 극복론은 근대 시기의 反민중적인 억압성을 비판하고 민중 중심의 극복논리를 모색한 논의에 대한 것이다. 백낙청은 근대의 성과에 적응하면서도 근대적인 민중 억압을 극복하자는 `이중과제`를 제안하지만, 그의 주장은 지배권력과 민중의 관계가 혼성적인 근대의 상황을 간과한 채 억압에 대한 극복·저항 방안을 모색한 독아론적인 논리라는 점에서 중요한 한계가 있다. 오늘날은 지난 시대에 치열하게 응전한 민족문학론의 문제의식을 본받으면서도, 근대를 바라보는 이항대립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혼성성의 논리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This essay is concerned that What is modernity of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discussed oppression-resistance in modernity. But the logic of oppression-resistance is stiff perspective. Because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see 1970~80` minjung in binaristic the oppressed and a priori fighter, but in reality 197 0~80` minjung is hybrid and mimic sein. The Aim of this essay show the discourse of starting point of modernity, the discourse of modern subject, and the discourse of overcoming modernity, critically and dis-constructive. Frist, the discourse of starting point of modernity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look minjung`s history experience in one-sided. Secondly, the discourse of modern subject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minjung` reality and theory as image `from the oppressed to fighter` is estranged. Thirdly, the discourse of overcoming modernity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see overcoming modernity in minjung` acton, but that is ideological fantasy. So the discourse of oppression-resistance is changed in the discourse of reality-resistance.

      • KCI등재

        『한국문학의 위상』의 현재성에 대한 고찰

        강계숙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gnificance of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a representative work written by Kim Hyun. The writings in this book clearly reveal his critical view of literature. In this book, which answers the question of what literature can do, he develops his own theory of literature and explains the autonomy and uselessness of literature as a unique form of existence and a function of literature. The core proposition of his theory of literature is : ‘Literature does not oppress. But it makes us think about oppression.’ It is noteworthy that his thoughts on literature is based on his perception of oppression. For him, oppression means the whole of negatives as opposed to primary happiness. According to his point of view, oppression is not a partial function of the fragmented social system, but a whole system of society that operates as a compulsory mechanism.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more literature think about oppression,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literature will be free. Literature can say anything about oppress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Kim Hyun’s theory of literature is that he emphasizes that when we read a literary work, we experience a combination of sensual pleasure and reflective reasons. He says the combination of pleasure and reflection is made through deep impression. To de deeply impressed is a special experience in which one’s inner self is strongly dominated by something different from oneself. Unlike other emotions, it awakens the self. Kim Hyun makes it clear that being deeply moved is an awakening consciousness, and that it is a mental ability to recognize objects in depth. In his view, a deeply impressed person is self-reliant. Meanwhile, his theory of literature clearly reveals its characteristics in the part of describing the self-reliance of the reader and the self-reliance of the author. Recognizing that the later capitalist system threatened the autonomy and uselessness of literature, he strongly criticizes this phenomenon. And he thinks that the way to overcome these problems depends on a sincere writer and a critical reader. He says that readers are those who think and judge about suppressing themselves, and writers are those who fight the conditions of societythat commercialize literature. His thoughts make us realize again what unswerving purpose literature should pursue in spite of the changing times. 본고는 김현의 대표적 저작인 한국문학의 위상의 현재적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학의 위상에 실린 글들은 문학에 대한 김현의 비평적 시각과 태도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해 답하고 있는 이 책에서 그는 자신만의 문학론을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김현은 문학의 자율성과 무용성이 문학의 존재 방식이자 고유한 기능과 역할임을 설파한다. 특히 ‘문학은 억압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억압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는 그의 핵심 명제는 자율성과 무용성의 가치를 적극 옹호하는 과정에서 도출된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내용이 ‘억압’에 대한 그의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현에게 억압은 원초적 행복에 반대되는 것으로서의 부정적인 것의 총체를 뜻한다. 그것은 분화된 사회 제도의 부분적․개별적 역할이 아니라 강제적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전체 체제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억압에 대해 문학이 ‘생각하게 한다’고말하는 순간, 문학이 자유로워질 가능성은 더 커진다는 사실이다. 억압이 현실세계에서 전체적이면 전체적일수록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문학의 영역은 확대된다. 억압에 관해서라면 문학은 무엇이든 말할 수 있다. 김현에게 문학의 무용성은 문학의 가능성의 무한한 확대를 의미하며, 문학의 사회성은 이러한 가능성의확대가 유발하는 현실과의 싸움을 통해 확보된다. 김현 문학론의 또 다른 특장은 감각적 쾌락과 반성적 사유가 문학을 통해 통합된형태로 체험됨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그는 ‘감동’을 쾌락과 반성의 모순적 결합을 매개하는 정신적 작용으로 제시한다. 감동은 그것을 느끼는 자에겐 자신의 내면에 예측 못한 이질적인 것이 깊이 침범한 상태이자 그것에 강하게 지배받는 특수한 경험이다. 그것은 여타의 감정과 달리 의식을 일깨운다. 김현은 감동이 각성된 의식이자대상을 깊고 넓게 감수하는 정신 능력임을 분명히 한다. 그의 문학론에서 감동은 형이상적 사고와 윤리적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감성적 실천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으로간주된다. 따라서 ‘감동하는 자가 사유하는 자’이며 ‘감동하는 자야말로 주체적’이다. 김현의 이러한 문학론은 독자의 주체화와 작가의 주체화를 요구하는 대목에서그 개성이 더욱 뚜렷해진다. 그는 후기 자본주의 체제가 문학의 자율성과 무용성을위협하고 파괴하는 지점에 이르렀음을 인식하고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이를타개할 방법으로 ‘성실한 작가’와 ‘비평가-독자’를 호명한다. 그는 독자란 일개 감상자가 아니라 사유하고 판단하는 성찰의 주체라는 것을, 그리고 작가란 문학을 물신화시키는 조건 그 자체와 싸우는 행위의 주체라는 것을 시대적 당위이자 문화적 가치로서 요청한다. 그의 이러한 기대와 바람은 우리로 하여금 문학이 자기 존재의 가치를 포기하지 않는 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견지해야 할 기본적인 조건과 자세가무엇인지를 다시금 상기시킨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주체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이성천 ( Seong Chun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의 목적은 김정일의 『주체문학론』 발간 이후, 북한시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김정일의 『주체문학론』과 이를 바탕으로 창작된 작품들은 궁극적으로 북한 문학의 오래된 `전통`인 당의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를 재생하는, 일종의 체제 종속적 문학 담론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지, 오늘날의 북한문예창작이론의 전통은 `주체문학론`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호명될 뿐이다. 한편, 90년대 북한의 주요 정책들은 체제종속적인 북한 문예의 성격상, 이 시기 문예이론과 창작방법론에 적극적으로 수용된다. 이 무렵의 북한문학은 `붉은기 사상`, `고난의 행군`, `강성대국과 선국정치` 등 각각의 정치적 과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것들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특히 90년대 후반기부터는 `선군정치`가 북한의 핵심정치 이념으로 제기되는 까닭에 선군정치의 시대정신을 형상화하는 작품들이 속출한다. 현재 북한에서 선군정치는 <만능의 정치방식>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도 대부분의 북한 문학은 선군정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이른바 선군혁명문학을 표방하고 있다. 이는 정치적 이념과 미학적 실천을 동일시하는 북한 문학의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아울러 북한문학의 오래된 주제인 김일성 부자 우상화 작업과 반제반미의 문학적 표출 양상도 이 시기 들어 한층 강화되어 나타난다. 이는 "선군정치시대"의 북한 문학에 나타나는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ain wide picture of the stream of North Korean Poems after the publication of Kim Jung-il`s `Juche Literary Theory`. The `Juche Literary Theory` published on 1992 functioned as textbook for the creative writing of North Korea until these days. This fact is confirmed by the pieces from North Korean magazine <Joseon Literature> that follows the creative standards proposed in `Juche Literary Theory`. Even though slightly different depend on time and matter, it primarily operates as a ideological weapon against imperialism and the United States or a strong tool for maintenance of Kim Il-sung and his son`s power and North Korean socialism system focused on the party, people and leader. Therefore the works based on `Juche Literary Theory` are laid upon the prolong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tradition that reproduces the ideology of the Communists. This tradition of creative writing of North Korea, that is, literature depended on socialism recently called as `Juche Literary Theory`. On the other hand, creative writing and literature theory accepted the principal policies of 1990`s. In this period, the main stream of North Korean literature sensitively deals with political issue, namely `Red Flag Phenomenon`, `Marching of Hardship`, `Big Country and Songun Policy` and so forth. Especially, from the 90`s, a series of works emerged that formalize the spirit of the age, `Songun Policy`, as it became the North Korean`s principal political issue. So to speak, `Songun Policy` is the North Korean national management system of military first politics that insist on the succession of predecessor`s revolutionary achievement. Around 1998, the North Korea formally announced `Songun Policy` fo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Nowadays, `Songun Policy` is regarded as <Almighty Political Method> and thus most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claims the literature of Songun revolution that literarily formalize `Songun Policy` until late. This shows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that regards political belief as aesthetic practice. In addition, time-honored subject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Kim Il-sung and his son`s idolization, anti- imperialism and anti- America are strengthened in the time span. That is a significant phenomenon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period of Songun Policy.

      • KCI등재후보

        식민지 말기 국민문학론의 국민 되기의 논리와 문학적 의미-최재서의 「받들어 모시는 문학」을 중심으로

        전설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본 논문은 1944년 4월 『국민문학』에 발표된 최재서의 「받들어 모시는 문학」을 재조명하여 국민문학론의 국민 되기의 논리와 그 문학적 의미를 새롭게 읽어보고자 했다. 이 글은 소위 전향이나 굴복의 계기로 의미화되거나, 비평가적 입장에 대한 불연속성, 바꿔 말해 최재서의 ‘이론화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의미에서 문제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적 시점을 재고함으로써, 첫째 이 글이 최재서의 ‘이론화의 한계’가 아니라 정확히는 국체론이라는 ‘이론화되지 않은 것’, ‘모순의 논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 둘째 이것이 문학의 장에 지속적으로 머무르기 위한 주체화의 작업을 통해 가능함을 규명하였다. 더불어 이 규명의 과정을 민족-피, 이념-국체, 주체화-수행성이라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국민문학론에서 국민 되기의 실천을 일관되게 관찰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는 별도로 생각해야하지만 징병제 실시가 국민문학에 관여한 문인들의 국민 되기의 주체화 작업을 극적으로 진전시켰음은 분명하다. 최재서도 물론 예외가 아니었으며 그의 국민 되기의 질적 변화의 양상은 징병의 기획을 통해 드러났다. 그것은 전장 체현자의 출현에 의해 국민적 완성을 이루는 것이 환상이었음을 통감한 순간에 포착된다. 따라서 국민 되기란 손상된 국민의 위치를 회복하는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데, 바로 이 지점이 ‘받들어 모시는 국민 되기’였다. 천황을 받들어 모시는 국민의 과정은 국체라는 제국의 보편 이념에 대한 의식적 수용을 통해 성취된다. 일본인만이 생득적으로 지니는 국체의 이념이란 조선인에게는 본연적으로 소여되지 않은 것이므로 이론적 이해가 불가피 하였다. 그러나 이론적 이해를 통해서만 국체론을 수용할 수 있다는 이 사실이야말로, 조선인이 일본인이 될 수 없는 결정적인 결핍이었다. 왜냐하면 국체란 이론을 초월한 ‘일본인만의 자연적인 마음의 발현’이기 때문이다. 최재서는 일본인이 될 수 없는 절대적 요인, 즉 국체론의 핵심인 ‘피’가 상징하는 민족 구성의 문제를, 내선의 동질성을 통해 극복하려 했다. 그는 학도출진을 매개체로 고대를 소환하여 조선과 일본이 하나가 된 민족공동체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선동근 사관은 근본적으로 철저히 ‘일본적인 것’에서 지양되므로 이것 역시 극복 불가능한 것이었다. 이처럼 민족의 경계 밖에 타자화된 존재는 일본인 되기의 불가능함을 자각했고, 바로 그 자각 때문에 ‘받들어 모시는 국민 되기’라는 선택을 취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그 선택이란 국민 되기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받들어 모시는 문학」은 실상 그러한 수행성이 관찰되는 텍스트인데, 이 국민 되기의 수행성은 국체론의 순응을 통해 국체의 모순을 드러내기까지 한다. 요컨대, ‘국민문학’을 관철하는 국민 되기라는 행위수행적인 주체화 작업은 최재서의 문학 실천과 연동되고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최재서의 국민 되기의 논리는 제국의 보편주의 담론 및 체제 내적인 것이므로 사실상 그 보편주의를 극단화한 결과이기도 하다. 더불어 대중이 부재한 개인의 욕망으로서의 국민 되기라는 보편의 범주화의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그 논리는, 근대 국가의 국민과 민족이라는 보편과 특수의 논리가 대동아공영권으로서의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 사이의 모 ... This article aims to shed new light on Choi Jaeseo’s “Matsurou Literature,” -published in National Literature(Gug- Min-Mun-Hag) in April 1944, This article thereby interprets the logic and literary meaning of becoming a nation through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Matsurou" means serving the Japanese emperor. Choi’s essay has been read either as a ritique on the so-called surrender or conversion to Japan, or as a reflection of his discontinued stance as a critic, i.e., his limit of theorization. While taking these contrasting views into consider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Choi’s paper does not reveal "the limit of his theorization" but rather the limit of the theory of Kokutai(the national polity). In fact, the theory of Kokutai is not fully formed and contains contradictions in logic. Furthermore, his work regarding subjectivization strived to place himself permanently in the arena of literature, which enables us to explore its limits. Lastly, this study revolves around three ideas:nation-blood, ideology-Kokutai, and subjectivization-performativity. Aside from whether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plays a role in the formation of a nation, for Korean writers involved in National Literature, establishing a conscription system led to dramatic progress in the subjectivization of becoming a nation. Choi is certainly no exception. The conscription project discloses aspects of his transformation to becoming of the nation, which comes to fruition when he finally accepts the idea that it is an illusion, as Korea veterans fought for Japan to bring about national completion. Hence, becoming a nation starts anew only through becoming "the Matsurou nation", whereby Korean people are expected to recover their lost status as a nation. The process of "the Matsurou nation" is completed through conscious adoption of Kokutai,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Unlike the Japanese who were born into this ideology of Kokutai, Korean people had to understand it in theoretically because the ideology of Kokutai, could not come to them naturally. However, the very fact that only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ideology of Kokutai enables Korean people to adopt it determines they are not Japanese. This indicates their critical loss because Kokutai, is nothing but the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Japanese mind beyond theory. For Choi, the issue of constructing a race symbolized by blood, the essence of the ideology of Kokutai, is obviously what prevents Korean people from being Japanese in every respect. In turn, he attempts to overcome this ultimate hindrance through homogeneity of imperial Japan and colonial Korea. He takes advantage of Korean student soldiers as a vehicle to recall the ancient past in order to stress the national community where Korea welds Japan together. Nevertheless, his attempt is doomed to fail because this historical viewpoint that Korea and Japan originated from the same root completely negates the essence of being "Japaness". Accordingly, the otherized being situated outside the boundary of nation comes to realize the disability to be Japanese, which leads to the choice of becoming "the Matsurou nation". In other words, the choice refers to the "performance" of a nation at will. In fact, “Mausurou Literature” is the text that reflects the performativity of becoming a nation. This performativity encourages the adoption of the ideology of Kokutai, thereby disclosing the contradiction of Kokutai. In short, becoming a as presented in "national literature" is the work of subjectivization oriented to performing an action, which associates and interacts with the literary practice of Choi’s literary practice. Universalist discourse of the empire and the empire system per se results in the logic of becoming the nation from Choi. In this sense, his logic is able to evolve where universalism goes extreme. Furthermore, the categorization of the universal as a personal desire to become ...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고전문학사의 지향과 한계 남북한 : 고전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이 가능한가?

        김준형 ( Kim¸ Joon-hye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4 No.-

        이 글에서는 북한에서 간행한 15권집 『조선문학사』를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고전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이 가능한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1990년대 초중반 소련의 붕괴로 야기된 세계사적 패러다임의 변환은 남북한 간에 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벌렸다. 남한에서는 문학사의 의미를 축소 및 해체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북한에서는 『주체문학론』의 등장으로 인해 문학사의 비중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한 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을 마련하는 일은 더욱 요원해졌다. 그럼에도 이런 문제를 제기함은 민족사적 과업이나 통일운동과 같은 당위론적 답변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대상에 대한 이해 및 소통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런 전제 아래 이 글은 15권집 『조선문학사』에서 중요한 두 지점, 즉 시대구분과 서술체계의 특징을 주체문학론의 지침과 연관하여 읽었다. 15권집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세기별로 구획하였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북한 역사학계의 봉건사회를 염두에 두었지만, 그와 다른 시각으로 『주체문학론』에서 지침으로 제시한 혁명적 문화예술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시대구분의 유용성을 배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술체계 역시 『주체문학론』에 근간을 두었는데, 선택과 배제의 원칙에 따라 일부러 현재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작품들로 문학사를 구성하였다. 그러다보니 다룰수 있는 대상 작품이 한정되었고, 문학사에 빈 공간도 많아졌다. 15권집 문학사에서 왜곡된 해석이 많아진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한 이전 문학사에 없던 새로운 자료의 등장 및 이전과 달라진 해석 등도 정치가 문학에 관여한 결과다. 이런 양상은 남북한 문학사에서 접점 찾기를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그럼에도 남북한 모두 문학사 기저에 ‘사람’을 두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물론 북한에서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사람으로 사회의 관계망에 주목한 반면, 남한에서는 인문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연적 가치에 무게를 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렇다 해도 사람이라는 접점이 존재한다는 점은 낭만적일지언정, 결국은 ‘사람’이라는 축이 통일 문학사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열쇠로 작동해야 함을 말한다. 남북한 문학사의 접점은 결국 문학을 넘어서서 사람의 문제로 확산할 때 비로소 소통도 가능해질 터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ame orientation is possible in the technology of classical literary history in North and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15 books published in North Korea,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world history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and mid-1990s wide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s in viewing literature. In South Korea, the tendency to reduce and dismantle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has increased, while in North Korea, the importance of literary history has increased with the advent of “Juche Literature Theory.” In this situation, it has become even more difficult to prepare the same orient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technology. Nevertheless, raising these issue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party, not a justifiable answer such as a national historical task or the unification movement. Under this premise, this article reads two important points in the 15th volum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namely, the distinction of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be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guidelines of “Juche Literature Theory.” The period of literature history in the 15th volume is divided by century. It was primarily focused on the feudal society of North Korea’s historical and academic circles,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can be seen as deliberately excluding the usefulness of the period division in order to emphasize the value of revolutionary culture and arts suggested as a guideline in the “Juche Literature Theory.” The describe system was also based on the “Juche Literature Theory”,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composed of works that could deliberately reinforce the current domina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As a result, the subject works that could be handled were limited, and the number of contents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literature increased. This is the reason why distorted interpretations have increas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5th volume.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that did not exist in previous literary history and interpretat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before are the result of politicians’ involvement in literature. This aspect has made it difficult to find contact poin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Nevertheless, it is interesting that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human’ at the base of literary history. Of course, the difference is that North Korea pays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as a person as a social being, while in South Korea, it puts weight on the natural value of human beings as a human being. Even so, the fact that there is a point of contact with human means that although it may be romantic, in the end, the axis of ‘human’ should act as the key to open the possibility of unified literature history. When the contact poin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eventually spreads beyond literature to human problems, t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ecome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